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960A -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960A
KR20160113960A KR1020150159734A KR20150159734A KR20160113960A KR 20160113960 A KR20160113960 A KR 20160113960A KR 1020150159734 A KR1020150159734 A KR 1020150159734A KR 20150159734 A KR20150159734 A KR 20150159734A KR 20160113960 A KR20160113960 A KR 2016011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uct
enclosure
clos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레이스 베른트
하셀마이어 줄리안
빌데 패트릭
Original Assignee
보그와르너 에슬링겐 게엠바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그와르너 에슬링겐 게엠바흐 filed Critical 보그와르너 에슬링겐 게엠바흐
Publication of KR2016011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02M26/54Rotary actuators, e.g. step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4Protection from damage, e.g. shiel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14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1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8Sealing means for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t Valv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1)는 아래의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밸브(1)가, 유입구(3) 및 유출구(4)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3)로부터 상기 유출구(4)로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덕트(5)를 구비한 하우징(2)을 갖고; 상기 덕트(5)에, 토크에 견디도록 샤프트(7)의 홈(27, 28; 39)에 안착되는 폐쇄체(6)가 배치되고, 상기 폐쇄체는 샤프트(7)의 회전축(8)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고 닫힘 위치를 가지며; 상기 폐쇄체(6)는 2개의 면들(21,22)을 가지고; 상기 폐쇄체(6)는 원주면(40)을 갖고, 상기 원주면은 상기 폐쇄체(6)의 2개의 면들(21,22)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외측치수들(D41,D42)을 갖는 부분들(41,42)을 가지며; 제1 부분(41)에서의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1 외측치수(D41)는 상기 폐쇄체(6)가 안착되는 샤프트(7)의 홈(27, 28; 39)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최소 내측치수(S1)보다 더 작고, 상기 치수들(D41,D42,S1) 모두는 샤프트(7)의 회전축(8)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부분(42)에서의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2 외측치수(D42)는 상기 샤프트(7)의 홈(27,28;39)의 최소 내측치수(S1)보다 더 크고, 그리고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은 상기 홈(27,28;39)의 2개의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상기 샤프트(7)와 접촉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VALVE FOR AN EXHAUST GAS LIN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저압 플랩 밸브들(low pressure flap valves)은 독일 공개특허 DE 10 2007 055 42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특히 자동차들의 내연기관들에서 배기가스 되돌림(exhaust gas return)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밸브의 폐쇄체(closure body)는 샤프트에 토크에 견디도록 고정되는 플랩이며, 샤프트에 직접 연결된 전자기 작동 구동부(electromagnetic actuating drive)에 의해 축회전(pivot)된다. 플랩을 축회전시킴으로써, 되돌려진 가스의 질량 흐름(mass flow)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랩 밸브들은 비교적 작은 전체 크기에서 비교적 큰 자유 단면(free cross-section)을 가지며, 그에 의해 작은 압력 강하에 의해 높은 질량 처리 능력(mass throughput)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플랩 밸브들은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가 저압 배기가스 라인으로부터 꺼내질 때 사용된다.
배기가스 되돌림은 내연기관의 배출물들(emissions), 특히 질소산화물 및 기타 오염물질들을 감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내연기관들의,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들의 법적 배기가스 배출 요건들은 근래에 특히 유럽과 북미에서 이미 크게 증가되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더 크게 강화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입부에서 명명된 형태의 개선된 밸브를 제공하는 과제에 기초하며, 이것에 의해 내연기관들은 장래에 요구되는 줄어든 배출물의 요건들을 달성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의 개선점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저압 밸브이고 배기가스 되돌림 시에 배기가스 되돌림 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고 배기가스들을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안내하는 덕트를 구비한 하우징을 가진다. 유입구는 내연기관의 저압 배기가스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저압 배기가스 라인을 지배하는 배기가스 온도들은 실질적으로 고압 배기가스 라인에서보다 낮으며 대략적으로 160℃ 내지 180℃에 있다. 밸브의 유출구는 외기 덕트(fresh air duct)와 연결될 수 있으며, 외기 덕트는 연소에 필요한 외기를 내연기관에 공급하고, 특히 하류 영역에서 외기는 에어 필터를 통과하고 상류에서 외기는 압축기 내로 유입된다. 폐쇄체가 덕트에 배치되며, 이 폐쇄체는 샤프트의 홈에 배치되며, 그리고 특히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폐쇄체는 플랩을 형성할 수 있다. 폐쇄체는 플레이트에 의해, 특히 판상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의 홈(recess)은 반경방향으로 샤프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질 수 있으며, 슬롯내에 폐쇄체가 놓여진다. 폐쇄체는 샤프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고 닫힘 위치(closed position)를 가지며, 이 닫힘 위치에서 폐쇄체는 덕트의 상류 구역(upstream section)을 덕트의 하류 구역(downstream section)으로부터 분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특히 플랩 밸브이다. 밸브는 내연기관으로 되돌려지는 배기가스 질량 흐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밸브는 샤프트와 연결된 전자기 작동 구동부를 가질 수 있으며, 전자기 작동 구동부는 다이렉트 구동부(direct drive)로서 샤프트 상에 직접 놓일 수 있다. 전자기 작동 구동부는 토크에 견디도록 샤프트에 연결되는 자석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작동 구동부는 또한 샤프트에 의하여 관통된 코일체(coil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체 반대측을 향하는(facing away from) 샤프트의 단부에는, 센서 요소가 폐쇄체의 현재의 축회전 각도(pivoting angle)를 측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게 폐쇄체의 오직 일측에만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는 바람직하게는 폐쇄체와 자석 로터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을 포함하고, 볼 베어링은 고 자력들을 신뢰성있게 받을 수 있도록 자석 로터에 특히 근접하여 배치된다.
