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52B1 -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452B1
KR101000452B1 KR1020080027790A KR20080027790A KR101000452B1 KR 101000452 B1 KR101000452 B1 KR 101000452B1 KR 1020080027790 A KR1020080027790 A KR 1020080027790A KR 20080027790 A KR20080027790 A KR 20080027790A KR 101000452 B1 KR101000452 B1 KR 10100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plate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381A (ko
Inventor
박휴완
Original Assignee
박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휴완 filed Critical 박휴완
Priority to KR102008002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45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5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설치 홈이 형성된 모듈용 판재와, 상기 설치 홈에 설치되어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후면에 빛반사부가 형성된 다수의 도광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광판에 형성된 빛 반사부나 빛 반사판를 통해 조명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큰 사이즈의 도광판을 다수개의 소형 도광판으로 분할하여 모듈화하고 각각의 소형 도광판 측면부에는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 단위 면적당 밝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모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도광판을 모듈화하여 두께가 얇은 사인 및 조명 장치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곽 프레임이 없어 가볍고, 설치나 A/S가 용이하며, 모듈용 판재와 도광판을 분리 가공함으로써 생산성이 증가되고, 불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도광판의 형상 부분만 집중 조명되도록 하여 조명 효율이 높으면서도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마다 다양한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의 색상 밝기 등을 다르게 하거나, 도광판 형상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투명한 모듈 판재를 사용하여 모듈용 판재를 직접 빛반사부나 장식용 여백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느낌의 사인 및 조명장치 기능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시각 효과 및 디자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듈용 판재, 도광판, 설치홈, 광원부, 빛반사홈

Description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Apparatus for lighting using the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용 판재를 이용해 다수의 도광판을 모듈화하고, 도광판의 형상 부분만을 집중 조명할 수 있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을 이용한 사인 및 조명장치는 냉음극선 램프(CCFL)나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광원을 통해 판 형상의 투광성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도광판에 빛을 투사함에 따라 실내용 조명, 인테리어, 및 광고 패널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는 큰 사이즈의 하나의 도광판 일측 이나 이측 또는 전외주면에만 광원을 설치하여 밝기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광판의 일측 이나 이측 또는 전외주면에 광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곽 후레임 필요하여 장치가 무겁고, 다양한 디자인의 사인 및 조명장 치를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광원을 통해 도광판에 입사된 빛이 필요한 글자 그림 모양 등의 형상 부분만을 집중 조명하지 않고 하나의 큰 사이즈의 도광판 전면을 투사하고 있으며 이때 빛 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빛 이용효율이 낮아 에너지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는 하나의 도광판을 사용하여 글자 그림 모양 등의 형상 부분을 조명하고 있어, 다양한 형상이나 색을 갖는 디자인이나 글자 등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사이즈의 도광판을 다수개의 소형 도광판으로 분할하여 모듈용 판재로 도광판들을 모듈화하고, 각각의 소형 도광판 측면부에는 광원을 설치하여 밝기를 향상시키고, 도광판을 모듈화하여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별도의 외곽 후레임이 없어 가볍고, 설치나 A/S가 용이하며, 도광판과 모듈용 판재를 분리 가공하여 생산성은 증가되면서 불량이 감소될 수 있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빛반사부나 반사판을 설치하여 도광판을 통해 투사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용 판재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도광판을 이용하여 각각의 도광판의 색, 밝기, 모양 등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이나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판의 형상 부분만을 집중 조명할 수 있어 빛의 외부 손실이 방지되어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고, 도광판의 외곽 프레임이 불필요해지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모듈 판재를 사용하여 모듈 판재를 직접 빛 반사부나 장식용 여백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하고 미려한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설치홈이 형성된 모듈용 판재와,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후면에 빛반사부가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도광판에 삽입 또는 매립되어 도광판에 빛을 방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광원부은 후면부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자체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보호커버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빛반사부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빛반사홈 또는 빛반사 인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의 후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면측으로 반사시키는 