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315A -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315A
KR20160109315A KR1020150033494A KR20150033494A KR20160109315A KR 20160109315 A KR20160109315 A KR 20160109315A KR 1020150033494 A KR1020150033494 A KR 1020150033494A KR 20150033494 A KR20150033494 A KR 20150033494A KR 20160109315 A KR20160109315 A KR 2016010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arapet
building body
lay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1998B1 (en
Inventor
임희정
이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한국록셀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드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3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9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3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ing a thermal bridg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ing a thermal bridge comprises: a building body comprising a slab, a side wall integrated into the slab, an insulation board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a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on board; and an external passage comprising a slab supported by an inner and an outer pillar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of the building body, and a waterproof layer and a protective mortar layer sequentially layer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ab. 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ing a thermal bridg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the building body and the external passage in a physically separated and independent structure to obtain a markedly excellent thermal bridge blocking effect, and are very useful in realizing a passive building since a reinforced concrete wall of the building body can be used as a heat storage material to have high energy efficiency.

Description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본 발명은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복도와 같은 외부 통로를 건물 본체와 열적으로 차단하여 분리 구성함으로써 열교 차단에 의한 향상된 단열 효과와 함께 건물 본체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이용할 수 있어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며 패시브 건축물의 구현에 효과적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er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bridging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are effective for realizing a passive building having a high energy efficiency and being able to utilize the reinforced concret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heat storage material.

종래 공용복도 또는 외부복도를 가지는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건물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건물 본체부와 외부 노출 외부통로부가 공통의 배근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본체부의 슬래브와 외부통로부의 슬래브 사이의 열교현상으로 인하여 단열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내단열 시공 상의 하자는 결로와 직결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In a common house or an office building having a conventional public hallway or an external corridor, the building body portion of the building and the external exposed external passage portion are often connected through a common rope. In this case, the slab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s relatively lowered due to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and the defects in the insulation insulation work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전형적인 방안으로서는, 건물 본체부의 슬래브와 연결된 내측벽과 외부통로부의 슬래브와 연결된 외측벽으로 나누고, 상기한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하는 중단열 시공법이 일부 사용되고는 있으나(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377134호의 도 2: 2001.05.15. 공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위쪽으로 돌출된 트러스 거더와 같은 특정한 형상의 프리캐스트 바닥 슬래브를 사용하며 상기한 트러스 거더와 프리캐스트 벽체로부터 돌출된 철근을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시공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a heat insulation method is interposed between an inner wall connected to a slab of a building body and an outer wall connected to a slab of an outer passag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1-0377134, FIG. 2, published on May 15, 2001), a precast floor slab of a specific shape such as a truss girder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and protruding upward is used, And the reinforcing bars projected from the precast wall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다른 종래의 전형적인 방안으로서는 SCHOCK BAUTEILE사의 상품명 ‘isokorb’와 같은 단열연결재를 이용한 방식이 근래 들어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는 있으나, 주로 하중 부담이 덜한 발코니나 처마 또는 파라펫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을 뿐 상대적으로 훨씬 큰 면적과 중량을 가지는 공용복도나 외부복도 등과 같은 구조물에는 적용되고 있지 못하며, 상기한 상품명 ‘isokorb’는 중앙의 단열재 블록과 상기한 단열재 블록을 관통하여 좌우 양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있는 철근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재 클립이나 철근 루프 구조를 포함하며, 그 전형적인 예로서는 EP 0 834 622 A2(1998.04.08. 공개), EP 0 848 119 A1(1998.06.17. 공개), EP 0 892 118 A1(1999.01.20. 공개), EP 2 557 243 A2(2013.02.13. 공개), EP 2 610 410 A2(2013.07.03. 공개), WO 2011/006674 A2(2011.01.20. 국제공개) 등을 들 수 있으나, 단열재 블록 양측으로 노출되고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철근을 통한 열교는 피할 수 없다는 본질적인 문제점이 있다.As another typical conventional method, a metho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isokorb' manufactured by SCHOCK BAUTEILE has been used frequently but it is applied mainly to balconies or eaves or parapets which are less burdened with load, And is not applied to a structure such as a public hallway or an outer corridor having a large area and weight, and the above-mentioned trade name 'isokorb' is composed of a central heat insulating block and a reinforcing bar extending through the heat insulating block EP 0 892 118 A1, EP 0 848 119 A1 (published on Jun. 17, 1998), EP 0 892 118 A1 (published on Apr. 18, 1998), and the like. EP 2 557 243 A2 (published on March 23, 2013), EP 2 610 410 A2 (published on March 3, 2013), WO 2011/006674 A2 (published on January 20, 2011) However, thermal bridges through the reinforcement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exposed to the insulation block on both sides are connected integrally has an intrinsic problem that can be avoided.

따라서 보다 우수한 패시브 건축물의 구현에 적합하게, 복도와 같은 외부 통로를 건물 본체와 열적으로 차단하여 분리 구성함으로써 열교 차단에 의한 향상된 단열 효과와 함께 건물 본체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이용할 수 있어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효율적인 시공방법의 개발이 당업계에 오랜 기간 요청되어 왔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reinforced concrete wall of the building body as a heat storage material together with the improved heat insulation effect by blocking the heat bridge by separating the outer passage such as the aisle by separating the outer passage such as the aisle with the building body,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need in the art to develop an energy-efficient thermal-bridge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an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377134호(2001.05.15.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377134 (published May 15, 2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6979호(2012.09.24.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6979 (registered on September 24, 201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044호(2013.04.08.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35044 (published on April 4, 2013) EP 0 834 622 A2(1998.04.08. 공개),EP 0 834 622 A2 (published Apr. 8, 1998), EP 0 848 119 A1(1998.06.17. 공개),EP 0 848 119 A1 (published Jun. 17, 1998), EP 0 892 118 A1(1999.01.20. 공개),EP 0 892 118 A1 (published Jan. 20, 1999), EP 2 557 243 A2(2013.02.13. 공개),EP 2 557 243 A2 (published March 23, 2013), EP 2 610 410 A2(2013.07.03. 공개),EP 2 610 410 A2 (published on March 3, 2013), WO 2011/006674 A2(2011.01.20. 국제공개)WO 2011/006674 A2 (2011.01.20 international publ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우수한 열교 차단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capable of obtaining an excellent heat-bridging effect.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건물 본체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이용할 수 있어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bridging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high energy efficiency because a reinforced concrete wall of a building body can be used as a heat storage material.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패시브 건축물의 구현이 가능한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a passive building.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에 대한 효율적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of constructing the above-described bridge bridge structure.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슬래브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와, 상기한 단열판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건물 본체와; 상기한 건물 본체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와, 상기한 슬래브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 및 보호 몰탈층을 포함하는 외부통로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b, a side wall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ab,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 building body including a finishing material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plate material; A slab supported by inner and outer pillars independently of the building body; and an outer passage including a waterproof layer and a protective mortar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Is provided.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상향 입설부가 형성되고 그에 안전 펜스가 설치될 수 있다.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may be provided with an upward tongue portion and a safety fence may be provided thereon.

