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12B1 -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12B1
KR102091612B1 KR1020190061022A KR20190061022A KR102091612B1 KR 102091612 B1 KR102091612 B1 KR 102091612B1 KR 1020190061022 A KR1020190061022 A KR 1020190061022A KR 20190061022 A KR20190061022 A KR 20190061022A KR 102091612 B1 KR102091612 B1 KR 10209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loration
layer
electrochromic device
layers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성
김정필
유성재
이춘엽
Original Assignee
(주)오리온엔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리온엔이에스 filed Critical (주)오리온엔이에스
Priority to KR102019006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12B1/ko
Priority to CN201910977944.7A priority patent/CN11198386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도 빠른 응답속도로 변색할 수 있는 전기 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변색소자는 마주보는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층에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변색층이 형성되는 전기 변색소자로서, 상기 전극층 표면에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변색복합층을 상기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층 표면에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변색복합층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변색복합층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 적용하더라도 빠른 응답속도로 변색할 수 있고, 절연막이나 전도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조를 부여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변색시 절연막이나 전도막에 의하여 드러나는 선으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Electrochromic device with enhanced discoloration 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변색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층 표면에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변색복합층을 소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여 형성함으로써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변색복합층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도 빠른 응답속도로 변색할 수 있는 전기 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이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방향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소자를 전기 변색소자 (Electrochromic Devices)라고 한다. 전기 변색소자는 외부에서 전자 이동이 없을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지 않다가, 전자가 공급되어 환원되거나 전자를 잃어 산화되는 경우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전자공급이 없을 경우 색을 띠고 있다가 전자가 공급되어 환원되거나 전자를 잃어버려 산화되는 경우 색이 사라지는 특성을 갖는다.
전기 변색소자는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미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변화 뿐만 아니라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전기 변색소자의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전기변색 소재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2투명기판(11,17)사이에 제1투명전극층(12), 제1변색층(13), 전해질층(14), 제2변색층(15), 제2투명전극층(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1변색층(13)으로 산화되어 변색되는 니켈산화물(NiOx)이, 제2변색층(15)으로는 환원되어 변색되는 산화텅스텐(WOx)과 같은 무기물질이 사용된다. 외부 전원이 제1투명전극층(12)과 제2투명전극층(16)에 인가되면, H+, 또는 Li+, Na+ 와 같은 전해질 이온이 변색층(13,15)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전자가 이동하여 착색 또는 탈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 변색소자에서 전원이 연결되는 투명전극은 면상으로 적층됨에 따라 면저항을 가지는데, 재질이나 적층되는 두께에 따라 면저항의 편차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1Ω~120Ω의 면저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기 변색소자의 양측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투명전극의 면저항에 의하여 소자 중심의 전압이 낮아, 양측에 비하여 소장 중앙에서의 변색속도가 느려져 불균일한 변색이 일어나고 변색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변색소자의 변색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추거나 전기변색층의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는데, 투명전극의 면저항을 낮추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39842호에서 투명전극을 형성할 때 두께와 굴절률의 제어를 통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높이는 금속산화물/금속의 다층박막 구조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금속의 전기화화학적 안정성 문제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된다.
