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102A -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102A
KR20160113102A KR1020167017248A KR20167017248A KR20160113102A KR 20160113102 A KR20160113102 A KR 20160113102A KR 1020167017248 A KR1020167017248 A KR 1020167017248A KR 20167017248 A KR20167017248 A KR 20167017248A KR 20160113102 A KR20160113102 A KR 2016011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etector
elongated
drum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724B1 (ko
Inventor
토시후미 우에모토
츠요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고오슈우하네쓰렌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슈우하네쓰렌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슈우하네쓰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56Winding of hanks or skeins
    • B65H54/62Binding of ske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65H65/005Securing end of yarn in the wound or completed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iling Of Filamentary Materials In General (AREA)

Abstract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지점(Pm)에 와이어(T)를 삽입하기 위해, 와이어 삽입 장치(20), 상기 와이어 삽입 장치(20)를 갖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10), 및 와이어 삽입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 삽입 장치(20)는 중간 지점(Pm)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검출기(24), 및 상기 와이어(T)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홀더(22)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기(24)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Pm)에 위치된 세장형 작업부재(W)에 의해 가압될 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홀더(22)는 번들에서 와이어(T)를 중간 지점(Pm)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검출기(24)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WIRE INSERTING DEVICE, ELONGATED WORKPIECE WINDING APPARATUS AND WIRE INSERTING METHOD}
본 발명은 세장형(elongated)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 장치, 상기 와이어 삽입 장치를 포함하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세장형 작업부재를 번들에 복수회 권취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할 때, 세장형 작업부재의 일부를 결속하기 위해,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코일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세장형 작업부재의 단부로부터 여러 개의 권취부(wind)가 함께 결속된다.
관련 기술에 따르면, 세장형 와이어 로드를 나선형으로 복수회 권취함으로써 와이어 로드 코일을 형성할 때,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결속 테이프가 상기 와이어 로드 코일의 중간에 삽입되며, 또한 와이어 로드 코일의 상부 부분만 결속 테이프에 의해 결속된다(예를 들어, JP H09-188306 A 참조). 여기서, 다양한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와이어 로드 코일 결속 테이프용 자동 삽입 장치가 구성된다.
그러나 관련된 자동 삽입 장치는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해 값비싸다. 따라서 상기 삽입 장치는 간단한 장치 상에는 장착될 수 없다. 때로는, 작업자가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권취 중인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수동으로 삽입함으로써, 세장형 작업부재를 복수회 권취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효율이 빈약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와이어 삽입 장치를 사용하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와이어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와이어 삽입 장치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제공된다. 와이어 삽입 장치는 상기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검출기, 및 상기 와이어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홀더를 포함한다. 검출기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에 위치된 세장형 작업부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홀더는, 와이어를 번들의 중간 지점에 삽입하기 위해, 검출기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는 드럼의 둘레로 복수회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는 드럼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이어 홀더를 포함한다.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를,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고 또한 제1 선회 위치와 제2 선회 위치 사이에서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선회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한쪽에 위치되도록, 결속 와이어를 보유한다. 상기 제2 선회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다른 쪽에 위치되도록, 결속 와이어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는 세장형 작업부재를 권취하도록 회전되는 드럼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와이어 삽입 방법은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 삽입 방법은 와이어 홀더에 의해 와이어를 보유하는 단계,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에 위치된 세장형 작업부재에 의해 검출기를 가압하고 그리고 이동시키는 단계, 및 와이어를 중간 지점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검출기와 동기하여 와이어 홀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은,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을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작업부재를 드럼의 둘레로 복수회 권취할 때,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제공된다.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은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드럼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이어 홀더에 의해 결속 와이어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단계, 및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와이어 홀더를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한쪽에 위치되는 제1 선회 위치로부터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다른 쪽에 위치되는 제2 선회 위치로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삽입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에 따라, 검출기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검출기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에 위치되는 세장형 작업부재에 의해 가압될 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검출기는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 있게 작동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와 동기하여, 와이어 홀더가 와이어를 중간 지점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와이어를 중간 지점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 및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에 따라, 결속 와이어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와이어 홀더에 보유되고, 또한 와이어 홀더는 제1 선회 위치로부터 제2 선회 위치로 선회된다. 