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60A - 안전 유모차 - Google Patents

안전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60A
KR20160109260A KR1020150033353A KR20150033353A KR20160109260A KR 20160109260 A KR20160109260 A KR 20160109260A KR 1020150033353 A KR1020150033353 A KR 1020150033353A KR 20150033353 A KR20150033353 A KR 20150033353A KR 20160109260 A KR20160109260 A KR 2016010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wheel
braking force
main bod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225B1 (ko
Inventor
박종혁
조민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혁
조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혁, 조민호 filed Critical 박종혁
Priority to KR102015003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2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안전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 유모차,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본체에 마련되어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유모차{SAFETY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안전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함과 아울러 바퀴의 제동력을 가변할 수 있는 안전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휠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부착한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으며,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회전축에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경사지 등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고정장치를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할 경우에 경사지 등에서의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전동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전동장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안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전동장치와 고정장치는 별개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유모차의 안전성(고정장치)과 기능성(전동장치)을 조합하여 일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9656호(2014.05.20) "전동식 유모차"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 발생 여부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유모차에 앉혀지는 유아의 신체 상태 즉 몸무게를 고려하지 않아 유아의 몸무게에 대응되게 제동력을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유모차에는 다양한 나이대의 유아가 착석되는 데 유아의 몸무게가 설정된 제동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몸무게가 설정된 제동력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 제동력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선행기술로는 특정 나이대에 대응되게 제동력을 제어할 수 없어 유모차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399656호(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05. 2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유모차를 제동함과 아울러 바퀴의 제동력을 가변할 수 있는 안전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모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 모터;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로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동력 제어부; 상기 제동력 제어부에 일측부가 연결되 상기 제동력 제어부와 같이 회동되는 제동 레버; 및 상기 본체의 바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동력 제어부는,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제1 제어플레이트; 및 일측부는 상기 제1 제어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는 제2 제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동 모터를 안착시키며 내벽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구비된 안착 바디와, 상기 안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제동모터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바퀴를 제동하므로 부주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유모차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제동력을 제동력 제어부의 길이 변경으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제어부와 배터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동 모터가 제동모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에 제어부와 배터리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모차(1)는, 손잡이(120)와 바퀴(140)가 구비된 본체(100)와, 손잡이(120)에 마련되는 센서(2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제동부(300)와, 본체(100)에 마련되는 제어부(4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제동 모터(310)와 제어부(4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0)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110)을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고, 본체(100)의 상측부에는 센서(200)가 장착되며 절곡된 손잡이(12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하우징(130)이 마련될 수 있고, 바퀴 하우징(13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바퀴(140)는 바퀴 하우징(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축에 결합되어 지지축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센서(200)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손잡이(12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20)가 감지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낸다. 제어부(400)에서는 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동부(300)를 작동시켜 바퀴(140)의 제동을 해제하여 유모차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200)는 사용자의 손이 터치되면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센서(200)는 손잡이(120)의 저면부에 실리콘이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지지 로드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동부(300)는, 제어부(400)에서 전달되는 신호로 바퀴(140)를 제동시켜 유모차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동부(300)는 바퀴(140)를 단순히 제동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00)에 착석되는 유아의 연령대와 몸무게에 대응되게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 응답 시간을 가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a)는 제동부(300)가 바퀴(140)를 제동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제동부(300)가 바퀴(140)를 제동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동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마련되며 배터리(5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기초로 작동되는 제동 모터(310)와, 일측부가 제동 모터(310)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동력 제어부(320)와, 제동력 제어부(32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바퀴 하우징(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레버(330)와, 바퀴 하우징(130)의 지지축에 마련되며 제동 레버(330)의 접촉 마찰력에 의해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340)를 포함한다.
제동부(300)의 제동 모터(310)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다양한 모터를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동 모터(310)는 마그네틱 모터를 포함한다.
제동부(300)의 제동력 제어부(320)는, 제동 모터(310)의 회전력을 제동 레버(330)로 전달함과 아울러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바퀴(140)로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력의 응답 시간 즉 바퀴(140)를 제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동력 제어부(3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모터(310)에 일측부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복수의 홀(320a)을 갖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상측부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되고 하측부는 제동 레버(33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복수의 홀(320a)을 갖는 제2 제어플레이트(3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트(322)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과 제동력의 응답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 바퀴(140)에 많은 제동력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의 결합 길이를 짧게 해서 결합하면 된다. 이 경우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응답 시간도 감소되어 더 빠른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유아의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경우 제1 제어플레이트(321)와 제2 제어플레이트(322)의 결합 길이를 증가시키면 된다. 이 경우 바퀴(140)에 가해지는 제동력의 응답 시간은 증가된다.
제동부(300)의 제동 디스크(340)는, 도 4에 도시된 원형 형태 외에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디스크(340)를 원형 형태가 아닌 바퀴(140)의 휠 사이로 삽입되게 로드 형태로 설계 변경하여, 로드 형태의 제동 디스크가 바퀴(140)의 휠과 접촉되어 바퀴(140)를 제동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동 모터가 제동모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의 프레임은 금속 재질 보다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대부분 제작되므로 제동 모터(310)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동 모터(310)를 본체(100)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제동모터 안착부(600)를 구비한다.
제동모터 안착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 모터(310)가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된 안착 바디(610)와, 안착 바디(610)를 프레임(110)에 마련된 홀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6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안착 바디(610)의 내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 돌기(611)가 마련되며, 이 완충 돌기(611)는 안착 바디(610)에 안착된 제동 모터(310)로 본체(100)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바퀴를 제동하므로 부주의로 인해 경사지 등에서 유모차가 이동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퀴의 제동력을 제동력 제어부의 길이 변경으로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안전 유모차
100 : 본체 110 : 프레임
120 : 손잡이 130 : 바퀴 하우징
140 : 바퀴 200 : 센서
300 : 제동부 310 : 제동 모터
320 : 제동력 제어부 320a : 홀
321 : 제1 제어플레이트 322 : 제2 제어플레이트
330 : 제동 레버 340 : 제동 디스크
400 : 제어부 500 : 배터리
600 : 제동모터 안착부 610 : 안착 바디
611 : 완충 돌기 620 : 체결부재