폐쇄체는 2개의 면들(sides)을 가지며, 이 면들 중 폐쇄체의 닫힘 위치에 있는 제1면은 덕트의 상류 구역을 향하고 상기 면들 중 폐쇄체의 닫힘 위치에 있는 제2면은 덕트의 하류 구역을 향한다. 폐쇄체는 폐쇄체의 두 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면(circumferential surface)을 가진다. 폐쇄체의 원주면은, 폐쇄체의 면들 중 하나 상으로 샤프트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도에서, “폐쇄체 외형(closure body contour)”으로 또한 아래에 기술된 폐쇄체의 외면 형상(outer contour)을 형성한다. 폐쇄체 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폐쇄체의 원주면은 샤프트의 홈을 통해 또는 샤프트의 슬롯을 각각 통해 연장한다.
폐쇄체의 원주면은 서로 다른 외측치수들을 갖는 부분들을 가진다. 제1 부분에서의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1 외측치수는 폐쇄체가 놓여 있는 샤프트의 홈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더 작다. 여기서, 모든 상기 치수들, 즉 폐쇄체의 원주면의 모든 외측치수들 및 샤프트의 홈의 내측치수들은 샤프트의 회전축을 따라 서로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제2 부분에서의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2 외측치수는 샤프트의 홈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더 크다. 폐쇄체의 원주면은 홈의 두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샤프트와 접촉한다. 폐쇄체의 확장면(extent plane)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샤프트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며 샤프트의 홈에 폐쇄체를 배치할 때, 상기 폐쇄체의 배치는 상기 폐쇄체의 원주면이 샤프트와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실질적인 장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 의하면, 내연기관으로 되돌려지는 배기가스의 양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은 배기가스가 되돌려진다. 배기가스 되돌림은 질소산화물 및 다른 오염물질들을 감축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만일 내연기관으로 되돌려지는 배기가스의 질량 흐름이 너무 크면, 매연 생성이 증가되고 연료 소모가 더 커지며 내연기관의 성능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매연 생성이 증가되면 현대의 디젤 엔진들에 있는 매연 필터가 더 빨리 막히게 된다. 연료 소모가 증가되면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 의해, 되돌려진 배기가스의 질량 흐름의 매우 정확한 제어가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높은 부하 하에서 작동하는 내연기관의 경우에, 내연기관으로 되돌려진 배기가스의 질량 흐름은 현대의 엔진들에 필요한 방법으로 한정된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전부하에서 배기가스의 원하는 양보다 더 많지 않은 배기가스가 되돌려진다. 이로써, 내연기관의 배출물들은, 특히 전부하에서 감소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되돌려진 배기가스의 양이 너무 많으면 여기서 최적의 연소가 이루어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유체공학과 관련이 있는 플랩 밸브의 원리를 유지할 경우, 폐쇄체가 닫힘 위치에서 축회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기 밸브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까지 도달할 수 있는 배기가스의 누설 질량 흐름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에서 매우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누설 경로가 폐쇄되는데, 이 누설 경로는 폐쇄체의 원주면을 따라서 샤프트의 홈을 통해 뻗어 있고 독일 공개특허 DE 10 2007 055 422 A1호의 도 2의 확대 도면에서 보여질 수 있다.
현대의 엔진들에서, 예를 들면 암모니아의 추가로써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추가의 촉매들 및 배열체들이 저압 배기가스 라인에 배치된다. 이 촉매들 및 배열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유입구의 연결지점 하류의 배기가스 라인에 배치된다. 배기가스 처리를 위한 상기 촉매들 및 배열체들은 배기가스 라인에서 흐름 저항을 증가시키므로, 밸브의 유입구에 존재하는 압력이 증가한다. 이들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또한 여전히 배기가스 질량 흐름을 정확하게 매우 잘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닫힘 위치에 위치한 폐쇄체로써 요구된 작은 누설 질량 흐름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폐쇄체의 원주면과 샤프트 사이의 접촉은 선접촉(linear contac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접촉은 샤프트의 홈 내에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직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로써, 밀봉이 더 개선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폐쇄체의 면들 중 하나 상으로 샤프트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도에 도시된, 폐쇄체의 원주면은 홈의 두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서 샤프트와 대향하여 놓여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숄더(stop shoulder)를 가질 수 있다. 횡단면도의 도시 방향은 폐쇄체의 확장면과 수직으로 이어지며, 폐쇄체의 확장면은 폐쇄체의 두 면들 사이에, 특히 상기 면들과 평행하게 이어진다. 횡단면도에 대한 대안으로, 샤프트 및 폐쇄체를 통한 단면도가 또한 적합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및 폐쇄체를 통한 단면(section plane)은 폐쇄체의 두 면들 사이에서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오직 하나의 스톱 숄더의 경우에, 폐쇄체는 홈의 다른 단부 영역에 있는 숄더-프리 부분(shoulder-free section)이 샤프트와 대향하여 놓여 있다. 폐쇄체의 원주면은 2개의 스톱 숄더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스톱 숄더는 홈의 두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서 샤프트와 대향하여 놓여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숄더를 포함하는 폐쇄체 외형은 양호한 밀봉을 가져온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폐쇄체의 면들 중 하나 상으로 샤프트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도에 도시된, 폐쇄체의 제1 부분과 폐쇄체의 제2 부분 사이의, 특히 스톱 숄더의 영역에서의 폐쇄체의 원주면은 폐쇄체의 확장면에 뻗어있는 접선을 정의할 수 있다. 폐쇄체의 원주면, 특히 스톱 솔더는 횡단면도에서 직선 부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직선 부분 또는 접선은 스톱 숄더들의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접선 또는 직선 부분은 샤프트의 회전축에 대하여 최대 45°, 특히 최대 30°의 각도를 갖는다. 이로써, 외측치수가 샤프트의 홈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더 작은 상기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1 부분 및 외측치수가 샤프트의 홈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더 큰 상기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2 부분으로부터 비교적 급격한 변이(transition)가 보장되며, 따라서 폐쇄체는 샤프트의 홈 내로 샹기 샤프트의 회전축을 가로질러 삽입할 때 정확하게 미리 정의된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맞부딪치며 상기 샤프트의 홈을 밀봉한다.
