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95B1 - 전기변색소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95B1
KR102056095B1 KR1020160124609A KR20160124609A KR102056095B1 KR 102056095 B1 KR102056095 B1 KR 102056095B1 KR 1020160124609 A KR1020160124609 A KR 1020160124609A KR 20160124609 A KR20160124609 A KR 20160124609A KR 102056095 B1 KR102056095 B1 KR 10205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ayer
electrochromic
electrochromic device
auxilia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869A (ko
Inventor
김사라
최현
이수희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층, 제1 전극층 상에 마련된 제1 전기변색층,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 전해질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층, 제2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 및 제1 및 제2 전극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제1 전원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 및 투명 전극층 상에 소정 패턴을 갖는 보조 전극층을 각각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극층을 발열시키기 위하여 보조 전극층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전원부가 마련된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소자란, 전기변색물질이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일으킬 때 나타나는 가역적인 색 변화를 이용하는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변색소자는 응답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지만, 적은 비용으로도 넓은 면적의 소자를 제조할 수 있고, 무엇보다 소비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거울, 전자 종이 또는 차세대 건축 창호 소재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변색소자가 주목 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기변색소자(1)는 제1 전극(13)(예를 들어, ITO전극), 제1 전극(13) 상에 마련된 전기변색층(15), 전기변색층(15)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17), 전해질층(17) 상에 마련된 이온저장층(16), 이온저장층(16) 상에 마련된 제2 전극(14)(예를 들어, ITO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13, 16)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전원부(18)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변색층(15) 및/또는 이온저장층(16)은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색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3) 및/또는 제2 전극(14)의 일면에는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로부터 형성된 투명 기판(11, 12)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전기변색소자(1)는 느린 반응속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낮은 저항을 갖는 투명 전극의 도입이 필요하였다. 특히, 기존의 ITO전극은 높은 저항으로 인하여 넓은 면적의 전기변색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voltage drop)에 의한 변색 반응 속도 차이를 야기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메탈 메쉬(metal mesh), OMO와 같이 낮은 저항을 갖는 투명전극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기변색소자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보조 전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2는 발열 필름(40)이 접합된 전기변색 디바이스(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열 필름(40)은 수지재질의 기재(41) 및 상기 기재(41) 상에 소정 두께로 미세 패터닝된 금속층(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종래 전기 변색 디바이스(2)는 발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에서 설명한 전기변색 소자에 접착층(30)을 매개로 발열 필름(40)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며, 발열 필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전원부(43)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발열 기능을 갖는 전기변색 디바이스는 제조 공정이 늘어나고, 전체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고속 구동이 가능하고, 발열 기능을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전극층에서 금속 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층, 제1 전극층 상에 마련된 제1 전기변색층,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 전해질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층, 제2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 및 제1 및 제2 전극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제1 전원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 및 투명 전극층 상에 소정 패턴을 갖는 보조 전극층을 각각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극층을 발열시키기 위하여 보조 전극층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전원부가 마련된 전기변색소자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변색소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한 쌍의 보조전극을 마주보도록 하거나, 엇갈리도록 배열함으로써, 전기변색소자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속 구동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접착 공정 없이도, 보조 전극을 통해 발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절연을 통해 상기 보조 전극에서 금속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전극을 통해 착색 및 탈색 시, 투과율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발열 필름이 접합된 전기변색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제2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전극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전극층(130)과 제1 전극층(130) 상에 마련된 제1 전기변색층(150)과 제1 전기변색층(150)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170)과 전해질층(170) 상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층(160) 및 제2 전기변색층(160)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는 착색 및 탈색 동작을 위해 제1 및 제2 전극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제1 전원부(101)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전극층(130)이 마련되는 제1 기판(110)과, 제2 전극층(140)이 마련되는 제2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층(130, 140)은, 투명 전극층 및 투명 전극층 상에 소정 패턴을 갖는 보조 전극층(180, 190)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전기변색소자(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극층(180, 190)을 발열시키기 위하여 보조 전극층(180, 19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전원부(102)를 포함한다.
