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763A -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763A
KR20160112763A KR1020150039034A KR20150039034A KR20160112763A KR 20160112763 A KR20160112763 A KR 20160112763A KR 1020150039034 A KR1020150039034 A KR 1020150039034A KR 20150039034 A KR20150039034 A KR 20150039034A KR 20160112763 A KR20160112763 A KR 2016011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drug
housing
actuator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중
Original Assignee
(주)엠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큐어 filed Critical (주)엠큐어
Priority to KR102015003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763A/ko
Publication of KR201601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보내는 송신부가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모터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약물이 저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설치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상기 몸체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을 분출시키는 플런저로 이루어진 주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약물 주입과 주입되는 약물 양의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Injector with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조작으로 약물을 피부에 자동 주입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은 소화관을 통하지 않고 약물을 전신적이나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위장관 부작용을 줄여줄 수 있는 등 경구로 투여되는 약물보다 적은 용량으로도 충분한 약효를 얻을 수 있다.
보통 약물의 주입은 환자에게 주입하고자 약물을 의사가 처방하고, 간호사가 약물이 들어 있는 주사기를 환자의 주사 위치에 대고 약물을 주입하는 형태이다.
예를 들면, 치료를 목적으로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사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한손으로 주사기 본체와 플런저를 잡은 상태에서 플런저를 밀어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주사기로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주사기 본체와 플런저를 잡은 손이 흔들릴 경우 주사 위치를 정확히 잡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런저를 누르는 과정에서 손이 흔들릴 경우 주사바늘에 의해 피부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볼 때 위험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 10-2010-0129026호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2. 한국공개특허 10-2013-0115542호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약물이 저장된 약물주입기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눌러 원격으로 피부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만으로 약물의 주입속도나 주입량을 원격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는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보내는 송신부가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모터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약물이 저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설치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상기 몸체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약물을 분출시키는 플런저로 이루어진 주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액츄에이터(서보모터)의 축(모터축)에 연결되어 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선단에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봉의 회전시에 상기 몸체 내외부를 직선운동하여 약물을 상기 주사바늘 쪽으로 밀어내는 가압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가압봉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어 회전봉이 회전할 때 가압봉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억제돌기가 후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스위치를 깊게 누를수록 상기 주사기 내부의 약물 주입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부는 적외선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부는 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져 송신부와 수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누르기만 하면 약물이 주사바늘을 통하여 환자의 피부에 주입되므로 약물 주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으로 약물의 주입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주입기를 파지하지 않은 손으로 리모프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때문에 약물주입기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원하는 위치에 적절한 양의 약물을 안전하게 주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부분절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의 부분절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는 리모트 컨트롤러(10)와,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수신부(30)와,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40)와,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50)와,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설치되고 약물을 저장하는 주사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는 스위치(11)와, 상기 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보내는 송신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11)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일측에 가압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송신부(12)는 적외선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부(1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는 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져, 송신부(12)와 수신부(30)는 적외선 통신을 한다. 부연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스위치(11)를 누르면 그 신호가 적외선 발광부인 송신부(12)를 통하여 송신되고 이 신호를 적외선 수광부인 수신부(30)가 수신하다. 이렇게 수신부(30)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상기 하우징(20)은 2개로 분할된 상부하우징(21)과 하부하우징(22)의 결합에 의하여 완성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1)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이 조작버튼에는 전원버튼(21a)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기능버튼들이 구비된다.
상기 기능버튼에는 약물의 주입량을 늘리는 주입량 업버튼(21b)과, 약물의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주입량 다운버튼(21c)이 포함된다. 그리고, 수동으로 플런저(63)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버튼(21d)과 플런저(63)를 후진시키기 위한 후진버튼(21e)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2)은 내측면에 걸림턱(22a)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하우징(22)은 상부하우징(21)과 클립 결합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배터리(23)가 설치되고, 후단에 DC잭(24)이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23)는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DC잭(24)은 상기 배터리(23)의 충전을 위한 것이다.