변색층의 전도도를 향상하도록 나노입자를 사용한 방법을 특허공개 제2015-0076780호에 제안되었으나, 변색층의 전도도를 개선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대면적에 적용시 증가되는 면저항에 의하여 변색속도가 저하되고 불균일한 변색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939842호 (발명의 명칭: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6780호 (발명의 명칭: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도 빠른 응답속도로 균일하게 변색할 수 있는 전기 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변색소자는 마주보는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층에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변색층이 형성되는 전기 변색소자로서, 상기 전극층 표면에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변색복합층이 상기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색층은 산화되어 변색되는 제1변색층과 환원되어 변색되는 제2변색층의 한 쌍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는 100nm~2,000n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상하방향으로 일측구간이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이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은 절연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절연격벽은 일단이 투명기판에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원 인가시 마주보는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과 전극층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하여 상기 제1,2변색층이 변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변색복합층의 전극층 및 제1변색층에서 상기 제1변색복합층과 마주보는 제2변색복합층의 제2변색층 및 전극층과 상기 제2변색복합층의 제2변색층에 인접하는 제1변색층을 거쳐, 상기 제1변색복합층과 이웃하는 제3변색복합층의 제2변색층 및 전극층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여 n개 배치되며, 상기 일방향 경로는 상기 제1변색복합층으로부터 상하로 교번되게 연결되어 제n변색복합층에 이르는 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은 각각 끼리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투명기판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층에 복수의 변색층을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전극층 사이에 절연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투명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된 다수의 변색복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변색복합층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도록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 전해질층을 형성하고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에 산화되어 변색되는 제1변색층과 환원되어 변색되는 제2변색층을 인접하게 한 쌍으로 형성하며, 상기 투명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상하방향으로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이 마주보도록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층 표면에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변색복합층을 소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여 배치함으로써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변색복합층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 적용하더라도 빠른 응답속도로 균일하게 변색할 수 있으며, 절연막이나 전도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조를 부여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변색소자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변색복합층이 형성하는 단위 변색소자내의 전하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변색복합층의 동일한 변색층끼리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색소자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색소자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전기 변색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변색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투명기판(110,170) 사이에 전극층(120,160), 변색층(130,150), 전해질층(1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기판(110,170)은 광 투과가 가능한 기판으로, 유리, 플라스틱 또는 연성의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연성의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 폴리이미드(PI) 필름, 폴리스틸렌(P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층(120,160)은 각각 상부 및 하부 투명기관(110,170)에 형성되어 빛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ITO, ATO, FTO, IZO, ZnO, 구리 산화물, 아연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층(120,160)은 스퍼터링과 같은 공지의 코팅공정을 통해 투명기판(110,170)에 박막의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0nm~2,000nm 두께로 형성된다.
변색층(130,150)은 전극층(120,160) 상에 형성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주입되는 전하 또는 전해질 이온의 이동에 의해 변색되는 층으로, 제1변색층(130)은 환원되어 변색되는 층이고, 제2변색층(150)은 산화되어 변색되는 층이다. 제1변색층(130)과 제2변색층(150)은 전기신호에 따라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포함하는데, 유기계 또는 무기계 전기변색 물질일 수 있다. 유기계 전기변색물질로는 비올로겐, 안트라퀴논, 폴리아닐린, 폴리피놀 또는 폴리싸이오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Ti, Nb, Mo, Ta, W, V, Cr, Mn, Fe, Co, Ni,Rh, 및 Ir 의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의 산화물을 무기변색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층(140)은 변색층(130,150)의 변색이나 탈색을 위해 수소 이온이나 리튬 이온의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층으로, 자외선 조사에 따라 경화될 수 있는 액상의 고분자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수지는 PEG계 올리고머, 저분자량의 PEGDMe, 광개시제가 혼합하여 조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전해질염이 혼합되어 전해질이 형성된다. 전해질염은 H+, Li+, Na+, K+, Rb+, Cs+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한 예로 LiClO4, LiBF4, LiAsF6, 또는 LiPF6 와 같은 리튬염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 변색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층(120,160) 에 복수의 변색층(130,150)이 형성된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이 전해질층(140)을 개재하여 소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변색복합층(200-1, 200-2,200-3, 200-4,..., 200-N)은 서로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에 교번되게 형성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상부에는 제1변색복합층(200-1), 제3변색복합층(200-3),..., 제N-1변색복합층(200-N-1)이, 하부에는 제2변색복합층(200-2)과 제4변색복합층(200-4),..., 제N변색복합층(200-N)이 절연격벽(300)에 의하여 구획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으로 상하 교번되게 형성되는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하나 이온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측구간이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의 대략 절반구간이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2변색복합층(200-2)의 절반구간에 형성된 제1변색층(130)은 제1변색복합층(200-1)의 절반구간에 형성된 제2변색층(150)과 전해질층(140)을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제2변색복합층(200-2)의 나머지 절반구간에 형성된 제2변색층(150)은 제3변색복합층(200-1)의 나머지 절반구간에 형성된 제1변색층(130)과 전해질층(140)을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하 교번되게 형성되는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경로(C)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를 형성하는데, 동일한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어 변색소자 양측은 물론, 내부 중앙에서도 변색속도가 느려지지 않게 된다.