빛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용 판재는 투명한 재질이거나, 또는 상기 모듈용 판재는 그 전면층이 투명하고, 그 후면층이 유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용 판재는 상기 설치홈의 간격을 다르게 하여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 중앙부나 일측 부분에 장식용 여백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용 여백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상기 장식용 여백쪽으로 빛을 방사하도록 광원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빛반사홈 또는 빛반사 인쇄층을 형성하거나, 칼라 필름이 부착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용 판재의 측면부에 광원이 설치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에 광원이 매립되어 상기 모듈용 판재 자체가 빛을 방사하는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보다 전면 방향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도광판은 색, 밝기,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에 따르면, 도광판에 형성된 빛 반사부이나 빛 반사판을 통해 조명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큰 사이즈의 도광판을 다수개의 소형 도광판으로 분할하여 모듈화하고 각각의 소형 도광판 측면부에는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 단위 면적당 밝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모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도광판을 모듈화하여 두께가 얇은 사인 및 조명 장치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곽 프레임이 없어 가볍고, 설치나 A/S가 용이하며, 모듈용 판재와 도광판을 분리 가공함으로써 생산성이 증가되고, 불량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의 형상 부분만 집중 조명되어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고, 도광판마다 다양한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의 색상, 밝기 등을 다르게 하거나 도광판 형상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광원이 모듈용 판재에 의해 은폐되어 있어 도광판의 외곽 프레임이 필요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듈용 판재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 도광판이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보다 전면 방향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빛 투사 각도를 증대시키거나 전체적으로 외곽 테두리 부분을 돌출되어 보이도록 조명할 수 있어, 사인 또는 조명시 글자 또는 그림이 돌출되어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명한 모듈용 판재를 사용하여 모듈 판재를 직접 빛반사부나 장식용 여백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느낌의 사인 및 조명장치 기능을 할 수 있고, 광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명도, 조도, 및 채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느낌의 조명, 인테리어, 및 광고 패널 등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시각 효과 및 디자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설치 홈(110)이 형성된 모듈용 판재(100)와, 상기 설치 홈(110)에 설치되는 다수의 도광판(200), 상기 도광판(200)에 빛을 방사하는 광원부(300), 및 프레임 형태의 보호 커버(4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모듈용 판재(100)는 광원을 보호하면서 방열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투명판이나 인조 대리석, 알루미늄 등의 불투명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전면층(120)은 상기 도광판(20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도광판(200)의 양측면이 걸림 고정되도록 '└', 또는 '┛'자 형태의 걸림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홈(110)은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상기 광원부(30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홈(110)은 상기 도광판(200)과 상기 광원부(300)이 모두 삽입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와 깊이두께를 갖는 'ㅡ'자, 'l'자, 'ㄷ'자, 'ㅁ'자, 또는 그와 유사하거나 응용된 형태의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설치홈(110)은 중앙 부분에 상기 도광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20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 공간부(140)에 광원부(3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모듈용 판재(100)가 투명판인 경우에 그 전면층(120)은 투명하고 그 후면층(130)은 소정의 칼라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모듈용 판재(100)는 다층 구 조를 갖는 1장의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후면층(130)은 소정 색으로 페인트 또는 인쇄되거나, 칼라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설치홈(110)에 각각 설치되고,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후면에 빛반사부(210)를 포함하는데, 상기 빛반사부(210)는 'v'자 형태의 빛반사홈(211)이 형성되거나, 소정 패턴의 빛반사 인쇄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200)의 후면부에는 빛반사판(212)을 부착하여 빛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에 설치된 광원(3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도광판(200)에 투사되고, 투사된 빛은 도광판(200)의 후면에 형성된 빛반사홈(211)이나 빛반사인쇄층과 같은 빛반사부(210)에 의해서 도광판(200)의 전면부으로 반사되며 이때 빛반사부(210)에 의해 반사되지 못한 나머지 빛은 도광판(200)의 후면부에 부착된 빛반사판(212)에 의해 도광판의 전면부로 반사하게 되어 빛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원부(300)는 상기 도광판(200)에 빛을 방사하는 광원(310)과, 상기 광원(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데, 상기 광원(310)은 냉음극선 램프나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광원부(300)는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설치 공간부(140)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용 판재(100)에 의해 은폐된다.
