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975A -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975A
KR20160113975A KR1020160032505A KR20160032505A KR20160113975A KR 20160113975 A KR20160113975 A KR 20160113975A KR 1020160032505 A KR1020160032505 A KR 1020160032505A KR 20160032505 A KR20160032505 A KR 20160032505A KR 20160113975 A KR20160113975 A KR 2016011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as
inert gas
electrical componen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668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오르트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11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높은 비율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낮은 잔여 비율의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로 하우징을 가득 충전하는 단계로, 충전 과정 중,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가스는 하우징 밖으로 밀려나가는 단계;
-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임의의 누출을 결정하는 단계; 및
- 불활성 가스는 하우징 내에 남아 있으면서, 하우징이 밀봉된 것으로 판명될 때 전기 부품을 설치하는 단계.
이는 전기 부품의 후속 내화성 사용을 위한 관점에서 전기 부품의 하우징의 밀봉도에 대한 간단한 검사 방법을 명시한다.

Description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METHOD FOR EXAMINING THE LEAKTIGHTNESS OF A CLOSED HOUSING OF AN ELECTRICAL COMPONENT}
본 발명은 전기 부품의 후속 내화성 사용을 위한 관점에서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용되며 특히 내부 영역 또는 외부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의 하우징은 유해 가스의 유입 및/또는 배출 및 수분 침투와 관련하여 밀봉도가 검사되어야 한다. 상기 전기 부품은 예컨대 고압 에너지 저장부 또는 제어 장치가다.
이러한 종류의 부품 및 이러한 종류의 부품의 각각의 하우징은 예컨대 차압 방법을 이용한 밀봉도의 검사 중에 대개 부압에 노출된다.
US 6,593,026 B1에는, 밀봉형 배터리 및 상기 밀봉형 배터리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배터리는 전해액 및 특히 헬륨인 불활성 가스로 충전된다. 이 불활성 가스는 다른 불활성 가스 또는 질소,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가스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불활성 가스의 비율이 높을 때 특히 유리한 것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상기 불활성 가스, 특히 헬륨이 작은 누출점을 통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상대적으로 작은 분자들을 갖기 때문이다.
DE 10 2009 035 484 A1에는, 배터리를 위한 평판 갈바니 전지가 기재되어 있고, 평판 전지는 전극들의 스택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극성의 전극들은 하나의 극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전기전도성 연결된다. 이 경우, 전극들의 스택은 박막에 의해 기밀 방식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박막은 플라스틱, 특히 테플론으로 형성된다. 잔여 부피가 전극들의 스택과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이 잔여 부피는 특히, 아르곤인 불활성 가스로 충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부품의 후속 내화성 사용을 위한 관점에서 전기 부품의 하우징의 밀봉도의 간단한 검사 방법을 명시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를 검사하기 위해, 먼저 하우징을 가스 혼합물로 가득 충전한다. 이 가스 혼합물은 높은 비율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낮은 잔여 비율의 가스를 포함한다. 하우징이 가스 혼합물로 가득 충전될 때,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가스, 특히 대개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밖으로 밀려나간다. 하우징이 가스 혼합물로 가득 충전된 후에,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임의의 누출을 결정한다. 이 경우,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 혼합물의 가스를 결정한다. 하우징이 밀봉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전기 부품을 설치하되, 불활성 가스는 하우징 내에 남아 있다. 불활성 가스가 가스 혼합물 내에 높은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전기 부품의 높은 내화성을 보장한다.
특히, 하우징이 밀봉된 것으로 판명될 때 전기 부품을 설치하되, 가스 혼합물은 불활성 가스, 및 하우징 내에 남아 있는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하도록 규정된다. 그러므로, 가스 혼합물 중, 하우징을 가득 충전하는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이 전기 부품 내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다. 이는 하우징 내부의 부피가 열의 작용 하에 증가하며 추가로 감소할 수 있을 때(즉, 가열 및 냉각)에만 가능하다. 이는 특히 하우징 내에 동적 보상 부피가 존재할 때 가능하다.
대안으로, 격막 등에 의해 주변 영역과의 가스 교환이 가능한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는, 배타적으로 또는 특히, 하우징 내부의 가스 혼합물의 부피의 증가가 있을 때 격막을 통해 하우징을 빠져나갈 수 있다. 부피 감소 또는 후속 부피 감소의 발생 시에, 가스, 즉 공기 또는 산소는 외부로부터 격막에 의해 하우징에 들어갈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가스의 조성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높은 비율의 불활성 가스가 여전히 하우징 내에 남아 있다.
상기에 설명된 제1 대안에서,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은 설치된 전기 부품 내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다. 제2 대안에서, 전기 부품을 설치할 때, 하우징 내의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는 하우징 내의 격막에 의해 외부로부터 하우징에 들어가는 공기 또는 산소로 대체된다.
불활성 가스는 특히 질소이다.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는 특히 수소 또는 헬륨이다.
가스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불활성 가스, 특히 적어도 95%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최대 10%의 가스, 특히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최대 5%의 가스를 포함한다. 특히, 가스 혼합물은 95%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5%의 가스를 포함하도록 규정된다. 앞서 언급된 백분율 값은 부피 값이다.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은 특히 고압 에너지 저장부 또는 제어 장치로서 형성된 전기 부품과 관련된다. 고압 에너지 저장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압 배터리이다. 특히, 고압 에너지 저장부는 트랙션 배터리이다. 고압 에너지 저장부, 특히 트랙션 배터리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전지를 구비한다.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할 때, 손상은 경우에 따라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전기 부품은 특히 자동차의 구성부이다.

