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83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836A
KR20160110836A KR1020150035085A KR20150035085A KR20160110836A KR 20160110836 A KR20160110836 A KR 20160110836A KR 1020150035085 A KR1020150035085 A KR 1020150035085A KR 20150035085 A KR20150035085 A KR 20150035085A KR 20160110836 A KR20160110836 A KR 20160110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s
unit area
virtual square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920B1 (ko
Inventor
이상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20B1/ko
Priority to US14/877,459 priority patent/US10170027B2/en
Priority to CN201610140203.XA priority patent/CN105976719B/zh
Publication of KR2016011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02F2001/134345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제1화소, 제2화소 및 제3화소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영역들 각각은 각 단위영역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1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FHD, QHD, UHD와 같은 이른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화소의 배열에 따라 개구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공간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소 배열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제1화소, 제2화소 및 제3화소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영역들 각각은 각 단위영역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1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는 한 쌍의 제1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변과 평행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2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은 상기 제1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1꼭지점 및 상기 제1꼭지점과 마주보고 상기 제2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2꼭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2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화소들은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점을 가운데 개재한 채로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외부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2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는 제1폭 및 상기 제1폭보다 크고 상기 제1방향을 따르는 제1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화소는 제2폭 및 상기 제2폭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2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변과 꼭지점을 공유하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3변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화소는 제3폭 및 상기 제3폭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3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화소의 개구율과 상기 제3화소의 개구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제3화소의 상기 제3폭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는 한 쌍의 제3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3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변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3변과 평행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4변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은 상기 제3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3꼭지점 및 상기 제3꼭지점과 마주보고 상기 제4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4꼭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3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4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 간의 거리는 상기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와 상기 제2화소 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포함된 제2화소의 개수는,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포함된 제1화소의 개수 및 제3화소의 개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는 청색 또는 적색을 구현하고, 상기 제2화소는 녹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은 서로 인접한 제1단위영역 및 제2단위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영역의 제1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제2단위영역의 제1화소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은 서로 인접한 제1단위영역 및 제3단위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영역의 제3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제3단위영역의 제3화소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한 화소의 개구율이 크게 저하되거나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화소간 개구율간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소들의 개구율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부에 포함된 단위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위영역들이 복수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들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부(DA) 및 비표시부(N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지드(rigid)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DA)는 복수의 단위영역(2)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영역(2)은 x방향 및 y방향을 따라 행과 열을 이루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 단위영역(2)은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비표시부(NA)는 표시부(D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비표시부(NA)에는 표시부(DA)에 위치한 복수의 화소들에 신호 또는/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들과 연결된 드라이버,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또는 콘트롤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비표시부(NA)가 표시부(D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비표시부(NA)는 표시부(DA)의 일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데드 에어리어(dead area)인 비표시부(NA)가 존재하지 않거나 표시부(DA)에 비하여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에 포함된 단위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영역(2)은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제1화소(100), 제2화소(200) 및 제3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단위영역(2)은 청색의 제1화소(100), 녹색의 제2화소(200), 및 적색의 제3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화소들(100, 200, 300) 각각에는 애노드 전극,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화소들(100, 200, 300) 각각에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내지 제3화소들(100, 200, 300) 각각에 대응하여 컬러필터가 구비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단위영역(2)에 포함된 제2화소(200)의 개수는 제1화소(100) 및 제3화소(300)의 개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예컨대, 단위영역(2)은 한 쌍의 제1화소(100), 두 쌍의 제2화소(200) 및 한 쌍의 제3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화소(100), 제2화소(200) 및 제3화소(300)는 단위영역(2)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단위영역(2)은 정사각형일 수 있으며, 단위영역(2)은 꼭지점을 공유하는 4개의 서브영역들(2a, 2b, 2c, 2d)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서브영역들(2a, 2b, 2c, 2d)이 공유하는 꼭지점이 단위영역(2)의 중심점(C)이 된다. 가상의 정사각형(10)은 단위영역(2)의 각 변을 반으로 나누었을 때 기준이 되는 중간점(half point)을 이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상의 정사각형(10)의 꼭지점들(P1, P2, P3, P4)은 단위영역(2)의 각 변의 중간점에 대응되며, 가상의 정사각형(10)의 각 변(11, 12, 13, 14)은 서브영역들((2a, 2b, 2c, 2d)의 대각선에 해당할 수 있다.