상기 보호 커버(400)는 상기 광원부(300)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 부(30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광원부(300)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킨다. 이러한 보호 커버(4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광원부(300)를 상기 도광판(200)의 양측 종단부에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에는 삽입 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300)은 상기 삽입홈(23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200)은 모듈용 판재(100)의 설치홈(1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설치홈(110)에는 상기 광원부(300)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부(140)가 필요 없게 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삽입홈(230)이 관통되도록 관통홈(2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230a)에는 광원부(300)가 삽입 설치된 채로 상기 도광판(200)이 설치홈(110)에 모두 삽입된 후에도 모듈용 판재(100)에 의해 상기 도광판(200)과 광원부(30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부(300)는 도광판(200)의 관통홈(230a)에 삽입될 수 있어서 도광판(20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전면층(120)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전면층(120)보다 전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연장부(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240)는 빛 발산 각도를 광범위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인 또는 조명시 상기 도광판(200)의 전면에 있는 글자나 그림이 돌출되어 보이도록 할 수 있거나 빛 반사 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모듈용 판재(100)는 투명판이고, 설치홈(110)의 간격을 다르게 하여 중앙부나 일측 부분에 장식용 여백(120a)을 형성하여, 상기 장식용 여백(120a)의 상하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원부(320)를 더 설치한다.
일례로, 상기 모듈용 판재(100)는 중앙부에 상기 장식용 여백(12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양측에 2개의 삽입홈, 또는 관통홈을 각각 형성하고, 중앙부에 형성된 여백(120a)의 가장자리로 4개의 광원부(320)를 삽입 설치한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부(320)가 상기 장식용 여백(120a)에 이웃하는 설치홈(110), 삽입홈(230), 또는 관통홈(23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광원부(31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200)에 설치된 광원부(310)는 상기 도광판(200) 쪽으로 빛을 방사하고, 상기 광원부(320)는 장식용 여백(120a) 쪽으로 빛을 방사하도록 각각의 광원부(310, 320)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장식용 여백(120a)에는 장식용 도안, 글자, 홍보용 문구 등을 그려넣을 수도 있고, 또한 빛반사홈(211))이나 빛반사인쇄층과 같은 빛반사부(210)를 형성함으로써 모듈용 판재(100) 자체가 도광판 역할을 하여 다양한 느낌의 사인 및 조명 장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모듈용 판재(100)의 다수의 설치홈(110)에 도광판(200)을 설치하고,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 공간부(140)에 광원모듈(300)을 설치하여 상기 광원부(300)이 상기 모듈용 판재(100)에 의해 은폐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광원부(300)은 도광판(20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30)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광원부(300)은 상기 도광판(200)에 의해 은폐된다.
상기 도광판(200)은 광원부(300)을 통해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후면에 빛반사홈(211)이나 빛반사인쇄층과 같은 빛반사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에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빛 반사판(21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300)에서 빛이 방사되면, 도광판(200)에 입사된 빛이 도광판(200) 후면에 형성된 빛반사홈(211)이나 빛반사인쇄층과 같은 빛반사부(210)에 의해서 도광판(200)의 전면부으로 반사되며 이때 빛반사부(210)에 의해 반사되지 못한 나머지 빛은 도광판(200)의 후면부에 부착된 빛반사판(212)에 의해 도광판의 전면부로 반사하게 되어 빛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광원부(300)의 광원(3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 명도, 조도, 및 채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느낌으로 조명, 인테리어, 및 광고 패널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는 큰 사이즈의 도광판을 다수개의 소형 도광판으로 분할하여 모듈화하고 각각의 소형 도광판 측면부에는 광원을 설치하여 도광판 단위 면적당 밝기가 향상될 수 있으며, 모듈용 판재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도광판을 모듈화하여 두께가 얇은 사인 및 조명 장치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곽 프레임이 없어 가볍고, 설치나 A/S가 용이하며, 모듈용 판재와 도광판을 분리 가공함으로써 생산성이 증대되고, 불량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200)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광원부(30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도광판(200)의 형상 부분만 집중 조명되어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고, 광원이 은폐되어 있어 외부 손실이 방지되므로 도광판의 외곽 프레임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외곽에 설치된 도광판(200)에만 연장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외곽 테두리 부분을 돌출되어 보이도록 조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200)은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전면층(120)과 동일한 높이나 전면층(120)보다 전면 방향으로 더 돌출 연장된 연장부(240)가 형성되어 있어, 사인 또는 조명시 글자 또는 그림이 돌출되어 보이거나 빛반사 각도를 증대시 키는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모듈용 판재(1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도광판(200)은 다양한 광원부(300)를 도광판(200)마다 다르게 설치하여 도광판의 색상, 밝기 등을 다르게 하거나, 도광판의 형상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고, 투명한 재질의 모듈용 판재(100)를 직접 도광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용 판재(100)의 일부 공간에 장식용 여백(120a)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시각 효과, 디자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듈용 판재 110 : 설치홈
