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75A - 영구기관과 전기발전 - Google Patents

영구기관과 전기발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75A
KR20160108175A KR1020160024902A KR20160024902A KR20160108175A KR 20160108175 A KR20160108175 A KR 20160108175A KR 1020160024902 A KR1020160024902 A KR 1020160024902A KR 20160024902 A KR20160024902 A KR 20160024902A KR 20160108175 A KR20160108175 A KR 2016010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ermanent magnet
hollow
rotating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근호
손상철
손세욱
Original Assignee
손근호
손세욱
손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근호, 손세욱, 손상철 filed Critical 손근호
Publication of KR2016010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의 인력과 척력의 특성을 이용하면 마찰력을 없애고 베어링 및 기어장치가 필요가 없는 회전력을 극대화하는 영구적으로 회전하는 영구기관을 만들 수 있으며, 영구기관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무한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구기관과 전기발전{Perpetual Motion Machine and Generate Electricity}
본 발명은 자석의 특성인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마찰력이 거의 없어 베어링이나 기어장치가 필요없이 영구적으로 회전하여 무한동력을 얻는 영구기관을 만들 수 있다.
현재까지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영구기관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같은 극성을 밀어내는 척력과 같은 극성을 끌어당기는 특성을 이용하여 마찰력이 거의 없는 시스템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마찰력이 거의 없게 만들었으며 마찰력보다 회전력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의 특성인 척력과 인력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거의 없애고 각종 베어링 및 기어장치를 없으므로 회전력은 극대화 되고 영구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마찰력이 거의 없앴기 때문에 베어링 및 기어장치가 필요가 없으므로 영구적으로 회전하는 고장이 없는 영구기관이다.
대표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설치 도면.
도면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1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1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설치 도면.
도면 1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1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2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2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2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2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이 척력과 인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2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2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2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2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설치 도면.
도면 2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2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3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3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도면.
도면 3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설치 도면.
도면 3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4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4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이 척력과 인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4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5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도면.
도면 5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코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도면.
도면 5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설치 도면.
도면 5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5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6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중공의 원통과 회전원통과 영구자석 도면.
도면 6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6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이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6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이 작용하는 도면.
도면 6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석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도면.
본 발명의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의 구성에 있어서,
대표도면과 도면 1과 도면 2와 도면 3과 도면 4와 도면 5와 도면 6과 도면 7과 도면 8과 도면 9와 도면 10과 도면 22와 도면 23과 도면 24에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중앙에 회전축 끼움 구멍(4)을 만들고 회전축 끼움 구멍(4)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7)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에 영구자석(10)을 설치한다. 회전축(3)이 있는 회전원통(2)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12)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11)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 12)이 서로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회전원통(2)과 연결된 회전축(3)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6)을 설치한다. 회전원통(2)의 회전축(3)을 회전축 끼움 구멍(4)안에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을 받침대(5)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 내부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 12)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와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10, 11)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회전축(3) 외부와 회전축 끼움구멍(4) 내부의 영구자석(6,7)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5,36)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12)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받침대(36)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12)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6.7)은 서로 척력(39)의 작용으로 회전축(3)이 회전축 끼움 구멍(4) 사이에 공중에 떠 있게 되므로 회전축(3)과 연결된 회전원통(2)도 공중에 떠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10,11)도 서로 척력(46)의 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회전원통(2)이 공중에 떠있게 된다. 즉, 서로 같은 극성으로 설치된 영구자석(6,7)과 영구자석(10,11)은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안에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부딪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9)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2)는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척력(41)이 작용하여 서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영구자석(9)는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12)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의 작용으로 영구자석(9)에서 밀려나면서 영구자석(12)은 회전원통(2)과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하는 회전축(3)의 회전력을 여러가지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6,7,9,10,11,12)의 척력작용으로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영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도면 11과 도면 12와 도면 13과 도면 14와 도면 15와 도면 16과 도면 17과 도면 18과 도면 19와 도면 20과 도면 21와 도면 22와 도면 23과 도면 24에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중앙에 회전축 끼움 구멍(4)을 만들고 회전축 끼움 구멍(4)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7)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에 영구자석(10)을 설치한다. 회전축(3)이 있는 회전원통(2)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8)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11)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8,9)이 서로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회전원통(2)과 연결된 회전축(3) 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6)을 설치한다. 