제1화소(100)는 단위영역(2)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변에 대응하여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화소들(100) 중 하나의 제1화소(1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1변(11)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제1화소(100)는 제1변(11)과 평행한 제2변(12)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화소(100)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길이(L1)를 갖는다.
제1화소(100)는 제1길이(L1) 및 제1길이(L1)에 대하여 수직인 제1폭(W1)을 갖는다. 제1화소(100)는 제1길이(L1)가 제1폭(W1) 보다 큰 슬롯형상일 수 있다. 제1화소(100)의 개구율. 즉 제1화소(100)의 면적은 제1길이(L1)와 제1폭(W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변(1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화소(100)와 제2변(1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화소(1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제1변(1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화소(1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1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1꼭지점(P1)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변(1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화소(100)는 제2변(12)의 일 단에 위치하며 제1꼭지점(P1)의 반대편인 제2꼭지점(P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화소(200)는 단위영역(2)의 중심부, 예컨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화소(200)는 제2방향을 따르는 제2길이(L2)를 가지며, 제2길이(L2)에 대하여 수직인 제2폭(W2)을 갖는다. 제2화소(200)는 제2길이(L2)가 제2폭(W2) 보다 큰 슬롯형상일 수 있다. 제2화소(200)의 개구율. 즉 제2화소(200)의 면적은 제2길이(L2)와 제2폭(W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화소(200)는 두 쌍의 제2화소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화소들(200)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한 쌍의 제2화소들(200)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외측, 예컨대 단위영역(2)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제2화소들(200)은 중심점(C)에 대하여 소정의 갭(G0)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나머지 한 쌍의 제2화소들(200)은 중심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화소들(200)과 함께 단위영역(2)의 대각선을 따르는 제1가상선(L) 상에 놓이며, 각각 단위영역(2)의 코너부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화소(300)는 단위영역(2)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변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3화소들(300) 중 하나의 제3화소(3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3변(13)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의 제3화소(300)는 제3변(13)과 평행한 제4변(14)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3화소(300)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길이(L3)를 갖는다..
제3화소(300)는 제3길이(L3) 및 제3길이(L3)에 대하여 수직인 제3폭(W3)을 갖는다. 제3화소(300)는 제3길이(L3)가 제3폭(W3) 보다 큰 슬롯형상일 수 있다. 제3화소(300)의 개구율. 즉 제3화소(300)의 면적은 제3길이(L3)와 제3폭(W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3변(13)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3화소(300)와 제4변(14)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3화소(3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점대칭일 수 있다. 예컨대, 제3변(13)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3화소(300)는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3변(13)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3꼭지점(P3)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4변(14)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3화소(300)는 제4변(14)의 일 단에 위치하며 제3꼭지점(P3)의 반대편인 제4꼭지점(P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단위영역이 복수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표시부에 구비된 화소들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위영역들이 4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단위영역의 개수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x방향과 y축방향에 대하여 약 45도 회전된 좌표계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화소들(300)을 포함하는 단위영역들(2)은 x 방향 및 y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위영역들(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부(DA)는 복수의 제1 내지 제3화소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화소들(10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화소들(200) 및 제3화소들(300)은 각각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웃하는 단위영역(2) 각각에 포함된 제1화소들(100)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이하, 제1갭)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단위영역(2)의 제1화소(100)는 y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단위영역(2)의 제1화소(100)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1꼭지점(P1, 또는 제2꼭지점 P2)을 중심으로 제1갭(G1)을 가지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영역(2) 각각에 포함된 제2화소들(200)은 단위영역(2)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이하, 제2갭)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단위영역(2)의 코너부와 대응되게 배치된 제2화소(200)는 이웃하는 단위영역(2)의 코너부와 대응되게 배치된 제2화소(200)와 단위영역(2)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제2갭(G2)을 가지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갭(G2)은 어느 하나의 단위영역(2)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화소들(200) 간의 갭(G0)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단위영역(2) 각각은 한 쌍의 제2화소들(200) 및 코너부에 놓이는 한 쌍의 제2화소들(20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놓이는 제2화소들(200) 중 어느 하나와 코너부에 놓이는 제2화소들(200) 중 어느 하나는, 단위영역(2)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나뉘는 단위영역(2)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나며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밴드(B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상의 제1밴드(B1) 상에 배치된다고 함은 화소의 중심이 가상의 제1밴드(B1) 상에 배치됨을 나타낸다. 가상의 제1밴드(B1) 상에 배치된 이웃하는 제2화소들(200)간의 피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피치(pt 1)과 제2피치(pt 2)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영역(2) 각각에 포함된 제3화소들(300)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이하, 제3갭)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단위영역(2)의 제3화소(300)는 x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단위영역(2)의 제3화소(300)와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제3꼭지점(P3, 또는 제4꼭지점 P4)을 중심으로 제1갭(G3)을 가지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영역들(2)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동일한 색을 구현하는 화소들 사이의 갭은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G0=G1=G2=G3일 수 있다.
