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194A -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194A
KR20160112194A KR1020150037448A KR20150037448A KR20160112194A KR 20160112194 A KR20160112194 A KR 20160112194A KR 1020150037448 A KR1020150037448 A KR 1020150037448A KR 20150037448 A KR20150037448 A KR 20150037448A KR 20160112194 A KR20160112194 A KR 2016011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late
decorative
printed
transparent resin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분
다카오 이와다
Original Assignee
김태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분 filed Critical 김태분
Priority to KR102015003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194A/ko
Publication of KR2016011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F21Y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02B2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명 두께의 큰 변화 없이 입체효과를 갖는 장식 무늬를 나타내고, 투명 수지판 또는 투명 필름의 양면 인쇄를 이용하여 장식 무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판 방식의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전면에 중첩되어 구성되며, LED 점등 시 인쇄된 장식이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장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 장식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투명 수지판; 및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의 소정의 영역에 각각 장식이 인쇄된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LED LIGHTING DEVICE HAVING THREE-DIMENSIONAL DECORATION}
본 발명은 입체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LED 발광면에 조명으로서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입체 장식 무늬를 인쇄하여 LED 점등 시 입체 무늬가 표시되도록 하는 입체장식을 갖는 LED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LED를 사용한 조명기구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직하방식과 도광방식이 있다.
도광방식의 LED 조명기구에서는 도광판이라 불리는 판의 종단면으로부터 LED 광을 도광하여 발광면을 조명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LED 조명기구는 조명 기능을 넘어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하여 광고 기능을 수행하거나 인테리어적 효과를 주기 위해 발전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9359호(2008.09.01. 공개)에서는 실내,외 광고 및 실내의 Display 액자형 스탠드에 있어서 투명 부재판에 문자, 기호 등에 색광선의 굴절반사가 완벽하게 되지 못한 부분을 개선, 스크래치(Scratch) 명각 방식에 특정한 도형식 스크래치 방식을 적용 개선하여 명각함으로, 이를 투과하는 광선의 반사, 굴절을 이용, 투명부재인 아크릴 플라스틱, 유리, 크리스탈 등의 표면에 색채가 더욱 고르게, 선명하며, 입체적이고, 환상적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복수의 밀착중첩된 투명 소재 중 아크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보드(Display Board)와 디스플레이 액자형 스탠드, 또한 그 후면부에는 LED의 외형이 변형된 전광판 기능의 광고보드가 결합되어져 복합적 기능으로 문자, 그림의 표현과 점열효과 등이 표현되는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액자조명 스탠드 및 광고보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은 복수개의 투명 부재판에 스크래치 명각 방식으로 직접 도형화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조명 기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조명 두께의 큰 변화 없이 입체효과를 갖는 장식 무늬를 나타내기 위한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수지판의 양면 인쇄를 이용하여 장식 무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 방식의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전면에 중첩되어 구성되며, LED 점등 시 인쇄된 장식이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장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 장식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투명 수지판; 및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의 소정의 영역에 각각 장식이 인쇄된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명 수지판의 전면 인쇄층 위에 광확산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동일하게 인쇄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서로 어긋나도록 인쇄하여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하나의 장식 무늬를 원근 영역으로 분리되도록 인쇄하여 원근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모양으로 인쇄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여러 무늬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식 인쇄층는 색조 및 농담의 변화로 광 투과 차이를 주기 위해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및 흰색의 투명 잉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장식 무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체 장식부는 투명 수지판의 두께를 조절하여 장식 무늬의 입체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광판은, 이면에 미세패턴이 인쇄되는 투명 아크릴 수지판;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 표면에 적층되는 확산 필름; 및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 이면에 적층되며, 일면에 백색 도료를 도포한 알루미늄 도금 철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적층되는 확산 필름과 알루미늄 도금 철판은 각각 서로 맞닿는 4개의 모서리 면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체화된 도광판에 직접 조립되는 분리형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프레임은, 도광판 4개의 측면에 끼워지는 4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도광판 4개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4개의 코너 프레임; 상기 4개의 측면 프레임 중 서로 바라보는 2개의 프레임 안쪽에 안착되는 LED 모듈; 전원 공급 컨버터로부터 LED 모듈과 연결되는 전원 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컨버터 스테이; 및 상기 프레임 및 컨버터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에 의하면, LED 조명 두께의 큰 변화 없이 입체 무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판의 양면 인쇄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장식 무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수지판의 양면에 무늬, 색조 및 농담을 달리한 인쇄를 실시하여 조명 점등 시 입체적 장식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에 따라 입체 효과를 갖도록 도광판 전면에 장식 인쇄부가 중첩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동일하게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서로 어긋나도록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원근 영역으로 분리되도록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모양으로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색조 및 농담의 변화로 광 투과 차이를 주기 위한 인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 각도에 따라 입체 효과를 갖도록 도광판 전면에 장식 인쇄부가 중첩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LED 조명기구가 입체 장식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도광판(100) 전면에 입체 장식부(300)가 중첩된다.
