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660A -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 Google Patents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660A
KR20160110660A KR1020150033261A KR20150033261A KR20160110660A KR 20160110660 A KR20160110660 A KR 20160110660A KR 1020150033261 A KR1020150033261 A KR 1020150033261A KR 20150033261 A KR20150033261 A KR 20150033261A KR 20160110660 A KR20160110660 A KR 2016011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umigation
antimicrobial
present
fumig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284B1 (ko
Inventor
남승옥
이근순
김정수
김진구
황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15003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2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증 및 항균 성분으로서,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을 포함하는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의 훈증을 통하여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진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구비된 훈증기를 차량 실내 소독과 건물 실내 소독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Fumigation type compositions having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y and Fumig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을 포함하는 훈증형 항균 조성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훈증기(훈증 소독장치)는 건물 실내 소독과 차량 실내 소독 등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훈증기는 물과 산화칼슘의 발열반응에 의해 발생된 고열이 훈증기 내에 구비된 항균 활성을 갖는 훈증 성분을 훈증시키는 것으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훈증기는 항균제 등의 유효성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에서 더욱 효과적인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훈증된 약재가 실내의 구석구석에서 작용하여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의 곰팡이와 해충의 박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훈증기는 훈증 성분을 공중으로 증산시키는 것으로 항균 효과를 달성하므로, 훈증기에 적용 가능한 훈증 성분은 열에 의하여 공중으로 증산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체 상태로 증산 시에도 다양한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4011호 (2014.08.27)
본 발명자들은 기체 상태로 공중으로 확산(훈증)되는 경우에도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훈증용 항균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단독으로 훈증 시에는 미미한 항균 활성을 보인 타임오일을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과 함께 훈증시키는 것으로 세균과 진균에 대한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훈증형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훈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타임 오일(Thyme Oil), 이소티몰(Isothymol) 및 클로록실레놀(chloroxylenol, PCMX)을 포함하는 훈증형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체 상태로 공중으로 확산(훈증)되는 경우에도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훈증용 항균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단독으로 훈증 시에는 미미한 항균 활성을 보인 타임오일을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과 함께 훈증시키는 것으로 세균과 진균에 대한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훈증형 항균 조성물"은 열에 의하여 공중으로 증산하여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이들의 생육을 억제시키거나, 살균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은 훈증 및 항균 성분으로서 조성물에 포함된다. 상기 용어, "훈증 성분"은 열에 의하여 공중으로 증산하는 성분을 의미하며, 용어 "항균 성분"은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이들의 생육을 억제시키거나, 살균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타임 오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8-2.0 중량%로 포함된다.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타임 오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8-1.9 중량%, 0.8-1.8 중량%, 0.8-1.7 중량%, 0.8-1.6 중량% 또는 0.8-1.5 중량%로 포함되고, 다른 특정예에서는 0.9-1.9 중량%, 0.9-1.8 중량%, 0.9-1.7 중량%, 0.9-1.6 중량% 또는 0.9-1.5 중량%로 포함되며, 또 다른 특정예에서는 1-1.9 중량%, 1-1.8 중량%, 1-1.7 중량%, 1-1.6 중량% 또는 1-1.5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 내 이소티몰 : 타임 오일 : 클로록실레놀의 중량비는 1 : 0.05-0.14 : 0.8-1.1이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세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구비된 훈증캔(훈증캔 B와 F)은 다른 훈증캔과 달리 모든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완벽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8 및 9 참조).