한편,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의 보호 몰탈층 위에는 시멘트 몰탈층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ment mortar layer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또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의 시멘트 몰탈층 상에는 마감 타일층이 더욱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urther, a finishing til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ement morta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의 상향 입설부 내측에는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만입부 내로 상기한 도막 방수층, 보호 몰탈층 및 시멘트 몰탈층이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depress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ward sloping portion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and the coating waterproof layer, the protective mortar layer and the cement mortar layer may be extend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하부의 연장 단부에는 물끊기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water cut-off groove may be formed at an extension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또한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는 유기발포판재의 양면에 무기발포판재가 접합된 복합단열판재일 수 있다.Also, the heat insulating plate of the building body may be a composite insulating plate material formed by bonding an inorganic foam board to both sides of the organic foam board.

아울러,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는 붙임 몰탈로 붙인 타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ishing material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of the building body may be composed of a tile layer adhered with a mortar.

상기한 건물 본체의 슬래브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은 상기한 슬래브의 상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 위아래층의 창틀이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고정될 수 있다.The side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may extend upwardly and downwardly of the slab and may be fixed to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여기서, 상기한 슬래브 위층의 창틀은 앵커 볼트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 상에 위치하는 목질 하인방 상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래브 아래층의 창틀은 앵커 볼트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window frame of the upper slab layer is fixed on the wooden floor panel positioned on the support bracket fixed by the anchor bolts, and the window frame of the lower slab layer may be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fixed by the anchor bolts.

또한 상기한 건물 본체의 슬래브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은 상기한 슬래브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 위아래층의 문틀이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side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may extend downwardly of the slab and may be fixed to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상기한 단열판재의 상단부가 건물 본체의 슬래브 및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한 단열판재의 상단부에 열교 차단재와 이를 고정하는 커버 브래킷이 위치하며, 적어도 위층의 문틀 하부가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한 커버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nd a heat bridge member and a cover bracket for fixing the heat bridge member are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To the cover bracket.

여기서,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는 세트 앵커에 의해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더욱 고정되며,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는 시트 방수층 및 도막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한 위층의 문틀 하부 외측에는 팽창형 밴드와 코킹이 위치할 수 있다.Here,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is fixed to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by the set anchor, and the seat waterproof layer and the coating film waterproof layer are formed on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in which the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is fixed. And an inflatable band and caulking may be located on the lower outer side.

상기한 슬래브 아래층의 문틀 상부는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frame of the lower slab layer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슬래브 및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한 슬래브의 상면에 위치하는 보온판과, 상기한 측벽 및 보온판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와,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보온판 및 단열판재 상에 위치하는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파라펫 및 그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가지는 건물 본체와; 상기한 건물 본체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와, 상기한 슬래브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파라펫 및 단턱부를 가지는 내측 파라펫을 가지는 외부통로와;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상호 연결하여 덮는 커버 플래싱(flashing)과,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내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코너 플래싱으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ab, a sidewall extending downwardly from an end of the slab, and an insulating plat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ab,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insulating plate, a finishing material outside the heat insulating plate, a concrete concrete slab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and a concrete concrete slab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crete concrete slab A building body having a parapet and a step formed at an end of the parapet; An outer passage having an inner parapet having an outer parapet and a step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ab, the outer parapet having an inner parapet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ab; A cover flashing which connects and covers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inner parapet of the external passage; And a corner flashing connecting the inner side lower end of the slab in the outer passage.

여기서, 상기한 보온판은 침투성 방수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의 기계 미장후 형성되는 복합방수층 상에 보호 몰탈층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insulated plate may be formed on the permeable waterproof layer, and the protective mortar layer may be formed on the complex waterproof layer formed after the machine concrete of the concrete concrete slab, and an inactive concrete layer may be formed thereon.

또한 상기한 외부통로의 외측 파라펫에는 내측으로 경사 단턱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위쪽으로는 상향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파라펫과 외측 파라펫의 내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에는 복합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way is formed with an inclined step portion inwardly,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is formed upward,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the outer parape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 protective mortar layer may be formed through the waterproof layer and an inactive concrete layer may be formed thereon.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과 내측 파라펫의 단턱부 저면 사이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과 외측 파라펫의 경사 단턱부 저면 사이에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한 블록과 그 주변 영역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고, 상기한 시멘트 몰탈 표면에 수성 페인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block is stack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of the inner parapet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outer pa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of the ramp of the outer parapet, The mortar may be filled and an aqueous pai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mortar.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외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커버 플래싱의 내측에는 밀폐용 엘라스토머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A space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and a sealing elastomer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flasher.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에 인접한 위치에 콘크리트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한 파라펫의 단턱부 내측 하방으로는 덧살부가 연장되며, 상기한 콘크리트 베이스 상에는 기둥이 위치하고 상기한 기둥에는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A concrete base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pillar is located on the concrete base and a solar cell module is installed on the pillar, A battery module mount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내측면과 단턱부 저면 사이에는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한 블록과 그 주변 영역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며, 상기한 시멘트 몰탈 표면에 수성 페인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 block is stack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 portion, and the block and the peripheral area thereof are filled with cement mortar, and a water pai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mortar have.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 사이에는 벽체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wall drain may be formed between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inn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와 전술한 파라펫과 관련한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를 가지는 건축물이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ilding having the above-described heat-bridging external-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nd the above-described heat-bridging external-passage connecting structure relating to the above-mentioned parapet.