샤프트의 홈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더 작은 상기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1 외측치수는, 폐쇄체가 장착 도중에 샤프트의 홈 안으로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간단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해, 제1 외측치수와 상기 홈의 최소 내측치수의 차이는 0.03mm 내지 0.4mm, 특히 대략 0.05mm일 수 있다. 제2 부분에서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2 외측치수는 샤프트의 최소 내측치수보다 수십 밀리미터(mm) 더 클 수 있다. 제2 외측치수는 특히 폐쇄체가 샤프트의 홈 안에서 기울어지지 않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되지 않을 정도로 큰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홈의 두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샤프트에 대한 폐쇄체의 원주면의 인접(abutment)은 상기 홈에서 폐쇄체의 유동(play)에도 불구하고 보장되어야만 한다.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2 외측치수와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1 외측치수의 차이는, 특히 폐쇄체 외형이 2개의 스톱 숄더들을 가질 경우, 0.2mm 내지 2mm일 수 있으며, 특히 0.6mm 내지 1mm일 수 있다. 하나의 스톱 숄더에 대해,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2 외측치수와 폐쇄체의 원주면의 제1 외측치수의 차이는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2개의 가늘고 긴 돌출부들이 폐쇄체의 영역에서 덕트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들은 덕트내로 돌출하고 상기 덕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부들의 길이방향만큼 연장한다. 돌출부들 중 하나는 덕트의 상류 구역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덕트의 하류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들은 폐쇄체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들의 각각은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밸브 시트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두 밸브 시트들은 마주하는 방향들로 향한다. 폐쇄체는 2개의 밀봉면들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밀봉면들은 폐쇄체의 닫힘 위치에서 밸브 시트들 중 하나와 대향하여 놓여 있고 닫힘 위치로부터 폐쇄체의 축회전에 의해 각각의 밸브 시트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밀봉면들은 폐쇄체의 양측에 배치된다.
밸브는 밸브 시트들에 배치되는 폴리머로 만들어진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는 탄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체,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FKM)로 이루어지며, 플루오로고무는 바람직하게는 과산화수소 가교결합(peroxidically cross-linked)된다. 밀봉재는 바람직하게는 200℃까지 내열성(temperature-resistant)이 있으며,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공격적인 물질들(aggressive substances)에 대하여 저항력이 있다. 밀봉재는 각각의 밸브 시트에 속하는 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폐쇄체의 결합된 밀봉면에 의해 폐쇄체의 닫힘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접촉된다. 샤프트에서의 홈의 각 단부 영역들에서,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축에 동축으로(coaxially) 배치되는 원형-원통형 원주면을 가진다. 밀봉재는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덕트의 상류 구역과 마주하는 상기 샤프트의 원형-원통형 원주면들의 각각의 영역과 적어도 대향하여 밀봉 방식으로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밀봉재는, 상기 샤프트의 홈에 대한 상기 폐쇄체의 원주면의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와 결합하여, 밸브를 통한 누설 질량 흐름의 특히 집중적인(intensive)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밀봉재는 특히 단일편으로 구성되지만, 서로 분리되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대향하여 놓여 있는 여러 부분들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밀봉재는 샤프트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며, 샤프트의 전체 원주를 따라 밀봉 방식으로 놓여 있다. 이것은 샤프트가 그의 베어링 및 작동 구동부까지 연장하는 덕트의 벽의 통로를 밀봉재가 또한 밀봉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에 의해 별도의 베어링 밀봉(separate bearing seal)이 생략될 수 있다. 만일 밀봉재가 샤프트의 원형-원통형 원주면과 대향하여 놓인 부분에서 덕트의 벽에 고정되고 폐쇄체의 축회전시 상기 샤프트에 걸쳐서 슬라이딩한다면 유리하다. 이것은 상기 샤프트의 부분이 환형 홈에 의해 약화되지 않고, 상기 샤프트가 보다 단순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밀봉재가 폐쇄체의 축회전시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지 않는다는 장점들을 갖는다.
밀봉재는 폐쇄체와 하우징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이것은, 하우징 및/또는 폐쇄체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경우, 배기가스들에 의해 초래되는 폐쇄체 및/또는 하우징 상의 부식을 감소시킨다. 부식작용(corrosive attack)이 폐쇄체의 밀봉면에 발생하고 또 거기에 평탄하지 않음(unevennesses)이 발생하였더라도, 밀봉재는 그의 탄성 때문에 이 평탄하지 않은 것들이 균형잡히게(balance out) 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누설이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밀봉재는, 샤프트에 대향하여 놓인 밀봉재의 부분과 돌출부들 중 하나에 고정된 부분 사이에 놓인 부분에, 상기 원형-원통형 원주면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립을 가지며, 상기 밀봉립은 밀봉방식으로 샤프트의 원형-원통형 원주면과 대향하여 놓이고 상기 폐쇄체의 축회전시 상기 샤프트에 걸쳐서 슬라이딩(slides)한다. 이로써, 샤프트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누설 경로는 특히 잘 밀봉될 수 있으며, 특히 낮은 누설 질량 흐름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립을 통해 닫힘 위치에서의 폐쇄체의 매우 양호한 밀봉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립과 샤프트의 원형-원통형 원주면 사이에는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선형 접촉(linear contact)만이 발생한다. 그에 의해, 밀봉재의 긴 수명과 낮은 이력 손실들(hysteresis losses)을 보장하는 오직 작은 마찰만이 접촉선상에 발생한다. 폐쇄체의 특정한 축회전 각에 근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작동 구동부에서의 전류의 변동들(fluctuations)은 이 축회전 각이 폐쇄체의 열림 위치로부터 또는 닫힘 위치로부터 접근되는지에 따라 좌우되며 “이력 손실들(hysteresis losses)”로서 설계된다. 이력 손실들이 작을 경우, 작동 구동부의 제어는 단순해진다.
