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834A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834A
KR20160111834A KR1020150162079A KR20150162079A KR20160111834A KR 20160111834 A KR20160111834 A KR 20160111834A KR 1020150162079 A KR1020150162079 A KR 1020150162079A KR 20150162079 A KR20150162079 A KR 20150162079A KR 20160111834 A KR20160111834 A KR 2016011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wireless
smart device
audio fram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전주일
김창기
유정주
홍진우
김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6011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Audio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를 청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청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 또는 무선 헤드셋 등과 같은 별도의 무선 오디오 청취 장치를 이용하여 TV 또는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를 원격으로 무선 청취할 수 있다.
우선,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송신기와 오디오 수신기로 구성된다. 블루투스 오디오 송신기는 블루투스 지원 TV 또는 스마트 기기, 오디오 장치 등에 내장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오디오(Audio)/비디오(Video) 기기의 오디오 출력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오디오 송신을 위한 외장형 동글 장치도 있다. 블루투스 오디오 수신기 또한 블루투스 지원 스피커, 헤드셋 등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장형 수신기 형태의 장치도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무선 오디오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1:1 페어링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무선 헤드셋 장치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업체 고유의 전송 기술을 이용한 제품들이 상용화되어 있는데, 블루투스 헤드셋보다 고품질의 오디오를 더욱더 원거리에서 청취 가능하도록 개선된 제품이 많다, 또한, 이러한 무선 헤드셋 장치도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전용 오디오 송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몇몇 제품들은 하나의 송신기에 여러 대의 수신기가 연결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및 전용 무선 오디오 서비스 장치는 전용 송신기와 수신기를 세트로 가지고 있어야 서비스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오디오 서비스 제공 지원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원거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오디오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무선 오디오 전용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없이 오디오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오디오를 스마트 기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도 오디오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으로,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서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으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를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발견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가 전송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로,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스트리밍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로, 발견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가 전송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스트리밍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소리를 Wi-Fi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복수의 스마트 기기들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들은 원격지에서 비디오 장치의 화면과 립싱크 수준의 동기화된 오디오를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업자는 서비스 환경 및 동시 사용자 수에 적합한 무선 오디오 청취 서비스(유니캐스트 모드, 브로드캐스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송/수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오디오/비디오 장치(10)와 스마트 기기(20)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구현된다.
오디오/비디오 장치(10)는 스마트 TV 및 스마트 기기와 같이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로,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1, 100-2)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무선 오디오 전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1, 100-2)는 오디오/비디오 장치(10)에 내장형(100-1) 또는 외장형(100-2)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이 없는 레거시(legacy) 오디오/비디오 장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를 오디오/비디오 장치 내부에 장착하거나, 외장형으로 제작하여 오디오/비디오 장치(10)의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1, 100-2)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20)는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기기로,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200)를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포함하여,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20)에 설치된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200)를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 장치(10)의 오디오를 무선으로 청취한다. 또한, 스마트 기기(20)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1, 100-2)는 복수 개의 스마트 기기(20)에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설치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 입력부(110), 인코더(120), 스트리밍 송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50)를 더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110)는 오디오/비디오 장치(10)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되어, 오디오/비디오 장치(10)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110)는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일 경우에는 인코더(120)에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가 아닐 경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50)에 출력한다. 그러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50)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인코더(120)로 출력한다.
인코더(120)는 오디오 입력부(110) 또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5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를 효과적으로 스트리밍 하기 위해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코더(130)는 립싱크 수준의 동기화된 무선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저 지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스트리밍 송신부(130)는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 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기기(20)로 전송하는데,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니캐스트 송출부(131),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132), FEC 제어부(133) 및 와이파이 통신부(134)를 포함한다.
유니캐스트 송출부(131)는 서비스 세션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20)로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유니캐스팅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132)는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채널 상에서 오디오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면 복구할 수가 없어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제어부(153)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132)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프레임에 FEC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134)에 출력한다. 즉, FEC 제어부(153)는 오류에 대비해 오디오 프레임을 중복 전송한다.
와이파이 통신부(134)는 유니캐스트 송출부(131)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132)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 기기(20)로 전송한다. 와이파이 통신부(134)는 와이파이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오디오 프레임을 전송한다. 즉, Wi-Fi 기반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서도 서비스 제공을 위해 Wi-Fi 또는 Wi-Fi Direct AP 기능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인코더(120)의 동작 모드, 스트리밍 송신부(13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스마트 기기(20)와 연결된 세션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는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200)는 스트리밍 수신부(210), 오디오 디코더(220), 오디오 재생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스트리밍 수신부(210)는 발견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가 전송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상세하게는, 스트리밍 수신부(210)는 와이파이 통신부(211)와, 유니캐스트 수신부(212),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수신부(213) 및 FEC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와이파이 통신부(211)는 와이파이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한다.
유니캐스트 수신부(212)는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가 유니캐스팅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한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수신부(213)는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가 소정 멀티캐스팅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로 전달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때, FEC 제어부(214)는 오디오 프레임에 추가된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를 보정한다. 중복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에러를 복원하고, 중복 오디오 프레임을 제거하여 스트리밍 리시버로 전달한다.
오디오 디코더(220)는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고, 오디오 재생부(230)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240)는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2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됨에 따라, 미리 정의된 오디오/비디오 장치(10) 발견 메커니즘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장치(10)를 발견하고, 오디오/비디오 장치(10)에 설치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획득하여, 스트리밍 수신부(210)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오디오/비디오 장치(10)로부터 오디오 신호 발생을 감지(S410)함에 따라 구동된다.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입력된 오디오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20). S420의 판단 결과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아닐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S430)하고,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을 수행한다(S440).
그러나 S420의 판단 결과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일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오디오 신호의 인코딩을 수행한다(S440).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코딩 수행시 저 지연 무선 스트리밍에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한다.
그리고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인코딩한 디지털 오디오 프레임을 스마트 기기(20)에 전송함에 있어,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현재 유니캐스트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50).
S450의 판단 결과 유니캐스트 모드일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연결된 스마트 기기(1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460).
S460의 판단 결과 연결된 스마트 기기(20)가 존재할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연결된 스마트 기기(20)로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유니캐스팅한다(S470). 또한,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유니캐스트 모드로 동작시에 스마트 기기(20)와의 세션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데, 스마트 기기(20)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을 위한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480). S480의 모니터링 결과 스마트 기기(20)에서 무선 오디오 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20)로의 오디오 프레임의 유니캐스팅을 종료한다.
한편, S450의 판단 결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일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FEC 정보를 추가(S485)하여 로컬 네트워크로 오디오 프레임을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한다(S490). 또한,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 동작시에도 스마트 기기(20)와의 세션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데, 스마트 기기(20)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495). S495의 모니터링 결과 스마트 기기(20)에서 무선 오디오 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20)로의 오디오 프레임의 유니캐스팅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됨에 따라, 미리 정의된 오디오/비디오 장치(10) 발견 메커니즘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장치(10)를 발견한다(S510). 이때, 오디오/비디오 장치(10)에 설치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결정된다.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100)는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가 유니캐스트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520).
S520의 판단 결과 유니캐스트 모드일 경우,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100)는 명시적으로 세션 요청 메시지를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100)로 전송한다(S530). 그리고,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100)는 유니캐스팅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S540)하여, 압축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S550)한 후,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20)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S560).
반면, S520의 판단 결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일 경우,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100)는 소정 멀티캐스팅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한다(S560). 이때,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추가된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를 보정한다(S580). 그런 후, 무선 오디오 수신 장치(100)는 압축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S590)한 후,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20)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S600).

