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194B1 -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194B1
KR102028194B1 KR1020170074020A KR20170074020A KR102028194B1 KR 102028194 B1 KR102028194 B1 KR 102028194B1 KR 1020170074020 A KR1020170074020 A KR 1020170074020A KR 20170074020 A KR20170074020 A KR 20170074020A KR 102028194 B1 KR102028194 B1 KR 102028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cable
n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991A (ko
Inventor
김재인
김근용
김희도
손병희
오문균
유학
이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638,10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006726A1/en
Priority to CN201720796407.9U priority patent/CN207396802U/zh
Publication of KR2018000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6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allowing for adjustment or alignment in all dimensions, i.e. 3D microoptics arrangements, e.g. free space optics on the microbench, microhinges or spring latches, with associated microactuating elements for fine adjustment or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02B6/4408Groove structures in support members to decrease or harmonise transmission losses in ribbon cables
    • H04B10/25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에 관한 것으로, 광 노드가 광 케이블에 구성되는 광 커넥터를 통해 광 케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광 분배망은 광 케이블과 상기 광 케이블이 연결되는 광 노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 케이블에는 상기 광 노드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광 커넥터에는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전자 태그와 상기 광 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 핀이 구성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Optical distribution network including optical cable and optical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 노드가 광 케이블에 구성되는 광 커넥터를 통해 광 케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PON(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 광 네트워크) 기술에 있어서 기존의 광 분배망(Optical Distribution Network, ODN)의 광 노드(ex, 광 스플리터, 광 패치패널 등)는 수동 소자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다수의 가입자 구간의 광 케이블의 연결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자동적인 방법으로 획득할 수 없다.
현재, 광 노드의 포트와 광 케이블의 커넥터의 연결 정보는 광 케이블에 부착된 종이 라벨과 광 노드에 수기로 작성된 포트 정보(ex, 선번 대장)를 이용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이 정보는 스프레드시트 등 일반 전자 문서로 관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 분배망의 연결 정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광 네트워크 가입자와 광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의 계약/서비스 변경으로 인하여 광 분배망 연결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부정확한 연결 정보로 인하여 광 인프라 자원이 낭비되거나 유지/보수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FID, QR Code 등과 같은 보다 자동화된 광 분배망 연결 정보 획득 기술이 광 노드 및 광 커넥터에 적용되고 있으나, 기존 수동 부품 대비 높은 비용이 요구되어 현장에의 적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광 케이블의 절단, 벤딩, 균열, 열화 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OTDR(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er)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장비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실제 망 관리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상용 OTDR 장비는 매우 정밀한 고가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 기지국의 OLT(Optical Line Terminal)로부터 가입자의 ONT(Optical Network Terminal)까지 전구간(수 Km ~ 250km)의 광 인프라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광 분배망이 장거리화/고분기화(2단, 64분기) 되면서 상용 OTDR 장비가 우수한 성능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가임자단(Drop 구간, 2단 분기점으로부터 가입자 ONT까지의 구간)의 정보 획득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고가의 OTDR 장비에 대한 수요보다, 2단 분기 지점의 광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광 케이블의 저 수준의 상태 정보(광 신호 유무, ONT 연결 유무 등)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노드가 광 케이블에 구성되는 광 커넥터를 통해 광 케이블 관련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된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분배망은 광 케이블과 상기 광 케이블이 연결되는 광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 케이블에는 상기 광 노드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광 커넥터에는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전자 태그와 상기 광 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 핀이 구성된다.