Claims (5)

  1. 손잡이와 바퀴가 구비된 본체;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 모터;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홀을 갖는 복수의 제어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로 가해지는 제동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제동력 제어부;
    상기 제동력 제어부에 일측부가 연결되 상기 제동력 제어부와 같이 회동되는 제동 레버; 및
    상기 본체의 바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는 제동 디스크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제어부는,
    상기 제동 모터에 일측부가 연결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제1 제어플레이트; 및
    일측부는 상기 제1 제어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제동 레버에 연결되는 제2 제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제동 모터를 안착시키며 내벽에 복수의 완충 돌기가 구비된 안착 바디와, 상기 안착 바디를 상기 본체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구비된 제동모터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 유모차.
KR1020150033353A 2015-03-10 2015-03-10 안전 유모차 KR10166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3A KR101669225B1 (ko) 2015-03-10 2015-03-10 안전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53A KR101669225B1 (ko) 2015-03-10 2015-03-10 안전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60A true KR20160109260A (ko) 2016-09-21
KR101669225B1 KR101669225B1 (ko) 2016-10-28

Family

ID=5708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53A KR101669225B1 (ko) 2015-03-10 2015-03-10 안전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142A (zh) * 2019-06-11 2019-08-23 淄博创立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手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04B1 (ko) * 2018-11-15 2020-05-14 (주)동인기연 유모차
KR102354897B1 (ko) * 2020-09-22 2022-01-24 이재완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367A (en) * 1996-11-18 1998-04-07 Brubaker; Wilmer R. Hand operated shopping cart brake
JP2010064704A (ja) * 2008-09-12 2010-03-25 Aron Kasei Co Ltd 手押し車のブレーキ機構
KR101399656B1 (ko) 2013-01-25 2014-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유모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367A (en) * 1996-11-18 1998-04-07 Brubaker; Wilmer R. Hand operated shopping cart brake
JP2010064704A (ja) * 2008-09-12 2010-03-25 Aron Kasei Co Ltd 手押し車のブレーキ機構
KR101399656B1 (ko) 2013-01-25 2014-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142A (zh) * 2019-06-11 2019-08-23 淄博创立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手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225B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8654B1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101669225B1 (ko) 안전 유모차
KR101408162B1 (ko) 전자동 유모차
US10383780B2 (en) Bed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US20190329809A1 (en) Electrically motorised wheel, transmission and control module, kit, vehicle and system
US20150197271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rocking a stroller
JP5426534B2 (ja) 可動家具部品用の駆動装置
US8313390B2 (en) Infant swing
US11505232B2 (en) Drive mechanism and automatic sw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6032590A1 (en) Infant-supporting devices
KR102006142B1 (ko) 전동 기능 및 프레임 길이 조절이 가능한 웨건
JP6798899B2 (ja) 車輪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手押し車
KR20210136185A (ko)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카트의 핸들 어셈블리 및 카트
JP2019524533A (ja) ベビーカーコンフォート装置、ベビーカー下部フレーム、ならびにベビーカー
CN106184533B (zh) 一种电动平衡车
KR20110105450A (ko)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KR101352531B1 (ko) 손잡이 일체형 운행제어 장치를 장착한 냉온 배선카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JP6055446B2 (ja) ロック機構及び車椅子
EP2056777A1 (en) Movement limiting apparatus
AU2013100166A4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JP2019099139A (ja) 制動装置
KR20160138803A (ko) 탑승 감지 제동 제어형 전동 유모차
KR101941000B1 (ko) 회전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고 비상시 자동으로 제동하는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