회전원통(2)의 회전축(3)을 회전축 끼움 구멍(4)안에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을 받침대(5)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 내부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8, 9)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와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10, 11)은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회전축(3) 외부와 회전축 끼움구멍(4) 내부의 영구자석(6,7)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5,36)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8,9)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받침대(36)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8)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6.7)은 서로 척력(39)의 작용으로 회전축(3)이 회전축 끼움 구멍(4) 사이에 공중에 떠 있게 되므로 회전축(3)과 연결된 회전원통(2)도 공중에 떠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10,11)도 서로 척력(46)의 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회전원통(2)이 공중에 떠있게 된다. 즉, 서로 같은 극성으로 설치된 영구자석(6,7)과 영구자석(10,11)은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안에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부딪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9)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8)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띠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인력(40)이 작용하여 서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영구자석(9)는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8)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자석의 특성인 인력의 작용으로 영구자석(9) 쪽으로 당겨지면서 영구자석(8)은 회전원통(2)과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하는 회전축(3)의 회전력을 여러가지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6,7,10,11)의 척력의 작용과 영구자석(8,9)의 인력작용으로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영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의 구성에 있어서,
도면 25와 도면 26과 도면 27과 도면 28과 도면 29와 도면 30과 도면 31과 도면 32와 도면 33과 도면 34와 도면 35와 도면 47과 도면 48과 도면 49에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중앙에 회전중심축(15)을 설치하고, 회전중심축(15) 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8)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에 영구자석(22)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3)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21)이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중심의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9)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의 중심축 끼움구멍(16)을 회전중심축(15)에 끼우고 중공의 원통(13)을 받침대(17)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3)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21)은 서로 다른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2,23)은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회전 중심축(15) 외부와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의 영구자석(18,19)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7,38)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21)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받침대(38)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18,19)은 서로 척력(42)의 작용으로 중심축 끼움구멍(16)이 회전 중심축(15)와 부딪치지 않고 회전 중심축(15) 주위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중공의 회전원통(14)도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22,23)을 서로 척력(47) 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같은 극성을 띠면서 마주보며 설치된 영구자석(18,19)과 영구자석(22,23)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에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은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원둘레를 따라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은 서로 다른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서로 당기는 인력(43)이 작용한다. 그러면 영구자석(21)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20)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 쪽으로 끌려가면서 계속 회전하기 시작한다.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이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중공의 회전원통(14)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중공의 회전원통(14)의 회전력을 여러가지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이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18,19,22,23)의 척력의 작용과 영구자석(20,21)의 인력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영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도면 36과 도면 37과 도면 38과 도면 39와 도면 40과 도면 41과 도면 42와 도면 43과 도면 44와 도면 45와 도면 46과 도면 47과 도면 48과 도면 49에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고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중앙에 회전중심축(15)을 설치하고 회전중심축(15) 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8)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에 영구자석(22)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3)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24)이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중심의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9)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의 중심축 끼움구멍(16)을 회전중심축(15)에 끼우고 중공의 원통(13)을 받침대(17)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3)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0,21)은 서로 다른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2,23)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회전 중심축(15) 외부와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의 영구자석(18,19)은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7,38)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24)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받침대(38)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18,19)은 서로 척력(42)의 작용으로 중심축 끼움구멍(16)이 회전 중심축(15)와 부딪치지 않고 회전 중심축(15) 주위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중공의 회전원통(14)도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22,23)을 서로 척력(47)의 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같은 극성을 띠면서 마주보며 설치된 영구자석(18,19)과 영구자석(22,23)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에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은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원둘레를 따라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은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44)이 작용한다. 그러면 영구자석(21)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24)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에서 밀려 나가면서 계속 회전하기 시작한다.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중공의 회전원통(14)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중공의 회전원통(14)의 회전력을 여러가지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이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18,19,20,21,22,23)의 척력의 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영구기관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의 구성에 있어서,
도면 50과 도면51과 도면 52와 도면 53과 도면 54와 도면 55와 도면 56과 도면 57과 도면 58과 도면 59와 도면 60과 도면 61과 도면 62와 도면 63에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중앙에 회전중심축(15)을 설치하고 회전중심축(15) 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8)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에 영구자석(22)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3)을 설치한다.