본 발명에 따른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전술한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 도막 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을 형성하고 시멘트 몰탈층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을 형성하되, 상기한 건물 본체의 측벽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형성되는 마감재와 접촉하여 기밀 및 수밀하게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ilding, comprising the steps of: (A) independently constructing the building body and the external passageway; (B) forming a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through a coating waterproof layer, forming a finishing tile layer through the cement mortar layer, and forming a finishing tile layer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body And a step of forming the airtightly and watertightly in contact with the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A) 전술한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의 상단부에 커버 브래킷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한 커버 브래킷에 문틀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를 세트 앵커에 의해 시트 방수층을 가지는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C)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 도막 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시멘트 몰탈층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을 형성하되, 상기한 단열재와 마감 타일층 사이에 팽창 밴드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문틀과 마감 타일층 사이에 코킹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ilding, comprising the steps of: (A) independently installing the building body and the external passageway; (B) placing the cover bracket on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of the building body, fixing the door frame to the cover bracket, and fixing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to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having the seat water- ; (C) forming a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slab of the above-described external passage through a waterproof layer and forming a final tile layer thereon via a cement mortar layer, wherein an expansion band is formed between the above- And placing the caulking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finish tile layer, as well a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ternal bridg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A) 전술한 파라펫과 관련한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상호 연결하여 커버 플래싱(flashing)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내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코너 플래싱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independently installing a building body and an external passage associated with the parapet; (B) a cover flashing is provided by interconnecting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inner parapet of the external passage, And installing a corner flashing for connecting the finishing material on the out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to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위에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 사이에는 벽체 드레인을 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a wall drain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inn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또한 상기한 건물 본체의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콘크리트 베이스와 기둥을 시공하고 상기한 기둥 상에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a concrete base and a column on the concrete concrete slab of the building body and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on the column.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은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물리적으로 분리된 독립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열교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건물 본체의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축열재로 이용할 수 있어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므로, 패시브 건축물의 구현에 매우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that can achieve a remarkably excellent thermal bridge interception effect by forming the building body and the external passage into an independent structu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ince it can be used as a heat storage material and has a high energy efficiency, it is very useful for realizing a passiv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가 적용된 건축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사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i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6 is a view similar to Fig.

먼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외부통로’라는 용어는 통상의 공용복도 또는 외부복도와 옥상의 파라펫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되며, 상기한 외부통로가 유리창이나 패널 등에 의해 외기와 단절되어 있는가의 여부 등은 불문한다.First, the term " outer passage "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s defined to mean both a common public hall or a passage defined by an outer hall and a roof parapet, Whether or not it is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air by means of the air conditioner or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라는 용어는 건축물의 외부통로(부분) 전체와 이와 접촉하는 건물 본체(부분)의 인접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층간 슬래브 인접 영역뿐만 아니라 옥상 파라펫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Also, the term 'connection structur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fined as meaning the entire outer passage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adjacent area of the building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adjacent area of the slab, Region. ≪ / RTI >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1a,1b)가 적용된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건물과 같은 건축물(100)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로서, 그 개략적인 전체적 구조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건물 본체(10)와, 이와는 물리적으로 별개 독립적인 구조로 된 공용복도 또는 외부복도와 같은 외부통로(20)로 구성되며, 층별로 창(30)이 위치하는 부분의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A 부분)와,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문(40)이 위치하는 부분의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a)(B 부분)와, 옥상 파라펫 부분의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b)(C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ilding 100 such as a public house or an office building to which a heat-bridging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1, 1a or 1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Briefly referring to the schematic overall structure, the building comprises a building body 10 and an external passage 20, such as a public hallway or an external hallway, which is physically and separately independent of the building body 10, (A portion) of the heat-bridging-type external channel connecting structure 1 (portion B) and a portion of the outer-channel interconnection structure 1a (portion B) where the door 40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is located, And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heat 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1b (part C) of the roof parapet part.

상기한 외부 통로(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본체(10)와는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2열로 위치하는 복수의 외측 기둥(23) 및 내측 기둥(24)에 의해 지지된다.2, the outer passage 2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outer pillars 23 and an inner pillars 24 which are physically independent from the building body 10 and are positioned in two rows.

상기한 외부 통로(20)는 슬래브(21)로 구성되며, 안전 펜스(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assage 20 is constituted by a slab 21 and may include a safety fence 29.

또한 옥상에는 태양전지 모듈(81)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80)이 콘크리트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A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80 provided with a solar cell module 81 on the roof may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base.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2 및 90은 각각 태양전지 모듈 및 발코니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82 and 90 denote solar cell modules and balconies, respectively.

이어서,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로서, 이들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이므로 도 3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되, 도 4는 도 3과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 which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each other,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1a)의 기본 구조는 슬래브(11)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12)과, 상기한 측벽(12)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와, 상기한 단열판재(13)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17)를 포함하는 건물 본체(10)와, 그리고 상기한 건물 본체(10)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24,23)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21)와, 상기한 슬래브(21)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25) 및 보호 몰탈층(26)을 포함하는 외부통로(20)로 구성되며, 상기한 방수층(25)은 도막 방수층일 수 있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heat-bridging external-passage connecting structure (1, 1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ab (11), a side wall (12) integrally formed therewith, and a heat insulating plate 13 and a finishing material 17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above-mentioned heat insulating plate 13 and the inside and outside pillars 24, 23 independently of the above-mentioned building body 10 And an outer passage 20 including a waterproof layer 25 and a protective mortar layer 26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1, (25) may be a film waterproof layer.

여기서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슬래브(11) 및 측벽(12)과,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lab 11 and the side wall 12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may be reinforced concrete slabs.

한편,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에는 선택적 구성요소로서의 상향 입설부(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상향 입설부(22)의 내측에는 앵커볼트(29b)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29a)에 의해 안전 펜스(2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안전 펜스(29)의 고정 방식이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적이다.The upward sloping portion 22 as an optional component may be formed in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anchor bolt 29b The safety fence 29 can be provided by the fixture 29a fixed by the fixing bracket 29. The fixing metho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afety fence 29 are arbitrary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 상면의 보호 몰탈층(26) 위에는 시멘트 몰탈층(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선택적으로 상기한 시멘트 몰탈층(27) 상에, 예컨대 테라조 타일(terrazzo tile)과 같은 마감 타일층(28)을 더욱 형성할 수도 있다.A cement mortar layer 27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2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The cement mortar layer 27 may be optionally formed on the cement mortar layer 27, A finishing tile layer 28 such as a terrazzo tile may be further formed.