상기 입체 장식부(300)는 투명 수지판(310)과 상기 투명 수지판(310) 전면과 후면에 장식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20,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 수지판(310) 전면의 장식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20) 표면에 광확산 인쇄층(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인쇄층(미도시)은 필름이 아닌 잉크로 광 확산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투명 수지판(310)의 두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투명 수지판(310) 전면에 광확산 인쇄를 실시하는 이유는 각각의 장식 무늬가 동일한 발광에 의한 입체적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명 수지판(310)의 다양한 입체 효과를 갖도록 하는 장식 무늬 인쇄의 실시예를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식의 입체 효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각형 및 원형 무늬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 무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동일하게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판(310) 전면과 후면의 동일한 위치에 사각형 무늬가 인쇄된 장식 인쇄층(320,330)이 형성된다.
오른쪽 측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 수지판(310) 전면과 후면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무늬가 인쇄된 경우에는 왼쪽 사시도에서와 같이 시야 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서로 어긋나도록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판(310)의 전면 장식 인쇄층(320) 중앙에는 4개의 사각형 무늬가 인쇄되고, 후면 장식 인쇄층(330)에는 전면에 인쇄된 4개의 사각형 무늬의 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9개의 사각형 무늬가 인쇄된다.
오른쪽 측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 장식 인쇄층(320)과 후면 장식 인쇄층(330)의 무늬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왼쪽 사시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의 4개의 사각형 무늬가 입체적으로 떠오른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원근 영역으로 분리되도록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판(310)의 전면 장식 인쇄층(320) 중앙에 하나의 사각형 무늬를 인쇄하고, 후면 장식 인쇄층(330)에는 전면 장식 인쇄층(320)에 인쇄된 사각형 무늬를 중앙으로 사각 띠를 갖도록 인쇄한다.
오른쪽 측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 장식 인쇄층(320)의 사각형 무늬가 후면 장식 인쇄층(330)에 인쇄된 사각 띠 내부 공간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면에서 장식 무늬를 바라보면 왼쪽 사시도와 같이 전면 장식 인쇄층(320) 중앙에 위치한 사각 무늬가 입체적으로 떠오른 효과를 줄 수 있다.
즉, 시야에서 가깝고 먼 영역을 분리하여 전면과 후면에 나눠서 인쇄를 실시하면 디테일한 입체 장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무늬가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모양으로 인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장식 인쇄층(320)에는 사각형 무늬를, 후면 장식 인쇄층(330)에는 원형 무늬를 인쇄한다.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는 사각형 무늬에 원형 무늬가 가려져서 보이지 않게 되지만 시야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새로운 무늬가 보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 인쇄층의 색조 및 농담의 변화로 광 투과 차이를 주기 위한 인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수지판(310)을 기준으로 전면 장식 인쇄층(320)과 후면 장식 인쇄층(330)에 각각 서로 다른 색조 및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동일한 무늬 또는 서로 다른 무늬를 인쇄한다.