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은 상기 광 커넥터의 몸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이 형성된 보조물이 상기 광 커넥터의 몸체에 부착된 형태로,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이 상기 광 커넥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노드는, 상기 광 커넥터와 체결되는 광 어댑터; 및 상기 광 어댑터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가 구성되는 광 케이블과 관련한 식별 정보, 광 신호 유무 정보 및 광 파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광 어댑터는, 일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연결 핀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핀; 및 일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연결 핀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광 어댑터와 연결되어, 상기 광 어댑터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로부터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모듈; 상기 광 어댑터를 통해 연결되는 광 케이블에 대한 광 신호 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광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감시 모듈; 및 상기 식별 정보, 상기 광 신호 유무 정보 및 상기 광 파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현재의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측정된 광 파워 정보를 상황별 광 파워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측정된 광 파워 정보와 상황별 광 파워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이 정상 상태인지, 가입자 단말장치가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나 off되어 있는 상태인지, 광 케이블이 가입자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 아니면 광 케이블에 절단 혹은 벤딩이 발생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된 상태이나, 기존 포트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에 따라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변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광 어댑터는, 상기 광 어댑터의 몸체의 광 커넥터가 체결되는 측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공간; 제 2 연결 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결 핀과 상기 처리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 2 연결 핀이 상기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 어댑터의 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커넥터는 몸체; 및 상기 몸체가 결합되며, 상기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자 태그와 상기 제 1 연결 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 측면에 따른 광 분배망 운용 방법은 광 케이블과 상기 광 케이블이 연결되는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광 노드에 상기 광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광 노드의 처리 모듈이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처리 모듈이 현재 획득된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와 이전의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모듈이 광 케이블에 대해 획득한 정보와 판단 결과를 상기 광 노드와 연동되어 기 설정되는 외부 휴대기기나 관리 중앙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의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광 신호 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된 상태이나, 기존 포트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에 따라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변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광 파워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광 파워 정보를 상황별 광 파워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된 광 파워 정보와 상황별 광 파워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이 정상 상태인지, 가입자 단말장치가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나 off되어 있는 상태인지, 광 케이블이 가입자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 아니면 광 케이블에 절단 혹은 벤딩이 발생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광 노드의 처리 모듈이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커넥터와 체결됨으로써,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 노드의 처리 모듈은 체결된 광 케이블에 대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광 신호의 파워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광 노드가 단순히 광 분배를 하는 수동적인 기능을 수행한 반면, 본 발명의 광 노드는 광 케이블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광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가 마련된 광 노드와 광 커넥터가 마련된 광 케이블의 체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의 광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형의 광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커넥터와 광 어댑터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를 구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광 어댑터가 다수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하우징을 매개로 하여 SC 타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8(a)는 상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은 하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하우징을 매개로 하여 LC 타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9(a)는 상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하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처리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인식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감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광 파워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감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가 마련된 광 노드와 광 커넥터가 마련된 광 케이블의 체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의 광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형의 광 커넥터의 결합 전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커넥터와 광 어댑터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광 케이블(100, 100´)에는 광 커넥터(110, 110´)가 구성되고, 광 노드(200)에는 광 어댑터(210, 210´)와 처리 모듈(220)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광 커넥터(110)가 광 어댑터(210)에 체결됨으로써, 광 케이블(100)이 광 노드(200)와 연결되고, 광 커넥터(110´)가 광 어댑터(210´)에 체결됨으로써, 광 케이블(100´)이 광 노드(200)와 연결된다.
광 노드(200)에는 가입자 단말장치(ex, ONT)와 연결되는 가입자측 광 케이블(100)과 서비스 제공자(ex, OLT)와 연결되는 제공자측 광 케이블(100´)이 체결되기 때문에, 광 노드(200)에는 2개의 광 어댑터(210, 210´)가 한 짝을 이루어 구성된다.
