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078A -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078A
KR20160112078A KR1020150036859A KR20150036859A KR20160112078A KR 20160112078 A KR20160112078 A KR 20160112078A KR 1020150036859 A KR1020150036859 A KR 1020150036859A KR 20150036859 A KR20150036859 A KR 20150036859A KR 20160112078 A KR20160112078 A KR 2016011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ag
optical
optical connector
power suppl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225B1 (ko
Inventor
김근용
김성창
김재인
이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225B1/ko
Priority to US15/070,340 priority patent/US9774404B2/en
Publication of KR2016011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6Arrangements for feeding power
    • H04B10/808Electrical power feeding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3Network aspects, e.g. central monitoring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2Star-type networks or tree-typ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 분배망에서의 광 접속적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인식장치는,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가 접속될 때 상기 광 커넥터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에 버스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태그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는,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시리얼 버스 통신에 의해 광 접속점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ptical connector connection}
본 발명은 광분배망(Optical Distribution Network) 관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광 접속점 인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광 커넥터 접속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동형 광가입자망 (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PON 이라 함) 기술은 점 대 다점 방식의 광가입자망 기술로서 IEEE 및 ITU-T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PON 링크당 1Gbps 또는 2.5G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EPON (Ethernet PON) 및 GPON (Gigabit-capable PON) 기술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링크당 10G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10G EPON 과 XG-PON (10 Gigabit-capable PON) 기술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와 있으며, 40Gbps를 목표로 하는 TWDM-PON (Tim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ON) 기술이 현재 ITU-T SG15에서 표준화 중이다.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으로 인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동형 광가입자망 기술에 대한 요구도 매우 높아졌다.
PON 기술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빠른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FTTH/B의 대표적인 기술로, 비교적 고가였던 광통신 기술을 낮은 비용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구리선 기반의 xDSL 및 HFC등 기존 기술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증가하는 광섬유, 노드에 비해 광 가입자 인프라 관리는 매뉴얼 방식 (종이 라벨 기반의 광 분배 포트 인식)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런 광 접속점들의 매뉴얼 연결 및 인식 방식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의 정확성을 떨어뜨려 빠른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광분배망 내에서 광커넥터와 광아답터 간의 접속관리는 현장 엔지니어에 의해 종이 라벨을 통해 식별을 하는 매뉴얼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망을 운영하고 있는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도 광분배망이 어떤 식으로 체결되어 있는지 엔지니어가 직접 현장에서 눈으로 확인하지 않는 한 알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신규 네트워크 서비스 가입자 또는 기존 가입자의 탈퇴로 인해 광분배함의 광커넥터 환경설정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다 보면 광분배함 내의 광 커넥터와 광 아답터 간 식별이 어려워 잦은 결속 에러 및 서비스 개통 지연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본의 NTT에서는 광분배망을 구성하는 광커넥터, 스플리터, 광단자함 등에 바코드 또는 QR (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활용하여 광섬유 인프라의 인식이 쉽도록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중국의 Huawei에서는 전자 ID 태그를 이용한 광분배망 관리 플랫폼으로 Intelligent OD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케팅 및 표준화에 노력하고 있다.