밸브의 하우징은 내열성 섬유 강화(temperature-resistant fibre-reinforced), 예를 들면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glass-fibre-reinforced, thermoplast), 특히 유리섬유 강화 PA 6 또는 PP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자동차에 배치된 내연기관의 연료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내식성이 더 증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들과 관련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아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 Ⅱ-Ⅱ에 따른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밸브의 밀봉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밸브의 밀봉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단면 Ⅱ-Ⅱ를 따라 절단된 밸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밸브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밸브의 부분 횡단면도,
도 8은 폐쇄체의 영역의 그리고 도 7의 화살표 Ⅷ로 표시된 밸브 샤프트의 확대도,
도 9는 폐쇄체의 일부분의 그리고 도 2의 단면 Ⅸ-Ⅸ에 따른 또는 도 8과 각각 유사한 밸브 샤프트의 개략도,
도 10 내지 13은 도 9에 따른 서로 다른 실시형태들의 도면들,
도 14는 폐쇄체의 일 부분의 그리고 도 8과 유사한 밸브 샤프트의 추가적인 확대도,
도 15는 도 14의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2 그리고 도 6 및 7에 따른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1)는 유입구(3) 및 유출구(4)를 구비한 하우징(2)을 갖는다. 하우징(2)은 유입구(3)로부터 유출구(4)로의 배기가스들의 안내(directing)를 위한 덕트(5)를 포함한다. 덕트(5)에는 플레이트로서 구성되고 플랩(flap)으로 역할을 하는 폐쇄체(closure body;6)가 배치된다. 폐쇄체(6)는 토크에 견디도록(in a torque-proof manner) 샤프트(7)의 홈(recess)에 고정되며 샤프트의 회전축(8)을 중심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폐쇄체는 닫힘 위치를 가지며, 이 위치에서 폐쇄체는 덕트(5)의 상류 구역(9)을 덕트(5)의 하류 구역(10)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2 및 도 5에서, 열림 위치에 있는 폐쇄체(6)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유입구(3)와 연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저압 배기가스 라인으로부터의 배기가스들은 덕트(5)를 통해 흐름 방향 A로 흐를 수 있으며, 또한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자동차의 외기 덕트(fresh air duct)와 연결되는 유출구(4)를 거쳐 다시 자동차의 내연기관으로 되돌려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폐쇄체의 열림 위치에서, 폐쇄체(6)는 최대 크기로 개방된다. 여기서 폐쇄체(6)는 덕트(5)의 길이방향(11)과 평행하다. 덕트(5)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폐쇄체(6)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외곽선(outer contour)을 갖는다.
도 1 및 도 6에서, 닫힘 위치에 있는 폐쇄체(6)가 도시되어 있다. 폐쇄체(6)는 덕트(5)의 길이방향(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놓여 있고, 유입구(3)로부터 유출구(4)까지의 통로가 폐쇄되도록 덕트(5)를 차단한다.
밸브(1)는 샤프트(7)와 연결된 전자기 작동 구동부(electromagnetic actuating drive;12)를 가지며, 이 구동부는 샤프트(7)와 토크에 견디도록 연결된 자석 로터 및 샤프트에 의해 관통된 코일체(coil body)를,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 자체가 공지되는 방식으로 포함한다. 하우징(2)은 작동 구동부(12)가 스크류들(14)로 고정되어 있는 플랜지(13)를 포함한다. 샤프트(7)는 하우징 내의 폐쇄체(6)의 오직 일 측에, 즉 볼 베어링(15)을 통해 지지된다. 샤프트(7)용의 추가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은 작동 구동부(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15)의 맞은 편에 놓여 있는 폐쇄체(6)의 측에는 어떠한 베어링도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2)에는 재설정장치(resetting device;16)가 배치되는데, 이 재설정장치는 작동 구동부(12)가 작동되지 않거나 고장났을 때 폐쇄체(6)를 그의 닫힘 위치로 축회전시킨다.
폐쇄체(6)의 영역에 있는 덕트(5)의 내벽에는 2개의 가늘고 긴 돌출부들(17 및 18)이 배치되며, 이 돌출부들은 덕트(5) 내로 돌출하고 덕트(5)의 둘레방향으로 그것들의 길이방향 만큼 연장한다. 돌출부(17)는 덕트(5)의 상류 구역(9)에 위치하고 돌출부(18)는 덕트(5)의 하류 구역(10)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부들(17,18)은 폐쇄체(6)의 양측에 놓여 있다. 돌출부(17)는 길이방향(11)에서 덕트(5)의 하류 구역(10) 쪽으로 향해 있는 밸브 시트(19)를 가진다. 돌출부(18)는 길이방향(11)에서 덕트((5)의 상류 구역(9) 쪽으로 향해 있는 밸브 시트(20)를 가진다. 폐쇄체(6)는 서로 반대측에 놓인 2개의 면들(21,22)을 갖는다. 면들(21,22)의 각각은 밸브시트들(19,20)에서의 인접(abutment)을 위한 밀봉면을 각각 포함한다.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 밀봉면(21)은 밸브 시트(19)와 대향하여 놓이고, 밀봉면(22)은 밸브 시트(20)와 대향하여 놓인다. 폐쇄체(6)를 닫힘 위치로부터 떨어져 축회전시킴으로써, 밀봉면들(21,22)은 그것들의 각각의 밸브 시트(19,20)로부터 들어올려진다.
밸브(1)는 특히 도 3 및 4에서 볼 수 있는 밀봉재(30)를 포함한다. 밀봉재(30)는 단일편으로 구성되고, FKM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기능부들(functional sections; 31,32,33,34,35)을 가진다. 그러나, 밀봉재(30)는 또한, 여러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밀봉 방식으로 서로 대향하여 놓인 별개의 밀봉재들로서 구현되는 개개의 기능부들(31,32,33,34 및/또는 35)로 구성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밀봉재들(31,32,33,34,35)이 서로 단일편으로 바람직하게 연결되더라도 하기에 “밀봉재들(31,32,33,34,35)”로서 기술된다.
