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075A -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075A
KR20160113075A KR1020160115890A KR20160115890A KR20160113075A KR 20160113075 A KR20160113075 A KR 20160113075A KR 1020160115890 A KR1020160115890 A KR 1020160115890A KR 20160115890 A KR20160115890 A KR 20160115890A KR 20160113075 A KR20160113075 A KR 2016011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band
vehicle
band por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9495B1 (ko
Inventor
전동훈
Original Assignee
전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훈 filed Critical 전동훈
Priority to KR102016011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탄성을 갖는 신축밴드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신축밴드부를 차량의 도어트림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신축밴드부를 인장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 에지부에 끼워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도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길게 연장되므로 그만큼 커버면적이 넓어 타차량으로부터 들어오는 충격에도 도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시에는 실내공간으로 이동시켜 도어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Elastic door guard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가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 밴드의 형태를 취하여 도어의 보다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경험하는 바와같이, 협소한 주차장에 차량을 세운 후 하차시, 도어가 옆 차량의 차체에 부딪혀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더욱이 손상을 입힌 차량이 고가의 외제 차량일 경우에는 막대한 금액의 손해 배상을 해줘야 하는 곤란한 처지에 맞닥뜨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은 이유로, 대부분의 차량 탑승자들은, 하차시 도어를 마음껏 개방하지 못하고 도어가 옆 차량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더욱이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이 있을 경우 보호자는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한편, 상기한 불편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도어가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도어가드는, 차량의 도어 외측면에 접착된 상태로, 도어의 개방시, 옆차량이나 벽 등과의 부딪힘에 의한 차량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이다.
그런데, 이러한 접착식 도어가드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고정되므로 도어에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가령, 몇 번의 충격에 의해 쉽게 떨어져 이탈될 수 있다. 도어가드가 이탈되었거나 또는 그 위치를 변경시킨 경우, 도어의 외표면에 도어가드의 흔적이 남아 차량의 미관을 손상시킴은 물론이다.
상기한 접착식 도어가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188호(차량도어 장착용 도어가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차량도어 장착용 도어가드는, 도어에 끼워 사용하는 타입의 것으로서,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양단에 일체를 이루며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좁아지는 내측지지대 및 외측지지대로 구성된다. 도어의 단부는 상기 내측지지대 및 외측지지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도어가드는, 사용이 오래될수록 탄성력을 점차 잃어 도어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어로부터 한 번 빠지기 시작하면 그 후로는 더욱 쉽게 빠지므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띠의 형태를 취하며 도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길게 연장되므로 그만큼 커버면적이 넓어 타차량으로부터 들어오는 충격에도 도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에는 실내공간으로 이동시켜 도어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는,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탄성을 갖는 신축밴드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신축밴드부를 차량의 도어트림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신축밴드부를 인장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 에지부에 끼워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의 측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도어트림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수단에 링크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결합한 상태로 신축밴드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연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밴드부는 완충능력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고무띠이고, 상기 후크부는 완충성 부재로서, 상기 에지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걸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신축밴드부의 양면 또는 일면에는, 신축밴드부의 완충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일체형 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고정 지지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결합하는 삼각형 형태의 연결패드와; 그 선단부가 상기 연결패드와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양면에는 선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고무 재질의 신축밴드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신축밴드부를 인장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부 에지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완충성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도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길게 연장되므로 그만큼 커버면적이 넓어 타차량으로부터 들어오는 충격에도 도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에는 실내공간으로 이동시켜 도어포켓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가 도어의 외측면에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가 도어의 내측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신축성 도어가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15)는, 탄성 띠의 형태를 취하며, 주차시에는 도어(1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주행중에는 실내로 옮겨져 가령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포켓(13b)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물(A)을 지지하는 용도로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15)가 도어(13)의 외측면에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신축성 도어가드(15)가 도어(13)의 내측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15)가 차량(11)의 앞뒤 도어(13)의 외측면에 각각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어가드(15)의 선단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 내 도어트림(13a)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신축밴드부(15a)가 화살표 z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도어(13) 자유단부의 에지부(13d)에 걸려 고정된다.
도어의 자유단부라 함은, 통상 차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에서의 힌지부의 반대편 단부를 의미한다.