여기서,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의 상향 입설부(22) 내측에는 만입부(22a)를 형성하여, 상기한 만입부(22a) 내로 상기한 도막 방수층(25), 보호 몰탈층(26) 및 시멘트 몰탈층(27)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마무리 작업을 말끔하게 처리함과 아울러 보다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의 바닥 쪽 연장 단부에는 물끊기 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A depressed portion 22a is formed inside the upstanding tongue portion 22 of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to form the depressed portion 25a, The layer 26 and the cement mortar layer 27 can be elongated to finish the finishing operation smoothly and to achieve more complete waterproofing and the bottom end extension of the slab 21 of the outer passage 20 And a water cut-off groove 21a may be formed at the end.

상기한 외측 기둥(23) 및 내측 기둥(24)과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 저면은 콘크리트 면 정리 후 수성 페인트 도막층을 형성해 둘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slab 21 of the outer column 23 and the inner column 24 and the outer passage 20 may be formed with a water paint film layer after the concrete surface preparation.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단열판재(13)로서는 다양한 임의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타일과 같은 마감재(17)의 붙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표면이 무기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유기발포판재(13b)의 양면에 무기발포판재(13a)가 접합된 복합단열판재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단열판재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그 전형적인 예로써는 ㈜한국록셀보드의 상품명 ‘RockCell Board’를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kinds of materials can be used as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of the building body 10. However, in order to easily attach the finishing material 17 such as tiles, In particular, the composite insulation board material may be a composite insulation board material in which the inorganic foam board 13a i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organic foam board 13b. Such a composite insulation board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As a typical example thereof, The RockCell Board product name is RockCell Board.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단열판재(13)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17)로서는 당업계 공지의 다양한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붙임 몰탈로 붙인 타일층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the finishing material 17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of the building body 10, various material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In particular, the finishing material 17 can be formed of a tile layer adhered with a mortar.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슬래브(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12)이 상기한 슬래브(11)의 상방 및 하방으로 동시에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11)의 위아래층의 창틀(31)이 상기한 측벽(12)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한 슬래브(11) 위층의 창틀(31)은 앵커볼트(16)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15) 상에 위치하는 각목과 같은 목질 하인방(14) 상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래브(11) 아래층의 창틀(도면부호 미부여)은 앵커 볼트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도면부호 미부여)에 고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3, a sidewall 12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ab 11 of the building body 10 is simultaneously extended above and below the slab 11, and the slab 11 The window frame 31 on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slab 11 is fixed to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2. The window frame 31 on the upper layer of the slab 11 is anchored (Not shown) of the lower layer of the slab 11 is fixed to the supporting bracket 15 fixed by the anchor bolt, And is fixed to a bracket (not shown).

여기서, 상기한 지지 브래킷(15)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고 그 외표면에는 우수한 단열성을 지니는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EPDM 러버(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목질 하인방(14)과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선형열교(Psi)값을 약 60% 정도 감소시킬 수가 있다.Here, the support bracket 15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n elastomeric EPDM rubber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on properties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5. In addition, By using it in conjunction with the woody debonair 14, the value of the linear cross-correlation (Psi) can be reduced by about 60%.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하인방(14)과 창틀(31) 사이에는 팽창 밴드가 위치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an expansion band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cabinet 14 and the window frame 31,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슬래브(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12)이 상기한 슬래브(11)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11) 위아래층의 문틀(41)이 상기한 측벽(12)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에 고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4, a sidewall 12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ab 11 of the building body 10 extends downwardly of the slab 11, And the door frame 41 of the lower layer is fixed to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2. [

상기한 단열판재(13)의 상단부는 건물 본체(10)의 슬래브(11) 및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상향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한 단열판재(13)의 상단부에는 열교차단재(도면부호 미부여)가 위치하고 그 측면 및 상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된 커버 브래킷(18)이 위치한다.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is positioned to protrude slightly upward from the slab 11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Not shown) is located, and a cover bracket 18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is plac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상기한 열교차단재로서는 압축 합성수지 또는 목재칩을 가압 접착시킨 하드보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압축형 폴리우레탄 열교 차단재일 수 있다.As the thermal bridge material, a hard synthetic resin or a hard board having a wood chip bonded thereto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material may be a compression type polyurethane thermal bridge material.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이 상기한 열교차단재의 안팍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열교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을 건물 본체(10) 쪽에만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건물 본체(10) 쪽과 외부 통로(20) 쪽에 각기 분리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ver bracket 18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above-mentioned thermal bridge member. However,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heat bridge breaking effect, the above-described cover bracket 18 is partially Or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side of the external passage 20, which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위층의 문틀(41) 하부는 고정볼트(18b)에 의해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에 견고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의 일단부는 세트앵커(18a)에 의해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에 고정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door frame 41 is firmly fixed to the cover bracket 18 by the fixing bolts 18b and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18 is fixed to the outer passage 18a by the set anchor 18a. Is fixed to the slab (21) of the slab (20).

위에서,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 상에는 시트 방수층(도면부호 미부여) 및/또는 도막 방수층(25)이 형성되고, 그 위에 보호 몰탈층(26)이 형성되며, 필요하다면 선택적으로 다시 그 위에 시멘트 몰탈층(27)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시멘트 몰탈층 상에 테라조 타일과 같은 마감 타일층(28)이 형성될 수 있다.A sheet waterproof layer (not shown) and / or a waterproof layer 25 is formed on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to which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18 is fixed, A cement mortar layer 27 may optionally be formed thereon, if desired, and optionally a finishing tile layer 28 such as a terrazzo tile may be formed on the cement mortar layer .

상기한 위층의 문틀(41) 하부 외측에는 팽창형 밴드(19a)와 코킹(19b)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한 팽창형 밴드(19a)로서는 다양한 회사의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컨대, 독일 Illbruck사의 아크릴계 UV 안정화 수지 침적형의 개방형 셀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된 TP600 등을 들 수 있다.The inflatable band 19a and the caulking 19b may be located out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door frame 41. Various types of products of various compani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as the inflatable band 19a, And TP600, a polyurethane foam having an acrylic UV-stabilized resin-immersed open-cell structure of Illbruck, Germany.

한편, 상기한 슬래브(11) 아래층의 문틀(도면부호 미부여) 상부는 상기한 측벽(12)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의 하단부에 고정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door frame (not shown) of the lower layer of the slab 11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2.