그 결과로서,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는 중간 권취 지점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세장형 작업부재를 드럼 둘레로 복수회 권취할 때, 와이어 홀더는 상기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선회 위치로 보유된다. 그 후, 와이어 홀더는,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제2 선회 위치로 선회된다. 이런 방식으로, 결속 와이어는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중간 권취 지점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권취 중 세장형 작업부재의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 및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를 사용하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와이어 홀더가 제1 선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 와이어 삽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와이어 홀더가 제2 선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결속 와이어 삽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세장형 작업부재(W)를 복수회 권취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하는 장치의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재될 것이며, 상기 세장형 작업부재(W)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강봉(steel rod)으로 제조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10)는 드럼(12), 공급 장치(13), 및 삽입 장치(20)를 포함한다. 드럼(12)은 그 둘레에 세장형 작업부재(W)를 권취하기 위해 구동 장치(11)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공급 장치(13)는 드럼(12)의 상류에 배치되며, 드럼(12)에 대한 공급 위치를 조정하면서 세장형 작업부재(W)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삽입 장치(20)는 드럼(12)의 둘레에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의 중간 지점에 결속 와이어(T)를 삽입하도록 드럼(12)에 부착된다.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제1 위치 조정 롤러(13a) 및 다수의 제2 위치 조정 롤러(1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위치 조정 롤러(13a)는 그 사이에 세장형 작업부재(W)를 보유하면서 회전된다. 제2 위치 조정 롤러(13b)는 제1 위치 조정 롤러(13a)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그 사이에 세장형 작업부재(W)를 보유하면서 회전된다. 여기서, 제1 위치 조정 롤러(13a)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위치를 드럼(12)의 방사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 조정 롤러(13b)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위치를 드럼(12)의 폭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드럼(12)은 다수의 내측 프레임(12a) 및 한 쌍의 단부 프레임(12b, 12c)을 포함한다. 내측 프레임(12a)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며, 또한 드럼의 회전축선(Ld)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단부 프레임(12b, 12c)은 드럼의 회전축선(Ld)을 따라 폭 방향으로 각각의 단부에 제공된다. 세장형 작업부재(W)는, 세장형 작업부재(W)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다수의 내측 프레임(12a)의 외주 상에 그리고 단부 프레임(12b, 12c)의 쌍 사이에 적층되도록, 상기 드럼(12)의 둘레로 권취된다.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20)는 결속 와이어(T)를, 드럼(12)의 둘레로 복수회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에서 중간 권취 지점(Pm)에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결속 와이어(T)는 세장형 작업부재(W) 보다 얇다. 결속 와이어(T)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화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어닐링된 와이어가 결속 와이어(T)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결속 와이어(T)는 세장형 작업부재(W)를 결속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결속 와이어는 미리 결정된 길이로 미리 절단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장치(20)는 드럼(12) 상에 지지되는 베이스 부재(21), 상기 베이스 부재(21)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결속 와이어(T)를 보유하는 와이어 홀더(22), 상기 와이어 홀더(22)를 선회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23), 및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세장형 작업부재(W)를 검출하여 와이어 홀더(22)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검출기(24)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21)는 드럼(12)의 내측 프레임(12a)에 부착되는 레일 부재(12e)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드럼의 내주측에 위치된다. 와이어 홀더(22), 편향 부재(23), 검출기(24) 등은 베이스 부재(21) 상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 부재(12e)는 내측 프레임(12a)의 일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드럼(12)의 회전축(Ld)을 따라 배치되므로, 와이어 홀더(22) 및 검출기(24)를 원하는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홀더(22) 및 검출기(24)의 위치가 드럼(12)의 폭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와이어 홀더(22)는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한다. 와이어 홀더(22)는 2개의 스토퍼(25)에 의해 각각 정의되는 제1 선회 위치(P1)와 제2 선회 위치(P2)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더(22)는 선회축(Ls)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유 부분(26)을 포함한다. 상기 보유 부분(26)은 결속 와이어(T)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즉, 와이어 홀더(22)는 결속 와이어(T)를 보유한 상태로 선회할 수 있으며, 결속 와이어(T)는 소정 레벨의 견인력 등이 결속 와이어(T)에 인가될 때 상기 보유 부분(26)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보유 부분(26)이 자석(27)을 포함하므로, 결속 와이어(T)는 보유 부분(26)의 표면에 자기적으로 부착됨으로써 보유된다. 보유 부분(26)의 길이방향으로 보유 부분(26)의 각각의 단부는 위치 제한 돌출부(28)를 갖는다. 상기 위치 제한 돌출부(28)는, 결속 와이어(T)의 배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주어진 폭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부재로서 구성된다.
