KR20160114328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328A
KR20160114328A KR1020150040654A KR20150040654A KR20160114328A KR 20160114328 A KR20160114328 A KR 20160114328A KR 1020150040654 A KR1020150040654 A KR 1020150040654A KR 20150040654 A KR20150040654 A KR 20150040654A KR 20160114328 A KR20160114328 A KR 20160114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display panel
light
column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105B1 (ko
Inventor
전종필
최석주
김종회
권용훈
조건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105B1/ko
Priority to EP16159730.7A priority patent/EP3073318B1/en
Priority to US15/079,746 priority patent/US10067385B2/en
Priority to CN201610173070.6A priority patent/CN106019698B/zh
Publication of KR2016011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3Direct backlight 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무라와 색 무라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복수의 광원이 백라이트유닛의 테두리부에서는 사각배열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는 삼각배열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백라이트유닛의 무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백라이트유닛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 장치뿐만 아니라 각종 휴대용 단말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액정 디스플레이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장치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는 가볍고, 저전력 소비가 가능하며, 슬림화가 가능하므로, 텔레비전, 모니터, 포터블 디스플레이(portable display) 등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통과하는 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백라이트유닛으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에 의하여 영상의 표시 품질이 크게 영향 받는다.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냉음극선관 램프와 도광판을 포함하는 사이드 방식 백라이트유닛이 널리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저소비전력 특성 및 고휘도 특성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인쇄회로기판에 배열한 광원모듈을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하는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유닛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하형 백라이트유닛, 특히 백색 또는 청색 LED를 포함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은 휘도는 높으나 휘도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휘도 무라(Mura)와 색의 대비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색 무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무라와 색 무라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백라이트유닛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백라이트유닛의 무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각각은,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열이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제1열의 광원과 제2열의 광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이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1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상기 제1열의 순차로 배열되는 제1광원과 제2광원의 상기 제1방향의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오프셋이 가장 작은 측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각각 상기 복수의 광원에 전력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열이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서로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의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 차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제1열의 광원과 제2열의 광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이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1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상기 제1열 및 상기 제2열 중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큰 열의 광원 사이의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오프셋이 가장 작은 측이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열이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서로 다르고,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상기 광원모듈의 제2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된 제1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의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모듈의 상기 복수개의 열 중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가장 작은 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서로 같고,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 간의 상기 제2방향의 간격의 절반인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원모듈은 상기 제1광원모듈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중심부 측으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열이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제1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인 열이 배열되는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중심부 측으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효율적으로 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 무라 및 색 무라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전력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커넥터가 휘도 무라 및 색 무라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의 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광원 배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서 분해된 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후면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 예로써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텔레비전은 평면 텔레비전(flat television), 곡면 텔레비전(curved television), 가변형 텔레비전(bendable 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텔레비전의 일 예로써, 평면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0)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종류에 따라 평면 및 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가 도 1과 같은 평면 텔레비전의 경우, 디스플레이패널(10)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곡면 텔레비전의 경우, 디스플레이패널(10)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가변형 텔레비전의 경우, 디스플레이패널(10)은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10) 및 각종 전장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방케이스(20) 및 후방케이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케이스(20)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패널(10)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후방케이스(30)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방에서 각종 전장 부품들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장치(1)는 직립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스탠드 대신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용 브라켓을 통해 벽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벽걸이용 브라켓은 후방케이스(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20)와 후방케이스(3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기판(미도시)과, 각종 화상 및 소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기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10)로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밍 컨트롤 기판(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미들몰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패널(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광원모듈(110)은 인쇄회로기판(120) 및 복수의 광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바텀섀시(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바텀섀시(5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바텀섀시(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복수의 광원(130)이 디스플레이패널(10)과 마주하도록 바텀섀시(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디스플레이패널(10)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120)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10)이 미들몰드(4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미들몰드(40)의 전방에 결합되는 탑 섀시(top chassis)(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백라이트유닛(100)이 디스플레이패널(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미들몰드(4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확산시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시트(60)는 평평한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시트(60)는 백라이트유닛(100)에서 공급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확산시트(60)의 전방에는 재확산시트(61), 프리즘시트(62) 및 보호시트(63)가 배치될 수 있다.