밸브 시트(19)에 밀봉재(31)가 배치되고. 이 밀봉재는 돌출부(17)에 고정되며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밀봉면(21)에 의해 접촉된다. 밀봉재(32)는 밸브 시트(20)에 배치되고 돌출부(18)에 고정된다.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 밀봉재(32)는 밀봉면(22)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접촉된다. 돌출부들(17,18) 각각은 밀봉재(31,32)를 수용하기 위한 홈 형상의 덕트를 가지며, 이 덕트는 각 돌출부(17,1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베어링(15)과 면하는 폐쇄체(6)의 가장자리의 영역에는,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이 배치된다. 원형-원통형 원주면(26)은 베어링(15) 반대측을 향하는 폐쇄체(6)의 가장자리의 영역에 배치된다. 원형-원통형 원주면들(25,26)은 샤프트(7)의 원통형 외면 형상(outer contour)으로 형성된다. 밀봉재(33)는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고,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며, 그리고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의 전체 둘레를 따라 원형-원통형 원주면(25)과 밀봉 방식으로 접촉한다. 밀봉재(34)는 원형-원통형 원주면(26)의 둘레방향으로 연장하고, 원형-원통형 원주면(26)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며, 그리고 원형-원통형 원주면(26)의 전체 둘레를 따라 원형-원통형 원주면(26)과 밀봉 방식으로 접촉한다. 밀봉재들(33,34)은 덕트(5)의 벽에 고정되고, 그리고 폐쇄체(6)의 축회전시 밀봉재들의 각각의 원형-원통형 원주면(25,26)에 걸쳐서 슬라이딩(slide)한다. 밀봉재(33)가 이미 베어링(15)을 밀봉한 경우에도, 또한 기밀을 개선하기 위해 밀봉재(33)와 베어링(15) 사이에 샤프트 밀봉링(23)이 제공될 수 있다.
밀봉재(32)로부터 밀봉재(33)까지의 사이구간(transition)에 밀봉립(35)이 배치된다. 밀봉립(35)은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의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밀봉립(35)은 원형-원통형 원주면(25)에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고, 폐쇄체의 축회전시 원형-원통형 원주면(25)에 걸쳐서 슬라이딩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밀봉립(35)은 밀봉재들(31과 34 뿐만 아니라 32과 34, 31과 33)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밀봉립들(35)을 통해, 닫힘 위치에서의 폐쇄체(6)의 특히 양호한 기밀이 보장된다.
또한, 유입구(3)를 둘러싸는 밀봉재(36)와 유출구(4)를 둘러싸는 밀봉재(37)가 하우징(2)상에 배치된다. 하우징(2)은 PPA GF 50의 사출성형부품(injection moulded part)으로서 생산된다. 밀봉재들(30 내지 37)은 2성분 사출성형 공정(two-component injection moulding process)에 의해 하우징(2) 상에 사출된다. 추가의 밀봉재(도시되지 않음)는 작동 구동부(12)와 면하는 플랜지(13)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밀봉재들(30 내지 37)은 하우징에 배설된 덕트들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연결되며, 덕트들은 단순화의 이유를 위해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다. 연결된 덕트들은 하우징의 표면 상으로 또는 하우징의 표면 아래로 지나갈 수 있으며, 또한 밀봉재들(30 내지 37)이 하나의 스프루(sprue)로부터 사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7)의 홈은 폐쇄체(6)를 수용하도록 슬롯들(27,28)을 포함한다. 원형-원통형 원주면(25)의 영역에는 샤프트(7)를 반경방향으로 통과하며 폐쇄체(6)가 놓여지는 슬롯(27)이 배치된다. 원형-원통형 원주면(26)의 영역에는 샤프트(7)를 반경방향으로 통과하고 폐쇄체(6)가 놓여지는 슬롯(28)이 배치된다. 원형-원통형 원주면들(25,26)은 각각의 슬롯(27,28)에 인접하고 슬롯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통된다. 폐쇄체(6)는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스크류(38)에 의해 샤프트(7)에 고정된다. 베어링(15)과 면하는 폐쇄체(6)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원형-원통형 원주면(25), 밀봉재(33), 슬롯(27), 및 원형-원통형 원주면(25)에 대향하여 놓인 2개의 밀봉립들(35)의 결합을 통해, 특히 양호한 밀봉 및 매우 미미한 누설 질량 흐름이 보장된다. 베어링(15) 반대측을 향하는 폐쇄체(6)의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결합(26,34,28 및 35)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폐쇄체(6)의 닫힘 위치로의 축회전시, 폐쇄체의 밀봉면들(21,22)은 먼저 밀봉재들(31,32)과 접촉(touch)한다. 폐쇄체(6)의 추가적인 축회전시, 밀봉재들(31,32)은 함께 탄성적으로 눌려진다. 밸브는 폐쇄체의 닫힘 위치 도달시 밀봉재(3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폐쇄체(6)의 축회전 운동(pivoting movement)을 제한하기 위한 단일 스톱(stop;29)을 가진다. 스톱(29)은 돌출부(18)에 배치되고, 이 돌출부는 덕트(5)의 상류 구역(9)을 향하는 밸브 시트(20)를 갖는다. 폐쇄체(6)는 그의 닫힘 위치에 도달시 스톱(29)에 맞부딪친다. 따라서, 닫힘 위치는 밀봉재들(31,32)에 의해 정의되지 않고 오히려 스톱(29)에 의해 정의된다. 폐쇄체(6)는 돌출부(17)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밸브(1)의 실시형태에서, 폐쇄체(6)는 연속 슬롯(39)으로 구성된 샤프트(7)의 홈에 놓여지며 스크류들(38)에 의해 샤프트(7)에 또한 고정된다. 밀봉재(30)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밸브(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밸브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폐쇄체(6)는, 폐쇄체(6)의 두 면들(21,22) 사이에 배치되는 원주면(40)을 각각 가진다(특히 도 2, 5 및 6을 참조). 원주면(40)은 서로 다른 외측치수들(external dimensions)(D41,D42)을 가진 부분들(41,42)을 갖는다(도 8 내지 15 참조). 제1 부분(41)에서의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1 외측치수(D41)는 폐쇄체(6)가 놓인 샤프트(7)의 홈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최소 내측치수(internal dimension)(S1)보다 더 작다. 모두 치수들(D,S)은 샤프트(7)의 회전축(8)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측정된다. 최소 내측치수(S1)는, 도 1에 따른 밸브(1)에서, 샤프트(7)의 축방향으로 슬롯들(27 및 28)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7)의 홈의 내부 치수와 대응한다. 도 6의 변형에서, 최소 내측치수(S1)는 샤프트(7)의 축방향으로 슬롯(39)의 내부 크기와 대응한다.