또한, 광 노드(200)는 1×4, 1×8, 1×16, 16×16, 32×32와 같이, 용도에 따라 분기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광 노드(200)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의 개수는 분기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광 커넥터(110)의 구조 및 광 어댑터(210)의 구조는 광 커넥터(110´)의 구조 및 광 어댑터(210´)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광 커넥터(110)의 구조 및 광 어댑터(210)의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광 케이블(100)에 구성되어 광 노드(200)의 광 어댑터(210)에 체결되는 광 커넥터(11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광 커넥터(110)는 광 노드(200)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10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광 커넥터(110)의 몸체(111)에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 태그(112)와, 전자 태그(112)와 다른 구성(ex, 광 노드의 광 어댑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 핀(1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자 태그(112)에 저장되는 식별 정보는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고, 광 커넥터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태그(112)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EEPROM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저장 기능이 있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change RAM), RRAM(Resistive RAM), MRAM(Magnetoresistive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핀(113)의 일단은 전자 태그(11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결 핀(113)의 타단은 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 핀(113)은 전자 태그(112)과 본딩, 납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핀(113)의 개수는 메모리 칩(112)의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 핀(113)의 형상 및 위치는 광 어댑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커넥터(110)에는 4개의 제 1 연결 핀(113)이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제 1 연결 핀(113)은 각각 전원(+)용 핀, 접지용 핀, 데이터 송신용 핀 및 데이터 수신용 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전자 태그(112)에 대한 액세스(access)가 2개의 연결 핀으로 가능한 경우, 광 커넥터(110)에는 2개의 제 1 연결 핀(113)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핀(113)의 길이, 형상, 두께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전자 태그(112)가 동작하기 때문에, 전자 태그(112)의 보호를 위해, 전원용 제 1 연결 핀과 데이터용 제 1 연결 핀의 길이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용 제 1 연결 핀의 길이를 데이터용 제 1 연결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하여, 전원용 제 1 연결 핀이 체결 대상(ex, 전원용 제 2 연결 핀)과 먼저 체결되고, 이후에 데이터용 제 1 연결 핀이 체결 대상(ex, 데이터용 제 2 연결 핀)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 핀(113)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전기가 통하는 어느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절연 재질에 전도체 물질을 도금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태그(112) 및 제 1 연결 핀(113)은 몸체(111)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 핀(113)은 도금 혹은 이중 사출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전자 태그(112)와 본딩, 납땜 등 다양한 접합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재질의 기저(114)에 전자 태그(112)와 제 1 연결 핀(113)이 형성된 보조물(115)이 별도로 구현되고, 보조물(115)이 몸체(111)에 부착된 형태로 광 커넥터(110)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저(114)는 충분히 얇은 두께로 구현되되, 몸체(111)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광 커넥터(110)가 광 어댑터(210)에 체결되는 경우 손상되지 않아야 하며, 예를 들어 PCB, FPCB, PCV 필름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생산성과 생산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기저(114)가 두꺼워지는 경우, 광 어댑터(210)의 일부 형상을 변형시켜, 보조물(115)을 포함한 광 커넥터(110)가 손상 없이 광 어댑터(210)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110)에는 고아 어댑터와의 정확한 결합 및 결합후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돌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과 같이 광 커넥터(110)가 몸체(111)와 보조물(115)의 부착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돌출부(116)가 몸체(111)에 형성되고, 보조물(115)에는 돌출부(116)와의 결합을 위한 홀(117)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광 케이블(100)의 광 커넥터(110)와 체결되는 광 어댑터(210)와, 처리모듈(220)을 포함하는 광 노드(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210)는 광 커넥터(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광 노드(200)에 설치된다.