결속 와이어(T)가 와이어 홀더(22)에 보유될 때, 결속 와이어(T)는 드럼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므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결속 와이어(T)가 드럼(12)의 둘레로 권취되는 권취 영역(29) 내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 홀더(22)의 보유 부분(26)은 복수회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의 중간 권취 지점(Pm)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베이스 부재(21)가 레일 부재(12e)에 고정되는 위치에 의해 조정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세장형 작업부재(W)가 단부 프레임들(12b) 중 하나로부터 3회 터언(turn)되는 위치는 중간 권취 지점(Pm)으로서 설정된다. 결속 와이어(T)가 중간 권취 지점(Pm)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장치(20)의 위치가 조정된다.
와이어 홀더(22)를 선회시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제1 선회 위치(P1)에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중간 권취 지점(Pm)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c)을 향한 쪽으로 위치되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2 선회 위치(P2)에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중간 권취 지점(Pm)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b)을 향한 측부 상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편향 부재(23)를 제공하기 위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선회축(Ls)의 둘레에 부착된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은 베이스 부재(21)의 스토퍼에서 또한 와이어 홀더(22)의 스토퍼에서 결합되므로, 와이어 홀더(22)가 제2 선회 위치(P2)를 향해 편향된다.
검출기(24)는 방사방향으로 그리고 방사방향을 벗어나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1) 상에 지지된다. 검출기(24)는, 검출기(24)가 드럼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드럼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간 권취 지점(Pm)에 대응하는 드럼(12)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돌출된 상태의 검출기(24)는 제1 선회 위치(P1)에서 와이어 홀더(22)의 선회 단부와 결합된다.
세장형 작업부재(W)가 복수회 권취된 후 배치되는 중간 권취 지점(Pm)에서 검출기(24)가 세장형 작업부재(W)를 검출하였을 때, 와이어 홀더(22)가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12)의 둘레로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가 검출기(24)에 대해 인접하였을 때, 검출기(24)는 후퇴되고, 그리고 수용된 상태로 된다. 이런 방식으로, 와이어 홀더(22) 및 검출기(24)가 분리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22)는 제1 선회 위치(P1)로부터 제2 선회 위치(P2)로 선회하도록 편향 부재(23)에 의해 편향된다.
이어서, 권취 장치(10)의 동작이 기재될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작업부재(W)의 선단부가 드럼(12)에 고정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세장형 작업부재(W)의 단부 부분은 내측 프레임(12a) 및 단부 프레임(12b)에 대해 인접하고 있다. 또한, 결속 와이어(T)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장치(2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중간 권취 지점(Pm)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후, 삽입 장치(20)의 와이어 홀더(22)가 제1 선회 위치(P1)에 위치되어, 검출기(24)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검출기(24)는 돌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결속 와이어(T)는 보유 부분(26)에 자기적으로 부착된다. 이런 방식으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권취 영역(29)으로 돌출되어, 중간 권취 지점(Pm)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c)을 향한 측부 상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 장치(13)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위치를 방사방향으로 그리고 폭방향으로 조정하면서 세장형 작업부재(W)를 공급하며, 그리고 드럼(12)은 구동 장치(11)에 의해 회전된다. 이런 방식으로, 세장형 작업부재(W)가 연속적으로 권취되어, 번들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세장형 작업부재(W)는 다수의 내측 프레임(12a)과 접촉하며 또한 세장형 작업부재(Wt)의 이미 권취된 부분과도 접촉하므로, 세장형 작업부재(W)는 단부 프레임(12b)과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단부 프레임(12c)을 향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권취된다.