폐쇄체(6)는 제2 부분(42)을 가지며, 제2 부분에서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2 외측치수(D42)는 샤프트의 홈의 최소 내측치수(S1)보다 더 크다. 그에 의해, 스톱 숄더들(stop shoulders;43)이 폐쇄체(6)의 원주면(40)에 형성되고, 상기 스톱 숄더들은 특히 도 8 내지 14에 따른, 폐쇄체(6)의 면(21) 상으로의 샤프트(7)의 회전축(8)을 가로지르는 횡단면도들에서 볼 수 있다. 도 8 내지 15에는, 작동 구동부(12)와 마주하는 폐쇄체(6)의 영역만이 도시된다. 그러나, 폐쇄체(6)는 작동 구동부(12) 반대측을 향하는 폐쇄체의 영역에서는 회전축(8)에 수직으로 놓인 대칭면에 대해 거울에 의해 반전된 방식(mirror-inverted manner)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폐쇄체 외형(contour)은 폐쇄체(6)의 원주면(40)에 2개의 스톱 숄더(43)를 가진다. 슬롯(39)의 두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 또는 슬롯(27) 및 슬롯(28)의 각 단부 영역에, 2개의 스톱 숄더(43) 중 하나가 위치한다. 폐쇄체의 두 스톱 숄더(43)의 경우에는, 폐쇄체(6)의 원주면(40)은 홈의 두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샤프트(7)와 접한 상태로 놓이며, 여기서 도 1의 샤프트(7)의 홈은 슬롯들(27 및 28)에 의해 형성되고 도 6에서는 슬롯(39)에 의해 형성된다.
외측치수(D41)를 갖는 원주면(40)의 부분(41)은 슬롯들(27,28,39) 내에 있는 샤프트(7)의 회전축(7)과 수직되게 원주면(40)의 부분(42)의 반대측에 놓인 샤프트(7)의 반대측까지 연장한다. 폐쇄체(6)를 샤프트(7)의 홈에 장착할 때, 폐쇄체(6)는 스톱 숄더들(43)이 샤프트(7)와 맞부딪칠 때까지 회전축(8)을 가로질러 슬롯들(27,28,39) 안으로 밀린다. 이로써, 폐쇄체(6)의 원주면(40)을 따라 뻗어 있는 슬롯들(27,28,39)을 통한 누설 경로들이 폐쇄되고, 그리고 닫힘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밸브(1)의 기밀성(tightness)이 개선된다.
도 8 내지 13의 도면들의 각각의 경우에 폐쇄체(6)의 원주면(40)은 2개의 부분들(41 및 42) 사이에서, 샤프트(7)의 회전축(8)에 대해 최대 45°의 각도(W)를 갖는 직선 부분(straight line section;44)을 포함한다. 스톱 숄더들(43)이 직선 부분(44)에 대한 대안으로서 원주면(40)의 곡선부들로 형성된 경우에, 원주면(40)은 도 8 내지 14의 도면의 평면에 뻗어 있는 접선을 정의할 수 있고, 이 접선은 샤프트(7)의 회전축(8)에 대해 최대 45°의 각도를 갖는다. 폐쇄체(6)를 샤프트(7)에 장착할 때에, 특히 도 11 및 13에 따른 실시형태들에서 직선 부분(44)의 또는 대응 접선의 각도(W)를 통해, 폐쇄체(6) 및 샤프트(7)의 제작 공차들 때문에 샤프트(7)에서 생기는 폐쇄체(6)의 실제 위치가 폐쇄체의 원하는 목표 위치로부터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도 8 내지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7)에 대한 폐쇄체(6)의 원주면의 인접(abutment)의 유형은, 홈(27, 28 또는 39)의 단부 영역들 각각이 샤프트(7)에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로 보장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의 경우에, 샤프트(7)의 홈의 단부 영역은 예를 들면 라운딩부(rounding;45)를 포함한다. 스톱 숄더(43)는, 그의 모서리 지점이 라운딩부(45)의 영역에서 샤프트(7)와 접촉하도록 놓일 수 있다(도 9 및 10 참조). 도 8, 12, 14 및 15에서, 챔퍼부(champer;46)가 샤프트(7)의 홈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고, 챔퍼부(46)는 스톱 숄더(43)와 접촉한다. 이 모든 실시형태들에서, 원주면(40)과 샤프트(7) 사이의 접촉은 샤프트(7)의 홈 내에 있는 선접촉(47)에 의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경우에 외측치수(D42)가, 라운딩부(45) 또는 챔퍼부(46)가 부분(42)과 대면하는 측의 샤프트(7)의 원주면으로 변하는 변이부(transition)에서의 홈의 내측치수(S2)보다 작기 때문이다. 선접촉(47)은 직선으로 뻗어 있다(특히 도 15 참조). 도 14 및 15의 실시형태에서, 챔퍼부(46)와 접촉(touch)하는 스톱 숄더(43)의 부분은 예를 들면 0.2 mm의 반지름으로 라운드진다. 이것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매우 양호한 기밀을 보장한다. 샤프트(7)에서의 홈(27)(39) 각각은, 도 9 및 14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나타내진 바와 같이, 라운딩부(45) 또는 챔퍼부(46)가 샤프트(7)의 양 측면들에 각각 제공됨으로써 회전축(8)과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폐쇄체(6)는 조립시에 양쪽 면들로부터 샤프트(7)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그러나, 비대칭적인 구성도 또한, 도 10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 숄더(43)와 마주하는 샤프트(7)의 측에만 라운딩부(45) 또는 챔퍼부(46)가 제공됨으로써 양호한 밀봉에 충분하다. 이 실시형태는 적은 노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스톱 숄더(43)는 샤프트(7)의 홈의 단부 영역에서 라운딩부(45)를 넘어 돌출할 만큼 클 수 있다(도 11 참조). 도 13에서, 샤프트(7)의 홈의 단부 영역은 날카롭게 날이 서도록(in a sharp-edged manner) 구성되고 또한 샤프트의 홈의 가장자리(48)가 스톱 숄더(43)의 직선 부분(44)과 접촉한 상태로 놓여 있다. 도 11 및 13의 실시형태들에서, 원주면(40)과 샤프트(7) 사이의 접촉부가 샤프트(7)의 홈 외부에 놓여 있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경우에 외측치수(D42)가 내측치수(S2)보다 크기 때문이다. 외측치수(D42)와 내측치수(S2)의 차이는 신뢰할 수 있는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특히 외측치수(D41)와 내측치수(S1)의 차이보다 여기서는 약간 더 크다.