광분배망에서의 광 접속점 관리를 위해 광 커넥터의 접속 여부를 인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광 커넥터의 접속 인식을 위해 RFID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태그(tag)의 형상 제작이 자유롭지 못하고 특히 무선통신 기술이 구현된 리더부가 복잡해진다. 그러한 광 커네턱 접속 인식 기술에서 저가 구현 및 저전력 구동은 강력히 요구되는 사항들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가 구현이 가능한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의 일 양상(an aspect)에 따라,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는,
버스 전원을 제공하며, 광 아답터에 광 커넥터가 접속되는 지를 감지하는 전자태그 접속부와,
대응되는 광 케이블에 연결되는 상기 광 커넥터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며 버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버스 전원을 받아 구동되는 전자태그와,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광 아답터는 광 케이블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버스 전원은 전원전압 전원과 접지전압 전원을 제공하는 I2C 버스 전원 또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전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는 상기 광 아답터에 부착되거나 상기 광 아답터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버스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상기 전자태그 ID를 불휘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회로와, 상기 버스 전원을 상기 저장회로에 제공하며 상기 저장회로를 오동작 발생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는,
상기 버스통신을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신호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치와,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수신 시에 ID 유효성을 검사하고 저장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광 커넥터 접속 인식방법은,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 마다 광 커넥터 접속의 식별을 위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전자태그를 설치하고,
상기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가 동작 되도록 하기 위해 I2C 버스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시리얼 버스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분석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는,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가 접속될 때 상기 광 커넥터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에 버스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태그 접속부와,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시리얼 버스 통신에 의해 광 접속점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EEPROM과, 상기 EEPROM과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 간에 위치되어 회로 보호 기능을 행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버스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전압 전원단자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와,
상기 시리얼 버스 통신을 위한 신호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원전압 전원단자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는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에 상기 신호 단자들보다 먼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광 커넥터 접속 인식방법은,
복수의 광 아답터들에 대하여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복수의 광 커넥터들마다 광 접속 식별을 위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전자태그를 각기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광 아답터들마다 부착된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신 라인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 ID가 수신되고 수신된 전자태그 ID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광 아답터에 대응되는 광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인식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리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체크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광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인식되는 경우에 대응되는 전자태그 접속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은 설정된 표시 색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RFID 태그를 통한 인식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저가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기 설치된 광 분배함이나 광 스플리터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시 전원이 아닌 버스 전원으로 인식장치가 구동되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커넥터 접속 감지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전자태그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전자태그의 또 다른 예시적 구성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의 기본적 동작과 광 분배 망에 관한 세부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음을 유의(note)하라.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커넥터 접속 인식장치(100)는, 버스 전원을 제공하며 광 아답터(110-1)에 광 커넥터(200)가 접속되는 지를 감지하는 전자태그 접속부(112-1), 광 케이블에 대응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광 커넥터(200)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며 버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버스 전원을 받아 구동되는 전자태그(220), 및 상기 광 아답터(110-1)에 광 커넥터(200)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112-1)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220)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광커넥터 접속 인식장치(100)는 광분배망에서의 광파워 분배를 위해 광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광 단말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커넥터 접속 인식장치(100)에 복수의 광 아답터들(110-1, 110-2, 110-3, 110-n)이 설치되는 경우에 복수의 광 아답터들에는 복수의 전자태그 접속부들(112-1, 112-2, 112-3, 112-n)이 각기 하나씩 대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광 아답터(110-1)는 광 케이블(OF1)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14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광 아답터(110-2)는 광 케이블(OF2)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 아답터(110-3)는 광 케이블(OF3)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14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광 아답터(110-n)는 광 케이블(OFn)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전원은 5볼트 이하의 전원전압 전원과 0볼트의 접지전압 전원을 제공하는 I2C 버스 전원 또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전원일 수 있다.
전자태그 접속부(112-1)는 상기 광 아답터(110-1)에 부착되거나 광 아답터(110-1)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220)는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저장회로와 보호 회로를 도 3과 같이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120)는 상기 버스통신을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신호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치(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124)를 제어하며 상기 전자태그(220)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수신 시에 ID 유효성을 검사하고 저장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광 아답터(110-1)에 광 케이블(OF-a)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200) 마다 광 커넥터 접속의 식별을 위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전자태그(220)를 설치하여 둔다.
상기 광 아답터(110-1)에 광 케이블(OF-a)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220)가 동작 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태그 접속부(112-1)를 통해 버스 전원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스위치(124)가 통신 라인(L10)에 스위칭된 경우에 상기 전자태그(220)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는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112-1)와 상기 통신 라인(L10)을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122)에 제공된다. 결국,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상기 전자태그 ID를 시리얼 버스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획득된 전자태그 ID가 유효한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연결포트로서 기능하는 광 아답터에 광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 ID가 획득되지 않거나 전자태그 ID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상기 아답터에 광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았거나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통신 라인(L10)에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124)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전자태그 접속부(112-1)를 통해 대응되는 광 커넥터의 전자태그 ID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라인(Ln)에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124)가 연결된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전자태그 접속부(112-n)를 통해 대응되는 광 커넥터의 전자태그 ID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 ID는 I2C 통신을 통해 리드되거나 USB 통신을 통해 리드되어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에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상기 획득된 전자태그 ID를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광 커넥터 접속 인식의 동작 제어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2)가 I2C 또는 USB 통신 라인(예, L10)을 통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112-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체크 주기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112-1)가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124)에 연결될 때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112-1)는 전자태그 ID 획득부(120)로부터 버스 전원을 수신한다.