그 외 도 4의 구성부에서 도 3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기 바라며,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other constituent parts of FIG. 4, the same parts as those of FIG. 3 will be referred to FIG. 3, and 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5는 도 1에서 외측 기둥(23)과 내측 기둥(24) 사이의 파라펫 단면부를 나타내는 C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유사도로서 외측 기둥(23)과 내측 기둥(24) 이외 영역의 파라펫 단면부를 나타낸다.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showing the parapet cross section between the outer column 23 and the inner column 24 in Fig. 1,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rapet in section C of Fig. 5 showing the outer column 23 and the inner column 24 ) Of the parapet.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b,1c)의 기본적인 구성 역시 건물 본체(10)와 상기한 건물 본체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24,23)에 의해 지지되는 외부통로(20)으로 구성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bridge bridge connecting structure 1b, 1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 and 6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building main body 10 and the building main body, independently of the inner and outer pillars 24, 23 (Not shown).

여기서, 상기한 건물 본체(10)는 슬래브(11) 및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2)과, 상기한 슬래브(11)의 상면에 위치하는 보온판(51)과, 상기한 측벽(12) 및 보온판(51)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와, 상기한 단열판재(13) 외측의 마감재(17)와, 상기한 보온판(51) 및 단열판재(13) 상에 위치하는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52)와,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52)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파라펫(52a) 및 그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52b)를 가진다.The building body 10 includes a slab 11 and a side wall 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slab 11, a heat insulating plate 5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11, A heat insulating plate 13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2 and the heat insulating plate 51, a finishing member 17 outside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 concrete pavement 52a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crete concrete slab 52 and a step portion 52b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concrete concrete slab 52. [

한편, 상기한 외부통로(20)는 슬래브(61)와, 상기한 슬래브(6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파라펫(63) 및 단턱부(62a)를 가지는 내측 파라펫(62)을 가진다.The outer passage 20 includes a slab 61 and an inner parapet 62 having outer parapets 63 and outer chamfers 62a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ab 61 ).

여기서,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52b)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내측 파라펫(62)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62a)는 예컨대 칼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된 커버 플래싱(71)에 의해 덮여지며, 또한 상기한 단열판재(13) 외측의 마감재(17)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의 내측 하단부 사이에는 금속재로 된 코너 플래싱(72)이 설치된다.The stepped portion 52b form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stepped portion 52b form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inner parapet 62 of the external passage 20 62a are covered with a cover flasher 71 made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color aluminum and the inside of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is covered with a cover flasher 71, And a corner flashing 72 made of a metallic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s.

상기한 커버 플래싱(71)은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의 외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20)의 내측 파라펫(62)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덮게 되며, 상기한 커버 플래싱(71) 및/또는 코너 플래싱(72)의 내측에는 밀폐용 엘라스토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ver flasher 71 covers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62 of the outer passage 20, The inside of the cover flashing 71 and / or the corner flashing 72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elastomer.

상기한 보온판(51)은 침투성 방수층(미도시) 상에 위치하고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52)의 기계 미장후 형성되는 복합방수층(미도시) 상에 보호 몰탈층(53)을 형성하고, 필요하다면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56)을 더욱 형성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late 51 is disposed on the permeable waterproof layer (not shown), and the protective mortar layer 53 is formed on the complex waterproof layer (not shown) formed after the machine concrete of the concrete concrete slab 52, The unfired concrete layer 56 can be further formed thereon.

또한 필요하다면 선택적으로,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에 인접한 위치에 콘크리트 베이스(54)를 형성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파라펫(52a)의 단턱부(52b) 내측 하방으로 무근 콘크리트로 된 덧살부(54a)를 연장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콘크리트 베이스(54) 상에는 기둥(55)이 설치되고, 상기한 기둥(55) 위에는 태양전지모듈(도 1에서의 도면부호 81 참조)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도 1에서의 도면부호 80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A concrete base 54 may be optionally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optionally a stepped portion 52b of the parapet 52a, A column 55 may be provided on the concrete base 54 and a solar cell module may be provided on the column 55 (Refer to reference numeral 80 in Fig. 1) install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see Fi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외측 파라펫(63)에는 내측으로 경사 단턱부(6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위쪽으로는 상향 연장부(63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uter parapet 63 of the outer passage 20 has an inclined step portion 63a formed inwardly and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63b formed upwardly Respectively.

상기한 내측 파라펫(62)과 외측 파라펫(63)의 내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61) 상면에는 복합방수층(미도시)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64)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6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61) 상면과 내측 파라펫(62)의 단턱부(62a) 저면 사이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61) 상면과 외측 파라펫(63)의 경사 단턱부(63a) 저면 사이에는 각각 ALC(Autoclave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블록(66)을 적층하고, 상기한 블록(66)과 그 주변 영역을 시멘트 몰탈(67)로 채우고, 상기한 시멘트 몰탈(67) 표면에는 예컨대 수성 페인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A protective mortar layer 6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62 and the outer parapet 63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61 of the outer passage 20 through a complex waterproof layer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61 of the outer passag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62a of the inner parapet 6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A block 66 such as an ALC (Lightweight Concrete Lightweight) block is stack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61 of the passag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step portion 63a of the outer parapet 63 The block 66 and its peripheral area may be filled with the cement mortar 67 and a water pai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mortar 67. [

이어서 도 6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의 내측면과 단턱부(52b) 저면 사이에도 블록(58)이 적층되고, 상기한 블록(58)과 그 주변 영역에 시멘트 몰탈(57)이 채워지며, 상기한 시멘트 몰탈(57) 표면에는 수성 페인트층(도면부호 미부여)을 형성할 수 있다.6, a block 58 is also lamin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 portion 52b, and the block 58 and its periphery A cement mortar 57 is filled in the area of the cement mortar 57, and a water paint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mortar 57.