하나의 특정예에서, 상기 이소티몰 : 타임 오일 : 클로록실레놀의 중량비는 1 : 0.05-0.13 : 0.8-1.1, 1 : 0.05-0.12 : 0.8-1.1, 1 : 0.05-0.11 : 0.8-1.1 또는 1 : 0.05-0.10 : 0.8-1.1이고, 다른 특정예에서는 1 : 0.06-0.13 : 0.8-1.1, 1 : 0.06-0.12 : 0.8-1.1, 1 : 0.06-0.11 : 0.8-1.1, 1 : 0.06-0.10 : 0.8-1.1 또는 1 : 0.065-0.10 : 0.8-1.1이며, 또 다른 특정예에서는 1 : 0.05-0.13 : 0.9-1, 1 : 0.05-0.12 : 0.9-1, 1 : 0.05-0.11 : 0.9-1 또는 1 : 0.05-0.10 : 0.9-1이고, 또 다른 특정예에서는 1 : 0.06-0.13 : 0.9-1, 1 : 0.06-0.12 : 0.9-1, 1 : 0.06-0.11 : 0.9-1, 1 : 0.06-0.10 : 0.9-1 또는 1 : 0.065-0.10 : 0.9-1이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왁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왁스에는 훈증 및 항균 성분(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이 함침되며, 가열에 의하여 왁스가 융해함에 따라 상기 훈증 및 항균 성분이 기체 상태로 공중으로 확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가열에 의해 융해되어 액체상이 되는 왁스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왁스로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미네랄 왁스 및 석유계 왁스를 포함하는 천연 왁스와, 합성 왁스가 있다.
상기 식물성 왁스의 예로는 카바우나 왁스, 켄들리라 왁스, 라이스 왁스, 목납, 베이베리 왁스 및 호호바유 등이 있으며; 상기 동물성 왁스의 예로는 밀납, 라놀린, 경납, 울 왁스, 비즈왁스, 쉘락 왁스 및 슈페르마세티 왁스 등이 있고; 상기 미네랄 왁스의 예로는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및 세레신 왁스 등이 있으며; 상기 석유계 왁스의 예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로라튬 및 유동파라핀 등이 있고; 상기 합성왁스의 예로는 합성 탄화수소 왁스(예컨대, 피셔-트롭쉐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 변성 왁스(예컨대, 몬탄 왁스 유도체,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 등), 수소화 왁스(예컨대, 경화피마자유와 이의 유도체 등) 및 지방산 아미드 에스테르케톤 왁스(예컨대, 스테아린산아미드, 무수프탈린산아미드, 염소화탄화수소 등)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훈증형 항균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 발포제, 살충 성분, 해충 기피 성분, 탈취 성분, 향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왁스에 함침 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세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세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세균으로는, 예를 들어,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S. aureus는 생활환경 중에 널리 분포되어져 있는 세균과 원내 감염균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S. aureusB. cereus는 이들 균에 감염된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식중독을 유발함은 물론, 이들 세균이 생성하는 장독소에 의하여 장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B. cereus는 토양 및 공기 부유 미생물로서, 구토형 독소인 cereulide 또는 설사와 장염을 일으키는 독소인 Nhe (non-hemolytic enterotoxin), Hbl (hemolytic enterotoxin), CytK (cytotoxin K)를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타임 오일을 비롯한 오일 단독을 훈증캔에 적용한 경우에는 B. cereus에 대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없었지만(표 6 참조), 타임 오일을 이소티몰 및 PCMX와 조합하여 훈증캔에 적용한 경우에는 B. cereus를 완벽하게 사멸할 수 있었다(표 8 및 9 참조).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진균으로는, 예를 들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훈증형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훈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훈증형 항균 조성물은 다양한 훈증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훈증기는 구비하고 있는 가열수단을 통하여 훈증형 항균 조성물에 열을 가하여 훈증 및 항균 성분을 공기 중으로 증산시킴으로써 항균 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훈증형 항균 조성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훈증기에 구비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훈증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으로는 가수 발열수단, 공기산화 발열수단 및 전기가열 수단 과 같은 공지의 가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훈증기에는 가수 발열방식이 적용된다. 가수 발열물질로서, 산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및 염화철과 같이 물을 첨가함으로써 발열반응을 개시하는 물질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훈증기는 차량의 실내 소독을 위한 훈증기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훈증 및 항균 성분으로서,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을 포함하는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를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의 훈증을 통하여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진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구비된 훈증기를 차량 실내 소독과 건물 실내 소독 등을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공시균종