상기 수신부(30)는 앞서 기재한 것처럼 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송신부(12)와 적외선 통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30)는 상기 송신부(12)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조작신호를 받고, 이 조작신호는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신부(30)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제어부(40)는 전원버튼(21a)이나 여러 가지 기능버튼 등과 접속되고, 상기 액츄에이터(50)와도 전기적인 회로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정역회전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적용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50)는 제어부(40) 및 배터리(23)와 전기적인 회로구성으로 연결되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회전량, 회전속도, 회전방향 등이 제어되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사기(60)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선단에 설치되는 주사바늘(62)과, 상기 몸체(61) 내부로 진입하는 플런저(6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61)는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피부에 주사할 약물이 저장된다.
상기 주사바늘(62)은 상기 몸체(61)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를 찌름과 아울러 이 주사바늘(62)을 통하여 약물이 외부로 분출된다.
상기 플런저(63)는 상기 몸체(61) 내부의 약물을 상기 주사바늘(62)을 통해 분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봉(63-1)과, 가압봉(6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63-1)은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축, 즉 서보모터의 모터축에 커플러에 의해 연결되어 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한다.
상기 가압봉(63-2)은 상기 몸체(61)의 내부에 삽입되어 몸체(61) 내부의 약물을 가압함으로써 외부로 약물이 분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봉(63-2)은 상기 회전봉(63-1)의 선단에 스크류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봉(63-2)은 후단에 회전억제돌기(63-2a)가 형성된다. 이 회전억제돌기(63-2a)는 상기 하부하우징(22)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2a)에 일측면이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0)가 작동을 하여 축이 회전하여도 가압봉(63-2)은 회전을 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액츄에이터(서보모터)의 축이 회전하게 되면 축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봉(63-1)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봉(63-1)에 스크류 결합된 가압봉(63-2)은 회전억제돌기(63-2a)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봉(63-1)의 회전운동은 가압봉(63-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가압봉(63-2)은 몸체(61) 내외부를 직선운동하게 되고, 액츄에이터(50)의 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몸체(61) 내부로 진입하여 약물을 주사바늘(62) 쪽으로 밀어낸다. 반대로 액츄에이터(50)의 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몸체(61) 외부 방향으로 가압봉(63-2)이 이동하게 된다.
앞서, 상기 하우징(20)에는 전원버튼(21a), 주입량 업버튼(21b), 주입량 다운버튼(21c), 전진버튼(21d), 후진버튼(21e) 등이 구비된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이러한 버튼들의 기능과 구성 및 사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원버튼(21a), 주입량 업버튼(21b), 주입량 다운버튼(21c), 전진버튼(21d), 후진버튼(21e) 등은 상기 제어부(40)와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버튼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40)의 출력 제어에 의해 액츄에이터(50)의 작동(회전량, 회전방향 등)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조작이 없어도 위와 같은 여러 가지 버튼들의 조작으로 주사기(60) 내부의 약물 분출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버튼(21a)은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기의 ON/OFF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전원버튼(21a)의 누름조작시 기기 내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기기 작동을 위한 준비가 갖추어지게 된다.
상기 주입량 업버튼(21b)을 반복해서 누름 조작하게 되면 약물 주입량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주입량 다운버튼(21c)을 반복해서 누름 조작하게 되면 약물 주입량이 단계적으로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진버튼(21d)을 누름 조작하게 되면 플런저(63)의 가압봉(63-2)이 전진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후진버튼(21e)을 누름 조작하게 되면 플런저(63)의 가압봉(63-2)이 후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진버튼(21d)은 피부에 약물을 주입하기 전에 가압봉(63-2)을 전진시켜 주사바늘(62)의 빈 공간을 약물로 채울 때 사용하고, 후진버튼(21e)은 주사기(60) 내부의 약물을 모두 소진한 상태에서 플런저(63)의 가압봉(63-2)을 복귀시킬 때 사용한다. 즉, 주사기(60)의 약물을 모두 사용한 후 다음 시술을 위해 후진버튼(21e)을 눌러 가압봉(63-2)을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스위치(11)는 깊게 누를수록 상기 주사기(60) 내부의 약물 주입속도가 빨라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조직에 주입되는 약물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스위치(11)를 얕게 누르면 그 신호가 상기 수신부(30)에 전달되고, 다시 그 신호는 수신부(30)를 거쳐 제어부(40)로 전달된다. 이렇게 되면 제어부(40)는 얕게 눌러진 스위치(11)의 가압 정도를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50)의 회전속도를 그 신호에 맞게 제어한다. 만약 스위치(11)를 이전보다 좀 더 깊게 누른다면 제어부(40)는 액츄에이터(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10: 리모트 컨트롤러 11: 스위치