각 단위영역(2)에 포함된 제2화소(200)는 제1화소(100) 및 제3화소(300)에 대해 각각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영역(2)의 중심부, 즉 가상의 정사각형(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는 인접한 제1화소(100)와 제1거리(D1)를 유지하고, 인접한 제2화소(200)와 제2거리(D2)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제1거리(D1)와 제2거리(D2)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가상의 정사각형(10)의 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화소(100) 및 제3화소들(300)이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갖는 경우, 예컨대, 제1화소(100)의 개구율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1화소(100)는 슬롯형상이므로 제1길이(L1)를 증가하는 것 보다 제1폭(W1)을 증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 경우, 제1화소(100)의 제1폭(W1)이 제3화소(300)의 제3폭(W3)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화소(100)와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a')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 즉 제1화소(100)와 제2화소(200a')가 모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경우에도, 제1폭(W1)을 늘려 제1화소(100)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화소(100)와 제2화소(200a') 간의 제1거리(D1)를 유지하고, 이웃하는 제2화소(200a')들 간의 갭(G0)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2화소(200a')의 제2폭(W2a)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제2화소(200a')는 제2길이(L2a)가 제2폭(W2a) 보다 큰 슬롯형상이므로, 제2폭(W2a)이 감소하면 개구율에 큰 변화, 즉 개구율이 감소하게 된다. 즉, 제2길이(L2a)가 감소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폭(W2a)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개구율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위영역(2')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a')와 단위영역(2)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b')의 연장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 이들이 동일한 색상을 구현하는데도 불구하고, 제1화소(100)의 제1폭(W1) 증가시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b')의 폭(W2b)은 감소하지 않고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200a')의 제2폭(W2a)이 감소하게 되어 제2화소들(200a', 200b')간 개구율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화소(100)와 교차하는 방향, 즉 수직인 제2방향을 따라 제2화소(200)가 연장되므로, 제1폭(W1)이 증가하는 경우에 제2화소(200)의 제2길이(L2)가 감소하게 되므로 제2화소(200)의 개구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위영역(2)의 중심부 및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2화소들(200)이 모두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교예와 달리 제2화소(200)부 간의 개구율의 편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화소(100)가 청색이고, 제3화소(300)가 적색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화소(100)가 적색이고, 제3화소(300)가 청색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제1 내지 제3화소(100, 200, 300)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화소(100, 200, 300) 각각이 폭보다 길이가 더 큰 값을 갖는다면, 평행사변형이거나 직육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색의 화소들은 소정의 갭(G0, G1, G2, G3)을 갖도록 인접하게 배치되고, 표시부(DA) 상의 모든 제1화소들(100)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모든 제2화소들(200) 및 모든 제3화소들(300)이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최대의 개구율을 확보하면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2': 단위영역
100: 제1화소 200: 제2화소
300: 제3화소

Claims (16)

  1.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는 제1화소, 제2화소 및 제3화소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위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영역들 각각은 각 단위영역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사각형을 포함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1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는 한 쌍의 제1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변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변과 평행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2변에 대응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은 상기 제1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1꼭지점 및 상기 제1꼭지점과 마주보고 상기 제2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2꼭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2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2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화소들은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중심점을 가운데 개재한 채로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외부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제2화소들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는 제1폭 및 상기 제1폭보다 크고 상기 제1방향을 따르는 제1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화소는 제2폭 및 상기 제2폭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2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는 상기 제1변과 꼭지점을 공유하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3변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화소는 제3폭 및 상기 제3폭보다 크고 상기 제2방향을 따르는 제3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화소의 개구율과 상기 제3화소의 개구율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제3화소의 상기 제3폭 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는 한 쌍의 제3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3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변과 대응되게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3변과 평행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제4변과 대응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은 상기 제3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3꼭지점 및 상기 제3꼭지점과 마주보고 상기 제4변의 일 단에 위치하는 제4꼭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3화소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4꼭지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의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 간의 거리는 상기 단위영역의 상기 제3화소와 상기 제2화소 간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포함된 제2화소의 개수는,