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Streptococcus pneumoniae (ATCC 49619), Bacillus cereus (ATCC 27438), Escherichia coli (ATCC 25922)를 사용하였고, 진균으로는 Candida albicans (ATCC 10231)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KFCC, 서울 홍제동)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
병원성균을 포함한 목적하는 균주에 대한 각각의 오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페이퍼 디스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균들을 0.85% 생리식염수에 희석해 탁도계를 이용하여 공시균주에 적합한 탁도를 맞췄다. 탁도를 맞춘 균들을 항생제 감수성 검사배지(muller hinton agar; MHA)에 도말 접종한 후, 직경 10 mm의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Advantec filter paper, Toyo Roshi Kaisha Ltd, Japan)에 원액을 비롯한 3 단계 희석한 시료(원액, 70%, 50%)와 음성대조군으로 0.85% 생리식염수를 각각 15 ㎕씩 흡수하게 하고, 용매를 휘발시킨 후 평판배지의 표면에 밀착시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나타난 클리어 존(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사멸농도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분석은 액체 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Mann, C.M. and MarkhamA, J.L.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998; 84:538-44). 항균물질을 99% 알코올로 희석하여 0-20 ㎍/㎖ 농도로 희석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농도를 탁도계를 이용하여 조절한 후 100배 희석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멸균된 Kahn 튜브에 MHB(muller hinton broth, MHB) 500 ㎕에 타임 오일 500 ㎕를 연속적으로 희석시킨 뒤, 균 희석액 50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18-2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육안 상으로 탁도를 관찰한 후 음성, 양성 대조군과 비교한 뒤, 균의 생육 곡선 상에서 균의 생장(turbidity)이 검출되지 않는 최소 농도를 MIC로 설정하였다.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MIC의 결정을 위한 각 시간대 별 배양 시료 100 ㎕를 취해 각 균의 기초선택배지에 도말하여, 24-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생성되는 콜로니 수를 관찰하였을 때 목적 균을 완전하게 사멸(99%)시키는 최소 농도를 MBC로 설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종합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을 포함한 미생물의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의 모든 실험은 CLSI(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s)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수행되었다.
훈증캔 제조
수조(Water bath)를 가온시킨 후, 왁스를 정량 칭량하여 70℃ 온도에서 충분히 녹여주었다. 혼합기에 클로록실레놀과 이소티몰(Isothymol)을 정량 투입한 후 각 분말이 뭉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분해시켜 주면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왁스가 충분히 녹은 것을 확인한 후, 향과 타임 오일을 넣고 균일 혼합하였다.
산화칼슘이 하단에 충전된 캔에 왁스 제형을 정량 충전하고, 냉각 공정을 거친 후 혼합된 분말을 충전하였다. 캔 상단에 스티커를 부착한 후 상단에 구멍 (Pin Hole)을 두개 뚫었다. PP 용기에 캔을 맞추어 넣고, 상단면을 실링하여 훈증캔을 제조하였다.
실내 훈증캔 부스 테스트
접종할 균을 일정한 수로 맞추기 위해 맥팔랜드(McFarland) 비탁법을 이용하였다. 맥팔랜드의 표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메틸렌 블루와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기준 눈금을 맞추었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맥팔랜드 No. 0.5와 동일한 균수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1.5 X 108 CFU/㎖의 균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멸균된 면봉으로 BAP 배지에 접종하였다. 그람음성균은 같은 방법으로 맥팔랜드 No. 1.0 (3.0 X 108 CFU/㎖)에 맞춘 후 MAC 배지에 접종하였고, 곰팡이의 경우 맥팔랜드 No. 2.0(6.0 X 108 CFU/㎖)으로 맞춰 일정한 수의 균을 SDA에 접종하였다. 맥팔랜드법을 통해 균수를 일정하게 맞춘 후, 선택배지에 접종한 다음 배지를 일정규격의 아크릴 상자에 뚜껑을 열은 채로 배치했다.