상기 광 어댑터(210)의 몸체(211)에는 광 커넥터(110)의 제 1 연결 핀(113)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핀(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 핀(212)은 전도성 메탈 재질로 형성되며, 이중 사출과 같은 금형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몸체(21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핀(212)의 형상 및 위치는 광 커넥터(110)의 제 1 연결 핀(113)과 매칭되도록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몸체(211)의 4면 중 어느 면에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1)에는 처리모듈(22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3)의 일단은 제 2 연결 핀(212)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213)의 개수는 제 2 연결 핀(212)의 개수와 대응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13)는 제 2 연결 핀(212)이 구현된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 연결 핀(212)이 구현된 면 이외의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 어댑터(210)가 광 커넥터(110)와 체결되면, 제 2 연결 핀(212)은 제 1 연결 핀(113)과 연결되고, 연결부(213)를 통해 연결된 처리 모듈(220)은 광 커넥터(110)의 메모리 칩(112)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220)은 제 1 연결 핀(113)과 제 2 연결 핀(212)의 접촉을 통해 광 케이블(110)의 체결의 유무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220)은 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 소자들로 구성되며, 광 어댑터(210, 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처리 모듈(22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6 및 7을 참조하여, 광 어댑터의 구조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어댑터를 구현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1)의 광 커넥터가 체결되는 측의 어느 한 면(도 6에 있어서는 하부면)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의 공간(612)이 몸체(611)에 형성됨으로써, 광 커넥터가 두껍더라도, 광 어댑터(61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몸체(611)에 공간(612)이 형성되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커넥터(110)의 제 1 연결 핀(113)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핀(613)이 공간(620)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공간(612)에 제 2 연결 핀(613)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일례로, 도 1의 처리 모듈(220)과 제 2 연결 핀(613)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 형성된 회로 기판(614)에 제 2 연결 핀(613)을 설치하고, 제 2 연결 핀(613)이 공간(612)에 위치하도록, 회로 기판(614)이 몸체(61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결 핀(613)이 설치된 회로 기판(614)을 적용하여 광 어댑터(610)을 구현하는 경우, 다수의 광 어댑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어댑터를 구현하는 경우에 비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에 따른 광 어댑터가 다수 구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어댑터를 구현하는 경우,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의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 소자(ex, LED)가 각 광 어댑터와 대응되어 회로 기판(6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 커넥터의 몸체에 전자 태그와 제 1 연결 핀이 직접 형성된 상태에서,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연결되는 구조가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매개체에 의해 연결된 구조가 설명된다.
하기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매개체에 의해 연결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광 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 태그가 부착된 광 커넥터로 교체하지 않고도, 매개체를 이용함으로써 ID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매개체에 의해 연결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매개체에 의해 연결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하우징을 매개로 하여 SC 타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8(a)는 상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b)은 하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820)가 몸체(820′)와 하우징(820″)으로 구성되고, 몸체(820′)가 하우징(820″)에 결합되고, 하우징(820″)이 광 어댑터(8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820″)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전자 태그와 제 1 연결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8(b)는 제 1 연결 핀(821) 및 전자 태그(822)가 하우징(8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몸체(820′)와 하우징(8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820′)와 하우징(820″)은 후크 결합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820′)에 후크(823)가 마련되고, 하우징(820″)에 홈(824)이 마련되어, 후크(823)가 홈(824)에 체결되는 형태로, 몸체(820′)가 하우징(8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가 하우징을 매개로 하여 LC 타입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9(a)는 상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하측면에서 바라본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커넥터(920)는 몸체(920′)와 하우징(920″)으로 구성되고, 몸체(920′)가 하우징(920″)에 결합되고, 하우징(920″)이 광 어댑터(9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920″)에는 도 2에서와 같은 전자 태그와 제 1 연결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9(b)는 제 1 연결 핀(921) 및 전자 태그(922)가 하우징(9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몸체(920′)와 하우징(9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920′)와 하우징(920″)은 후크 결합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920′)에 후크(923)가 마련되고, 하우징(920″)에 홈(924)이 마련되어, 후크(923)가 홈(924)에 체결되는 형태로, 몸체(920′)가 하우징(9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820″, 920″)은 몸체(820′, 92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820″, 920″)의 내부는 몸체(820′, 9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820′, 92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820″, 920″)의 전단부는 어댑터(810, 910)와의 결합을 위해 몸체(820′, 920′)의 형성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820″, 920″)은 추가적인 구성이 마련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LED와 같은 표시장치 등 부가적인 전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적인 전기 회로는 전자 태그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LED와 같은 표시장치가 하우징(820″, 920″)에 구현되는 경우, 표시장치는 전자 태그의 체결 여부, 광 어댑터와 광 커넥터의 체결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22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처리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리 모듈(220)은 제 1 인식 모듈(221), 제 2 인식 모듈(222), 감시 모듈(223), 분배 모듈(224), 중앙 처리 모듈(225), 외부 인터페이스(226) 및 전원 공급부(2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에는 각각 광 어댑터(210, 210´)가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은 광 커넥터(110, 11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 중 하나는 가입자 단말장치(ex. ONT)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10, 210´) 중 다른 하나는 서비스 제공자(ex. OLT)와 연결되는 광 케이블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은 광 노드(200)의 분기 기능에 따라 하나 혹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은 광 케이블의 체결 유무 정보, 그리고, 체결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케이블 ID)를 획득하여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한다.