이런 권취 시에, 삽입 장치(20)의 와이어 홀더(22)가 먼저 제1 선회 위치(P1)에 위치된다. 따라서 결속 와이어(T)는 결속 와이어(T)가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와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 후, 공급될 세장형 작업부재(W)는, 다수의 내측 프레임(12a)이 접촉하면서 또한 세장형 작업부재(W)의 이미 권취된 부분과도 접촉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권취된다. 세장형 작업부재(W)가 미리 설정된 중간 권취 지점(Pm)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세장형 작업부재(W)가 검출기(24)에 대해 인접하여 검출기(24)를 가압하므로, 상기 검출기(24)는 이 압력에 의해 이동된다.
이런 방식으로, 검출기(24)는 수용된 상태로 되며, 검출기(24)와 와이어 홀더(2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와이어 홀더(22)는 검출기(24)와 동기하여 선회하고 그리고 제2 선회 위치(P2)로 이동한다. 따라서 권취 영역(29)에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중간 권취 지점(Pm)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b)을 향한 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로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권취되어 있던 세장형 작업부재(W)와 접촉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결속 와이어(T)는 이미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W)와 후속으로 권취되는 세장형 작업부재(W) 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공급될 세장형 작업부재(W)가 드럼(12)의 둘레로 연속해서 권취된다.
세장형 작업부재(W)가 권취되어 단부 ㅍ레임(12c)에 도달하였을 때, 세장형 작업부재(W)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이미 권취된 부분의 외주를 오버랩하도록 공급되며, 또한 단부 프레임(12c)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b)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권취된다.
중간 권취 지점(Pm)에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인접한 부분을 통해 외주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연속적으로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에 의해 자동으로 굴곡되며, 그리고 단부 프레임(12b)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그 후, 세장형 작업부재(W)가 단부 프레임(12b)까지 권취되었을 때, 결속 와이어(T)는 내측 상에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W)의 부분과 외측 상에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W)의 부분 사이로 삽입되어 보유된다. 이 상태에서,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는 단부 프레임(12b)을 향해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세장형 작업부재(W)는 단부 프레임(12b)으로부터 단부 프레임(12c)으로 다시 주측 상에 추가로 배치되어 권취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세장형 작업부재(W)의 전체 길이가 권취되어 코일을 형성한다.
코일이 형성된 후,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가 단부 프레임(12b)으로부터 돌출된다. 결속 와이어(T)의 다른 쪽 단부는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20) 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다른 쪽 단부를 선단부에 결속함으로써, 세장형 작업부재(W)의 첫 번째의 수회 터언이 결속 와이어(T)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세장형 작업부재(W)의 권취가 완료된다.
전술한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20) 및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10)에 따라, 결속 와이어(T)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와이어 홀더(22)에 보유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22)는 제1 선회 위치(P1)로부터 제2 선회 위치(P2)로 선회된다. 이에 따라, 결속 와이어(T)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Pm)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드럼(12)의 둘레로 세장형 작업부재(W)를 복수회 권취할 때, 와이어 홀더(22)는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Pm)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선회 위치로 보유된다. 그 후,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Pm)에 도달하였을 때, 와이어 홀더(22)가 제2 선회 위치로 선회된다. 이런 방식으로, 결속 와이어(T)는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Pm)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권취 중 세장형 작업부재(W)의 중간 권취 지점(Pm)에 결속 와이어(T)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장치(20) 및 권취 장치(10)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22)는 자석(27)을 포함하며, 결속 와이어(T)는 상기 자석(27)에 자기적으로 부착됨으로써 보유된다. 따라서 결속 와이어(T)는, 와이어 홀더(22)의 보유 부분(26)의 표면에 대해 단지 결속 와이어(T)의 측면을 인접시킴으로써, 와이어 홀더(22) 상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용이하게 보유될 수 있다. 또한, 결속 와이어(T)가 세장형 작업부재(W)의 중간 권취 지점(Pm)에 삽입된 후, 결속 와이어(T)는 임의의 해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와이어 홀더(22)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속 와이어(T)의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장치(20) 및 권취 장치(10)에 있어서, 검출기(24)는 중간 권취 지점(Pm)에서 세장형 작업부재(W)를 검출하도록 제공되며, 또한 검출기(24)가 세장형 작업부재(W)를 검출하였을 때, 와이어 홀더(22)가 제1 선회 위치(P1)로부터 제2 선회 위치(P2)로 선회된다. 이런 방식으로, 와이어 홀더(22)가 자동으로 선회된다. 그 결과로서,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장치(20) 및 권취 장치(10)에 있어서, 편향 부재(23)는 제2 선회 위치(P2)를 향해 와이어 홀더(22)를 편향시키도록 제공되며, 검출기(24)는 검출기(24)가 드럼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드럼에 수용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중간 권취 지점(Pm)에 대응하는 드럼(12) 상의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돌출된 상태의 검출기(24)는 제1 선회 위치(P1)에서 와이어 홀더(22)와 결합된다. 