이소티몰 1 g을 발포하는 시험군 캔(훈증캔 A 내지 F)을 아크릴 상자 내부에 투입한 후, 풍속기를 가동하여 상자 내부에 골고루 훈증이 퍼질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시험물질 훈증이 시작된 후 10분 동안 접촉시킨 후, BAP 배지와 MAC 배지는 37℃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실행한 곰팡이 실험 배지 SDA는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시험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실험 중에는 아크릴 상자 뚜껑 주위를 테이프로 모두 막은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 후 실험군의 배지를 비교 관찰하여 내부 훈증캔의 살균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항균 성분으로 오일만을 포함하는 훈증캔의 살균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디스크 확산법 결과
타임 오일을 원액부터 100% 에탄올에 희석하여 70%, 50%까지 제조한 후, 디스크 확산법을 실시하여 클리어 존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타임 오일 원액의 경우에는, 모든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및 진균에서 클리어 존이 최대로 형성되었다(여기서'최대'라는 뜻은 직경이 35 mm 이상을 뜻함). 70%와 50% 농도의 타임 오일에서도 원액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표 1 내지 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최소억제농도(MIC) 측정 결과
최소억제농도는 공시균주인 S. aureus, E. coli, C. albicans에 대해서 0.0625 ㎍/㎖ 이었으나, B. cereus에서는 뚜렷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at00004
최소사멸농도(MBC) 측정 결과
공시균주인 S, aureus는 0.1250 ㎍/㎖에서 억제되었으며, E. coli는 0.0625 ㎍/㎖ 농도에서 억제되었고, C. albicans는 0.0625 ㎍/㎖의 농도에서 억제되어, 최소억제농도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 환경 하에서 많이 관찰되는 B. cereu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항균 효과를 보였다(표 5).
Figure pat00005
실내 훈증캔 부스 테스트 결과
먼저, 훈증캔에 항균 성분으로 오일(타임 오일, 티트리 오일 또는 아키헬퍼 F-55)만을 충전하여 실내 훈증캔 부스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6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 단독을 훈증시키는 것으로는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다음으로, 항균 성분으로 타임 오일뿐만 아니라, 이소티몰과 PCMX를 포함하는 훈증캔으로 실내 훈증캔 부스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타임 오일의 함유 비율(0.3, 1.0, 1.5, 3.0, 18.0, 20.0 중량%)을 표 7과 같이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표 7의 단위는 중량%임). 실험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0.3 중량%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A는 균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1.0%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F와 1.5 중량%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B는 모든 균종을 억제하였다. 훈증캔 F와 B에서는 그람양성세균(S. aureus, S. pneumonia)에서 용혈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3.0 중량%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C의 경우에는 B. cereus에서 디스크확산법과 MIC/MBC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혀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18 중량%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D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더 적은 양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B와 F 보다 못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가장 많은 양인 20 중량%의 타임 오일을 포함하는 훈증캔 E는 오히려 모든 균종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2차 실험결과에서도 1차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표 9).
Figure pat00009
끝으로, 하기 표 10과 같이 타임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훈증캔으로 실내 훈증캔 부스 테스트를 실시하였다(표 10의 단위는 중량%임). 실험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임 오일이 포함되지 않는 훈증캔은 미미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거나(확인물질 A), 거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확인물질 B).
이상과 같이, 디스크 확산법과 최소억제농도/최소사멸농도 측정 실험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타임 오일은 훈증 시에는 항균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못하였으나(표 6), 이소티몰과 PCMX와 함께 훈증 시에는 모든 실험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표 8 및 9), 타임 오일 없이 이소티몰과 PCMX만을 훈증시킨 경우에도 미미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표 11).
