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803A -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803A
KR20160110803A KR1020150034666A KR20150034666A KR20160110803A KR 20160110803 A KR20160110803 A KR 20160110803A KR 1020150034666 A KR1020150034666 A KR 1020150034666A KR 20150034666 A KR20150034666 A KR 20150034666A KR 20160110803 A KR20160110803 A KR 2016011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ntent
terminal
transmiss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성
이동희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온더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더웨이 filed Critical (주)온더웨이
Priority to KR102015003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0803A/ko
Publication of KR2016011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CONTENTS MEDIATING SERVICE METHOD USING OTIMUM APPLICATION ACCORDING TO CLIENT}
본 발명은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서, 상점단(Small & Medium Businesses; SMB)은 연계된 계약 업체의 어플리케이션만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거나, 단말의 SMS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모듈을 갖는 기업 역시 단말의 SMS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거나, 기업 자체가 서비스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한다.
이 때, 기존의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상점단의 경우, 상점단의 포스(Point of Sale; POS) 단말기에서 전송 콘텐츠를 직접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단말의 SMS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송 콘텐츠가 스팸 문자 메시지로 치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업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단말의 SMS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송 콘텐츠가 스팸 문자 메시지로 치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업 자체가 서비스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SMS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가 중복되어 제공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상점단 및 기업을 포함하는 광고주 입장에서, 전송 콘텐츠를 직접 전송하지 못하는 불편함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게 되는 불필요한 번거로움을 발생시킨다.
특히, 기존의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근본적으로, 전송 콘텐츠가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되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이 저조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의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이전에,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전송 대상자가 상기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도달율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상기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사용 빈도 또는 인기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지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수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대상자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콘텐츠는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의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의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이전에,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 콘텐츠가 제공된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 콘텐츠가 제공된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으로 제공된 전송 콘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 및 푸쉬 서버(15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는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하길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와 연관된 서버(예컨대, 상점단의 포스 및 기업의 CRM 모듈과 연관된 서버)를 의미한다. 이 때, 상점단의 포스는 포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일체를 의미한다.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은 개인 정보(예컨대, 이름,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에게 노출시킨 전송 대상자 소유의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는 전송 대상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장치일 수 있다.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와 직접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부터 전송 콘텐츠의 중개 요청을 받아들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의 단말(120)로 제공함으로써,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와 직접 연결된다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가 상점단의 포스 및 기업의 CRM 모듈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고객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개인 정보들에 대응되는 단말 사용자들(전송 대상자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여기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전송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서 보다 편리하게 전송 콘텐츠를 작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전송 콘텐츠는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수신된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 및 푸쉬 서버(15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그 다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 때, 단말 사용자는 위에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개인 정보들에 대응되는 단말 사용자(전송 대상자를 포함함)를 의미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사용 빈도 또는 인기도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도달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계산된 도달율이 최대화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고지함으로써, 고지 결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수락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푸쉬 서버(15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고지하는 과정에서, 전송 콘텐츠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고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한 후, 제공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콘텐츠가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되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 콘텐츠가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차지하는 비율 등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로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콘텐츠가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되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110)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는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는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페이스북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에는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는 사전에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에 등록됨으로써,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후술되는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할 수 있다.
푸쉬 서버(150)는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푸쉬 서버(150)는 안드로이드 푸쉬 전송 시스템인 GCM(Google Cloud Messaging) 서버 또는 애플 푸쉬 전송 시스템인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푸쉬 서버(150)를 콘텐츠 중개 서버(130)와 별도의 서버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 중개 서버(130)에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서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푸쉬 서버(150)가 콘텐츠 중개 서버(130)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푸쉬 서버(150)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서버(150)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 및 푸쉬 서버(150)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가 수신된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푸쉬 서버(150)로부터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은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대상자가 사용하는지 여부 등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푸쉬 서버(150)로 전송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유효한지 여부를 응답으로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와 매칭하여 저장/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전에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가 등록됨에 따라,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에 포함되어 유지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와 매칭하여 저장/유지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대고객 메시지 발송 정책 역시 셋업 해놓을 수 있다.
이 때,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4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함으로써,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에 기초하여 푸쉬 서버(15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됨으로써, 다음 번 콘텐츠 중개 서비스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130)는 푸쉬 서버(150)를 이용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전송 콘텐츠가 제공되거나,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도록 전송 대상자의 단말(120)로 미리 SDK를 배포하여 삽입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 푸쉬 서버(23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40) 및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을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수신된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에 포함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에 기초하여 푸쉬 서버(23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사전에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40)가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에 등록됨에 따라(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에 포함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푸쉬 서버(230)를 이용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거나,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전송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미리 SDK를 배포하여 삽입시킬 수 있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 때,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4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대고객 메시지 발송 정책 역시 셋업될 수 있다.