따라서 드럼(12)의 둘레로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W)가 검출기(24)를 수용된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검출기에 대해 인접할 때, 검출기(24)의 결합이 해제되고, 와이어 홀더(22)가 제2 선회 위치(P2)로 선회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홀더(22)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이 요구되지 않으며, 또한 결속 와이어(T)는, 권취되어 있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Pm)에 자동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는 권취될 세장형 작업부재(W)가 원형 횡단면을 갖는 강봉인 반면에, 세장형 작업부재(W)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세장형 작업부재의 횡단면이 다각형 형상 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경우나 또는 세장형 작업부재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와이어(T)가 하나의 세장형 작업부재(W)를 복수회 권취함으로써 형성되었던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의 중간 지점에 삽입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다수의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을 형성할 때 와이어(T)가 중간 지점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세장형 작업부재(W)를 배치 테이블, 안내 부재 등에 위치시킬 때, 삽입 장치는 배치 테이블이나 안내 부재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와이어(T)가 강봉 등과 같은 자성 재료로 제조된 반면에, 결속 와이어(T)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와이어는 세장형 작업부재(W)의 번들 상에 주어진 위치를 굴곡시킬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수지, 비철계 금속,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삽입될 와이어(T)가 결속에 사용되지 않을 때, 적절한 강도를 갖는 와이어가 사용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와이어(T)가 자석(27)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에, 와이어(T)를 지지하는 방식은 적절히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T)는 탄성 부재, 접착제 재료 등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T)는 검출기(24)의 작동에 따라 기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드럼(12)이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반면에, 드럼(12)은 세장형 작업부재(W)가 그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 드럼이 세장형 작업부재(W)의 이동에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트링이 편향 부재(23)로서 사용된 반면에, 상기 편향 부재가 와이어 홀더(22)를 제2 선회 위치(P2)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는 한 다른 편향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 인용되고 2014년 1월 29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14972호에 기초하고 있다.

Claims (7)

  1.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 장치로서:
    상기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검출기; 및
    와이어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에 위치되는 세장형 작업부재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와이어를 번들의 중간 지점에 삽입하기 위해, 검출기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삽입 장치.
  2. 드럼의 둘레로 복수회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로서:
    드럼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이어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를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며, 또한 제1 선회 위와 제2 선회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선회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한쪽에 위치되도록 결속 와이어를 보유하며,
    상기 제2 선회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는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다른 쪽에 위치되도록 결속 와이어를 보유하는,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중간 권취 지점에서 세장형 작업부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검출기가 세장형 작업부재를 검출하였을 때, 제1 선회 위치로부터 제2 선회 위치로 선회하는,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와이어 홀더를 제2 선회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검출기가 드럼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드럼에 수용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중간 권취 지점에 대응하는 드럼 상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기는 검출기가 드럼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제1 선회 위치에서 와이어 홀더와 결합되며,
    검출기가 드럼에 수용되도록, 드럼의 둘레로 권취된 세장형 작업부재가 검출기에 대해 인접할 때, 검출기의 결합이 해제되고, 와이어 홀더가 제2 선회 위치로 선회하는,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
  5.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로서:
    세장형 작업부재를 권취하도록 회전되는 드럼; 및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 와이어 삽입 장치는 드럼에 부착되는,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6.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에서, 상기 번들의 중간 지점에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와이어 삽입 방법으로서:
    와이어 홀더에 의해 와이어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단계;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의 형성 중 중간 지점에 위치된 세장형 작업부재에 의해 검출기를 가압 및 이동시키는 단계;
    와이어를 중간 지점에 삽입하기 위해, 검출기와 동기하여 와이어 홀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기는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와이어 삽입 방법.