이상의 실험결과는, 훈증기에 적용 시 타임 오일을 이소티몰 및 PCMX와 조합 사용하여야만 이들 성분의 훈증을 통하여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진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을 포함하는 훈증형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오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8-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이소티몰 : 타임 오일 : 클로록실레놀의 중량비는 1 : 0.05-0.14 : 0.8-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왁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왁스에는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이 함침되며, 가열에 의한 왁스의 융해에 따라 타임 오일, 이소티몰 및 클로록실레놀이 공중으로 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균에 대하여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훈증형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훈증기.
KR1020150033261A 2015-03-10 2015-03-10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KR10170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61A KR101706284B1 (ko) 2015-03-10 2015-03-10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61A KR101706284B1 (ko) 2015-03-10 2015-03-10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660A true KR20160110660A (ko) 2016-09-22
KR101706284B1 KR101706284B1 (ko) 2017-03-15

Family

ID=5710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61A KR101706284B1 (ko) 2015-03-10 2015-03-10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696A (zh) * 2016-12-28 2018-07-06 广东汀大生物科技有限公司 汽车异味除臭剂
KR20190083904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훈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767B1 (ko) 2017-07-24 2019-02-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과농 화학적 발열 반응으로 작동하는 다목적 훈증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646A (ja) * 2004-08-19 2006-03-02 Bell Flavours & Fragrances Ltd 空気処理装置および詰め替えパック
KR20120140383A (ko) * 2011-06-21 2012-12-31 코웨이 주식회사 타임 정유를 포함하는 공간 살균용 조성물
KR20130095746A (ko) * 2010-08-06 2013-08-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활성 성분을 공기 중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40104011A (ko) 2011-12-15 2014-08-2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티몰 및 토타롤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5646A (ja) * 2004-08-19 2006-03-02 Bell Flavours & Fragrances Ltd 空気処理装置および詰め替えパック
KR20130095746A (ko) * 2010-08-06 2013-08-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활성 성분을 공기 중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20140383A (ko) * 2011-06-21 2012-12-31 코웨이 주식회사 타임 정유를 포함하는 공간 살균용 조성물
KR20140104011A (ko) 2011-12-15 2014-08-2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티몰 및 토타롤 항균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5696A (zh) * 2016-12-28 2018-07-06 广东汀大生物科技有限公司 汽车异味除臭剂
KR20190083904A (ko) * 2018-01-05 2019-07-15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훈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284B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cerril et al. Combination of analytical and microbiological techniques to study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 new active food packaging containing cinnamon or oregano against E. coli and S. aureus
Abdoul-Latif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 of Matricaria chamomilla L. from Djibouti
Abdoul-Latif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and methanol extract of Jasminum sambac from Djibouti
RU2614063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ротивомикробной обработки растений
JP5140288B2 (ja) 抗菌処理方法
Pillai et al.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s and chemical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Aspergillus parasiticus
WO2006000032A1 (en)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
KR101706284B1 (ko) 훈증형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훈증기
Abdali et al.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structures and films using clove bud powder
Shaker et al. Mechanism of resistance of Bacillus subtilis spores to chlorhexidine
JPH02142703A (ja) 有害生物防除剤
WO2023119291A1 (en) Biopesticide formulations based on pickering emulsion
Gherairi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two species of genus thymus growing in different sites of north eastern Algerian
Benali et al.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phytopathogenic and foodborne pathogens bacteria of Ruta montana extracts
CA3061568C (en) Formulation based on vitamin e or an ester thereof for treating bacterial and fungal biofilms
Claude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Pinus patula growing in Rwanda
Li et al. Essential oils as antimicrobials
EP3166400A1 (en) A biocontrol combina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shelled eggs
Pratt et al. Osmotic and desiccation tolerance in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enterica requires rpoS (σ38)
KR20050098548A (ko)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Alfassam et al. Household Essential Oils as Antimicrobial Agents for Health and Skin care
Kampf et al. Propan-2-ol
AU2005256153A1 (en)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
Feza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ergamot, Lavender and Lemon Essential Oils for Homemade Perfume
EP4451874A1 (en) Biopesticide formulations based on pickering emul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