재확산시트(61)는 확산시트(60)를 통과한 광을 다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확산시트(6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시트(62)는 재확산시트(61)에 의해 확산된 광이 디스플레이패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도록 재 확산시트(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즘시트(62)는 프리즘 형상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시트(63)는 프리즘시트(62)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프리즘시트(6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60), 재확산시트(61) 및 프리즘시트(62)의 개수는 한정이 없으며 반사형 편광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반사형 편광필름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하부 편광판에 통과되지 못한 광을 반사시켜 하부 편광판을 통과하는 빛으로 재사용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a 및 도 3b는 광원 배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130)을 인쇄회로기판(120)에 배열하는 배열구조로서, 한 광원을 중심으로 사잇각이 90도인 두 직선 방향으로 등간격 4개의 광원을 배열하는 사각배열(70)과, 한 광원을 중심으로 사잇각이 60도인 세 직선 방향으로 등간격인 6개의 광원을 배열하는 삼각배열(80)이 있다.
사각배열(70)은 테두리부와 코너부의 외관 및 휘도 측면에서 삼각배열(80)에 배해 상대적으로 유리하나, 대각방향의 광원과의 길이가 길어 광량의 반치폭에 상응한 렌즈의 광퍼짐 측면에서 삼각배열(80)에 비하여 무라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삼각배열의 경우, 광원간의 대각길이가 사각배열에 비해 짧으므로, 무라 측면에서 사각배열에 비하여 유리하나, 테두리부의 광원이 들쭉날쭉하여 테두리부에서 무라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4개의 코너부 중에 2개의 코너부에서 휘도가 낮아져 휘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청색 LED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에 포함될 수 있는 반사형 편광필름(DBEF)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재사용 광과의 편차(리사이클링 편차)로 인해 색무라 불량까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100)은 사각배열(70)과 삼각배열(80)의 장점만을 구현하도록 복수의 광원(130)이 배열된다.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광원모듈(110)은 복수의 광원(130) 및 복수의 광원(130)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제1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1열(150)과 제2열(160)이 제2방향(X)으로 간격(L, W)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제1열(150)과 제2열(160)의 제2방향(X) 간격(W)은 일정한 것이 보통이나, 필요에 따라 일정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열(150) 또는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이 제1방향(Y)으로 배열된 간격(L)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제1열(150)과 제2열(160) 모두 복수의 광원(130)이 제1방향(Y)으로 배열된 간격(L)도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열(150)의 복수의 광원(130)과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이 같은 수로 배열될 필요는 없으나, 서로 대응되는 제1열(150)의 광원(130)과 제2열(160)의 광원(130)은 제1방향(Y)으로 오프셋(D) 되도록 배치되고, 오프셋(D)이 광원모듈(110)의 제1방향(Y)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프셋(D)은 제1열(150)에 순차로 배열되는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 간격(L)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할 수 있다.
오프셋(D)이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 간격(L)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한 이후의 광원모듈(110)의 타단까지의 오프셋(D)은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 간격(L)의 절반으로 유지된다.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하는데, 제1방향(Y) 및 제2방향(X)으로 복수의 광원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1방향(Y)의 양단에 오프셋(D)이 작은 측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110)은 제1열(150)과 제2열(160)로 배열되는 순서가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방향(Y)으로 2개의 광원모듈(110)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2개의 광원모듈(110)이 접하는 측에 오프셋이 큰 측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복수의 광원(130)이 백라이트유닛(100)의 테두리부에서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이 백라이트유닛(100)의 테두리부에서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10)의 코너부와 테두리부에서의 휘도 저하 또는 무라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이 백라이트유닛(100)의 중심부에서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중심부에 전체적인 무라 불량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100) 역시 전체적으로 복수의 광원(130)이 백라이트유닛(100)의 테두리부에서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광원모듈(110)은 복수의 광원(130) 및 복수의 광원(130)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제1방향(Y)으로 연장하는 제1열(150)과 제2열(160)이 제2방향(X)으로 간격(W)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제1열(150)과 제2열(160)의 제2방향(X) 간격(W)은 일정한 것이 보통이나, 필요에 따라 일정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제1열(150) 또는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은 제1방향(Y)으로 일정한 간격(L1, L2)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제1열(150)의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L1)은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L2)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열(150) 및 제2열(160) 중 어느 한 열의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L1 또는 L2)은 다른 한 열의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의 간격(L2 또는 L1)보다 클 수 있다.