1 : 밸브
2 : 하우징
3 : 유입구
4 : 유출구
5 : 덕트
6 : 폐쇄체
7 : 샤프트
8 : 회전축
9 : 상류 구역
10 : 하류 구역
11 : 길이방향
12 : 작동 구동부
13 : 플랜지
14 : 스크류들
15 : 볼 베어링
16 : 재설정장치
17 : 돌출부
18 : 돌출부
19 : 밸브 시트
20 : 밸브 시트
21 : 밀봉면
22 : 밀봉면
23 : 샤프트 밀봉링
25 : 샤프트(7)의 원주면
26 : 샤프트(7)의 원주면
27 : 슬롯
28 : 슬롯
29 : 스톱
30 : 밀봉재
31 : 밀봉재
32 : 밀봉재
33 : 밀봉재
35 : 밀봉립들
36 : 밀봉재
37 : 밀봉재
38 : 스크류들
39 : 슬롯
40 : 폐쇄체(6)의 원주면
41 : 제1 부분
42 : 제2 부분
43 : 스톱 숄더
44 : 직선 부분
45 : 라운딩부
46 : 챔퍼부
47 : 선접촉
48 : 가장자리
A : 흐름방향
D : 폐쇄체(6)의 외측치수들
S : 홈의 내측치수들
W : 각도

Claims (10)

  1. 밸브(1)가, 유입구(3) 및 유출구(4)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구(3)로부터 상기 유출구(4)로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덕트(5)를 구비한 하우징(2)을 갖고;
    상기 덕트(5)에, 토크에 견디도록 샤프트(7)의 홈(27, 28; 39)에 안착되는 폐쇄체(6)가 배치되고, 상기 폐쇄체는 샤프트(7)의 회전축(8)을 중심으로 축회전가능하고 닫힘 위치를 가지며, 이 닫힘 위치에서 상기 폐쇄체가 상기 덕트(5)의 상류 구역(9)을 상기 덕트(5)의 하류 구역(10)과 분리시키고;
    상기 폐쇄체(6)는 2개의 면들(21,22)을 가지고, 상기 면들 중 상기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의 제1 면(21)은 상기 덕트(5)의 상류 구역(9)과 면하고 상기 면들 중 상기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의 제2 면(22)은 상기 덕트(5)의 하류 구역(10)과 면하며;
    상기 폐쇄체(6)는 원주면(40)을 갖고, 상기 원주면은 상기 폐쇄체(6)의 2개의 면들(21,22)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외측치수들(D41,D42)을 갖는 부분들(41,42)을 가지며;
    제1 부분(41)에서의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1 외측치수(D41)는 상기 폐쇄체(6)가 안착되는 샤프트(7)의 홈(27, 28; 39)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최소 내측치수(S1)보다 더 작고, 상기 치수들(D41, D42, S1) 모두는 상기 샤프트(7)의 회전축(8)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측정되는 구성을 갖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1)에 있어서,
    제2 부분(42)에서의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의 제2 외측치수(D42)는 상기 샤프트(7)의 홈(27, 28; 39)의 최소 내측치수(S1)보다 더 크고,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은 상기 홈(27, 28; 39)의 2개의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상기 샤프트(7)와 접촉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의 원주면(40)과 상기 샤프트(7) 사이의 상기 접촉은 상기 샤프트(7)의 홈(27, 28; 39) 내에 있는 선접촉(47)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접촉(47)은 직선으로 이어지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의 면들 중 하나(21) 상으로 상기 샤프트(7)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횡단면도에 도시된, 상기 폐쇄체(6)의 상기 원주면(40)은, 상기 홈(27, 28; 39)의 2개의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서 상기 샤프트(7)와 대향하여 놓인 적어도 하나의 스톱 숄더(43)를 갖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의 상기 원주면(40)은 상기 홈(27, 28; 39)의 2개의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에서 상기 샤프트(7)와 대향하여 각각 놓인 2개의 스톱 숄더들(43)을 갖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체(6)의 영역에서 상기 덕트(5)의 내벽에는 2개의 돌출부들(17,18)이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덕트(5) 내로 돌출하고 상기 덕트(5)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돌출부들 중 하나(17)는 상기 덕트(5)의 상류 구역(9)에 위치하고 다른 돌출부(18)는 상기 덕트(5)의 하류 구역(10)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들(17;18)의 각각은 상기 덕트(5)의 길이방향(11)으로 향한 밸브 시트들(19;20)을 가지고, 상기 2개의 밸브 시트(19;20)는 마주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폐쇄체(6)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면들에 배치된 밀봉면들(21,22)을 갖고, 상기 밀봉면들(21,22)의 각각은 상기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들(19;20) 중 하나와 대향하여 놓여 있고 상기 폐쇄체(6)의 닫힘 위치로부터의 축회전에 의해 각각의 밸브 시트(19;20)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폴리머로 이루어진 밀봉재(30;31;32)가 상기 밸브 시트들(19,20)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재는, 각각의 밸브 시트(19;20)에 속해 있는 돌출부(17;18)에 고정되고, 상기 폐쇄체(6)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폐쇄체(6)의 결합된 밀봉면(21;22)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접촉되며;
    상기 샤프트(7)의 홈(27, 28; 39)의 양 단부 영역들의 각각에서, 상기 샤프트(7)는 원형-원통형 원주면(25;26)을 가지며;
    상기 밀봉재(30; 33; 34)는 상기 샤프트(7)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덕트(5)의 상류 구역(9)과 마주하는 상기 샤프트(7)의 원형-원통형 원주면들(25;26)의 적어도 각각의 영역과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30; 33; 34)는 상기 샤프트(7)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의 전체 원주를 따라 상기 샤프트(7)의 원형-원통형 원주면들(25;26)의 각각과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30)는, 상기 샤프트(7)의 원형-원통형 원주면(25;26)과 대향하여 놓인 밀봉재의 부분(33;34)과 상기 돌출부들(17;18) 중 하나에 고정된 부분(31;32) 사이에 놓인 부분에, 상기 샤프트(7)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립(35)을 가지며, 상기 밀봉립(35)은 상기 샤프트(7)의 상기 원형-원통형 원주면(25;26)과 밀봉 방식으로 접촉하고 상기 폐쇄체(6)의 축회전시 상기 샤프트(7)에 걸쳐서 슬라이딩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7)의 홈은 상기 샤프트(7)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7; 28; 39)을 가지며, 상기 슬롯에는 폐쇄체(6)가 위치하는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KR1020150159734A 2015-03-23 2015-11-13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KR20160113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4287.8A DE102015104287B4 (de) 2015-03-23 2015-03-23 Ventil für einen Abgasstra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5104287.8 2015-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960A true KR20160113960A (ko) 2016-10-04