도 3을 통해 상기 도어가드(15) 자체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드(15)는, 금속제 고리(15d)와, 상기 고리(15d)와 결합하는 삼각패치 형태의 연결패드(15c)와, 상기 연결패드(15c)에 그 선단부가 재봉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태의 신축밴드부(15a)와, 상기 신축밴드부(15a)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후크부(15b)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패드(15c)는 미감을 고려하여 가죽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15d)의 일부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한다. 즉 고리(15d)의 일부분이 연결패드(15c)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패드(15c)는 가죽 이외에도 합성수지나 합성섬유 등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상기 신축밴드부(15a)는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탄력부재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진 인장력에 의해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신축밴드부(15a)는 합성고무로 제작됨이 좋다.
상기 신축밴드부(15a)는 주차된 차량에서의 도어(13)의 외측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옆에 주차된 차량에서 하차하는 탑승자가 도어를 부주의 하게 열어, 도어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찍혀 상처가 나거나 찌그러지지 않는다. 이를 위해, 도어가드(15)는, 도어(13)의 외측면에서 가장 불룩한 부분에 채워져야 한다.
상기 신축밴드부(15a)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후크부(15b)는, 신축밴드부(15a)가 인장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부 에지부(13d)에 걸려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후크부(15b)는 도어 후단의 에지부(13d)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의 걸림홈(15f)을 갖는다.
또한 상기 후크부(15b)의 단부는 노출부(15g)이다. 노출부(15g)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가드(15)를 실내에 세팅한 상태로 도어(13)를 닫았을 때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와같이 노출부(15g)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주차시 도어(13)를 부주의하게 열어 옆 차량의 차체에 부딪히더라도, 노출부(15g)가 완충작용을 하는 한 옆차량에 손상을 입힐 염려가 없다.
상기 후크부(15b)도 탄력성을 가지며, 다만 에지부(13d)와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지지용 프레임(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신축밴드부(15a)에 의해 화살표 z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에지부(13d)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걸림홈(15f)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형상유지수단이 내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크부(15b)로서 스폰지나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갖는 도어가드(15)를 도어(13)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어트림(13a)의 일측에 고정나사(19)와 홀더(1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19)와 홀더(17)는 관통구멍(13c)을 통해 서로 만나 결합한 상태로 도어가드(15)를 지지한다.
상기 관통구멍(13c)은 도어트림(13a)에 형성한 구멍으로서, 고정나사(19)의 수나사로드부(19a)를 부분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홀더(17)는 암나사구(17a)를 갖는 부속으로서 도어트림(13a)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관통구멍(13c)을 통해 들어온 고정나사(19)와 결합한다.
상기 고정나사(19)는, 단추형 헤드부(19b)와, 상기 헤드부(19b)에 일체를 이루며 수나산이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로드부(19a)로 구성된 부재로서, 상기 고리(15d)와 관통구멍(13c)을 통과해 암나사구(17a)와 나사 결합한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수나사로드부(19a)가 암나사구(17a)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헤드부(19b)는 도어트림(13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리(15d)의 내경은 수나사로드부(19a)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수나사로드부(19a)에 끼워진 고리(15d)는 별 저항 없이 원주방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가드(15)가 앞뒤 도어의 외측면에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각 도어가드(15)의 고리(15d)는 도어(13)의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에지부를 돌아 고정나사(19)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여하튼 상기 도어가드(15)는 신축밴드부(15a)가 인장된 상태로 차량(11) 도어(13)의 외측면에 밀착 외치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충격을 받아 흡수한다. 가령 옆 차의 도어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찍힘이나 찌그러짐을 방지한다.