제1열(150)의 복수의 광원(130)과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이 같은 수로 배열될 필요는 없으나, 제1열(150)과 제2열(160)의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L1, L2)의 차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제1열(150)의 광원(130)과 제2열(160)의 광원(130)은 제1방향(Y)으로 오프셋(D) 되도록 배치되고, 오프셋(D)이 광원모듈(110)의 제1방향(Y)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프셋(D)은 제1열(150) 및 제2열(160) 중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이 큰 열의 광원 사이의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할 수 있으며, 광원모듈(110)의 제1방향(Y)의 타단에서 복수의 광원(130) 사이의 제1방향(Y) 간격이 큰 열의 광원 사이의 간격의 절반이 되도록 증가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하는데, 제1방향(Y) 및 제2방향(X)으로 복수의 광원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1방향(Y)의 양단에 오프셋(D)이 작은 측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110)은 제1열(150)과 제2열(160)로 배열되는 순서가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방향(Y)으로 2개의 광원모듈(110)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2개의 광원모듈(110)이 접하는 측에 오프셋(D)이 큰 측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복수의 광원(130)이 백라이트유닛(100)의 테두리부에서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유닛(100)은 복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하고, 각각의 광원모듈(110)은 복수의 광원(130) 및 복수의 광원(130)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제1광원(131)과, 제1광원(131)으로부터 제1방향(Y) 및 제2방향(X)으로 간격(L, D)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132)을 포함한다.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은 인쇄회로기판(120)의 제1방향(Y)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이 교대로 배열된 열은 제2방향(X)으로 간격(W)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은 광원의 배열이 서로 다른 제1광원모듈(111)과 제2광원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광원모듈(111)은 복수의 광원(130)이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서로 다르게 배열되고,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제1광원모듈(111)의 제2방향(X)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광원모듈(111)의 복수개의 열은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인접한 열과의 제2방향(X) 간격(W)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광원모듈(112)은 복수의 광원(130)이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서로 같게 배열되고,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인접한 열 간의 제2방향(X)의 간격(W)의 절반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모듈(110)이 백라이트유닛(100)에 배치될 때, 제1광원모듈(111)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2방향(X) 양단에 배치되고, 제1광원모듈(111)의 복수개의 열 중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의 제2방향(X) 간격(D)이 가장 작은 열이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2방향(X)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광원모듈(112)은 제1광원모듈(111)에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2방향(X) 중심부 측으로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방향(X)으로 5개의 광원모듈(110)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방향(X)의 양단에 제1광원모듈(111)이 배치되고, 제1광원모듈(111) 사이에 3개의 제2광원모듈(112)이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복수의 광원(130)이 백라이트유닛(100)의 테두리부에서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백라이트유닛(100)은 하나의 광원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모듈은 복수의 광원(130) 및 복수의 광원(130)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30)은 제1광원(131)과, 제1광원(131)으로부터 제1방향(Y) 및 제2방향(X)으로 간격(L, D)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132)을 포함한다.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은 인쇄회로기판(120)의 제1방향(Y)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이 교대로 배열된 열은 제2방향(X)으로 간격(W)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모듈(110)은 광원의 배열이 서로 다른 제1구역(121)과 제2구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역(121)은 광원모듈(110)의 제2방향(X)의 양단에 배치되고, 제1구역(121)에 복수개로 배열된 제1방향(Y)의 광원 열들은 광원모듈(110)의 제2방향(X)의 양단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각 열의 상기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인접한 열과의 제2방향(X) 간격(W)의 절반이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구역(122)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2방향(X) 양단에 배치된 제1구역(1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구역(122)에 복수개로 배열된 제1방향(Y)의 광원 열들은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2방향(X) 간격(D)이 인접한 열과의 제2방향(X) 간격(W)의 절반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백라이트유닛(100)에 복수의 광원(130)이 배열된 형태는 도 10에 도시된 백라이트유닛(100)에 복수의 광원(130)이 배열된 형태와 90도 회전된 면에서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원(130)은 제1광원(131)과, 제1광원(131)으로부터 제1방향(Y) 및 제2방향(X)으로 간격(D, W)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132)을 포함하는데,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은 인쇄회로기판(120)의 제2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이 교대로 배열된 열은 제1방향(Y)으로 간격(L)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모듈(110)은 광원의 배열이 서로 다른 제1구역(121)과 제2구역(1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구역(121)은 광원모듈(110)의 제1방향(Y)의 양단에 배치되고, 제1구역(121)에 복수개로 배열된 제2방향(X)의 광원 열들은 광원모듈(110)의 제1방향(Y)의 양단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각 열의 상기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1방향(Y) 