또한,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 영구자석(22)이 설치된 주위에 영구자석(31)을 설치하고,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 영구자석(23)이 설치된 주위에 코일(32)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24)이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중공의 회전원통(14) 중심의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19)을 설치한다. 중공의 회전원통(14)의 중심축 끼움구멍(16)을 회전중심축(15)에 끼우고 중공의 원통(13)을 받침대(17)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3)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24)은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와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22,23)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고, 회전 중심축(15) 외부와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의 영구자석(18,19)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7,38)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24)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받침대(38)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18,19)은 서로 척력(45)의 작용으로 중심축 끼움구멍(16)이 회전 중심축(15)와 부딪치지 않고 회전 중심축(15) 주위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중공의 회전원통(14)도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 배치된 영구자석(22,23)을 서로 척력(48)의 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같은 극성을 띠면서 마주보며 설치된 영구자석(18,19)과 영구자석(22,23)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에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은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원둘레를 따라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은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49)이 작용한다. 그러면 영구자석(21)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24)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1)에서 밀려 나가면서 계속 회전하기 시작한다. 평판형태의 영구자석(24)이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중공의 회전원통(14)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중공의 회전원통(14)의 양측면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영구자석(31)과 고정된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된 코일(32) 사이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가 생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이 중공의 원통(13)과 회전 중심축(15)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고, 영구자석(31)과 코일(32) 사이에도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18,19,20,21,22,23)의 척력의 작용으로 중공의 회전원통(14)이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영구자석(31)과 코일(32) 사이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를 무한히 생산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의 구성에 있어서,
대표도면과 도면 1과 도면 2와 도면 3과 도면 4와 도면 5와 도면 6과 도면 7과 도면 8과 도면 9와 도면 10과 도면 22와 도면 23과 도면 24와 도면 64와 도면65에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여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중앙에 회전축 끼움 구멍(4)을 만들고 회전축 끼움 구멍(4)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7)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 내부 양측면에 영구자석(10)을 설치한다. 회전축(3)이 있는 회전원통(2) 외부에 평판형태의 영구자석(12)을 원 둘레를 따라 각도를 주어 배치하고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에 영구자석(11)을 설치한다. 이때,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 12)이 서로 마주보는 면적이 넓도록 각도와 위치를 선정하고 회전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극을 띠운다. 회전원통(2)과 연결된 회전축(3)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6)을 설치한다. 회전원통(2)의 회전축(3)을 회전축 끼움 구멍(4)안에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1)을 받침대(5)에 고정한다. 중공의 원통(1) 내부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 12)은 마주보는 면이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와 회전원통(2)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10, 11)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하고, 회전축(3) 외부와 회전축 끼움구멍(4) 내부의 영구자석(6,7)도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한다.
또한, 받침대(35,36)을 이용하면 평판형태의 영구자석(9,12)을 더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받침대(36)은 평판형태의 영구자석(12)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해 줄 수가 있다.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6.7)은 서로 척력(39)의 작용으로 회전축(3)이 회전축 끼움 구멍(4) 사이에 공중에 떠 있게 되므로 회전축(3)과 연결된 회전원통(2)도 공중에 떠있게 된다. 또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 설치된 영구자석(10,11)도 서로 척력(46)의 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 내부에 회전원통(2)이 공중에 떠있게 된다. 즉, 서로 같은 극성으로 설치된 영구자석(6,7)과 영구자석(10,11)은 척력작용으로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안에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부딪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9)와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2)는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척력(41)이 작용하여 서로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영구자석(9)는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12)는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자석의 특성인 척력의 작용으로 영구자석(9)에서 밀려나면서 영구자석(12)은 회전원통(2)과 회전축(3)과 함께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길게 빼낸 회전축(3) 외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26)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25) 내부에 원통형태의 영구자석(27)을 설치한다. 또한, 회전축(3) 외부에 영구자석(28)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25) 내부에 코일(29)을 설치하고 중공의 원통(25)을 받침대(51)에 고정한다.
이때, 원통형태의 영구자석(26)과 마주하는 원통형태의 영구자석(27)이 서로 같은 극성을 띠도록 설치하여 서로 밀어내는 척력((50)의 작용으로 회전축(3)과 중공의 원통(25)은 서로 마찰력이 없는 상태이며, 영구자석(28)과 코일(29)도 서로 마찰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
회전하는 회전축(3) 외부에 설치된 회전하는 영구자석(28)과 고정된 중공의 원통(25) 내부에 설치된 고정된 코일(29) 사이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가 생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석의 척력작용으로 회전원통(2)과 회전축(3)이 중공의 원통(1)과 회전축 끼움구멍(4) 사이에 전혀 부딪치지 않고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이나 각종 기어장치가 아예 필요가 없으므로 고장이 날 곳이 전혀 없으며, 영구자석은 영구적으로 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영구자석(6,7,9,10,11,12)의 척력의 작용으로 회전축(3)이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영구자석(31)과 코일(32) 사이에 전자기 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를 무한히 생산 할 수 있게 된다.
베어링과 각종 기어장치가 필요가 없어 고장이 날 곳이 없으므로 추운 극지방이나 사막, 열대지방, 우주정거장이나 달나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영구자석의 자력의 세기에 따라 큰 회전력이 발생하는 영구기관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충분함.
1 : 중공의 원통, 2 : 회전원통, 3 : 회전축, 4 : 회전축 끼움구멍, 5 : 받침대, 6 : 영구자석(원통형태), 7 : 영구자석(원통형태), 8 : 영구자석(평판형태), 9 : 영구자석(평판형태), 10 : 영구자석, 11 : 영구자석, 12 : 영구자석(평판형태), 13 : 중공의 원통, 14 : 중공의 회전원통, 15 : 회전 중심축, 16 : 중심축 끼움구멍, 17 : 받침대, 18 : 영구자석(원통형태), 19 : 영구자석(원통형태), 20 : 영구자석(평판형태), 21 : 영구자석(평판형태), 22 : 영구자석, 23 : 영구자석, 24 : 영구자석(평판형태), 25 : 중공의 원통, 26 : 영구자석(원통형태), 27 : 영구자석(원통형태), 28 : 영구자석, 29 : 코일, 30 : 전기선, 31 : 영구자석, 32 : 코일, 33 : 영구자석, 34 : 영구자석, 35, 받침대, 36 : 받침대, 37 : 받침대, 38 : 받침대, 39 : 척력, 40 : 인력, 41 : 척력, 42 : 척력, 43 : 인력, 44 : 척력, 45 : 척력, 46 : 척력, 47 : 척력, 48 : 척력, 49 : 척력, 50 : 척력, 51 : 받침대.