상기 서로 다른 색조는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및 흰색의 투명 잉크를 사용하여 서로 겹치게 하거나 농담에 변화를 주어 광투과 차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입체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판(310)의 두께를 조절하여 다양한 렌즈효과 및 광 투과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투명 수지판을 이용하여 원근의 단계를 다단으로 구성하면 보다 세밀하고 효과적인 3차원 화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00)은,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 확산 필름(104) 및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 이면에는 미세패턴(103)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은 알루미늄 판에 반사필름을 중첩하여 형성시는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일면에 백색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의 두께는 0.4mm~0.6mm 사이가 바람직하며, 특히 0.5mm로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필름(104)은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 표면에 적층되고, 상기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은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 이면에 적층된다.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적층되는 확산 필름(104)과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은 각각 서로 맞닿는 4개의 모서리 면이 접착부재(107)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접착부재(107)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이며, 상기 접착제는 투명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접착부재(107)는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 4개의 모서리 표면과 이면에 부착되어 표면에는 확산 필름(104)이, 이면에는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이 적층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107)는 확산 필름(104)과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에 부착되어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접착부재(107)는 서로 맞닿는 모서리 면 중 어느 구성 요소에 부착되어도 무관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부재(10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서리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은 4mm~6mm 사이가 바람직하며, 특히 5mm로 제작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기구의 프레임 유닛(200)은, 투명 아크릴 수지판(102)를 기준으로 표면에는 확산 필름(104)이, 이면에는 알루미늄 도금 철판(106)이 서로 맞닿는 면 4개의 모서리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구성된 접착부재(107)에 의해 부착된 도광판(100)과, 상기 도광판(100) 전면에 투명 수지판(310) 및 상기 투명 수지판(310) 전면과 후면에 장식 무늬가 인쇄된 인쇄층(320,330)으로 구성된 입체 장식부(300)와, 4개의 측면에 끼워지는 4개의 측면 프레임(3)과, 상기 일체화된 도광판(100)의 4개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4개의 코너 프레임(4)과, 상기 4개의 측면 프레임(3) 중 서로 바라보는 2개의 프레임(3) 안쪽에 안착되는 한 쌍의 LED 모듈(2)과, 전원 공급 컨버터(8)로부터 LED 모듈(2)과 연결되는 전원 선(10)을 가이드하기 위한 컨버터 스테이(6)와, 상기 측면 프레임(3)에 컨버터 스테이(6)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트(5)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3)과 코너 프레임(4)은 알루미늄 압출 형틀이다.
조립하는 과정은 4개의 측면 프레임(3)을 일체화된 도광판(100) 측면에 끼우고, 4개의 코너 프레임(4)을 각각의 모서리에 위치한 후, 나사(5)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고정한다.
그리고, 컨버터 스테이(6)를 상/하 측면 프레임(3)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탭핑 비스(7)로 고정한다.
LED 모듈(2)로의 전원 공급은 컨버터 스테이(6) 내측으로 가이드된 전기선(1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에 의하면, 무늬의 어긋남, 무늬의 겹침 및 무늬 차이와,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및 흰색을 포함하는 투명잉크 4색의 겹침에 따라 달라지는 색조 및 농담으로 인한 광 투과 차이와, 투명 수지판의 두께 차이로 인한 입체효과가 렌즈효과와 시너지 작용하여 깊이감 있는 입체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LED 조명 두께의 큰 변화 없이 입체 장식 무늬를 표시할 수 있다.