S210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124)를 제어하여 태그 정보 즉 전자 태그 ID 읽기를 시도한다.
S220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읽기 시도의 결과로서, 태그 정보 즉 전자 태그 ID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S230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수신된 태그 정보 즉 전자 태그 ID가 유효한지를 체크한다.
유효한 경우에 S240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광 커넥터가 광 아답터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여 정상접속 상태로 판정한다.
한편, 전자 태그 ID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된 상기 전자 태그 ID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S250 단계에서, 광 커넥터가 광 아답터에 접속되지 않았거나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인식하여 비정상 접속 상태로 판정한다.
수신된 전자태그 ID의 유효성 판단은 수신되는 전자 태그 ID가 미리 등록된 태그 ID 등록 테이블에 존재하는 지를 체크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국, 광 커넥터마다 대응되는 전자태그에는 각기 고유한 전자 태그 ID가 저장되고, 이는 태그 ID 등록 테이블에도 저장된다. 태그 ID 등록 테이블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광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인식되는 경우에 대응되는 전자태그 접속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은 설정된 표시 색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은 예컨대 그린(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한편, 비정상 연결 상태의 경우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은 예컨대 레드(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2)는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수신 시에 이를 ID 유효성을 검사 후 통신부(130)의 통신 라인을 통해 망 외부의 광 분배망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전자태그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태그(220)는, 상기 버스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상기 전자태그 ID를 불휘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회로(224)와, 상기 버스 전원을 상기 저장회로(224)에 제공하며 상기 버스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 인터페이싱 기능 및 상기 저장회로(224)를 오동작 발생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회로(220)는 상기 USB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전압 전원단자(VCC)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GND)와, 시리얼 버스 통신을 위한 신호 단자들(IFS)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들(VCC,GND)은 신호 단자들(IFS)에 비해 외부로 더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원전압 전원단자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는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에 상기 신호 단자들보다 먼저 연결된다. 결국, 전원단자들이 신호단자들보다 먼저 접속되면, 초기 전원인가 시 유효하지 않은 에러 값이 전자태그 ID 획득부(120)로 전달되는 것은 방지된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전자태그의 또 다른 예시적 구성도이다.
전자태그(220a)는,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EEPROM(224)과, 상기 EEPROM과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 간에 위치되어 회로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 회로(222)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케이블 접속 단자들(CP1-CP4)은 도 3에서의 전원전압 전원단자(VCC)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GND)와, 시리얼 버스 통신을 위한 신호 단자들(IFS)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라인들(SCL,SDA)은 I2C 통신을 위한 클럭 신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서, 도 3에서의 신호 단자들(IFS)에 대응된다.
도 4에서 EEPROM(224)과 마이크로프로세서(122)간의 신호 인터페이스는 I2C (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이나 낸드 또는 오아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는 I2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드된 전자태그 ID는 전자태그 접속부(112-1)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22)로 인가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태그 ID가 I2C 통신을 통해 주로 획득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USB 통신, SPI 통신 등이 전자태그 ID의 리드를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22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 (Spin-Transfer Torque MRAM), Conductive bridging RAM(CBRAM), FeRAM (Ferroelectric RAM), OUM(Ovonic Unified Memory)라고도 불리는 PRAM(Phase change RAM), 저항성 메모리 (Resistive RAM: RRAM 또는 ReRAM), 나노튜브 RRAM (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 (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중 적어도 하나로 대치될 수 있다.
스마트 광분배망 기술과 관련한 기술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T 에서는 SG15내에 WP2 “Optical access/transport network technologies and physical infrastructures”의 Q17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optical fiber cable networks” 그룹에서 Fiber O&M 이슈와 관련된 표준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광계층 관리의 자동화를 위한 기술발전 추이에 맞추어 L.gpsm, L.ofid와 같은 다양한 Fiber identification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FSAN (Full Service Access Network)에서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2011년 2/4분기 회의에서 Interoperability Task Group 아래에 "광분배망 감시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라는 주제로 새로운 스터디 그룹을 만들었다.