상기 감시 모듈(223)은 광 케이블(100, 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시 모듈(223)은 광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광 신호의 유/무 판단과 함께 광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시 모듈(223)은 기능에 따라 2개의 구성, 즉 광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과 광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 모듈(223)의 기능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즉 광 신호 유/무 정보와 광 신호 파워 정보는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된다.
기존의 OTDR 장비는 광 케이블 광 케이블 상에 발생한 절단, 균열, 벤딩 등의 상태가 어느 지점(오차 범위 수cm ~ 수m)에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고가의 부품을 포함하며, 매우 가격이 비싸다.
하지만, 현장의 광 네트워크 관리에서는 정확한 결함 지점을 알아내는 고가의 OTDR 장비를 사용하는 것보다, 어느 광 케이블에 가입자가 연결되어 데이트를 송/수신하는지, 또는 어느 광 케이블에 결합이 있는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알아내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포토 다이오드 기반의 감시 모듈(223)을 이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현장의 광 네트워크 관리에서 필요한 광 케이블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PD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광 케이블을 분기(1:99 등의 비율로)하여, 분기한 광 케이블의 종단면에 PD를 부착하여 광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과, 광 섬유의 클래딩에 인위적인 크랙을 가하여 세어나오는 광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측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분배 모듈(224)은 체결된 광 케이블을 분기 혹은 분배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플리터 PLC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제 1 및 제 2 인식 모듈(221, 222), 그리고 감시 모듈(223)을 제어하고, 각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제 1 및 제 2 인식모듈(221, 222)의 정보, 감시 모듈(223)의 정보 및 광 노드(200)의 고유 정보(ex, 설치 정보, 스펙 정보 등)를 저장하는 메모리(225a)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제 1 인식 모듈(221) 및 제 2 인식 모듈(222)로부터 광 케이블의 체결 유무 및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광 케이블에 대한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현재의 체결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와 기존의 체결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을 제공받아, 광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으로부터 체결되어야 하는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가 현재 체결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의 체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확인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와 현재 체결된 고아 케이블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광 케이블의 체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감시 모듈(221)로부터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의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동 이력 정보와 함께 분석하여, 현재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특정 광 케이블에 대한 기존의 광 신호 유/무 정보와 현재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가 정상인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특정 광 케이블에 대한 기존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광 신호가 없는 상태(ex, ‘0’)인데, 동일한 광 케이블에 대한 현재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광 신호가 있는 상태(ex, ‘1’)이면, 즉 특정 광 케이블에 대한 기존의 광 신호 유/무 정보와 현재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광 케이블에 대한 기존의 광 신호 유/무 정보와 현재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3)은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이 있는 상태이면,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가 정상인 상태로 판별하고,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이 없는 상태이면, 현재 광 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감시 모듈(223)로부터의 현재의 광 신호 파워 정보를 기존의 정상 범위의 광 신호 파워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정상 범위의 광 신호 파워 정보는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의 메모리(225a)에 기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다.