여기서,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과 상기한 외부통로(20)의 내측 파라펫(62) 사이에는 벽체 드레인(68)이 형성된다.A wall drain 68 is formed between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inner parapet 62 of the external passage 20. [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내지 다수의 층에 형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1a)와 그 옥상층에 형성되는 전술한 파라펫과 관련한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b,1c)를 가지는 건축물(10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1, 1a) formed on a plurality of or a plurality of layers as described above, and a heat 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1b, 1c. ≪ / RTI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1a,1b,1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시공 방법에 대하여는 주요 사항에 대하여만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bridge connection structure (1, 1a, 1b, 1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ill be briefly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건물 본체(10)와 외부통로(20)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 상에 도막 방수층(25)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26)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시멘트 몰탈층(26)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28)을 형성하되,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측벽(12)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13)에 형성되는 마감재(17)와 접촉하여 기밀 및 수밀하게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heat bridge bridg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ely constructing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external passage 20, 21, a protective mortar layer 26 is formed through a film waterproofing layer 25 and a finishing tile layer 28 is formed thereon with a cement mortar layer 26 interposed therebetween. Tightly and watertightly in contact with the finishing material 17 formed on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1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변형돈 다른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건물 본체(10)와 외부통로(20)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단열판재(13)의 상단부에 커버 브래킷(18)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에 문틀(41)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 브래킷(18)의 일단부를 세트앵커(18a)에 의해 시트 방수층(미도시)을 가지는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21) 상에 도막 방수층(25)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26)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시멘트 몰탈층(27)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28)을 형성하되, 상기한 단열판재(13)와 마감 타일층(28) 사이에 팽창 밴드(19a)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문틀(41)과 마감 타일층(28) 사이에 코킹(19b)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of constructing the outer brid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each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outer passage 20 is independently constructed. The door frame 41 is fixed to the cover bracket 18 and the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18 is fixed to the set anchor (25) to the slab (21) of the external passage (20) having a sheet waterproofing layer (not shown) And then a protective mortar layer 26 is formed 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26 and then a finishing tile layer 28 is formed thereon with a cement mortar layer 27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and 19a is positioned and the caulking 19b is positioned between the door frame 41 and the finish tile layer 28 It may be of a ste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또 다른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파라펫과 관련한 건물 본체(10)와 외부통로(20)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52b)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내측 파라펫(62)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62a)를 상호 연결하여 커버 플래싱(71)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단열판재(13) 외측의 마감재(17)와 상기한 외부통로(20)의 슬래브(61)의 내측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코너 플래싱(72)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of constructing the external brid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independently constructing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external passage 20 with respect to the above-mentioned parapet; A step portion 52b form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a step portion 62a form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inner parapet 62 of the external passage 20, A corner flashing 71 for interconnecting the finishing material 17 outside the heat insulating plate 13 and the inner lower end of the slab 61 of the outer passage 20, (72).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파라펫(52a)과 상기한 외부통로(20)의 내측 파라펫(62) 사이에는 벽체 드레인(68)을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건물 본체(10)의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52) 상에는 콘크리트 베이스(54)와 기둥(55)을 시공하고 상기한 기둥(55) 위에 태양전지모듈(도 1에서의 도면부호 81 참조)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도 1에서의 도면부호 80 참조)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drain 68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parapet 52a of the building body 10 and the inner parapet 62 of the external passage 20, A concrete base 54 and a column 55 are installed on the concrete concrete slab 52 of the main body 10 and a solar cell module (see 81 in FIG. 1) provided with the solar cell module A step of mounting the mounting structure (refer to reference numeral 80 in Fig. 1) may be further perform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is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a,1b,1c: 본 발명에 따른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10: 건물 본체
11: 슬래브 12: 측벽
13: (복합)단열판재
13a: 무기발포판재 13b: 유기발포판재
14: 하인방 15: 지지 브래킷
16: 앵커볼트 17: 마감재(마감 타일)
18: 커버 브래킷
18a: 세트앵커 18b: 고정볼트
19a: 팽창형 밴드 19b: 코킹
20: 외부통로
21: 슬래브 21a: 물끊기 홈
22: 상향 입설부 22a: 만입부
23: 외측 기둥 24: 내측 기둥
25: (도막)방수층 26: 보호 몰탈(층)
27: 시멘트 몰탈(층) 28: 마감 타일(층)
29: 안전 펜스
29a: 고정구 29b: 앵커볼트
30: 유리창 31: 창틀
40: 도어 41: 문틀
51: 보온판 52: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
52a: 파라펫 52b: 단턱부
53: 보호 몰탈(층) 54: 콘크리트 베이스
54a: 덧살부 55: 기둥
56: 무근 콘크리트(층) 57: 시멘트 몰탈(층)
58: 블록
61: 슬래브 61a: 물끊기 홈
62: 내측 파라펫 62a: 단턱부
63: 외측 파라펫 63a: 경사 단턱부
63b: 상향 연장부 64: 보호 몰탈(층)
65: 무근 콘크리트(층) 66: 블록
67: 시멘트 몰탈 68: 벽체 드레인
71: 커버 플래싱 72: 코너 플래싱
80: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 81,82: 태양전지 모듈
90: 발코니
100: 건축물
1, 1a, 1b, 1c: an outer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Building body
11: Slab 12: Side wall
13: (composite) insulation board
13a: inorganic foam board 13b: organic foam board
14: Lower limb 15: Support bracket
16: Anchor bolt 17: Finishing material (finishing tile)
18: Cover bracket
18a: Set anchor 18b: Fixing bolt
19a: Expansive band 19b: Caulking
20: outer passage
21: Slab 21a: Water splitting groove
22: Upward tilting portion 22a:
23: outer column 24: inner column
25: (Coating) Waterproof layer 26: Protective mortar (layer)
27: cement mortar (layer) 28: finishing tile (layer)
29: Safety fence
29a: fixture 29b: anchor bolt
30: window pane 31: window frame
40: door 41: door frame
51: insulating plate 52: concrete concrete slab
52a: Parapet 52b: Short jaw
53: protective mortar (layer) 54: concrete base
54a: Pillow 55: Column
56: Plain concrete (layer) 57: Cement mortar (layer)
58: Block
61: Slab 61a: Water splitting groove
62: inner parapet 62a:
63: outer parapet 63a: inclined step jaw
63b: upward extension part 64: protective mortar (layer)
65: Plain concrete (layer) 66: Block
67: Cement mortar 68: Wall drain
71: Cover flashing 72: Corner flashing
80: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81,82: Solar cell module
90: Balcony
100: Architecture

Claims (28)