이 스터디 그룹의 목적은 광분배망 감시와 관련하여 FSAN의 망사업자 회원사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합한 기술적 해결책을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스터디 그룹의 작업은 BBF (BroadBand Forum)의 FAN (Fiber Access Network) WG과 협력으로 진행하여 BBF의 WT-287 기술 문서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후 2013년까지의 스터디 그룹 활동을 통해 BBF의 WT-287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기고서가 발표되었다.
BBF에서는 Operations & Network Management WG 산하에 WT-311 “Fiber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and Requirements” 에 관한 표준을 진행 중이다. WT-311은 2012년 5월 미국 New Mexico, Albuquerque 에서 개최된 BBF 2Q 미팅에서 Huawei, China Telecom, RITT, ZTE Corporation, Cambridge Industries Group Limited 사와 함께 Intelligent OD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구조 및 필요성에 대해 발표하였고. 2012년 11월 SD-311로 지정되어 스터디가 진행되었으며 2013년 9월 WT-311로 확정되어 2014년 11월현재 Ver. 4까지 진행 되었다.
광섬유, 광분배 프레임, 스플리터 및 커넥터 자동 인식을 통한 실시간 광분배망 관리를 위한 전자태그 기술이 요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구조가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설치된 광 분배함이나 광 스플리터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시 전원이 아닌 버스 전원으로 인식장치가 구동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RFID 태그를 통한 인식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저가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기 설치된 광 분배함이나 광 스플리터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시 전원이 아닌 버스 전원으로 인식장치가 구동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전자태그 ID 획득부
140: 광파워 분배기
220: 전자태그

Claims (15)

  1. 버스 전원을 제공하며, 광 아답터에 광 커넥터가 접속되는 지를 감지하는 전자태그 접속부;
    대응되는 광 케이블에 연결되는 상기 광 커넥터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며 버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버스 전원을 받아 구동되는 전자태그; 및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아답터는 광 케이블을 통해 광 파워 분배기에 연결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전원은 전원전압 전원과 접지전압 전원을 제공하는 I2C 버스 전원인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는 상기 광 아답터에 부착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는 상기 광 아답터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버스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상기 전자태그 ID를 불휘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회로; 및
    상기 버스 전원을 상기 저장회로에 제공하며 상기 저장회로를 오동작 발생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는,
    상기 버스통신을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신호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수신 시에 ID 유효성을 검사하고 저장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8.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 마다 광 커넥터 접속의 식별을 위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전자태그를 설치하고;
    상기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태그가 동작 되도록 하기 위해 I2C 버스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시리얼 버스 통신을 통해 획득하고 분석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ID는 상기 I2C 통신을 통해 리드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획득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전자태그 ID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방법.
  11. 광 아답터에 광 케이블을 연결하는 광 커넥터가 접속될 때 상기 광 커넥터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자태그 ID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태그에 버스 전원을 제공하는 전자태그 접속부; 및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시리얼 버스 통신에 의해 광 접속점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 전자태그 ID 획득부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전자태그 ID를 저장하는 EEPROM; 및
    상기 EEPROM과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 간에 위치되어 회로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버스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전압 전원단자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와,
    상기 시리얼 버스 통신을 위한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아답터에 상기 광 커넥터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전원전압 전원단자 및 접지전압 전원단자는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에 상기 신호 단자들보다 먼저 연결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ID 획득부는,
    상기 시리얼 버스 통신을 위해 상기 전자태그 접속부와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태그 ID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신호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스위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전자태그에 저장된 상기 전자태그 ID를 수신 시에 ID 유효성을 검사 후 통신 라인을 통해 광 분배망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KR1020150036859A 2015-03-17 2015-03-17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KR10201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59A KR102013225B1 (ko) 2015-03-17 2015-03-17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US15/070,340 US9774404B2 (en) 2015-03-17 2016-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ptical connector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59A KR102013225B1 (ko) 2015-03-17 2015-03-17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078A true KR20160112078A (ko) 2016-09-28
KR102013225B1 KR102013225B1 (ko) 2019-08-23