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 내부의 전하나 이온이 이동되는 경로(C)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위 변색소자(400-1)의 하부 전극층(160)에 (-)단자가 연결되고, 제1단위 변색소자(400-1)와 이웃하는 제2단위 변색소자(400-2)의 상부 전극층(120)에 (+)단자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전해질층(140) 내의 이온 또는 전원에 의해 주입된 전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변색소자(401,402)가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C)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한다. 즉, 전하 또는 이온은 제1단위 변색소자(401)의 전극층(160) 및 제1변색층(130)에서 마주보는 제2변색층(150) 및 전극층(120)과 제2변색층(150)에 인접하는 제1변색층(130)을 거쳐, 하부의 제2변색층(150) 및 전극층(160)으로 이동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웃하게 배치된 제2단위 변색소자(402)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내의 전하량을 균일하기 하도록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의 동일한 변색층(130,150)끼리, 즉 제1변색층(130)과 제2변색층(150)을 각각 끼리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 내에서 동일한 전하량이 유지됨에 따라 소자 내부의 변색불균일성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N개의 단위 변색소자(400-1, 400-2,...,400-N)가 일방향 경로(C)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직렬로 연결되는 단위 변색소자의 수는 하나의 단위 변색소자의 구동전압과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따라 결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변색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색소자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색소자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한 쌍의 투명기판(110,170)에 전극층(120,160)을 형성하는 단계(S110), 전극층(120,160)에 복수의 변색층(130,150)을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S120), 복수의 변색층(130,150)이 형성된 전극층(120,160)사이에 절연격벽(300)을 형성하여 한 쌍의 투명기판(110,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된 다수의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을 형성하는 단계(S130),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을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도록 접합하는 단계(S140), 절연격벽(300)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 전해질층(140)을 형성하고 실링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층(120,16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변색층(130,150)은 환원되어 변색되는 변색층(130)과 산화되어 변색되는 변색층(150)으로 형성되며, 전극층(120,160)에 복수의 변색층(130,150)이 형성된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은 상하방향으로 일측구간이 마주보도록 접합된다.
상기 전극(120,160)이나, 변색층(130,150), 전해질층(140)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deposition),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코팅, 졸겔(sol-Gel)법, 또는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각 층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투명기판(110,170)에 적층된 전극층(120,160)과 변색층(130,150)을 50~500um 너비로 에칭한 후 에칭된 곳을 채워서 절연격벽(300)이 형성되는데, 절연격벽(30)은 스크린인쇄 (Screen Printing), 오프셋 인쇄 (Off Set) 슷롯다이 (Slot die), 잉크젯 (Ink jet)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연격벽(300)은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내부영역에 전해질층(14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제1변색층(130)과 제2변색층(150) 사이에 접하도록 전극층(120,160)과 변색층(130,150)의 에칭된 깊이보다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절연격벽(300)은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변색 시 에칭과 격벽으로 구획된 영역이 최대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변색소자는 제1변색층(130)과 제2변색층(150)이 형성된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이 소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되게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 전극층(120,16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변색복합층(200-1, 200-2, 200-3, 200-4,..., 200-N)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변색 반응속도가 향상되어 대면적에 적용하더라도 빠른 응답속도로 균일하게 변색할 수 있다.
110: 상부 투명기판 120: 상부 전극층
130, 150: 변색층 140: 전해질층
160: 하부 전극층 170: 하부 투명기판
200-1: 제1변색복합층 200-2: 제2변색복합층
200-3: 제3변색복합층 200-4: 제4변색복합층
200-1, 200-2, 200-3, 200-4,..., 200-N: 변색복합층
300: 절연격벽 401: 제1단위 변색소자
402: 제2단위 변색소자
400-1, 400-2,...,400-N: 단위 변색소자 C: 일방향 경로

Claims (15)

  1. 마주보는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층에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변색층이 형성되는 전기 변색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 표면에 한 쌍의 산화되어 변색되는 제1변색층과 환원되어 변색되는 제2변색층이 각각 100nm~2,000nm 두께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변색복합층이 상기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되게 형성되며, 마주보는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은 절연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상하방향으로 일측구간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상하방향으로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격벽은 일단이 투명기판에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9. 제6항에 있어서,
    전원 인가시 마주보는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과 전극층이 형성하는 일방향 경로로 전하 또는 이온이 이동하여 상기 제1,2변색층이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게 제1변색복합층, 제2변색복합층...제N-1변색복합층, 제N변색복합층으로 N개 배치되며, 상기 일방향 경로는 상기 제1변색복합층으로부터 제N변색복합층에 이르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의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은 각각 끼리끼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13. 마주보는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층에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변색층이 형성되는 전기 변색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투명기판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층에 복수의 변색층을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변색층이 형성된 전극층 사이에 절연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투명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된 다수의 변색복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변색복합층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교번하도록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 전해질층을 형성하고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에 산화되어 변색되는 제1변색층과 환원되어 변색되는 제2변색층을 인접하게 한 쌍으로 형성하며, 상기 투명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교번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복합층은 상하방향으로 제1변색층과 제2변색층이 마주보도록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변색소자 제조방법.