Claims (6)

  1.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에 있어서,

    받침대(5)에 고정시킨 중공의 원통(1)과;
    중공의 원통(1) 양측면 중앙에 만든 회전축 끼움구멍(4)과;
    회전축(3)이 붙어있는 회전하는 회전원통(2)과;
    회전원통(2)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3)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39)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회전축(3) 외부의 영구자석(6)과 회전축 끼움구멍(4) 내부의 영구자석(7)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6)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중공의 원통(1) 양측면 내부의 영구자석(10)과 회전원통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11)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1)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이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9)과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원통(2)와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12)과;
    영구자석(9)을 지지하는 받침대(35)와;
    영구자석(12)을 지지하고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받침대(36)가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하여 인력(40)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이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9)과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원통(2)와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8)이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3.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에 있어서,

    받침대(17)에 고정시킨 중공의 원통(13)과;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중심에 설치된 회전 중심축(15)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이 뚫려있는 회전하는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같이 회전하는 중심축 끼움구멍(16)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2)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회전 중심축(15)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8)과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9)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7)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의 영구자석(22)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23)과;
    서로 다른 극성으로 배치하여 인력(43)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되어 중공의 회전원통(14)과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20)과;

    영구자석(21)을 지지하는 받침대(37)와;
    영구자석(20)을 지지하고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받침대(38)가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4)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하여 중공의 회전원통(14)과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24)으로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이용한 영구기관.
  5.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에 있어서,

    받침대(17)에 고정시킨 중공의 원통(13)과;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중앙에 설치된 회전 중심축(15)과;
    중심축 끼움구멍(16)이 뚫려있는 회전하는 중공의 회전원통(14)과;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같이 회전하는 중심축 끼움구멍(16)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5)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회전 중심축(15)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8)과 중심축 끼움구멍(16)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9)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8)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중공의 원통(13) 양측면 내부의 영구자석(22)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의 영구자석(23)과;
    서로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9)의 작용으로 마찰력이 없이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21)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외부에 설치하여 중공의 회전원통(14)와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24)과;
    영구자석(21)을 지지하는 받침대(37)와;
    영구자석(20)을 지지하고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받침대(38)와;
    척력(48)작용으로 마찰력이 없으며 전자기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중공의 원통(13) 내부에 설치된 회전하지 않는 코일(32)과 중공의 회전원통(14) 양측면 외부에 설치된 회전하는 영구자석(31)이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중공의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
  6.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에 있어서,