Family

ID=5688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34A KR20160113960A (ko) 2015-03-23 2015-11-13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39241B2 (ko)
KR (1) KR20160113960A (ko)
DE (1) DE10201510428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4946B2 (en) * 2016-01-19 2021-03-0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Bearing seal assembly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valve
CN106969181A (zh) * 2017-05-15 2017-07-21 泰州市鹏达有色金属制品厂 一种特殊蝶阀阀体
JP2021067241A (ja) * 2019-10-25 2021-04-30 愛三工業株式会社 Egrバル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340A (en) * 1965-06-25 1968-05-21 Pratt Co Henry Butterfly valve for high vacuum service
CA1259782A (en) * 1984-05-23 1989-09-26 Masahiko Yamamoto Butterfly valve
FR2805878B1 (fr) * 2000-03-01 2002-11-29 Mark Iv Systemes Moteurs Sa Dispositif de vanne a clapet et ensemble de regulation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FR2856128B1 (fr) * 2003-06-10 2006-12-29 Mark Iv Systemes Moteurs Sa Dispositif a clapet et ensemble de regulation multivoies comprenant plusieurs tels dispositifs
DE102006060876A1 (de) 2006-12-22 2008-06-26 Gustav Wahler Gmbh U.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Durchflusses eines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ums
DE102007055422B4 (de) * 2007-11-20 2015-04-02 BorgWarner Esslingen GmbH Ventil zur Steuerung des Durchflusses eines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ums
WO2011004428A1 (ja) * 2009-07-07 2011-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排気ガス循環バルブ
DE112011105111T5 (de) * 2011-03-30 2014-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Absperrklappe
DE102011106744B3 (de) * 2011-06-28 2012-12-27 Pierburg Gmbh Ventilvorrichtung zur Regelung eines Abgasstrom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1119139A1 (de) * 2011-11-23 2013-05-23 Gustav Wahler Gmbh U. Co. Kg Ventil, insbesondere Niederdruckventil, zur Steuerung einer Abgasrück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1654A1 (en) 2016-09-29
US9739241B2 (en) 2017-08-22
DE102015104287A1 (de) 2016-09-29
DE102015104287B4 (de)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717B1 (en) Modified butterfly valve and assembly
US20110042599A1 (en) Fluid control valve
US8844282B2 (en) Exhaust-gas turbocharger having a ball-cock waste-gate valve with a stress-relieved crank arm
JP2011058536A (ja) 流体制御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01237U (ko) 부가적인 정지 부재들을 갖는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라인의 요소
US7047936B2 (en) Throttle bod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throttle bodies
KR20160113960A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JP5699662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US8789508B2 (en) Air-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378655B2 (en) Valve device
KR20160026703A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라인용 밸브
EP1847738B1 (en) EGR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00242927A1 (en) Seal ring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US20170370478A1 (en) Valve device in a mot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EP3875810B1 (en) Sealing device
KR20110041265A (ko) 자동차 egr용 플랩 밸브
JP2011252421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
KR101821047B1 (ko) 자동차 흡기매니폴드용 밸브어셈블리
US20090079140A1 (en) Device for sealing sensor and sensor element
US11732806B2 (en) Seal ring and valve device
US11002365B2 (en) Valve device
CN112334642B (zh) 用于内燃机的活门装置
JP7342670B2 (ja) バルブ装置
JP5633488B2 (ja) 流体制御弁
WO2021245812A1 (ja) 排気ガス再循環バル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