Claims (10)

  1.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에 있어서,
    높은 비율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낮은 잔여 비율의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로 하우징을 가득 충전하는 단계로, 충전 과정 중,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가스는 하우징 밖으로 밀려나가는 단계;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임의의 누출을 결정하는 단계; 및
    불활성 가스는 하우징 내에 남아 있으면서, 하우징이 밀봉된 것으로 판명될 때 전기 부품을 설치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밀봉도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밀봉된 것으로 판명될 때 전기 부품을 설치하되, 불활성 가스, 및 검출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은 하우징 내에 남아 있는, 밀봉도 검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은 설치된 전기 부품 내에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밀봉도 검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부품을 설치할 때, 하우징 내의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는 하우징 내의 격막에 의해 외부로부터 하우징에 들어가는 공기 또는 산소로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되는, 밀봉도 검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질소인, 밀봉도 검사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스는 수소 또는 헬륨인, 밀봉도 검사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스 혼합물은 적어도 90%의 불활성 가스와,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최대 10%의 가스를 포함하는, 밀봉도 검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가스 혼합물은 95%의 불활성 가스, 및 측정 프로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5%의 가스를 포함하는, 밀봉도 검사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부품은 고압 에너지 저장부 또는 제어 장치인, 밀봉도 검사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부품은 자동차의 구성부인, 밀봉도 검사 방법.
KR1020160032505A 2015-03-23 2016-03-18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 KR101990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4274.6 2015-03-23
DE102015104274.6A DE102015104274A1 (de) 2015-03-23 2015-03-23 Verfahren zur Untersuchung der Dichtigkeit eines geschlossenen Gehäuses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975A true KR20160113975A (ko) 2016-10-04
KR101990668B1 KR101990668B1 (ko) 2019-06-18