그 다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사용 빈도 또는 인기도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도달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부터 선호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도달율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의 선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단순히 도달율만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도달율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 전송 대상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감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전에 다른 전송 콘텐츠가 전송된 경우, 도달율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었더라도, 전송 대상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반복되어 콘텐츠가 제공됨에 느끼는 피로도를 감안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 고지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고지하는 과정에서, 전송 콘텐츠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 고지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고지 결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수락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푸쉬 서버(230)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그 후,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제공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40)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이용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된 비용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콘텐츠가 전달되는데 이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역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된 비용을 쉐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22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부터 전송 콘텐츠의 중개 요청을 받아들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의 단말(250)로 제공함으로써,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전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대상자의 단말(250)로 전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되기 때문에,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 콘텐츠가 제공된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310)의 푸쉬 동작(311)을 통해 전송 콘텐츠(320)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a)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310)의 일부분에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푸쉬 동작(311)을 통해 전송 콘텐츠(320)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대상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310)을 열람하게 되면, (b)와 같이, 전송 콘텐츠(320)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전송 콘텐츠(320)는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기재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 콘텐츠가 제공된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410)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420)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a)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410)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420)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410)의 일부분에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푸쉬 동작(411)이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송 대상자가 링크 메시지(420)를 통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410)을 열람하게 되면, (b)와 같이, 전송 콘텐츠(430)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4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전송 콘텐츠(430)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대상자의 단말 화면으로 제공된 전송 콘텐츠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경우 모두에서, 전송 콘텐츠로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콘텐츠로 동영상 콘텐츠(510)를 사용하여, 전송 대상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520)을 통하여 동영상 콘텐츠(510)를 열람하게 되면, 동영상 콘텐츠(510)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콘텐츠로 특정 웹 사이트(611)를 로드하는 콘텐츠(610)를 사용하여, 전송 대상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620)을 통하여 특정 웹 사이트(611)를 로드하는 콘텐츠(610)를 열람하게 되면, 특정 웹 사이트(611)가 로드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콘텐츠로 특정 어플리케이션(711)을 로드하는 콘텐츠(710)를 사용하여, 전송 대상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720)을 통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711)을 로드하는 콘텐츠(710)를 열람하게 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711)이 로드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어플리케이션(711)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720)과 구별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전송 콘텐츠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사용하여, 전송 대상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열람하게 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가 로드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대상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는 수신부(810), 확인부(820), 선택부(830) 및 제공부(840)를 포함한다.
수신부(81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송 콘텐츠는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810)는 전송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제공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확인부(82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확인부(82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부(820)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확인부(820)에 포함되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한 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에 기초하여 푸쉬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확인부(820)는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선택부(830)는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사용 빈도 또는 인기도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는 선택부(830)에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830)는 전송 콘텐츠,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전송 대상자가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도달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제공부(84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한다.
이 때, 제공부(840)는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이전에,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부(840)는 전송 대상자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고지하는 과정에서, 전송 콘텐츠 및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공부(830)는 고지 결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21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수락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공부(830)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전송 콘텐츠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공부(830)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를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부(830)는 제공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830)는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전송 대상자가 상기 전송 콘텐츠를 열람하는 비율인 도달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도달율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에 기초하여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키를 상기 미리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사용 빈도 또는 인기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지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전송 수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대상자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 또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비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관리하는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푸쉬 동작을 통해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링크 메시지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콘텐츠는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특정 웹 사이트를 로드하는 콘텐츠,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는 콘텐츠 또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페이지를 로드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에 대한 콘텐츠 중개 서비스의 과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콘텐츠에 대한 템플릿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주 서버로부터 전송 콘텐츠 및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전송 콘텐츠, 상기 전송 대상자에 대한 개인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말 사용자의 반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송 콘텐츠를 전달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전송 콘텐츠를 상기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서버.
KR1020150034666A 2015-03-12 2015-03-12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KR20160110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66A KR20160110803A (ko) 2015-03-12 2015-03-12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66A KR20160110803A (ko) 2015-03-12 2015-03-12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03A true KR20160110803A (ko) 2016-09-22

Family

ID=5710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66A KR20160110803A (ko) 2015-03-12 2015-03-12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0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85A1 (ko) * 2017-09-27 2019-04-04 이니그마(주) 메시지 확인 여부의 체크가 가능한 인터넷 알림 메시지 발송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85A1 (ko) * 2017-09-27 2019-04-04 이니그마(주) 메시지 확인 여부의 체크가 가능한 인터넷 알림 메시지 발송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3317B2 (en) Method of messaging service
US10050899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client, server and system
CN105812479B (zh) 使用权限的请求方法和装置及获取方法和装置
JP6979264B2 (ja) クラウド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848934B2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resource management method, resource transaction management device, resource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CN111260396A (zh) 一种广告预加载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44598B1 (ko) 통합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771555B2 (en) Re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0386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cense enforcement of email message recovery application
US10484851B2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executing on a client device via authent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n application
US105218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n e-commerce provider with third-party vendors
KR20160110803A (ko)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US20120054751A1 (en) Disposition determination technique
KR101861507B1 (ko) 푸시 메시지의 수신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1479903B1 (ko) 다중 디바이스 및 플랫폼을 위한 접속 인증 방법
JP2020109643A (ja) メッセンジャー基盤の銀行口座取引履歴に関連するユーザが使いやすい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2013495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712609B1 (ko) 초기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8981A (ko)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WO20140926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KR101634427B1 (ko)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처리 단말
KR101616175B1 (ko) 메세지 중개 방법, 메세지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699970B1 (ko) 기업용 메시지 전송 장치, 모바일 상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150126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934383B (zh) 将云打印机与业务绑定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