  7. 세장형 작업부재의 번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세장형 작업부재를 드럼의 둘레로 복수회 권취할 때, 중간 권취 지점에 결속 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으로서:
    드럼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와이어 홀더에 의해 결속 와이어를,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와이어 홀더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장형 작업부재가 중간 권취 지점에 위치될 때, 상기 와이어 홀더를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한쪽에 위치되는 제1 선회 위치로부터 결속 와이어의 선단부가 중간 권취 지점의 다른 쪽에 위치되는 제2 선회 위치로 선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속 와이어 삽입 방법.
KR1020167017248A 2014-01-29 2015-01-29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KR10235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4972A JP6317120B2 (ja) 2014-01-29 2014-01-29 線材の挿入装置、長尺ワークの巻取装置及び線材の挿入方法
JPJP-P-2014-014972 2014-01-29
PCT/JP2015/053159 WO2015115671A1 (en) 2014-01-29 2015-01-29 Wire inserting device, elongated workpiece winding apparatus and wire inser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102A true KR20160113102A (ko) 2016-09-28
KR102351724B1 KR102351724B1 (ko) 2022-01-17

Family

ID=5257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248A KR102351724B1 (ko) 2014-01-29 2015-01-29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1927B2 (ko)
EP (2) EP3459864B1 (ko)
JP (1) JP6317120B2 (ko)
KR (1) KR102351724B1 (ko)
CN (1) CN106132855B (ko)
WO (1) WO20151156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950A (ko) * 2021-04-21 2022-10-28 박철희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KR20220147298A (ko) * 2021-04-27 2022-11-03 박철희 농산물 결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1491A (zh) * 2016-08-27 2016-12-21 温增璟 一种线材自动裁绕扎一体机及其绕线装置
US10934128B2 (en) * 2017-04-12 2021-03-02 Suncoast Post Tension, Ltd. Automated coiling system for post-tension tendon
JP6560328B2 (ja) * 2017-12-13 2019-08-14 鋼鈑工業株式会社 パッド挿入装置及び結束システム、並びに結束バンドの結束方法
CN112249803B (zh) * 2020-09-07 2022-03-25 绍兴文理学院 一种基于纺织加工用的纺织线等量收卷装置
CN112193931B (zh) * 2020-10-10 2023-06-27 安邦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伴热带生产的收线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9584A (en) * 1972-10-17 1975-06-17 Sunds Ab Binding machine
KR20030071639A (ko) * 2002-03-01 2003-09-06 다께지 마쯔오까 와이어 스프링 성형 장치
KR20100075761A (ko) * 2008-12-25 2010-07-05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와이어 소 및 와이어 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3219A (en) * 1949-09-12 1954-11-02 Heller & Paul Inc Wire straightener
US3263597A (en) * 1963-01-07 1966-08-02 Stychinsky Leonid Pavlovich Machine for binding wire coils
BE679993A (ko) * 1965-04-27 1966-10-03
GB1152865A (en) * 1965-06-05 1969-05-21 Demag Ag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Binding of Wire or Band Coils
SE321890B (ko) * 1965-11-26 1970-03-16 Sundsvalls Verkstaeder Ab
US3662678A (en) * 1970-06-23 1972-05-16 Interlake Steel Corp Coil tightener
JPS5247561A (en) * 1975-10-13 1977-04-15 Ohira Seisakushiyo K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il spring
FR2375128A1 (fr) * 1976-12-21 1978-07-21 Sute Procede et dispositif automatique de mise en couronne pour tube souple
JPS5439284U (ko) * 1977-08-22 1979-03-15
JPS5645240A (en) * 1979-09-19 1981-04-24 Keihin Hatsujo Kk Torsion spring manufacturing machine
DE3047887A1 (de) * 1980-12-19 1982-07-22 Reifenhäuser KG, 5210 Troisdorf "vollautomatische wickel- und abbindemaschine, sowie ein wickelbundherstellverfahren fuer bunde aus rohren, schlaeuchen, kabeln, profilen usw."