    상기 단위영역 각각에 포함된 제1화소의 개수 및 제3화소의 개수의 합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는 청색 또는 적색을 구현하고, 상기 제2화소는 녹색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은 서로 인접한 제1단위영역 및 제2단위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영역의 제1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제2단위영역의 제1화소와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영역은 서로 인접한 제1단위영역 및 제3단위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위영역의 제3화소는, 상기 가상의 정사각형의 꼭지점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상기 제3단위영역의 제3화소와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35085A 2015-03-13 2015-03-1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85A KR102296920B1 (ko) 2015-03-13 2015-03-13 디스플레이 장치
US14/877,459 US10170027B2 (en) 2015-03-13 2015-10-07 Display device
CN201610140203.XA CN105976719B (zh) 2015-03-13 2016-03-11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85A KR102296920B1 (ko) 2015-03-13 2015-03-1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36A true KR20160110836A (ko) 2016-09-22
KR102296920B1 KR102296920B1 (ko) 2021-09-02

Family

ID=5688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085A KR102296920B1 (ko) 2015-03-13 2015-03-1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0027B2 (ko)
KR (1) KR102296920B1 (ko)
CN (1) CN105976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0912A (zh) 2018-02-09 2022-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排列结构、显示基板以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0952A1 (en) * 2010-04-21 2011-10-27 Soonjae Hwang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20092238A1 (en) * 2010-10-15 2012-04-19 Soonjae Hwang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20130234917A1 (en) * 2012-03-06 2013-09-12 Sang-Shin Lee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30314459A1 (en) * 2011-02-23 2013-11-28 Atsushi Nakanishi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40246654A1 (en) * 2013-03-04 2014-09-04 Innolux Corporation Ol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8623B2 (en) * 2005-07-04 2011-03-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TWI415045B (zh) * 2009-02-24 2013-11-11 Ind Tech Res Inst 反射式顯示器的畫素結構
KR101189025B1 (ko) 2010-05-31 2012-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배열구조
KR102061283B1 (ko) 2012-09-13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US9514716B2 (en) * 2012-10-19 2016-12-06 Casio Computer Co., Ltd.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state adjustment method
KR20140058252A (ko) * 2012-11-06 2014-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27410B1 (ko) 2013-10-10 2020-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0952A1 (en) * 2010-04-21 2011-10-27 Soonjae Hwang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20092238A1 (en) * 2010-10-15 2012-04-19 Soonjae Hwang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20130314459A1 (en) * 2011-02-23 2013-11-28 Atsushi Nakanishi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30234917A1 (en) * 2012-03-06 2013-09-12 Sang-Shin Lee Pixel arrangement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40246654A1 (en) * 2013-03-04 2014-09-04 Innolux Corporation Ole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76719A (zh) 2016-09-28
US10170027B2 (en) 2019-01-01
CN105976719B (zh) 2020-05-12
US20160267829A1 (en) 2016-09-15
KR102296920B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497B1 (ko) 픽셀 구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US11380236B2 (en) Sub-pixel arrangement structure, mask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035851B1 (ko) 픽셀 구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CN114994973B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EP3151222B1 (en) Pixel unit, display panel,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1563060B2 (en) Pixel arrangement structure,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1271048B2 (en) Pixel arrangement structur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metal mask and display device
US97202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539203B (zh) 顯示面板
TWI653614B (zh) 顯示面板
AU201127238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8223816A1 (zh) 像素结构、显示基板、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0205131B2 (en) Mask group and method for fabricating an organic luminescence layer,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CN113097277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9071813A1 (zh) 阵列基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TWI653490B (zh) 顯示器
KR20150133934A (ko) 표시 장치
CN105826349A (zh) 显示面板
CN11307819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601108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7817625B (zh) 像素结构、彩膜基板及显示面板
CN215183969U (zh) 像素排列结构及显示面板
CN115188789A (zh) 显示像素排布结构及显示面板
CN114068609A (zh) Led单元、led源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097273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