즉, 광 케이블의 길이, 가입자 단말장치의 단락 여부, 벤딩, 절단, 균열 등의 상태에 따라 광 파워는 변동되기 때문에, 현재의 광 신호 파워 정보와 상황별 정상 범위의 광 신호 파워 정보의 비교를 통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226)는 전체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 광 분배망)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무선 통신(ex,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 모듈이나, 유선 통신(ex, 이더넷, 시리얼 통신 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226)는 외부의 휴대기기(스마트폰, PDA 등)와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27)는 광 노드(200) 내의 전자 소자로 전원을 공급하며, 이 외에도 광 노드(200) 내의 전자 소자는 외부 인터페이스(226)로 연결되는 유선 테더링 기기 및 외장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분배망에 이용되는 광 노드 및 광 커넥터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인식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 노드에 광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에서, 광 노드의 인식 모듈(221, 222)은 체결된 광 케이블의 광 커넥터로부터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케이블 ID)를 획득한다(S1100).
이때, 인식 모듈(221, 222)에 의해 획득된 케이블 ID는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된다.
상기 단계 S1100 이후, 중앙 처리 모듈(225)은 기 설정된 케이블 ID를 저장부(225a) 혹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S1110), 기 설정되는 케이블 ID와 현재 획득된 케이블 ID를 비교하여(S1120), 두 케이블 ID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130).
상기 단계 S1130에서의 판단 결과, 두 케이블 ID가 동일하면(S113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1140).
반면, 상기 단계 S1130에서의 판단 결과, 두 케이블 ID가 동일하지 않으면(S113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광 케이블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S1150), 변경된 케이블 ID를 확인한다(S1160).
이후, 중앙 처리 모듈(225)은 획득된 현재의 케이블 ID가 변경된 케이블 ID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170).
상기 단계 S1170에서의 판단 결과, 획득된 현재의 케이블 ID가 변경된 케이블 ID와 동일하면(S117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S1180), 획득된 현재의 케이블 ID가 변경된 케이블 ID와 동일하지 않으면(S1170-아니오),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1190).
즉,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단계 S700에서 획득된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광 케이블에 대한 이전의 식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획득된 식별 정보와 광 케이블의 상태를 현장 엔지니어가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인 텍스트로 변환하여 광 노드(200)와 연동되어 기 설정되는 외부 휴대기기나 관리 중앙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감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광 신호의 파워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 노드에 광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에서, 광 노드의 감시 모듈(223)은 체결된 광 케이블에 대한 광 파워를 측정한다(S1200). 이때, 감시 모듈(223)에 의해 측정된 광 파워는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기 설정되는 상황별 광 파워 정보와 측정된 광 파워를 비교한다(S1210). 이때, 상기 상황별 광 파워 정보는 중앙 처리 모듈(225) 내 메모리(225a)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210에서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가 어떠한 상황의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가 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S1220), 측정된 광 파워가 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 경우(S1220-예), 광 케이블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1230).
한편, 측정된 광 파워가 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S122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가 제 1 비정상 상태의 광 파워 범위(‘제 1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240).
상기 단계 S1240에 있어서의 제 1 비정상 상태는 가입자 단말장치(ONT: Optical Network Terminal)가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나 off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S124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1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24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제 1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250).
그리고, 상기 단계 S124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1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24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가 제 2 비정상 상태의 광 파워 범위(‘제 2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260).
상기 단계 S1260에 있어서의 제 2 비정상 상태는 광 케이블이 가입자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S126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2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26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제 2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270).
그리고, 상기 단계 S126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2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26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가 제 3 비정상 상태의 광 파워 범위(‘제 3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1280).
상기 단계 S1280에 있어서의 제 3 비정상 상태는 광 케이블에 절단 혹은 벤딩이 발생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S128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3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28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제 3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290).