간격(D)이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인접한 열과의 제1방향(Y) 간격(L)의 절반이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구역(122)은 디스플레이패널(10)의 제1방향(Y) 양단에 배치된 제1구역(12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구역(122)에 복수개로 배열된 제2방향(X)의 광원 열들은 각 열의 제1광원(131)과 제2광원(132) 사이의 제1방향(Y) 간격(D)이 인접한 열과의 제1방향(Y) 간격(L)의 절반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가 단일의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100)을 포함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120)의 테두리부에서는 복수의 광원(130)이 사각배열(7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중심부에서는 삼각배열(80)과 유사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서 분해된 상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후면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12의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을 구성하는 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120)은 평판형 인쇄회로기판(120)을 사용하게 되고, 인쇄회로기판(120)에는 복수의 광원(130)에 전력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170)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70)은 FFC(Flexible Flat Cable)을 사용할 수 있고, FFC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40)가 인쇄회로기판(120)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의 한쪽 면에만 패턴이 인쇄된 단면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130)과 커넥터(140)를 전기적 패턴이 인쇄된 면에 같이 배치하게 되므로, 커넥터(140)와 케이블(170)이 무라 불량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넥터(140)를 인쇄회로기판(120)의 배면에 배치하려면, 인쇄회로기판(120)은 양면에 전기적 패턴이 인쇄되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20)은 복수의 광원(130)이 배열되는 전면(124)에만 전기적 패턴을 포함하되, 커넥터(140)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123)을 포함한다.
커넥터(140)는 인쇄회로기판(120)에 연결되는 연결부(141)와 케이블(170)이 삽입되는 삽입부(142)를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120)의 관통홀(123)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140)의 연결부(141)는 인쇄회로기판(120)의 전기적 패턴 인쇄된 전면(124)에 솔더링 방식으로 연결되고, 케이블(170)은 인쇄회로기판(120)의 후면(125)에서 커넥터(140)의 삽입부(142)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케이블(17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43)를 포함할 수 있고, 걸림돌기(143)는 삽입부(142)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70)은 커넥터의 걸림돌기(143)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40)와 케이블(170)이 인쇄회로기판(120)의 후면(125)에 배치되어 무라로 시인되지 않으므로, 커넥터(140)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120)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패널
20: 전방케이스 30: 후방케이스
40: 미들몰드 50: 바텀섀시
60: 확산시트 61: 재확산시트
62: 프리즘시트 63: 보호시트
70: 사각배열 80: 삼각배열
100: 백라이트유닛 110: 광원모듈
111: 제1광원모듈 112: 제2광원모듈
120: 인쇄회로기판 121: 제1구역
122: 제2구역 123: 관통홀
124: 전면 125: 후면
130: 광원 131: 제1광원
132: 제2광원 140: 커넥터
141: 연결부 142: 삽입부
143: 걸림돌기 150: 제1열
160: 제2열 170: 케이블
171: 걸림홈

Claims (18)

  1.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각각은,
    복수의 광원; 및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열이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제1열의 광원과 제2열의 광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이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1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은 상기 제1열의 순차로 배열되는 제1광원과 제2광원의 상기 제1방향의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오프셋이 가장 작은 측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각각 상기 복수의 광원에 전력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삽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열이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의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 차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제1열의 광원과 제2열의 광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이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1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은 상기 제1열 및 상기 제2열 중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의 상기 제1방향 간격이 큰 열의 광원 사이의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오프셋이 가장 작은 측이 상기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 중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두 광원모듈은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이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열이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서로 다르고,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상기 광원모듈의 제2방향 일단으로부터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된 제1광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모듈의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모듈의 상기 복수개의 열 중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가장 작은 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열 중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서로 같고,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 간의 상기 제2방향의 간격의 절반인 제2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광원모듈은 상기 제1광원모듈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중심부 측으로 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디스플레이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광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원이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광원과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광원이 