이때, 보조 전극층(180, 190)은 메탈 메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층(180, 190)은 일 방향으로 나열된 스트립 라인 패턴을 가질 수고 있다. 이때 스트립 라인 패턴은 스크린 인쇄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층(180, 190)은 면저항이 10 Ω/□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면저항이 0.3 내지 0.8 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발열 유리에 사용되는 경우, 차량에서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12V이므로, 전기변색소자로 12V 전압 인가 시 약 270 내지 720 W의 열이 발생하고, 이를 김서림 제거 및 성에 제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층(180, 190)은 제2 전원부(102)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보조 전극층(180, 190)은 약 300 내지 700 W/m2의 발열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극층(180, 190)은 상기 전극부의 폭이 5㎛ 내지 1mm이고, 두께가 100nm 내지 100㎛일 수 있고, 절연부의 폭이 5mm이하이고, 두께가 2mm이하일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전해질층(17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전극층(130) 및 제2 전극층(140)의 각각의 대향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각각 제1 및 제2 전기변색층(150, 160)에 둘러 쌓이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제1 전극층(130) 상에 마련된 제1 보조 전극층(180)과 제2 전극층(140) 상에 마련된 제2 보조 전극층(19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보조 전극층(180, 19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전극부(예를 들어, 181) 및 상기 전극부(181)를 절연시키도록 상기 전극부(181)를 둘러싸는 절연부(182)를 포함한다.
이하, 전기변색소자(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유리 또는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PET, PES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130, 140)은 전기변색층(150, 170)에 전하를 공급하는 요소로서, 각각 투명 전극층 및 보조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전극층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 doped Tin Oxide), AZO(Aluminium doped Zinc Oxide), GZO(Galium doped Zinc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NTO(Niobium doped Titanium Oxide), ZnO, OMO(Oxide/Metal/Oxide) 및 CTO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은나노 와이어(Ag nanowire); 메탈메쉬(Metal mesh); 또는 OMO(oxide metal oxi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층(130, 140)의 투명 전극층은, 빛에 대하여 높은 투과율을 갖고, 낮은 면저항을 가지며, 내침투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전극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원부(101)는 제1 및 제2 전극층(130, 140)의 투명 전극층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전극층(150, 17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 또는 인쇄(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등) 등의 공정을 통해, 유리 기재층상에 투명 전도성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박막의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전극층은, 예를 들어, 진공방식의 경우 10 nm 내지 500 n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인쇄 방식의 경우, 0.1㎛ 내지 20㎛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투명 전극층 및 보조 전극층을 포함한 전기변색소자(100)는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50 % 내지 95 %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전기변색소자(100)의 투과율이라 함은, 전극층 및 보조 전극층을 포함한 투과율로서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전기변색층(150)은 제2 전기변색층(160)에 포함되는 전기 변색 물질과는 상보적인 발색특성을 갖는 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보적인 발색특성이란, 전기변색물질이 착색될 수 있는 반응의 종류가 서로 상이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산화성 변색물질이 제2 전기변색층(160)에 사용될 경우, 환원성 변색물질이 제1 전기변색층(150)에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보적 발색특성을 갖는 변색물질이 제1 전기변색층(150)과 제2 전기변색층(160) 에 각각 포함됨에 따라, 예를 들어 환원반응에 의한 제1 전기변색층(150)의 착색과, 산화반응에 의한 제2 전기변색층(160) 의 착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1 전기변색층(150)과 제2 전기변색층(160) 의 탈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소자 전체의 착색 및 탈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착색 및 탈색은,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교대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2 전기변색층(160)에 산화성 변색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제1 전기변색층(150)은 텅스텐 옥사이드(WOx)와 같은 환원성 변색물질을 전기변색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전기변색층(150, 170)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증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성 변색물질이란 산화반응이 일어날 경우 변색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고, 환원성 변색물질이란 환원반응이 일어날 경우 변색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산화성 변색물질로는 Co, Rh, Ir, Ni, Cr, Mn 및 Fe의 산화물, 예를 들어 LiNiO2, IrO2, NiO, V2O5, LixCoO2 , Rh2O3 또는 CrO3 등이 있고, 환원성 변색물질로는 Ti, V, Nb, Ta, Mo 및 W의 산화물, 예를 들어 WO3, MoO3, Nb2O5, Ta2O5 또는 TiO2 등이 있으나, 상기 산화물들로 본 출원의 변색물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해질층(170)은 전기변색물질의 변색이나 탈색을 위해 수소 이온이나 리튬 이온의 이동 환경을 제공하는 물질로, 전해질층에 사용되는 전해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액상 전해질, 겔 폴리머 전해질 또는 무기 