반면, 상기 단계 S1280에서의 판단 결과, 측정된 광 파워가 제 3 비정상 광 파워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128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도 12에서는 중앙 처리 모듈(225)이 광 케이블의 4가지 상태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조건을 세분하여, 광 케이블의 상태를 더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단계 S820에의 상황별 광 파워 정보와 측정된 광 파워의 비교를 통해, 현재 광 케이블의 다양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측정된 광 파워와 광 케이블의 상태를 현장 엔지니어가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인 텍스트로 변환하여 광 노드(200)와 연동되어 기 설정되는 외부 휴대기기나 관리 중앙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 노드(200)에 광 케이블별로 매칭되는 LED와 같은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중앙 처리 모듈(225)이 표시장치를 통해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LED를 점등시키거나 깜빡이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 LED를 점등시키고, 제 1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황색 LED를 점등시키고, 제 2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 LED를 점등시키고, 제 3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LED를 깜빡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노드의 감시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바탕으로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절차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 노드에 광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에서, 광 노드의 감시 모듈(223)은 체결된 광 케이블에 대한 광 신호 유무 정보를 획득한다(S1300). 이때, 감시 모듈(223)에 의해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는 중앙 처리 모듈(225)로 제공된다.
그리고, 중앙 처리 모듈(225)은 현재의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S1310), 현재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320).
상기 단계 S132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S132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바탕으로 가입자 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30).
그리고, 상기 단계 S930에서의 판단 결과,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33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1340).
반면, 상기 단계 S1330에서의 판단 결과,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S133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가입자는 변동되었으나, 기존 가입자가 사용한 포트가 그대로 이용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S1350).
한편, 상기 단계 S132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S132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바탕으로 가입자 변경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60).
상기 단계 S960에서의 판단 결과,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S1360-예), 중앙 처리 모듈(225)은 가입자의 변경에 따라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변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370).
반면, 상기 단계 S1360에서의 판단 결과,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360-아니오), 중앙 처리 모듈(225)은 광 케이블이 비정상(광 신호 유무 정보가 변경되었으나, 가입자 정보에 변동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1380).
즉,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단계 S700에서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를 광 케이블에 대한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현재 광 케이블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중앙 처리 모듈(225)은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광 케이블의 상태를 현장 엔지니어가 바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인 텍스트로 변환하여 광 노드(200)와 연동되어 기 설정되는 외부 휴대기기나 관리 중앙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 광 케이블 110, 110´ : 광 커넥터
111 : 광 커넥터의 몸체 112 : 전자 태그
113 : 제 1 연결 핀 114 : 기저
115 : 보조물 116 : 돌출부
117 : 홀 200 : 광 노드
210 : 광 어댑터 211 : 광 어댑터의 몸체
212 : 제 2 연결 핀 213 : 연결부
220 : 처리 모듈 221, 222 : 인식 모듈
223 : 감시 모듈 224 : 분배 모듈
225 : 중앙 처리 장치 225a : 메모리
226 : 외부 인터페이스 227 :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광 케이블과 상기 광 케이블이 연결되는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에 있어서,
    상기 광 노드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가 구성되고, 상기 광 커넥터에는 상기 광 케이블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와, 상기 전자 태그와 상기 광 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 핀이 구성되는 광 케이블; 및
    상기 광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 노드는 상기 광 커넥터와 체결되는 광 어댑터 및 상기 광 어댑터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가 구성되는 광 케이블과 관련한 식별정보, 광 신호 유무 정보 및 광 파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 커넥터는 몸체 및 상기 몸체가 결합되며, 상기 광 어댑터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자 태그와 상기 제1 연결 핀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은 상기 광 커넥터의 몸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이 형성된 보조물이 상기 광 커넥터의 몸체에 부착된 형태로, 상기 전자 태그 및 상기 제 1 연결 핀이 상기 광 커넥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어댑터는,
    일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연결 핀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핀; 및
    일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연결 핀의 타단에 연결되며, 타단을 이용하여 상기 처리 모듈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광 어댑터와 연결되어, 상기 광 어댑터와 체결되는 광 커넥터로부터 광 케이블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모듈;
    상기 광 어댑터를 통해 연결되는 광 케이블에 대한 광 신호 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한편, 광 신호의 파워를 측정하는 감시 모듈; 및