US4388952A (en) * 1981-01-15 1983-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il winding apparatus
JPS61111645U (ko) * 1984-12-26 1986-07-15
US5540142A (en) * 1993-12-17 1996-07-30 Signode Corporation Machine for strapping sheet metal coil
JPH09188306A (ja) * 1995-12-30 1997-07-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材コイル用結束テープ自動挿入方法及び装置
JPH10194229A (ja) * 1997-01-16 1998-07-28 Astec Irie:Kk タッグ自動刻印取付機能付コイル自動結束設備
US6968779B2 (en) * 2000-03-15 2005-11-29 Enterprises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tying bundles of objects
CN2470322Y (zh) * 2001-04-12 2002-01-09 吴长河 多绞等量串联绒线
AU2002323936B2 (en) * 2001-07-25 2008-02-21 Max Co., Ltd Reinforcing steel bar tying machine
JP4059206B2 (ja) * 2004-02-06 2008-03-12 村田機械株式会社 バンチ巻装置を備えた紡績機
JP3109274U (ja) * 2004-12-10 2005-05-12 株式会社ハンナン 結束用焼鈍し鉄線のコアレスコイル
JP2007070078A (ja) * 2005-09-08 2007-03-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巻回方法およびケーブルドラム
EP2447200B1 (de) * 2010-10-26 2013-04-17 THE Machines Yvonand SA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Wickelrolle eines langgestreckten Gu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9584A (en) * 1972-10-17 1975-06-17 Sunds Ab Binding machine
KR20030071639A (ko) * 2002-03-01 2003-09-06 다께지 마쯔오까 와이어 스프링 성형 장치
KR20100075761A (ko) * 2008-12-25 2010-07-05 코마츠 엔티씨 가부시끼가이샤 와이어 소 및 와이어 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950A (ko) * 2021-04-21 2022-10-28 박철희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KR20220147298A (ko) * 2021-04-27 2022-11-03 박철희 농산물 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5671A1 (en) 2015-08-06
KR102351724B1 (ko) 2022-01-17
EP3099579B1 (en) 2019-03-06
EP3099579A1 (en) 2016-12-07
JP6317120B2 (ja) 2018-04-25
US20160325861A1 (en) 2016-11-10
CN106132855B (zh) 2019-02-22
US10661927B2 (en) 2020-05-26
EP3459864B1 (en) 2020-06-17
EP3459864A1 (en) 2019-03-27
CN106132855A (zh) 2016-11-16
JP2015140210A (ja)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102A (ko) 와이어 삽입 장치, 세장형 작업부재 권취 장치, 및 와이어 삽입 방법
KR101691842B1 (ko) 보빈고정장치
US8839837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cable installation
EP2033767A3 (en) Filament winding apparatus
JP2008169003A (ja) 線条体収束機構とそれを備えたテープ巻き装置及びテープ巻き方法
US20210122510A1 (en) Cable Bundle Taping Device
MXPA05008327A (es) Aparato para reemplazar un carrete de alimentacion que alimenta una pelicula de recubrimiento, para colocar y cortar un segmento de pelicula y un metodo relativo al mismo.
CN106660289B (zh) 胎圈芯成形装置
JPWO2013190667A1 (ja) ビードリング結束糸巻付け装置
JP5974324B2 (ja) 金属帯部品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JP2002011517A (ja) 伸線装置の線材チャッキング装置
JP7078908B2 (ja) 繊維束供給装置
JP6319884B2 (ja)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巻戻り防止機構
JP2000243642A (ja)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方法及び自動巻線装置
JP5888660B2 (ja) ベルトラッパー装置のベルト交換装置と方法
JP2012201495A (ja) 巻取ユニット
JP2009256036A (ja) 巻線リール及び巻取装置
JP5241614B2 (ja) 線状体の巻き取り方法及び鉛線供給材
EP3187446B1 (en) Web winding device
JP2009277880A (ja) 位置決め治具および空芯コイル巻線装置
JP2008168926A (ja) 線条体支持機構とそれを備えたテープ巻き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732150B1 (ko) 보빈용 스프링 권취장치
KR101528166B1 (ko) 스트립 권취장치
JPH06237890A (ja) 内視鏡チャンネルチューブコイル巻き装置
JP6282951B2 (ja) ビードコアの糸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