고체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예를 들어 H+, Li+, Na+, K+, Rb+, 또는 Cs+를 포함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해질층은 LiClO4, LiBF4, LiAsF6, 또는 LiPF6 와 같은 리튬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에 포함되는 상기 이온은,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제1 전기변색층(150) 또는 제1 전기변색층(170)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탈리되면서 소자의 변색 또는 광 투과율 변화에 관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해질은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유전율이 높기 때문에, 리튬염이 제공하는 이온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카보네이트계 화합물로는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및 EMC(ethylmethyl carbo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해질층에 무기 고체 전해질이 사용될 경우, 상기 전해질은 LiPON 또는 Ta2O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은 LiPON 또는 Ta2O5에 B, S, W와 같은 성분이 첨가된 전해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 전극층(180, 190)은 각각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몰리브덴(Mo), 금(Au) 등의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전극층(180)과 제2 보조 전극층(190)은 각각 메탈 메쉬(metal mesh)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보조 전극층(180)과 제2 보조 전극층(190)은 각각 금속 재질의 전극부(181) 및 전기변색소자(100)의 작동 시, 상기 전극부(181)의 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부(181)를 절연시키는 절연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또는 전자의 침투로 인해, 전극부(181)의 용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82)는 상기 전극부(181)를 둘러싸는 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절연부(182)는 전극부(181)를 제1 및 제2 전기 변색층(150, 160)과 절연시키도록 전극부(181)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절연부(182)는 이온 또는 전자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재료로서,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부(182)는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또는 에폭시 계열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182)는 무기 필러 또는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한편, 제1 전극층(130) 및 제2 전극층(140) 상에 마련된 각각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전해질층(170)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제1 전극층(130) 및 제2 전극층(140) 상에 마련된 각각의 보조 전극층(180, 190)은 전해질층(170)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 전극층의 배열 상태(대칭 또는 비대칭)에 따라, 전기장의 밀집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특정 투과율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보조 전극층(180)에서, 전극부(181) 및 절연부(182)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극부는 폭(c)이 5 내지 10㎛이고, 두께가 1 내지 2㎛일 수 있다. 또한, a(절연부의 폭)는 5mm이하일 수 있고, b, d는 각각 3mm이하일 수 있으며, f(절연부의 두께)는 2mm이하일 수 있다. 또한, c/a는 0.9이하일 수 있고, b/d는 1.5이하일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제2 보조 전극층(140)의 메탈 메쉬 패턴(180-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성분과, 제1 성분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교차 구조에 의하여 복수 개의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의 전체 면적은 전기변색소자(100)의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전극층(190)은 메탈 메쉬 패턴 및 메탈 메쉬 패턴 양 측의 버스바(193)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193)를 통해 제2 전원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전극층(180, 190)은 변색 속도 및 균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열필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보조 전극층(190)에 제2 전원부(1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제1 전원부(101)는 착색/탈색 구동을 위해 제1 및 제2 전극층(130, 140)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전원부(102)는 발열을 위해, 제2 보조 전극층(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전극층(190)의 양 측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버스바(19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전극층(190)은 전극부가 구리로 형성될 수 있고, 전극부는 폭이 5 내지 10㎛이고, 두께가 1 내지 2㎛일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전극층(190)의 면저항은 대략 0.3 내지 0.8 Ω/□ 일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전극층(190)은 저항체로서, 제2 전원부(102)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전원부(101) 및 제2 전원부(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3)는 제1 전원부(101) 및 제2 전원부(1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3)는 제2 전원부(102)를 작동 시(발열 기능 작동), 제1 전원부(101)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200: 전기변색소자
110: 제1 기판
120: 제2 기판
130: 제1 전극층
140: 제2 전극층
150: 제1 전기변색층
160: 제2 전기변색층
170: 전해질층
180: 제1 보조 전극층
190: 제2 보조 전극층

Claims (16)