Family

ID=5688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505A KR101990668B1 (ko) 2015-03-23 2016-03-18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8382B2 (ko)
KR (1) KR101990668B1 (ko)
CN (1) CN105987797A (ko)
DE (1) DE102015104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4570A (zh) * 2017-06-20 2017-08-04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气密性检测装置及方法
CN113188725A (zh) * 2020-01-14 2021-07-30 郑州深澜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漏点位置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901A (ja) * 2000-10-05 2002-04-19 Nec Mobile Energy Kk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59144A1 (en) * 2003-02-14 2004-08-19 Thomas Abel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leak test on a gas generator
US20110020676A1 (en) * 2008-03-24 2011-01-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device and battery unit
DE102010044715A1 (de) * 2010-09-08 2011-05-05 Daimler Ag Hochvolt-Batterie mit einer Anzahl von parallelen und/oder seriell miteinander verschalteten und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n Einzelzell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111A (en) * 1973-11-21 1975-06-10 Gen Motors Corp Sealed beam headlamp unit leak detection system
US5085951A (en) * 1990-11-26 1992-02-04 Motorola, Inc. Vented battery
JP3120122B2 (ja) * 1991-07-16 2000-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鉛蓄電池の気密検査方法とその装置
CN1196211C (zh) * 2000-10-25 2005-04-06 日电东金木有限公司 密闭型电池及其制造方法
JP2004039387A (ja) * 2002-07-02 2004-02-05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のリーク検知方法
WO2006004818A2 (en) * 2004-06-30 2006-01-12 Deltak, Llc Heat recovery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d testing the same
DE102007063193A1 (de) * 2007-12-20 2009-01-02 Daimler Ag Batterie mit am Gehäuse angeordneter Überdrucksicherung
DE102009035484A1 (de) 2009-07-31 2011-02-03 Daimler Ag Galvanische Flachzelle für eine Batterie
DE102011100623A1 (de) * 2011-05-05 2012-11-08 Daimler Ag Fahrzeug mit einer Batterie
CN102324465A (zh) * 2011-08-31 2012-01-18 浙江谷神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防爆阻燃的锂离子电池安全箱
US9385400B2 (en) * 2012-06-29 2016-07-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ed battery
KR101691754B1 (ko) * 2012-07-09 2016-12-30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제조 방법
JP5790604B2 (ja) * 2012-08-07 2015-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JP5679367B2 (ja) * 2013-06-19 2015-03-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ボックス気密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901A (ja) * 2000-10-05 2002-04-19 Nec Mobile Energy Kk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59144A1 (en) * 2003-02-14 2004-08-19 Thomas Abel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leak test on a gas generator
US20110020676A1 (en) * 2008-03-24 2011-01-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device and battery unit
DE102010044715A1 (de) * 2010-09-08 2011-05-05 Daimler Ag Hochvolt-Batterie mit einer Anzahl von parallelen und/oder seriell miteinander verschalteten und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n Einzelz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2218A1 (en) 2016-09-29
KR101990668B1 (ko) 2019-06-18
US10088382B2 (en) 2018-10-02
CN105987797A (zh) 2016-10-05
DE102015104274A1 (de)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3947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及び、気密検査装置
KR101691754B1 (ko) 전지 제조 방법
KR101672146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JP2009026569A (ja) 密閉型電池の気密検査方法及び密閉型電池
Gordon et al. Original implementation of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in symmetric cells: Evaluation of post-mortem protocols applied to characterize electr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KR102381108B1 (ko) 이차 전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26337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JP6017873B2 (ja) 密閉型電池
US1150672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ection in which generation of internal gas in second battery accelerates
JP2010032346A (ja) 二次電池用電極群の検査方法
KR101359333B1 (ko) 다중 전극 셀 테스트 장치
KR101990668B1 (ko) 전기 부품의 폐쇄 하우징의 밀봉도 검사 방법
KR102094539B1 (ko) 배터리 비파괴 검사 장치
KR101671129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CN107785625B (zh) 一种简易的软包四电极锂离子电池测试体系
CN104614128A (zh) 一种锂电池漏液检测装置
KR100537603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50143683A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CN110057506A (zh) 测试电池密封性的方法和测试电池质量的方法
KR102364517B1 (ko)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 성능 측정 장치
KR20150066992A (ko) 캡어세이 리크검사장치 및 그 방법
Wetzig et al. Methods for Leak Testing Lithium-Ion Batteries to Assure Quality with Proposed Rejection Limit Standards
JP2019036504A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hung A proposal for the IEEE EV LiB cell safety standard
CN215374074U (zh) 一种产气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