슬래브 및 그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와, 상기한 단열판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건물 본체와;
상기한 건물 본체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와, 상기한 슬래브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수층 및 보호 몰탈층을 포함하는 외부통로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A building body including a slab and side walls formed integrally therewith,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a finishing material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A slab supported by inner and outer pillars independently of the building body, and an outer passage including a waterproof layer and a protective mortar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 heat bridge interconnection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상향 입설부가 형성되고 그에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has an upward mouth portion and a safety f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의 보호 몰탈층 위에 시멘트 몰탈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a cement mortar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의 시멘트 몰탈층 상에 마감 타일층이 더욱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4. The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a finishing tile layer is further formed on the cement morta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의 상향 입설부 내측에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만입부 내로 상기한 도막 방수층, 보호 몰탈층 및 시멘트 몰탈층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Claim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indenta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ward slanting portion of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nd the coating layer is formed in the indentation porti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and the cement mortar layer are extended,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하부의 연장 단부에 물끊기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external-passage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cut-off groove is formed at an extension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가 유기발포판재의 양면에 무기발포판재가 접합된 복합단열판재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insulating plate member of the building body is a composite heat insulating plate formed by joining an inorganic foam board to both sides of the organic foam boa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마감재가 붙임 몰탈로 붙인 타일층으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loor memb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of the building body is composed of a tile layer adhered with a mort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슬래브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이 상기한 슬래브의 상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 위아래층의 창틀이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고정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floor panel of claim 1, wherein a side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extends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ab, and a window frame on the lower and upper slabs is fixed to a heat- With a thermal bridge interconn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래브 위층의 창틀은 앵커 볼트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 상에 위치하는 목질 하인방 상에 고정되고, 상기한 슬래브 아래층의 창틀은 앵커 볼트로 고정된 지지 브래킷에 고정되고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window frame of the upper slab layer is fixed on a wooden floor panel positioned on a support bracket fixed by an anchor bolt, and the window frame of the lower slab layer is fixed to a support bracket fixed by an anchor bolt Blocked outer channel connec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슬래브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이 상기한 슬래브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슬래브 위아래층의 문틀이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고정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floor slab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side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extends downward of the slab, and the door frame of the lower and upper slabs is fixed to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wall A heat bridge interconnection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열판재의 상단부가 건물 본체의 슬래브 및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한 단열판재의 상단부에 열교 차단재와 이를 고정하는 커버 브래킷이 위치하며, 적어도 위층의 문틀 하부가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한 커버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nd a thermal bridge member and a cover bracket for fixing the heat bridge member ar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is fixed to the cover bracket by a fixing bol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가 세트 앵커에 의해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고정되며,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 시트 방수층 및 도막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한 위층의 문틀 하부 외측에 팽창형 밴드와 코킹이 위치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3.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is fixed to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by a set anchor, the seat waterproof layer and the coating film waterproof layer are formed on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to which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is fixed, An outer channel connection structure with an inflatable band and a caulking locat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nop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래브 아래층의 문틀 상부가 상기한 측벽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2. The structure of claim 11,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frame of the lower slab layer is fix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슬래브 및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한 슬래브의 상면에 위치하는 보온판과, 상기한 측벽 및 보온판의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와,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보온판 및 단열판재 상에 위치하는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파라펫 및 그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가지는 건물 본체와;
상기한 건물 본체와는 별개 독립적으로 내측 및 외측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와, 상기한 슬래브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각각 형성되는 외측 파라펫 및 단턱부를 가지는 내측 파라펫을 가지는 외부통로와;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상호 연결하여 덮는 커버 플래싱(flashing)과,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내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코너 플래싱으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
A side wall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ne end of the slab, a heat insulating plat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a heat insulating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heat insulating plate, a finishing material outside the heat insulating plate, A building body having a parapet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crete concrete slab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parapet, the concrete concrete slab being placed on a heat insulating plate and a heat insulating plate;
An outer passage having an inner parapet having an outer parapet and a step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ab, the outer parapet having an inner parapet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slab;
A cover flashing which connects and covers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of the inner parapet of the external passage; And a corner flashing connecting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lab in the outer passage
A heat bridge interconnection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온판이 침투성 방수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한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의 기계 미장후 형성되는 복합방수층 상에 보호 몰탈층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5]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sulating plate is placed on the permeable waterproof layer, the protective mortar layer is formed on the complex waterproof layer formed after the machine concrete of the concrete concrete slab is formed, Channel connection struc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외측 파라펫에는 내측으로 경사 단턱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위쪽으로는 상향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내측 파라펫과 외측 파라펫의 내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에는 복합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이 형성되고 다시 그 위에 무근 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out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is formed with an inclined step portion inwardly,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is formed upward,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and the outer parapet, Wherein a protective mortar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through a composite waterproof layer, and an unfired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mortar lay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과 내측 파라펫의 단턱부 저면 사이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면과 외측 파라펫의 경사 단턱부 저면 사이에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한 블록과 그 주변 영역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고, 상기한 시멘트 몰탈 표면에 수성 페인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blocks are stack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of the inner parapet, 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of the outer pa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ep of the ramp of the outer parapet, And an aqueous paint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ment mortar, wherein the cement mortar is filled with cement morta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외측면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커버 플래싱의 내측에 밀폐용 엘라스토머가 장착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Blocked outer channel connection structur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한 파라펫의 단턱부 내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덧살부를 가지며, 상기한 콘크리트 베이스 상에는 기둥이 위치하며 상기한 기둥에는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5]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concrete bas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pad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inside the step of the parapet, wherein the pillar is located on the concrete base, Is a heat bridge type external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cell module with a solar cell module is install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내측면과 단턱부 저면 사이에 블록이 적층되고, 상기한 블록과 그 주변 영역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며, 상기한 시멘트 몰탈 표면에 수성 페인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16. The cement mortar of claim 15, wherein blocks are stack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 portion, the block and the peripheral region thereof are filled with cement morta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assagewa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 사이에 벽체 드레인이 형성되어 있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Th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a wall drain is formed between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inner parapet of the external passage. 제1항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와 제15항에 따른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를 가지는 건축물.A structure having a heat bridge bridge external passa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idge bridge external bridg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5. (A) 제1항에 따른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 도막 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을 형성하고 시멘트 몰탈층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을 형성하되, 상기한 건물 본체의 측벽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재에 형성되는 마감재와 접촉하여 기밀 및 수밀하게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
(A) constructing a building body and an external passag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claim 1;
(B) forming a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slab of the external passage through a coating waterproof layer, forming a finishing tile layer through the cement mortar layer, and forming a finishing tile layer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body And forming the airtight and watertight contact with the finish material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bridge interconnection structure.
(A) 제1항에 따른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건물 본체의 단열판재의 상단부에 커버 브래킷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한 커버 브래킷에 문틀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한 커버 브래킷의 일단부를 세트 앵커에 의해 시트 방수층을 가지는 외부통로의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C)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상에 도막 방수층을 개재하여 보호 몰탈층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시멘트 몰탈층을 개재하여 마감 타일층을 형성하되, 상기한 단열재와 마감 타일층 사이에 팽창 밴드를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문틀과 마감재 사이에 코킹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
(A) constructing a building body and an external passag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claim 1;
(B) placing the cover bracket on the upper end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of the building body, fixing the door frame to the cover bracket, and fixing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to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having the seat water- ;
(C) forming a protective mortar layer on the slab of the above-described external passage through a waterproof layer and forming a final tile layer thereon via a cement mortar layer, wherein an expansion band is formed between the above- Positioning the caulking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finish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bridge interconnection structure.
(A) 제15항에 따른 건물 본체와 외부통로를 각기 독립적으로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상호 연결하여 커버 플래싱(flashing)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단열판재 외측의 마감재와 상기한 외부통로의 슬래브 내측 하단부를 연결하는 코너 플래싱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
(A) installing the building main body and the external passageway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claim 15;
(B) a cover flashing is provided by interconnecting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an extending end portion of the inner parapet of the external passage, And installing a corner flashing connecting the finish material on the outer side of one heat insulating plate and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slab of the outer passage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bridge interconnection structur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파라펫과 상기한 외부통로의 내측 파라펫 사이에 벽체 드레인을 시공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wall drain is installed between the parapet of the building body and the inner parapet of the outer passag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물 본체의 구체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콘크리트 베이스와 기둥을 시공하고 상기한 기둥 상에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 거치용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열교 차단형 외부통로 연결 구조체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concrete base and a column on the concrete concrete slab of the building body and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having the solar cell module on the column, A method of constructing an outer passage connecting structure.













