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664A - 복합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복합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664A
KR20160110664A KR1020150033292A KR20150033292A KR20160110664A KR 20160110664 A KR20160110664 A KR 20160110664A KR 1020150033292 A KR1020150033292 A KR 1020150033292A KR 20150033292 A KR20150033292 A KR 20150033292A KR 20160110664 A KR20160110664 A KR 2016011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substrate
light emitting
comm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932B1 (ko
Inventor
오지영
구재본
김주연
나복순
박찬우
이상석
정순원
추혜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32B1/ko
Priority to US15/007,912 priority patent/US9740073B2/en
Publication of KR2016011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7/323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H01L27/3267
    • H01L51/5056
    • H01L51/5072
    • H01L51/508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this group, now to be changed, should already been created by implementation of a previous DOC14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5Counter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Abstract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전기변색층, 공통전극, 발광부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상기 유기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기층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표시 소자{COMPLEX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합 표시 소자에 관련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 표시 소자에 관련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화면에 구현하는 영상표시 장치이며, 현대에 들어서는 가전제품이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와 같은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된다.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는 일정 전압 인가 시 자체발광 특성을 갖기 때문에 동화 대응의 응답성이나 어두운 곳에서의 시인성에 우수하지만, 에너지 절감이나 태양광 하에서의 시인성 측면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외부의 빛을 반사, 투과 또는 착색 등의 광학 특성 변화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외부의 빛이 강한 조건, 특히 태양광과 같은 실외 조건에서 효과적이다. 휴대용 전가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외부의 빛에 상관없이 좋은 화면 구현 특성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광형 디스플레이와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모두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정성이 우수하고, 저전력구동 특성이 향상된 복합 표시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전기변색층, 공통전극, 발광부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기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물질은 PEIE 또는 Zn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송물질은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PEDOT:PSS, PVK, TFB, α-NPD 또는 TP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또는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상기 제 2 기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컨택,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컨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또는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기판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컨택,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컨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평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전기변색층, 상기 제 2 전극 상의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상으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상의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기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주입물질은 PEIE 또는 ZnO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수송물질은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PEDOT:PSS, PVK, TFB, α-NPD 또는 TP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변색층을 위한 전하 매개층으로서 전해질층(또는 이온전도층)이 아닌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을 가두기 위한 격벽 또는 캡슐화가 필요하지 않고, 용매의 휘발로 인한 안정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및 시인성이 우수하고, 그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복합 표시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하나의 구동부만들 사용함에 따라, 전력 소모가 감소되어 전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어떤 적합한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면(또는 층)이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면(또는 층)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면(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면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면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면(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면(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서의 제 1 면으로 언급된 면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면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복합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의 변색층에 전해질층 또는 이온전도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10a, 10b)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과, 제 1 및 제 2 기판들(101, 102)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의 전극들, 전기변색층(300), 발광부(400), 유기층(500) 및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500)이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면 복합 표시 소자(10a)와 복합 표시 소자(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투명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기판들(101, 102)은 유연소재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기판들(101, 10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판(101)은 상술한 유연소재 기판이고, 제 2 기판(102)은 보호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판(10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201)은 제 2 기판(102)과 마주하는 제 1 기판(10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극(202)은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은 제 1 전극(201)과 제 2 전극(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전기변색층(300)과 발광부(400)에 음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캐소드들(cathodes)일 수 있다. 이 경우, 공통전극(203)은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전기변색층(300)과 발광부(400)에 양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애노드들(anodes) 일 수 있다. 