아울러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가드(15)가 차량의 내측으로 옮겨져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어가드(15)의 신축밴드부(15a)는 화살표 z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로 도어포켓(13b)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물(A)을 지지한다. 이 때 후크부(15b)의 노출부(15g)는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15)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4a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모습이고, 도 4b는 주행 중 일 때의 모습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어가드(15)가 도어(13)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도어가드(15)의 고리(15d)가 고정나사(19)에 지지됨은 상기한 바와같다. 즉, 상기 고리(15d)가 수나사로드부(19a)를 통과시킨 상태로 헤드부(19b)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후크부(15b)는 도어의 에지부(13d)에 걸려 신축밴드부(15a)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15b)를 에지부(13d)로부터 분리한 후, 신축밴드부(15a)를 도어의 상부로 넘겨 도어가드(15)를 실내측으로 옮기고 후크부(15b)를 에지부(13d)에 다시 결합 세팅한 구성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크부(15b)의 노출부(15g)가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노출부(15g) 자체는 통상의 도어가드의 역할과 같은 역할을 한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신축성 도어가드(15)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신축밴드부(15a)의 일측면에 2열의 선형돌기부(15e)를 추가할 수 도 있다. 상기 선형돌기부(15e)는 평판상의 신축밴드부(15a)에 일체를 이루는 돌출부로서 보다 강력한 완충능력을 제공한다. 상기 선형돌기부(15e)로 인해 신축밴드부(15a)의 평균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이므로 완충능력의 상승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선형돌기부(15e)의 사이즈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신축밴드부(15a)의 반대면에도 동일하게 형성할 수 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차량 13:도어
13a:도어트림 13b:도어포켓
13c:관통구멍 13d:에지부
15:도어가드 15a:신축밴드부
15b:후크부 15c:연결패드
15d:고리 15e:선형돌기부
15f:걸림홈 15g:노출부
17:홀더 17a:암나사구
19:고정나사 19a:수나사로드부
19b:헤드부

Claims (5)

  1.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탄성을 갖는 신축밴드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신축밴드부를 차량의 도어트림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신축밴드부를 인장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 에지부에 끼워지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의 측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도어트림에 위치변경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수단에 링크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결합한 상태로 신축밴드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연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부는 완충능력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고무띠이고,
    상기 후크부는 완충성 부재로서, 상기 에지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걸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부의 양면 또는 일면에는, 신축밴드부의 완충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일체형 돌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5. 차량의 도어트림에 고정 지지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와 결합하는 삼각형 형태의 연결패드와;
    그 선단부가 상기 연결패드와 결합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양면에는 선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합성고무 재질의 신축밴드부와;
    상기 신축밴드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신축밴드부를 인장한 상태로 도어의 자유단부 에지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완충성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KR1020160115890A 2016-09-08 2016-09-08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KR10176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90A KR101769495B1 (ko) 2016-09-08 2016-09-08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90A KR101769495B1 (ko) 2016-09-08 2016-09-08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075A true KR20160113075A (ko) 2016-09-28
KR101769495B1 KR101769495B1 (ko) 2017-08-18

Family

ID=5710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890A KR101769495B1 (ko) 2016-09-08 2016-09-08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85B1 (ko) 2017-11-14 2019-01-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가림 장치
KR102579594B1 (ko) 2021-12-13 2023-09-15 신유철 에어 쿠션형 차량 보호 가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495Y1 (ko) * 1999-10-21 2000-04-15 강준상 자동차 도어용 보호판
US20130328333A1 (en) * 2012-06-11 2013-12-12 Joshua Jordan Vehicle Door Bumper Guard having Door Edge Attachments
KR101626720B1 (ko) * 2015-05-21 2016-06-01 임형 자동차 도어의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495B1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US7866715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9199561B2 (en) Multi-functional car seat gap filling device
KR101769495B1 (ko) 차량용 신축성 도어가드
US20170113530A1 (en) Door protection device
US20020105197A1 (en) Guard for replaceably attaching to, and protecting, a slide of a vehicle from dings
US6139084A (en) Attachable sun visor extension
KR200468819Y1 (ko) 차량용 유리 덮개
US20150001865A1 (en) Vehicle Protector
US7857366B2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1676953B1 (ko) 보호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가드
KR101570294B1 (ko) 자동차 찍힘 방지 커버
US8757240B1 (en) Sunscreen for vehicle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102150360B1 (ko) 차량용 문콕 방지장치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JP6363481B2 (ja) カバー装置
KR20160118997A (ko) 보호시트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가드
US20120285364A1 (en) Flag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vent visor
KR200284006Y1 (ko) 휴대용 자동차 거치대
US11571956B2 (en) Car rain guard
JPH02330Y2 (ko)
KR200440980Y1 (ko) 차문 보호용 패킹
GB2593046A (en) A device for protection of a vehicle's paintwork
JP3030700U (ja) ドアミラーの傷つき防止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