Claims (14)

  1.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비디오 장치에서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 중 하나의 방식으로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가 아닐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저 지연 무선 스트리밍 오디오 프레임 형태로 인코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유니캐스트 모드가 선택될 경우, 연결된 스마트 기기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된 스마트 기기가 하나 이상 존재할 경우,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로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유니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에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프레임을 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의 세션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 스마트 기기와의 세션 연결이 중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 기기로의 오디오 프레임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로의 무선 오디오 전송 방법.
  7. 스마트 기기에서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를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발견된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가 전송한 오디오 프레임을 유니캐스트 모드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 중 하나의 방식으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기기의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유니캐스트 모드일 경우, 상기 무선 오디오 송신 장치로 세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유니캐스팅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모드일 경우, 소정 멀티캐스팅 또는 브로드캐스팅 채널로 오디오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추가된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무선 오디오 수신 방법.
  10.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 기기로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유니캐스팅하는 유니캐스트 송출부와,
    상기 오디오 프레임을 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하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와,
    상기 유니캐스트 송출부 또는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프레임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와이파이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인코더로 출력함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가 아닐 경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 입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장치에 내장 또는 외장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송출부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프레임에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 FEC)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에 출력하는 FEC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통신부는
    와이파이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KR1020150162079A 2015-03-17 2015-11-18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60111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6827 2015-03-17
KR1020150036827 2015-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34A true KR20160111834A (ko) 2016-09-27

Family

ID=571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079A KR20160111834A (ko) 2015-03-17 2015-11-18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18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5774B2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転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099594A1 (en) Media distribution architecture
US20120284757A1 (en) Mobile source device media playback over rendering devices at lifestyle-determined locations
US10945081B2 (en) Low-latency streaming for CROS and BiCROS
US20160191181A1 (en) Audio broadcast retransmissions
TW201338614A (zh) 倂合接收與傳輸裝置、及其適用之資訊回饋方法
WO2014090040A1 (en) Method of using a mobile device as a microphone, method of audio playback,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CN101848368A (zh) 一种收看数字电视节目的方法、系统及数字电视终端
WO2008046324A1 (fr) Dispositif de réception mobile, procédé et dispositif de sélection de flux multimédia
US201501209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service in hybrid network
JP2015529043A (ja) デジタル放送tvネットワークをサポートするための、マルチスクリーン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
WO2015184926A1 (zh) 数据传输控制方法、接收端、发送端及系统
CN109804639B (zh) 用于无连接无线媒体广播的电子设备和方法
EP2378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over between mobile tv networks
US20140163971A1 (en) Method of using a mobile device as a microphone, method of audio playback,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JP4914093B2 (ja) 情報中継装置、情報中継方法、および、情報中継システム
KR20160111834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선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64029B1 (ko) 무선랜을 이용한 다중 오디오 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6082348A1 (zh) 一种实现电视节目无线传输的方法和机顶盒
JP6648372B2 (ja) Mpeg2−ts互換データストリームを無線で送信するための送信装置
KR101410578B1 (ko) 실시간 화면전송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셋톱박스 및 그 실시간 화면전송 방법
US20220188065A1 (en) Wireless audio device, system and method
CN1856005B (zh) 用于娱乐系统的无线音频
KR102128904B1 (ko) HEVC 트랜스코더 기술을 이용하여 Wi-Fi 무선망과 LTE/5G 공중무선망에 동시 적용이 가능한 변환시스템 및 방법
JP2023156047A (ja) コンテンツ中継装置、コンテンツ中継システム、コンテンツ中継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中継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