이 경우, 공통전극(203)은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은 각각 Al, TiN, ITO, IZO 또는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제 1 전극(201)과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2 내지 10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전극(201)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층(300) 내에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층(300)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공통전극(203) 및 제 1 전극(201) 사이의 전압은 구동부(60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전기변색층(300)은 복합 표시 소자(10a, 10b)의 반사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복합 표시 소자(10a, 10b)는 밝은 공간에서 반사모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EC(electro chromic)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300)은 WO3 또는 PEDO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은 전기변색층(300)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500)은 2 내지 10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공통전극(203)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세하게,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일 경우,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정공주입물질은 일 예로, PEDOT:PPS, PVK, TFB, α-NPD 또는 TP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공수송물질은 일 예로,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주입물질은 일 예로, PEIE 또는 Zn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수송물질은 일 예로,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201)과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공통전극(203)의 전하(예를 들면,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인 경우에는 정공,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인 경우에는 전자)는 유기층(500)을 통과하여 전기변색층(3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기층(500)의 에너지 수준은 공통전극(203)과 전기변색층(300)의 중간 값을 가질 수 있다. 유기층(500)의 사용으로 인해, 공통전극(203)으로부터 전기변색층(300)으로 전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유기층(500)의 효과적인 전하 전달로 인해 전기변색층(300)은 인가 전압에 대해 빠른 응답속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은 제 1 전극(201) 및 전기변색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제 1 전극(201)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전극(201)이 캐소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1 전극(201)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도는 이들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전극(201)과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 1 전극(201)의 전하(예를 들면, 제 1 전극(201)이 애노드인 경우에는 정공, 제 1 전극(201)이 캐소드인 경우에는 전자)는 유기층(500)을 통과하여 전기변색층(3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기층(500)의 에너지 수준은 제 1 전극(201)과 전기변색층(300)의 중간 값을 가질 수 있다. 유기층(500)의 사용으로 인해, 제 1 전극(201)으로부터 전기변색층(300)으로 전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유기층(500)의 효과적인 전하 전달로 인해 전기변색층(300)은 인가 전압에 대해 빠른 응답속도를 가질 수 있다.
발광부(400)가 공통전극(203)과 제 2 전극(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부(400)는 자발광을 방출할 수 있다.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 사이의 전압은 구동부(60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발광부(4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발광부(400)는 복합 표시 소자(10a, 10b)의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복합 표시 소자(10a, 10b)는 어두운 실내에서 자발광모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은 OLED로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400)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이고 제 2 전극(202)이 애노드일 경우, 발광부(400)는 공통전극(203) 상에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수송층 및 전공주입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이고 제 2 전극(202)이 캐소드인 경우, 발광부(400)는 공통전극(203) 상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발광부(400)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주입충 및 전자수송층은 각각 상술한 유기층(500)의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수송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400)의 정공주입층은 PEDOT:PPS, PVK, TFB, α-NPD 또는 TP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0)의 정공수송물층은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0)의 전자주입층은 PEIE 또는 Zn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0)의 전자수송층은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 1 기판(101)과 제 1 전극(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 1 전극(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동부(600)는 제 1 컨택(710) 및 제 2 컨택(720)을 통해 각각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600)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중 일부는 제 1 컨택(710)을 통해 공통전극(2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컨택(710)은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1 컨택 홀(7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컨택(710)은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은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과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600)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중 다른 일부는 제 2 컨택(720)을 통해 제 2 전극(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2 컨택 홀(7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은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과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600)는 복합 표시 소자(10a, 10b)의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의 구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0)는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0)는 제 1 전극(201)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반사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600)가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복합 표시 소자(10a, 10b)는 그의 제공된 환경에 적합하게 듀얼모드(즉,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변색층을 위한 전하매개층으로서 전해질(또는 이온전도층)이 아닌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을 가두기 위한 격벽 또는 캡슐화가 필요하지 않고, 용매의 휘발로 인한 안정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및 시인성이 우수하고, 그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복합 표시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하나의 구동부만들 사용함에 따라, 전력 소모가 감소되어 전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10a)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 1 기판(101) 상에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구동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은 복수의 단위 공정. 예를 들어, 증착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00) 상에 제 1 전극(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201)은 구동부(600) 상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층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제 1 전극(201) 상에 전기변색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진공증착 또는 용액기반형 증착장법을 통하여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300)은 진공 증착 중합법,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진공열증착법 또는 전자빔 증착법을 포함하는 진공증착 방법을 통하여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층(300)은 스핀코팅, 바코팅 또는 스프레이코팅을 포함하는 용액기반형 증착방법을 통하여 증착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일정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 1 전극(201) 상에 유기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층(500)은 진공증착 또는 용액기반형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층(500)은 진공 증착 중합법,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진공열증착법 또는 전자빔 증착법을 포함하는 진공증착 방법을 통하여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층(500)은 스핀코팅, 바코팅 또는 스프레이코팅을 포함하는 용액기반형 증착방법을 통하여 증착될 수 있다. 유기층(500)은 일정 형태로 패터닝 될 수 있다.