상기 제1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열이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제2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각 열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이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도록 배열되는 제1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열은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사이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이 인접한 열과의 상기 제2방향 간격의 절반인 열이 배열되는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상기 제2방향 중심부 측으로 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50040654A 2015-03-24 2015-03-24 디스플레이장치 KR10233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54A KR102330105B1 (ko) 2015-03-24 2015-03-24 디스플레이장치
EP16159730.7A EP3073318B1 (en) 2015-03-24 2016-03-10 Display device
US15/079,746 US10067385B2 (en) 2015-03-24 2016-03-24 Display device
CN201610173070.6A CN106019698B (zh) 2015-03-24 2016-03-2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54A KR102330105B1 (ko) 2015-03-24 2015-03-24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28A true KR20160114328A (ko) 2016-10-05
KR102330105B1 KR102330105B1 (ko) 2021-11-25

Family

ID=5562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54A KR102330105B1 (ko) 2015-03-24 2015-03-24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67385B2 (ko)
EP (1) EP3073318B1 (ko)
KR (1) KR102330105B1 (ko)
CN (1) CN1060196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269A (ko) * 2020-12-03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6973B (zh) * 2018-07-16 2020-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14648963B (zh) * 2020-12-03 2023-04-0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及发光装置
CN114930445A (zh) 2020-12-03 2022-08-1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发光装置
WO2022059870A1 (ko) * 2020-12-03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CN115407549A (zh) * 2021-05-28 2022-11-2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3153697A1 (ko) * 2022-02-09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와,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7724267B (zh) * 2024-02-07 2024-05-17 深圳市华皓伟业光电有限公司 Led灯板背光模组及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13A (ko) * 2008-08-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139445A1 (en) * 2009-08-31 2012-06-0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47B1 (ko) 2005-06-30 2012-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반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20204B1 (ko) 2005-12-28 2013-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107227A (ko) 2006-05-02 2007-1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JP4862667B2 (ja) 2007-01-24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光源モジュール及び光源装置
US8550646B2 (en) * 2007-12-31 2013-10-08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KR101469476B1 (ko) * 2007-12-31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359673B1 (ko) * 2008-06-19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면 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308752B1 (ko) 2008-12-31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1839423B (zh) * 2009-11-02 2013-01-02 西安交通大学 一种提高led背光源亮度均匀性的方法
KR20120110284A (ko) 2011-03-29 2012-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857496B2 (ja) * 2011-07-25 2016-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13A (ko) * 2008-08-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20139445A1 (en) * 2009-08-31 2012-06-0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269A (ko) * 2020-12-03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2670A1 (en) 2016-09-29
CN106019698A (zh) 2016-10-12
EP3073318A3 (en) 2016-11-16
EP3073318A2 (en) 2016-09-28
US10067385B2 (en) 2018-09-04
CN106019698B (zh) 2021-02-05
KR102330105B1 (ko) 2021-11-25
EP3073318B1 (en)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1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294749B1 (ko) 액정표시장치
US8870401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432499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44286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8152101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2367049A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9243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O2012002321A1 (ja) 液晶表示装置
WO2011055635A1 (ja) 光源ユニット用母材、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939695B2 (en) Display device
JP5728066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3003512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135651A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2016000258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80038879A (ko) 표시 장치
CN110010011B (zh) 多面体型显示装置
KR1020936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CN107797319B (zh) 显示装置
KR101782080B1 (ko) 표시 장치
KR10158709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16289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