Family

ID=5692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59A KR102013225B1 (ko) 2015-03-17 2015-03-17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4404B2 (ko)
KR (1) KR102013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338B1 (ko) * 2021-05-06 2021-08-03 (주)블루코어컴퍼니 레이저용 광케이블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2083A (zh) * 2018-09-03 2018-12-21 北京国正信安系统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远程光纤跳接智能控制方法
CN109031539A (zh) * 2018-09-03 2018-12-18 北京瑞祺皓迪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自动跳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51A (ko) * 2002-07-12 2004-01-24 (주) 상일정보통신 광분배함 선번관리장치
US20070283073A1 (en) * 2003-10-06 2007-12-06 David Doak Port adapter for high-bandwidth bus
US20100079248A1 (en) * 2008-09-29 2010-04-01 Johannes Ian Greveling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wire-based RFID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233B2 (ja) * 2004-06-29 2010-05-26 Kddi株式会社 Ip電話発信地通知方法、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加入者端末装置
EP1967989A4 (en) * 2005-12-26 201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RADIO IC LABEL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02461A1 (en) * 2007-05-11 2011-01-06 Validity Sensors, Inc.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Securing an Electronic Biometric Device Using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s
KR100975884B1 (ko) 2007-12-18 2010-08-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n 프로토콜 분석 장치
KR101531059B1 (ko) 2008-04-22 2015-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리더, rfid 태그 및 그 제어 방법
KR200453204Y1 (ko) 2009-04-01 2011-04-12 주식회사 오앤티 광선로상의 광통신 커넥터 감시장치
CN102307107A (zh) 2011-08-16 2012-01-04 无锡互惠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射频识别的光分配网络(odn)智能管理系统
US9219543B2 (en) * 2012-07-11 2015-12-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nitoring optical decay in fiber connectivity systems
AU2013288772B2 (en) 2012-07-11 2016-04-28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 RFID-enabled optical adapter for use with a patch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51A (ko) * 2002-07-12 2004-01-24 (주) 상일정보통신 광분배함 선번관리장치
US20070283073A1 (en) * 2003-10-06 2007-12-06 David Doak Port adapter for high-bandwidth bus
US20100079248A1 (en) * 2008-09-29 2010-04-01 Johannes Ian Greveling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wire-based RFID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338B1 (ko) * 2021-05-06 2021-08-03 (주)블루코어컴퍼니 레이저용 광케이블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7122A1 (en) 2016-09-22
KR102013225B1 (ko) 2019-08-23
US9774404B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2897B (zh) 一种光网络单元的检测方法、装置和无源光网络系统
KR102037207B1 (ko) 스마트 리모트 노드 광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따른 리모트 노드 운용방법
US8210755B2 (en) Identifiable fiber optics
EP2472746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state of fiber optic jumper
CN102571201B (zh) 一种光纤网络管理方法、终端及系统
CN108964756B (zh) 光分配网络的故障检测方法及装置、无源光网络系统
WO2016023332A1 (zh) 一种光网络智能化的实现方法以及装置
CN109450527B (zh) 故障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05805A (ko) 토폴로지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13225B1 (ko) 광 커넥터 접속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접속 인식방법
CN103746850A (zh) 一种故障定位方法、装置及pon系统
EP3869768A1 (en) Device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887566A1 (en) An optical distribution system, a splicing handheld device, a kit for an optical distribution system and a method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ing of an optical distribution system
EP4075688A1 (en) Optical distribution device, optical communication detection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 detection method
CN103563324A (zh) 用于多路连接器的标识符编码方案
CN103905111A (zh) 光链路检测方法、装置及系统
RU2016149457A (ru) Пассивная оптическая метка,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читывания/записи 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оптическ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еть
US9407358B2 (en) Optical network terminal with functions of detecting and recovering from failures, blocking supplied power, and stor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detecting continuous optical output using the same
CN102611498A (zh) 光纤标识的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光纤检测方法及装置
US20160276784A1 (en) Connector module with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237388B2 (en) ONT connected to a host device
KR101484267B1 (ko) 장애 감지/복구/차단 및 상기 정보저장 기능을 가지는 광 통신 단말장치
KR102028194B1 (ko)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US10374920B2 (en) Communication media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ication of signal power to a network entity
CN113055091B (zh) 通信组件、通信设备、通信控制方法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