구동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컨택(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컨택(710)은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1 컨택 홀(701)을 형성한 후, 제 1 컨택 홀(701) 내에 도전 물질을 채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컨택(710)은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은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과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 상에 공통전극(20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전극(203)은 전기변색층(300) 상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층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 상에 발광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400)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400)는 진공증착 또는 용액기반형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컨택(7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2 컨택 홀(702)을 형성한 후, 제 2 컨택 홀(702) 내에 도전 물질을 채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은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과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400) 상에 제 2 전극(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극(202)은 발광부(400) 상에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층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제 2 전극(202) 상에 제 2 기판(10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판(102)은 엔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할 수 있다. 엔캡슐레이션 할 경우 제 2 기판(102)은 보호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복합 표시 소자(10b)의 경우, 전기변색층(300)과 유기층(500)의 형성 순서를 달리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의 복합 표시 소자(10a)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의 복합 표시 소자(10b)의 경우, 제 1 전극(201) 상에 유기층(500)이 먼저 형성된 후, 유기층(500) 상에 전기변색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는 전기변색층 및 발광부가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각 구성요소의 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전기변색층, 발광부, 및 유기층의 배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20a, 20b)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과, 제 1 및 제 2 기판들(101, 102)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의 전극들, 전기변색층(300), 발광부(400), 유기층(500) 및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을 포함할 수 있다.유기층(500)이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면 복합 표시 소자(20a)와 복합 표시 소자(2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제 2 전극(202)과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층(300) 내에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층(300)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복합 표시 소자(20a, 20b)의 반사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은 전기변색층(300)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공통전극(203)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세하게,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일 경우,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정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은 제 2 전극(202) 및 전기변색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제 2 전극(202)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2 전극(202)이 캐소드일 경우, 유기층(5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2 전극(202)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부(400)가 공통전극(203)과 제 1 전극(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 및 제 1 전극(201)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부(400)는 자발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4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발광부(400)는 복합 표시 소자(20a, 20b)의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 1 기판(101)과 제 1 전극(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 1 전극(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동부(600)는 제 1 컨택(710) 및 제 2 컨택(720)을 통해 각각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컨택(710)은 발광부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와 공통전극(2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제 2 컨택(720)은 전기변색층(300), 유기층(500), 공통전극(203), 발광부(4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와 제 2 전극(2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1 컨택(710)은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1 컨택 홀(7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컨택(710)은 발광부(4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은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택(710)과 제 1 컨택 홀(701)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을 관통하여 구동부(600)를 노출하는 제 2 컨택 홀(7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컨택(720)은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유기층(500), 전기변색층(300) 및 제 1 전극(201)과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은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택(720)과 제 2 컨택 홀(702)의 외벽 사이에 절연체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의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할 수 있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각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30a, 30b)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과, 제 1 및 제 2 기판들(101, 102)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의 전극들, 전기변색층(300), 발광부(400), 유기층(500) 및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및 공통전극(203)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500)이 배치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제외하면 복합 표시 소자(30a)와 복합 표시 소자(3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 상에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제 1 기판(101)의 상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이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싱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전기변색층(300)과 발광부(400)에 음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캐소드들일 수 있다. 