12: 송신부 20: 하우징
21: 상부하우징 21a: 전원버튼
21b: 주입량 업버튼 21c: 주입량 다운버튼
21d: 전진버튼 21e: 후진버튼
22: 하부하우징 22a: 걸림턱
23: 배터리 24: DC잭
30: 수신부 40: 제어부
50: 액츄에이터 60: 주사기
61: 몸체 62: 주사바늘
63: 플런저 63-1: 회전봉
63-2: 가압봉 63-2a: 회전억제돌기

Claims (7)

  1.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보내는 송신부(12)가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10)와;
    다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송신부(12)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0)와;
    상기 수신부(30)로부터 조작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50)와;
    상기 하우징(20)의 선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약물이 저장된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선단에 설치되는 주사바늘(62)과,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에 상기 몸체(61)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주사바늘(62)을 통해 약물을 분출시키는 플런저(63)로 이루어진 주사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60)의 액츄에이터(50)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63)는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축에 연결되어 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는 회전봉(63-1)과;
    상기 회전봉(63-1)의 선단에 스크류 결합되어 회전봉(63-1)의 회전시에 상기 몸체(61) 내외부를 직선운동하여 약물을 상기 주사바늘(62) 쪽으로 밀어내는 가압봉(6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걸림턱(22a)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63)의 가압봉(63-2)은 상기 걸림턱(22a)에 걸림되어 회전봉(63-1)이 회전할 때 가압봉(63-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억제돌기(63-2a)가 후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스위치(11)를 깊게 누를수록 상기 주사기(60) 내부의 약물 주입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가 설치되고, 후단에 상기 배터리(23)의 충전을 위한 DC잭(2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의 송신부(12)는 적외선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부(30)는 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져 송신부(12)와 수신부(30)는 적외선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KR1020150039034A 2015-03-20 2015-03-20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KR20160112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34A KR20160112763A (ko) 2015-03-20 2015-03-20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34A KR20160112763A (ko) 2015-03-20 2015-03-20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63A true KR20160112763A (ko) 2016-09-28

Family

ID=5710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034A KR20160112763A (ko) 2015-03-20 2015-03-20 리모트 컨트롤러가 적용된 약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7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26A (ko) 2009-05-29 2010-12-08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130115542A (ko) 2012-04-12 2013-10-22 정은주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26A (ko) 2009-05-29 2010-12-08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130115542A (ko) 2012-04-12 2013-10-22 정은주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1110B (zh) 藥物輸送裝置
EP1843808B1 (en) Device for delivering medicament
US6599272B1 (en) In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RU25311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ее сигн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обратной связи
EP2490734B1 (en) Auto injector with automatic needle shielding
US8834419B2 (en) Reusable auto-injector
JP6864026B2 (ja) 電動機能を有する無針注射器
JP5066177B2 (ja) 張力ばねおよび張力要素を有する注射装置
CN101912649B (zh) 用于注射所分配剂量的液体药物的设备
JP4864863B2 (ja) 自動注射器
KR101543931B1 (ko) 약물 전달 장치
KR101536829B1 (ko) 약물 전달 장치
JP2009514572A (ja) 自動注射器を作動させるトリガ要素
EP2624886B1 (en) Shutter mechanism for auto-injector
KR101688047B1 (ko) 슬라이드 스위치를 갖춘 휴대용 자동 약물주입기
KR101525854B1 (ko) 휴대용 자동 약물주입기
JP2016539741A (ja) 投与量選択可能注射装置
EP2224980A1 (en) Auto injector with changing anchor locations for a mechanical driver
GB2461085A (en) Auto-injector that can be filled from a vial
KR20190101062A (ko) 무통 마취 주사장치
JP2021514210A (ja) 自動注射薬物送出装置
WO2015160600A1 (en) Medication delivery device
KR102359519B1 (ko) 안전 하우징 기반 이식물/약제 주입 시스템
KR101648056B1 (ko) 자동약액주입장치
EP2035063A1 (en) A vial system and method for needle-less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