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186A -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 Google Patents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186A
KR20160109186A KR1020150033172A KR20150033172A KR20160109186A KR 20160109186 A KR20160109186 A KR 20160109186A KR 1020150033172 A KR1020150033172 A KR 1020150033172A KR 20150033172 A KR20150033172 A KR 20150033172A KR 20160109186 A KR20160109186 A KR 2016010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lectronic tag
mode
emergenc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186A/ko
Publication of KR2016010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응급 상황 발생 시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하기 위해 전자태그 카드, 또는 응급 버튼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 카드와, 승장 버튼과 엘리베이터 운전반 각각에 각각 설치되어 전자태그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 리더기와,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면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고, 엘리베이터를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RFID systems are applied to elevator call device and call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응급 상황 발생 시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하기 위해 전자태그 카드, 또는 응급 버튼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승객이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려면 엘리베이터 카 안에 있는 해당 층의 호출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이와 같이 호출 버튼이 눌리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는 이를 감지해서 해당 층이 선택되었음을 호출 등록 LED를 점등함으로써 승객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해당 층으로 승객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진행한다.
숙소 또는 거주구역에서의 엘리베이터는 크루(Crew)의 이동 편의성이 주 목적이긴 하지만, 긴급을 요하는 부상자 발생 시에는 부상자 후송이 최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긴급을 요하는 상황 발생 시에도 이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여 신속히 부상자를 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0404호 (발명의 명칭: 무선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켜 호출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 카드를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에 인식시키면 상기 엘리베이터는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고, 일반 운행 모드 시에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은 모두 리셋되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으므로, 응급 상황 시 발생한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태그 카드를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에 인식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응급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도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 카드와, 승장 버튼과 엘리베이터 운전반 각각에 각각 설치되어 전자태그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 리더기와,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면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로 송신하기 위한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응급 버튼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면 엘리베이터 운전반의 층 호출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으로서, 승장 버튼 내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전자태그 리더기가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는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로 송신하는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모든 층의 승장 버튼에 입력된 호출 명령을 리셋시키고,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호출하며,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어 호출되는 단계 이후에, 엘리베이터 운전반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에 전자태그 카드가 인식되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운전반의 층 호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에 전자태그 카드가 인식되면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급 버튼을 통해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호출방법은,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여 엘리베이터를 최우선적으로 호출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응급 상황 발생 시에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를 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긴급을 요하는 상황 발생 시에도 이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신속하게 운용할 수 없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자태그 카드 또는 응급 버튼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결정하여 운용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 발생 시에 엘리베이터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호출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10)는,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 카드(120)와, 승장 버튼(140)과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자태그 카드(120)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 리더기(142)(164)와, 상기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상기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하면 엘리베이터(100)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상기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장 버튼(140)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문 앞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은 엘리베이터 승강차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태그 카드(120)를 소지한 사용자는 환자의 신속한 후송을 요하는 응급 상황 발생 시에,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상기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는 것으로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를 변경(일반 운행 모드→응급 상황 모드)할 수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태그 카드(120)를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인식시키는 방법 이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응급 버튼(200)을 통해서도 상기 엘리베이터(100)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리더기에 카드를 인식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로 구비된 응급 버튼(200)을 누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응급 버튼(200)으로부터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받아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를 변경(일반 운행 모드→응급 상황 모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응급 상황이 발생한 층의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가 인식되어 엘리베이터(100)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별도로 구비되는 응급 버튼(200)이 눌려져 엘리베이터(100)의 모드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모든 층에 존재하는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해당 층의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하면 상기 승장 버튼에 구비된 호출 버튼(14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호출하는 명령을 수신받아 해당 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호출하는 한편,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 변경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의 층 호출 버튼(162)을 조작하여 원하는 층으로 환자를 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64)가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경우에만 상기 층 호출 버튼(162)으로부터 층 호출 명령을 수신받아 엘리베이터(100)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태그 카드(120) 또는 응급 버튼(12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켜 환자 후송이 끝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들의 엘리베이터 사용을 위해,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거나, 응급 버튼(200)를 누르는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모드를 변경(응급 상황 모드→일반 운행 모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출장치(10)는, 엘리베이터(100)의 현재 모드(일반 운행 모드 또는 응급 상황 모드)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2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자태그 카드(120) 또는 응급 버튼(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00)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일반 운행 모드→응급 상황 모드, 또는 응급 상황 모드→일반 운행 모드)에는 표시부(22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현재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 또는 응급 버튼(200)으로부터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표시부(220)에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현재 운행모드를 표시하는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표시부(220)를 통해 엘리베이터(100)의 현재 운행모드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층의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거나, 응급 버튼(200)을 누르는 것으로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고,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는 상기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설치된 층의 승장 버튼(140)에 구비된 호출 버튼(144)을 통한 호출 명령에만 응답하므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엘리베이터를 최우선적으로 사용하여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은, 환자를 신속하게 후송해야 하는 응급 상황 발생 시에 승장 버튼(140) 내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하는지 판단한다(S301).
그 다음으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엘리베이터(100)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킨다(S302).
그 다음으로, 상기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S302) 이후에,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다(S303).
그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한다(S304).
그 다음으로, 환자를 후송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64)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구비된 층 호출 버튼(162)으로부터 층 호출 명령을 수신받아 엘리베이터(100)를 제어한다(S305).
그 다음으로, 엘리베이터(100)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켜 환자를 후송하고 난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들의 엘리베이터 사용을 위해,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가 인식되거나, 응급 버튼(200)이 눌렸는지 판단한다(S306). 이때, 상기 판단하는 단계(S305)에서 전자태그 카드(120)가 인식되었거나, 응급 버튼(200)이 눌린 경우에는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한다.
한편, 엘리베이터(100)의 모드는 응급 상황이 발생한 층의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하는 방법 이외에, 별도로 구비되는 응급 버튼(200)이 눌렸는지 판단하는 단계(S307)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판단하는 단계(S306)에서 응급 버튼(200)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엘리베이터(100)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킨다(S308).
그 다음으로, 응급 버튼(200)을 눌려져 엘리베이터(100)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모든 층에 존재하는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한 전자태그 리더기(142)가 설치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호출하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다(S309).
그 다음으로, 응급 상황이 발생한 층의 승장 버튼(14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42)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승장 버튼(140)에 구비된 호출 버튼(146)으로부터 해당 층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호출하는 호출 명령을 수신받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차(미도시)를 호출하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다(S310).
그 다음으로, 환자를 후송하고자 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164)에 전자태그 카드(120)를 인식시키면, 제어부(180)는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160)에 구비된 층 호출 버튼(162)으로부터 층 호출 명령을 수신받아 엘리베이터(100)를 제어한다(S311).
또한, 전자태그 카드(120) 또는 응급 버튼(200)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100)의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일반 운행 모드→응급 상황 모드, 또는 응급 상황 모드→일반 운행 모드)에는 표시부(220)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현재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호출장치 100 : 엘리베이터
120 : 전자태그 카드 140 : 승장 버튼
142 : 전자태그 리더기 144 : 호출 버튼
160 : 엘리베이터 운전반 162 : 층 호출 버튼
164 : 전자태그 리더기 180 : 제어부
200 : 응급 버튼 220 : 표시부