  1. 제1 전극층; 제1 전극층 상에 마련된 제1 전기변색층;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전해질층; 전해질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기변색층; 제2 전기변색층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 및 착색/탈색 구동을 위하여 제1 및 제2 전극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마련된 제1 전원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 및 투명 전극층 상에 소정 패턴을 갖는 보조 전극층을 각각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극층을 발열시키기 위하여 보조 전극층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2 전원부가 마련된 전기변색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전극층은 메탈 메쉬 패턴을 갖는 전기변색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전극층은 면저항이 10 Ω/□ 이하인 전기변색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전극층은 폭이 5㎛ 내지 1mm이고, 두께가 100nm 내지 100㎛인 전기변색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전극층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를 절연시키도록 상기 전극부를 둘러싸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보조 전극층은,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의 각각의 대향면에 마련된 전기변색소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 전기변색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또는 에폭시 계열의 수지로 형성된 전기변색소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무기 필러 또는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보조 전극층은 폭이 5㎛ 내지 1mm이고, 두께가 100nm 내지 100㎛인 전기변색소자.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폭이 5mm이하이고, 두께가 2mm이하인 전기변색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상에 마련된 각각의 보조 전극층은 전해질층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 전기변색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상에 마련된 각각의 보조 전극층은 전해질층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열된 전기변색소자.
  14.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전원부는 제1 및 제2 전극층의 투명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변색소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전원부 및 제2 전원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2 전원부를 작동 시, 제1 전원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전기변색소자.
KR1020160124609A 2016-09-28 2016-09-28 전기변색소자 KR10205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09A KR102056095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변색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09A KR102056095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변색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69A KR20180034869A (ko) 2018-04-05
KR102056095B1 true KR102056095B1 (ko) 2019-12-16

Family

ID=6197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09A KR102056095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변색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4399A1 (en) * 2021-09-16 2023-03-23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element electrod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524B (zh) * 2018-08-14 2021-10-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致变色模组及电子设备
KR102084777B1 (ko) * 2018-10-29 2020-03-04 성문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용 변색필름
US11493817B2 (en) * 2020-07-01 2022-11-08 Furcifer Inc. Self-heating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CN115202120A (zh) * 2022-08-02 2022-10-18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电致变色组件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135A (ja) * 2005-03-22 2006-10-05 Tobi Co Ltd 金属線で一部が置換されたガラスクロス透明導電フィルム
JP2013228487A (ja) * 2012-04-24 2013-11-07 Canon Inc 光学素子
US20140177026A1 (en) * 2012-12-26 2014-06-26 Leader Optronics Technology Co., Lt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metal li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135A (ja) * 2005-03-22 2006-10-05 Tobi Co Ltd 金属線で一部が置換されたガラスクロス透明導電フィルム
JP2013228487A (ja) * 2012-04-24 2013-11-07 Canon Inc 光学素子
US20140177026A1 (en) * 2012-12-26 2014-06-26 Leader Optronics Technology Co., Lt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metal l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4399A1 (en) * 2021-09-16 2023-03-23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element electr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69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095B1 (ko) 전기변색소자
US10871696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11099450B2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108830B1 (ko) 전기변색 디바이스
KR101657965B1 (ko) 전기변색 소자, 그를 위한 전극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EP2396697A1 (en) Electrochromic device
US10935863B2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079142B1 (ko) 전기변색소자
EP3605218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091612B1 (ko) 변색 반응속도가 개선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047265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防眩ミラー
CN115657391A (zh) 一种电致变色器件、制备方法及车窗玻璃
KR102071901B1 (ko) 전기변색소자
CN115407575A (zh) 电致变色器件及其制作方法
TWM483449U (zh) 電致色變元件結構
JPH04193582A (ja) 電気化学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