KR1020190061022A 2019-05-24 2019-05-24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22A KR102091612B1 (ko) 2019-05-24 2019-05-24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910977944.7A CN111983869B (zh) 2019-05-24 2019-10-15 改善变色反应速度的电致变色器件及其制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22A KR102091612B1 (ko) 2019-05-24 2019-05-24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612B1 true KR102091612B1 (ko) 2020-03-20

Family

ID=6995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22A KR102091612B1 (ko) 2019-05-24 2019-05-24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1612B1 (ko)
CN (1) CN111983869B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911A (ja) * 2006-07-27 2008-02-14 Funai Electric Advanced Applie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c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KR100939842B1 (ko) 2009-11-04 2010-02-02 박선후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201545A1 (en) * 2012-02-03 2013-08-08 Itn Energy Systems, Inc. Integrated device architectures for electrochromic devices
KR101480950B1 (ko) * 2013-12-26 2015-01-14 전자부품연구원 셀 구조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76780A (ko)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0664A (ko) * 2015-03-10 201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표시 소자
KR20170104688A (ko) * 2016-03-07 2017-09-18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8778B1 (fr) * 2009-07-28 2011-08-12 Essilor Int Systeme electrochrome transparent
FR2950710B1 (fr) * 2009-09-28 2012-03-16 Essilor Int Systemes electrochromes transparents a plusieurs electrodes de polarisation
FR2950709B1 (fr) * 2009-09-28 2011-12-02 Essilor Int Systeme electrochrome transparent a plusieurs paires d'electrodes d'alimentation
TW201207536A (en) * 2010-08-10 2012-02-16 J Touch Corp Electrochromic module and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he same
TW201215916A (en) * 2010-10-01 2012-04-16 J Touch Corp Display device structure improvement featuring 2D/3D image switching
CN203069941U (zh) * 2013-02-22 2013-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变色器件
CN103399443B (zh) * 2013-07-24 2016-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变色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911A (ja) * 2006-07-27 2008-02-14 Funai Electric Advanced Applie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c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素子
KR100939842B1 (ko) 2009-11-04 2010-02-02 박선후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201545A1 (en) * 2012-02-03 2013-08-08 Itn Energy Systems, Inc. Integrated device architectures for electrochromic devices
KR101480950B1 (ko) * 2013-12-26 2015-01-14 전자부품연구원 셀 구조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76780A (ko)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0664A (ko) * 2015-03-10 2016-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표시 소자
KR20170104688A (ko) * 2016-03-07 2017-09-18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83869B (zh) 2023-05-23
CN111983869A (zh)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635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10753B1 (ko) 전기변색 소자
EP2416390B1 (en) Electrochromic thin film transistors using functionalized substr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798098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7277B1 (ko) 전기변색소자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변색소자
KR102141636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38184B1 (ko) 전기변색소자
KR20060092362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7111309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調光装置
KR102056095B1 (ko) 전기변색소자
JP2017026750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調光眼鏡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の製造方法
EP3470914A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091612B1 (ko)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582607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調光眼鏡
KR101480950B1 (ko) 셀 구조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6116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397828B1 (ko) 변색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10754B1 (ko) 전기변색소자
KR102452903B1 (ko) 균일한 변색이 가능한 전기 변색소자
KR101456168B1 (ko) 유연성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6713A (ko) 색상 가변 플라스틱
KR102042797B1 (ko) 복합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기 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122724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69486B1 (ko) 전기변색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