이 경우, 공통전극(203)은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애노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은 전기변색층(300)과 발광부(400)에 양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는 애노드들 일 수 있다. 이 경우, 공통전극(203)은 제 1 전극(201) 및 제 2 전극(202)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애노드일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이 제 1 전극(201)과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은 2 내지 10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전극(201)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층(300)내에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변색층(300)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전기변색층(300)은 복합 표시 소자(30a, 30b)의 반사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복합 표시 소자(30a, 30b)는 밝은 공간에서 반사모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이 전기변색층(300)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500)은 2 내지 10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공통전극(203)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세하게,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일 경우,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층(500)은 제 1 전극(201) 및 전기변색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기층(500)을 구성하는 물질은 제 1 전극(201)의 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전극(201)이 캐소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주입층, 전자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수송층,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전자주입물질 및 전자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 1 전극(201)이 애노드인 경우,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도는 이들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층(500)은 정공주입물질 및 정공수송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부(400)가 공통전극(203)과 제 2 전극(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부(400)는 자발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4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제 2 기판(10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발광부(400)는 복합 표시 소자(30a, 30b)의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복합 표시 소자(30a, 30b)는 어두운 실내에서 자발광모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발광부(400),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은 OLED로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400)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전극(203)이 캐소드이고 제 2 전극(202)이 애노드일 경우, 발광부(400)는 공통전극(203) 상에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수송층 및 전공주입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공통전극(203)이 애노드이고 제 2 전극(202)이 캐소드인 경우, 발광부(400)는 공통전극(203) 상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 1 기판(101)과 제 1 전극(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복합 표시 소자(30a, 30b)의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의 구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0)는 공통전극(203) 및 제 2 전극(2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자발광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0)는 제 1 전극(201) 및 공통전극(20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반사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구동부(600)가 반사모드 및 자발광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복합 표시 소자(30a, 30b)는 그의 제공된 환경에 적합하게 듀얼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합 표시 소자(30a, 30b)의 전력 소비가 최소화되고,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표시 소자(30a)는 다음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 1 기판(101) 상에 구동부(600),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전기변색층(300), 발광부(400) 및 유기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00), 제 1 전극(201), 제 2 전극(202), 전기변색층(300), 발광부(400) 및 유기층(500) 각각의 형성 방법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기판(102) 상에 공통전극(203)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전극(203)의 형성 방법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이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가압 공정을 통하여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02)은 롤라미네이터를 통해 합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 제 1 기판 102: 제 2 기판
201: 제 1 전극 202: 제 2 전극
203: 공통전극 300: 전기변색층
400: 발광부 500: 유기층
600: 구동부

Claims (20)

  1.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 1 전극, 전기변색층, 공통전극, 발광부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주입물질은 PEIE 또는 ZnO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물질은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PEDOT:PSS, PVK, TFB, α-NPD 또는 TPD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또는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상기 제 2 기판을 통해 표시되는 복합 표시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컨택;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컨택을 더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또는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상기 제 1 기판을 통해 표시되는 복합 표시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컨택;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컨택을 더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3.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평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전기변색층;
    상기 제 2 전극 상의 발광부;
    상기 발광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변색층 상으로 연장되는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상의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정공주입물질, 정공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자주입물질, 전자수송물질 및 이들의 혼합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주입물질은 PEIE 또는 ZnO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물질은 Alq3, TPBi, BBOT, PBD, BMD,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물질은 PEDOT:PSS, PVK, TFB, α-NPD 또는 TPD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물질은 2-TNATA, m-MTDATA, Ir(piq)3, Ir(piq)2(acac), 또는 rubrene 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복합 표시 소자.