KR1020150033494A 2015-03-11 2015-03-11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61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94A KR101661998B1 (en) 2015-03-11 2015-03-11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494A KR101661998B1 (en) 2015-03-11 2015-03-11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98A Division KR101663205B1 (en) 2016-07-09 2016-07-09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315A true KR20160109315A (en) 2016-09-21
KR101661998B1 KR101661998B1 (en) 2016-10-19

Family

ID=5708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494A KR101661998B1 (en) 2015-03-11 2015-03-11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998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4622A2 (en) 1996-10-02 1998-04-08 SCHÖCK BAUTEILE GmbH Heat insulated connection between external concrete elements, particularly cantilever parts, and building
EP0848119A1 (en) 1996-12-16 1998-06-17 SCHÖCK BAUTEILE GmbH Reinforcement connection
EP0892118A1 (en) 1997-07-19 1999-01-20 SCHÖCK BAUTEILE GmbH Building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JP2002201728A (en) * 2000-12-28 2002-07-19 Shimizu Corp Thermal insulation structural building
JP2004108031A (en) * 2002-09-19 2004-04-08 Tesuku:Kk Balcony in outside heat insulating building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JP2009167690A (en) * 2008-01-16 2009-07-30 Toyota Motor Corp Building having outside corridor
WO2011006674A2 (en) 2009-07-17 2011-01-20 Schoeck Bauteile Gmbh Method and device for subsequently attaching a protruding outer part to an existing load-bearing building part
KR101186979B1 (en) 2011-03-30 2012-09-28 문근환 A corridor module construction method for assembly type building
EP2557243A2 (en) 2011-08-11 2013-02-13 SCHÖCK BAUTEILE GmbH Construction element for heat insulation
KR20130035044A (en) 2011-09-29 2013-04-08 금강공업 주식회사 A connecting device of modular unit corridor
EP2610410A2 (en) 2011-12-30 2013-07-03 SCHÖCK BAUTEILE GmbH Construction element for heat insulation
JP2014231734A (en) * 2010-02-19 2014-12-11 多摩防水技研株式会社 End treatment method for waterproof sheet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4622A2 (en) 1996-10-02 1998-04-08 SCHÖCK BAUTEILE GmbH Heat insulated connection between external concrete elements, particularly cantilever parts, and building
EP0848119A1 (en) 1996-12-16 1998-06-17 SCHÖCK BAUTEILE GmbH Reinforcement connection
EP0892118A1 (en) 1997-07-19 1999-01-20 SCHÖCK BAUTEILE GmbH Building element for thermal insulation
JP2002201728A (en) * 2000-12-28 2002-07-19 Shimizu Corp Thermal insulation structural building
JP2004108031A (en) * 2002-09-19 2004-04-08 Tesuku:Kk Balcony in outside heat insulating building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JP2009167690A (en) * 2008-01-16 2009-07-30 Toyota Motor Corp Building having outside corridor
WO2011006674A2 (en) 2009-07-17 2011-01-20 Schoeck Bauteile Gmbh Method and device for subsequently attaching a protruding outer part to an existing load-bearing building part
JP2014231734A (en) * 2010-02-19 2014-12-11 多摩防水技研株式会社 End treatment method for waterproof sheet
KR101186979B1 (en) 2011-03-30 2012-09-28 문근환 A corridor module construction method for assembly type building
EP2557243A2 (en) 2011-08-11 2013-02-13 SCHÖCK BAUTEILE GmbH Construction element for heat insulation
KR20130035044A (en) 2011-09-29 2013-04-08 금강공업 주식회사 A connecting device of modular unit corridor
EP2610410A2 (en) 2011-12-30 2013-07-03 SCHÖCK BAUTEILE GmbH Construction element for heat ins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998B1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708B2 (en) Prefabricated insulated building panel with cured cementitious layer bonded to insulation
US5228937A (en) Method of making a brick panel
US10480176B2 (en) Modular building
EP3011122B1 (en) Closure piece for installing the track of a sliding door and method of using it
US10214906B2 (en) Reverse ballasted roof system
KR100770565B1 (en) Basement double wall's prefab construction completedmultifunctional panel
KR101888404B1 (en) Parapet structure for preventing thermal transfer
KR101663205B1 (en)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8127920A (en) Found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323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KR101661998B1 (en) Exterior corridor connected structure for removing therm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89751B1 (en) Assembly type wall and floor structure of ocher room
CN1192150C (en) Modular structure
KR101578455B1 (en) two floor system of building
CN220469185U (en) Prefabricated modularized building outer wall system
CN2539781Y (en) Building module
CN2512843Y (en) Building module
CN213014792U (en) Composite insulation board house plinth department connection structure
KR20130001581A (en) Water proof execu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KR200250330Y1 (en) Continuous Integrated Roofing Material
GB2497099A (en) Construction element and module formed from the element
Watts Bonded glass rooflights
RO131050A0 (en) Prefabricated modular elements for constructions
JP2006316460A (en) Panel material for roof
CZ53397A3 (en) Rugged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