    상기 식별 정보, 상기 광 신호 유무 정보 및 상기 광 파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현재의 식별 정보와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두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광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식별 정보와 변경 이력 상의 식별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광 케이블의 현재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측정된 광 파워 정보를 상황별 광 파워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 상태를 판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측정된 광 파워 정보와 상황별 광 파워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의 광 케이블이 정상 상태인지, 가입자 단말장치가 광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나 off되어 있는 상태인지, 광 케이블이 가입자 단말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 아니면 광 케이블에 절단 혹은 벤딩이 발생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된 상태이나, 기존 포트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모듈은,
    획득된 광 신호 유무 정보와 이전의 광 신호 유무 정보를 비교하여, 두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및 선로 변경 이력을 획득하여,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가입자 변경에 따라 광 신호 유무 정보가 변경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가입자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광 케이블이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어댑터는,
    상기 광 어댑터의 몸체의 광 커넥터가 체결되는 측의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공간;
    제 2 연결 핀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결 핀과 상기 처리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 형성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 2 연결 핀이 상기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 어댑터의 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및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74020A 2016-07-01 2017-06-13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KR102028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38,104 US20180006726A1 (en) 2016-07-01 2017-06-29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including optical cable and optical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720796407.9U CN207396802U (zh) 2016-07-01 2017-07-03 包括光缆和光节点的光分配网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3400 2016-07-01
KR1020160083400 2016-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91A KR20180003991A (ko) 2018-01-10
KR102028194B1 true KR102028194B1 (ko) 2019-10-04

Family

ID=6099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020A KR102028194B1 (ko) 2016-07-01 2017-06-13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194B1 (ko)
CN (1) CN2073968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097A (ko) 2021-11-30 2023-06-07 이재천 스마트 선번관리형 광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33A1 (ko) * 2018-07-16 2020-01-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광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285338B1 (ko) * 2021-05-06 2021-08-03 (주)블루코어컴퍼니 레이저용 광케이블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9477A1 (en) * 2004-05-04 2005-11-10 Mark Parrish Optical fiber connectors with identification circuits and distribution terminals that communicate therewi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9477A1 (en) * 2004-05-04 2005-11-10 Mark Parrish Optical fiber connectors with identification circuits and distribution terminals that communicate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097A (ko) 2021-11-30 2023-06-07 이재천 스마트 선번관리형 광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91A (ko) 2018-01-10
CN207396802U (zh)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262B2 (en) Systems, equipment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racking cable connections and for identifying work area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CN108964756B (zh) 光分配网络的故障检测方法及装置、无源光网络系统
US8649651B2 (en) Patch panel cable informat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EP2472746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connection state of fiber optic jumper
CN112567647B (zh) Pon故障定位的方法和装置
US9219543B2 (en) Monitoring optical decay in fiber connectivity systems
KR102028194B1 (ko) 광 케이블과 광 노드를 포함하는 광 분배망 및 그 운용 방법
US20110081144A1 (en) Optical element module, optical node,optical distribu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KR20090010031A (ko) 지능 패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037207B1 (ko) 스마트 리모트 노드 광통신 단말장치 및 그에 따른 리모트 노드 운용방법
JP6457509B2 (ja) 視覚標識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及び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の末端の視覚標識装置
KR20090100109A (ko) 광 펄스 유형을 이용한 광가입자망 광케이블 감시 장치 및그 방법
CN108370271B (zh) 光网络单元的检测方法、装置和无源光网络系统
US20180006726A1 (e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including optical cable and optical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035186Y (zh) 具有配线编码识别功能的配线架
US97744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ptical connector connection
EP29405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 matching in optical fiber and cable networks, and optical fiber and cable networks
CN106452574B (zh) 一种配电网epon系统的光接口特性测试平台及方法
CN102611498A (zh) 光纤标识的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光纤检测方法及装置
CN203551841U (zh) 一种智能光纤活动连接器
CN103217756B (zh) 光学模块及其制造方法
JP2018186503A (ja) 判定装置
CN105790826B (zh) 光纤监测方法、装置及光纤适配器
CN209342337U (zh) 一种可见光快速寻线系统
CN104518825B (zh) 一种用于pon的分支光纤监控的智能分光器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