KR1020150033292A 2015-03-10 2015-03-10 복합 표시 소자 KR10216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92A KR102167932B1 (ko) 2015-03-10 2015-03-10 복합 표시 소자
US15/007,912 US9740073B2 (en) 2015-03-10 2016-01-27 Complex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92A KR102167932B1 (ko) 2015-03-10 2015-03-10 복합 표시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664A true KR20160110664A (ko) 2016-09-22
KR102167932B1 KR102167932B1 (ko) 2020-10-21

Family

ID=5688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92A KR102167932B1 (ko) 2015-03-10 2015-03-10 복합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0073B2 (ko)
KR (1) KR102167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304A (ko) * 2017-05-12 2018-11-28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유기 발광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91612B1 (ko) * 2019-05-24 2020-03-20 (주)오리온엔이에스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0717B (zh) * 2013-09-10 2017-12-12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包括电致变色器件和有机电致发光器件的智能窗
DE102014107167B4 (de) * 2014-05-21 2022-04-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mit einer Strukturschicht mit einer Mehrzahl von dreidimensionalen Strukturelementen und strahlungsemittierendes Halbleiterbauelement mit einer Strukturschicht mit einer Mehrzahl von dreidimensionalen Strukturelementen
DE102014222920A1 (de) * 2014-11-11 2016-05-12 Osram Oled Gmbh Licht 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 emittierenden Bauelements
KR102651060B1 (ko) * 2016-08-11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799656B (zh) * 2016-09-07 2019-12-06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元件
DE102018104993A1 (de) * 2018-03-05 2019-09-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auelement mit elektrisch leitfähiger konverterschicht
CN109742104B (zh) * 2019-01-03 2021-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窗
CN109887981B (zh) * 2019-03-20 2021-02-2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CN110676300B (zh) * 2019-10-30 2022-0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9187A1 (en) * 2003-03-31 2004-09-30 Yih Cha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40069686A (ko) * 2012-11-29 2014-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471443B1 (ko) * 2013-09-11 2014-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변색 소자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스마트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94376T1 (de) * 1994-05-17 2000-07-15 Flachglas Ag Monomermischung zum verkleben von im wesentlichen blattförmigen gegenständen
US6447879B1 (en) * 1996-09-17 2002-09-1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4059798A1 (de) * 2004-12-10 2006-06-29 Ovd Kinegram Ag Optisch variables Element mit elektrisch aktiver Schicht
US7463399B2 (en) * 2005-09-28 2008-12-09 Samsung Sdi Co., Ltd. Flat panel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8145867A (ja) * 2006-12-12 2008-06-2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US8120245B2 (en) * 2008-04-15 2012-02-2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Interdigitated electrode dual electroemissive/electrochromic devices
KR102029563B1 (ko) * 2008-12-11 2019-10-07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조명수단
TWM368088U (en) * 2009-04-07 2009-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Integrated electro chromic 2D/3D display device
KR101900372B1 (ko) * 2011-07-19 2018-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189212U (zh) * 2011-08-18 2012-04-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反型电致变色液晶显示器
FR2986625B1 (fr) * 2012-02-06 2014-11-21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EP2833427A4 (en) * 2012-05-09 2016-02-24 Lg Chemical Ltd ORGANIC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923725B1 (ko) 2012-07-12 2018-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듀얼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7815B1 (ko) 2012-08-07 2019-0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직구조의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6591B1 (ko) 2012-12-12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발광형 및 반사형 소자를 포함하는 이중모드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모드 디스플레이
JP6189151B2 (ja) * 2013-09-13 2017-08-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278243B1 (ko) * 2015-02-25 2021-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9187A1 (en) * 2003-03-31 2004-09-30 Yih Cha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40069686A (ko) * 2012-11-29 2014-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471443B1 (ko) * 2013-09-11 2014-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변색 소자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스마트 윈도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304A (ko) * 2017-05-12 2018-11-28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유기 발광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91612B1 (ko) * 2019-05-24 2020-03-20 (주)오리온엔이에스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6459A1 (en) 2016-09-15
US9740073B2 (en) 2017-08-22
KR102167932B1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932B1 (ko) 복합 표시 소자
US86535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73587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reflective electrode and a reflective layer
KR1020902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592672B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2302099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19377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3905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40306204A1 (en) Double-Sid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20120100438A (ko) 전면발광형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2916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748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2448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066836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0709551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9742104B (zh) 智能窗
EP24239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474000B1 (ko) 듀얼패널타입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90536B1 (ko) 전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417921B1 (ko) 캔리스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WO2011046262A1 (ko) 발광 소자,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조명 유닛
JP2008218470A (ja) 有機el表示装置
CN113363301B (zh) 硅基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90067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22683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