2 : LED 모듈 3 : 측면 프레임
4 : 코너 프레임 5 : 볼트
6 : 컨버터 스테이 7 : 탭핑 비스
8 : 컨버터 100 : 일체화된 도광판
102 : 투명 아크릴 수지판 103 : 미세패턴
104 : 확산 잉크 105 : 투명 접착제
106 : 알루미늄 도금 철판 200 : 프레임 유닛
300 : 입체 장식부 310 : 투명 수지판
320,330 : 장식 인쇄층

Claims (10)

  1. 도광판 방식의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전면에 중첩되어 구성되며, LED 점등 시 인쇄된 장식이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장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 장식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투명 수지판; 및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의 소정의 영역에 각각 장식이 인쇄된 장식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판의 전면 인쇄층 위에 광확산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동일하게 인쇄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서로 어긋나도록 인쇄하여 입체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하나의 장식 무늬를 원근 영역으로 분리되도록 인쇄하여 원근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층은 장식 무늬를 상기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다른 모양으로 인쇄하여 시야 각도에 따라 여러 무늬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인쇄층는 색조 및 농담의 변화로 광 투과 차이를 주기 위해 빨강, 노랑, 파랑, 검정 및 흰색의 투명 잉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투명 수지판 전면과 후면에 장식 무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장식부는 투명 수지판의 두께를 조절하여 장식 무늬의 입체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이면에 미세패턴이 인쇄되는 투명 아크릴 수지판;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 표면에 적층되는 확산 필름; 및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 이면에 적층되며, 일면에 백색 도료를 도포한 알루미늄 도금 철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투명 아크릴 수지판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적층되는 확산 필름과 알루미늄 도금 철판은 각각 서로 맞닿는 4개의 모서리 면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된 도광판에 직접 조립되는 분리형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프레임은,
    도광판 4개의 측면에 끼워지는 4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도광판 4개의 모서리에 끼워지는 4개의 코너 프레임;
    상기 4개의 측면 프레임 중 서로 바라보는 2개의 프레임 안쪽에 안착되는 LED 모듈;
    전원 공급 컨버터로부터 LED 모듈과 연결되는 전원 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컨버터 스테이; 및
    상기 프레임 및 컨버터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KR1020150037448A 2015-03-18 2015-03-18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KR20160112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48A KR20160112194A (ko) 2015-03-18 2015-03-18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448A KR20160112194A (ko) 2015-03-18 2015-03-18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94A true KR20160112194A (ko) 2016-09-28

Family

ID=5710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448A KR20160112194A (ko) 2015-03-18 2015-03-18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73A (ko) * 2019-11-26 2021-06-03 이찬응 입체감이 증대된 상품진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73A (ko) * 2019-11-26 2021-06-03 이찬응 입체감이 증대된 상품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5274A1 (en) Panel light source for back-lit signs
US20060265919A1 (en) Transparent light-conducting module
KR20080079359A (ko)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JP5651840B2 (ja) 図柄表示装置
KR20030012696A (ko) 광고와 조명 인테리어 표시매체 및 간접광고 조명등
KR100809959B1 (ko) 발광부를 구비한 광고장치
KR20110003225A (ko) 3차원 입체 광고
KR20160112194A (ko) 입체 장식을 갖는 led 조명기구
CN101307881A (zh) 牌匾照明用平面光源
KR101000452B1 (ko)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20150001466U (ko) Led광고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86701A (ko) 돌출투광체와 광간섭판에 의한 입체 광고 효과를 갖는 싸인광고장치
WO2019071935A1 (zh) 一种镂空led屏装置及其实现方法
KR20160112195A (ko) 요철판을 갖는 장식용 led 조명기구
KR20100041723A (ko) 광고 와 인테리어 간접조명 표시매체
CN207663702U (zh) 一种层叠式动态画面显示装置
JP2003050555A (ja) 屋外用看板装置
KR100338715B1 (ko) 투명 아크릴 플라스틱 판의 조각면을 이용하여 다양한조명을 연출하는 조명 간판 및 등갓 조명 스탠드
JP2005053025A (ja) 多次元装飾内部描画像を有する表示パネル
JPH06274113A (ja) 表示装置
CN217655656U (zh) 一种叠影发光装置
JP2001030698A (ja) 展示パネル装置
US11987071B2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169497U (ja) 照明付き額縁
TW201344656A (zh) 發光展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