200 : 도광판 210 : 빛반사부
211 : 빛반사홈
212 : 빛반사판 300 : 광원부
400 : 보호커버

Claims (14)

  1.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후면부에서 도광판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후면층에 다수의 설치홈이 형성된 모듈용 판재와,
    상기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전면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빛반사부와,
    상기 도광판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도광판에 삽입 또는 매립되어 도광판에 빛을 방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후면부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자체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보호커버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반사부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빛반사홈 또는 빛반사 인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후면측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광된 빛을 전면측으로 반사시키는 빛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용 판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용 판재는 그 전면층이 투명하고, 그 후면층이 유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용 판재는 상기 설치홈의 간격을 다르게 하여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 중앙부나 일측 부분에 장식용 여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여백의 일측, 양측, 또는 전체 외주면에 상기 장식용 여백 쪽으로 빛을 방사하도록 하는 광원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 또는 후면에 빛반사홈 또는 빛반사 인쇄층을 형성하거나, 칼라 필름이 부착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2.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용 판재의 측면부에 광원부가 설치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에 광원부가 삽입 또는 매립되어 상기 모듈용 판재 자체가 빛을 방사하는 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거나, 상기 모듈용 판재의 전면층보다 전면 방향으로 더 돌출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색, 밝기,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080027790A 2008-03-26 2008-03-26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0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90A KR101000452B1 (ko) 2008-03-26 2008-03-26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90A KR101000452B1 (ko) 2008-03-26 2008-03-26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81A KR20090102381A (ko) 2009-09-30
KR101000452B1 true KR101000452B1 (ko) 2010-12-15

Family

ID=4135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7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0452B1 (ko) 2008-03-26 2008-03-26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1B1 (ko) 2011-04-15 2012-06-29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623B1 (ko) * 2009-05-08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130044136A (ko) * 2012-07-16 2013-05-02 유태근 에지형 엘이디 조명기기
KR101668198B1 (ko) * 2015-10-19 2016-10-20 송묘녀 발광 석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58Y1 (ko) * 2004-05-04 2004-08-21 김진우 발광 다이오드의 교체가 가능한 광발산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58Y1 (ko) * 2004-05-04 2004-08-21 김진우 발광 다이오드의 교체가 가능한 광발산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41B1 (ko) 2011-04-15 2012-06-29 주식회사 엘이디플러스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81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801B1 (ko) 도광판 조명장치
KR101000452B1 (ko) 도광판을 이용한 조명장치
JP4122964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2008256920A (ja) 看板用照明切文字
KR100937773B1 (ko) 도광판 조명장치
US20140071671A1 (en) T-bar lamp
KR101026881B1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KR20120118534A (ko) 측면 발광 광고장치
KR200444447Y1 (ko) 로고 표시 판넬의 양면발광 조명장치
KR101032470B1 (ko) 모듈화된 도광판 조명장치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KR200490473Y1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JP3141533U (ja) 導光板による自発光表示物
KR200288980Y1 (ko) 색상 가변 광고간판
WO2018133243A1 (zh) 一种多功能led平板灯
KR200230937Y1 (ko) 발광다이오드와 아크릴을 이용한 광고장치
KR20070051079A (ko) 스크래치보드 광고판
CN221378897U (zh) 一种发光广告牌
KR101531219B1 (ko) 조명장치
KR200366888Y1 (ko) 광고판
JP3169497U (ja) 照明付き額縁
KR200418917Y1 (ko) 도광판을 이용한 양면 광고판넬
KR20100010180U (ko) 평면 광원을 갖는 엘이디 복합 간판
KR20100050668A (ko) 간접 조명 광고판
KR100950090B1 (ko) 도광판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