Claims (14)

  1.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 카드;
    승장 버튼과 엘리베이터 운전반 각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자태그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태그 리더기; 및
    상기 승장 버튼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로 송신하기 위한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급 버튼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일반 운행 모드 시에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을 모두 리셋시키고,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의 층 호출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버튼에 설치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상기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8. 승장 버튼 내에 설치된 전자태그 리더기가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변경시키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는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호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로 송신하는 응급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상기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일반 운행 모드에서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모든 층의 승장 버튼에 입력된 호출 명령을 리셋시키고, 상기 전자태그 카드를 인식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가 설치된 층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차를 호출하며, 다른 층의 승장 버튼을 통해 입력된 호출 명령에는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호출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어 호출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에 설치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에 상기 전자태그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운전반의 층 호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장 버튼에 설치된 상기 전자태그 리더기에 상기 전자태그 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호출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급 버튼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가 응급 상황 모드로 변경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응급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하여 상기 응급 버튼이 눌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를 응급 상황 모드에서 일반 운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모드를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방법.
KR1020150033172A 2015-03-10 2015-03-10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KR20160109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72A KR20160109186A (ko) 2015-03-10 2015-03-10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72A KR20160109186A (ko) 2015-03-10 2015-03-10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86A true KR20160109186A (ko) 2016-09-21

Family

ID=5708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72A KR20160109186A (ko) 2015-03-10 2015-03-10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1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7544B2 (en) 2017-06-05 2020-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tifications on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user identification device
KR20200113513A (ko) 2019-03-25 2020-10-07 신민석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04B1 (ko) 2013-11-28 2014-05-27 (주)현성컨버전스 무선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04B1 (ko) 2013-11-28 2014-05-27 (주)현성컨버전스 무선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7544B2 (en) 2017-06-05 2020-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tifications on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user identification device
KR20200113513A (ko) 2019-03-25 2020-10-07 신민석 승강기 예약 시스템, 승강기 예약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591B2 (en) Method for giving destination calls in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CA2823109C (en) Method of modernising a lift installation
KR10120524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361868B1 (en) Elevator controller
EP3194316B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WO2003053835A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d'ascenseur
CN101830377B (zh) 电梯的控制装置
JP2006282308A (ja) エレベーター運転操作システム
CN214527469U (zh) 无接触式的乘梯系统
CN105314478A (zh) 电梯的乘用轿厢显示控制方法及电梯的乘用轿厢显示控制装置
CN105129547A (zh) 电梯控制方法和系统
US202202748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operating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screen system
KR20160109186A (ko) 전자태그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출방법
WO202004477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002325A1 (ja) 携帯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20242695A1 (en) Touch-sensitive elevator operation device for direction of travel calls
JPWO200813606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34115B1 (ja) 乗場操作盤および制御方法
JP2004277119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689782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307304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687779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6064892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240025698A1 (en) Elevator system having elevator operating devices for passengers with limited mobility
JP699283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