    받침대(5)에 고정시킨 중공의 원통(1)과;
    중공의 원통(1) 양측면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 끼움구멍(4)과;
    회전축(3)이 붙어있는 회전하는 회전원통(2)과;
    회전원통(2)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3)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39)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회전축(3) 외부의 영구자석(6)과 회전축 끼움구멍(4) 내부의 영구자석(7)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6)이 작용하여 마찰력이 없는 중공의 원통(1) 내부 양측면의 영구자석(10)과 회전원통 외부 양측면의 영구자석(11)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41)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이 중공의 원통(1) 내부에 설치한 고정된 영구자석(9)과 회전원통(2)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원통(2)과 같이 회전하는 영구자석(12)과;
    영구자석(9)을 지지하는 받침대(35)와;
    영구자석(12)을 지지하고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받침대(36)와;
    받침대(51)에 고정시킨 중공의 원통(25)과;
    같은 극성으로 배치하여 척력(50)이 작용하여 마찰력 없는 회전축(3) 외부에 설치된 영구자석(26)과 중공의 원통(25)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27)과;
    척력(50)작용으로 마찰력이 없으며 전자기유도 원리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회전축(13)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영구자석(28)과 중공의 원통(25) 내부에 설치된 회전하지 않는 코일(29)이 결합된 베어링과 기어장치가 필요없는 중공의 원통과 영구자석과 회전원통을 사용한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

KR1020160024902A 2015-03-04 2016-03-02 영구기관과 전기발전 KR20160108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58 2015-03-04
KR20150030658 2015-03-04
KR1020150031304 2015-03-06
KR20150031304 2015-03-06
KR20150034711 2015-03-13
KR1020150034711 2015-03-13
KR1020150035860 2015-03-16
KR1020150035860 2015-03-16
KR20150054866 2015-04-18
KR1020150054866 2015-04-18
KR1020150056905 2015-04-23
KR20150056905 2015-04-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438A Division KR20170037920A (ko) 2015-03-04 2017-03-27 자석을 이용한 전기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75A true KR20160108175A (ko) 2016-09-19

Family

ID=571030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902A KR20160108175A (ko) 2015-03-04 2016-03-02 영구기관과 전기발전
KR1020160025579A KR20160108194A (ko) 2015-03-04 2016-03-03 영구자석을 이용한 영구기관과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
KR1020170038438A KR20170037920A (ko) 2015-03-04 2017-03-27 자석을 이용한 전기발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579A KR20160108194A (ko) 2015-03-04 2016-03-03 영구자석을 이용한 영구기관과 영구기관을 이용한 전기발전
KR1020170038438A KR20170037920A (ko) 2015-03-04 2017-03-27 자석을 이용한 전기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6010817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920A (ko) 2017-04-05
KR20160108194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348B2 (en) Vertical magnetic transmission assembly and energy-saving generator with the same
KR101606829B1 (ko) 영구자석 응용 전동기
US928776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agnetic multiplication of torque and rotational movement
US20020158531A1 (en) Device for kinetic energy accelerator/amplifier
CN107800271A (zh) 垂直式磁力传动的节能发电装置
TW201817132A (zh) 無配重塊之垂直式磁力傳動的節能發電裝置
AU2010239140A1 (en) Magnetic drive assemblies
JP2009097524A (ja) 磁気軸受けユニット
JP2013179724A (ja) 回転加速装置
KR101804209B1 (ko) 공기냉각장치
KR20160108175A (ko) 영구기관과 전기발전
US20110095544A1 (en) Magnetic Drive Inducing Constant-Speed Rotation
WO2018079488A1 (ja) 回転装置
KR20100012640A (ko) 에너지 발생 보조 장치
KR20080079562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전동력에너지 발생장치
JP2020162302A (ja) 発電装置
CN202772722U (zh) 风扇马达以及电子设备
JP2014003775A (ja) 磁力動力装置
KR20180126884A (ko) 자극 배열을 이용한 회전 장치
JPS58170355A (ja) マグネツトパワ−エンジン発電機
CN102811003A (zh) 平等圈单双定子磁动力机
KR101868292B1 (ko) 공기냉각장치
CN106685166A (zh) 磁悬浮双面槽盘式电机
JP2017025745A (ja) フライホイール
JP2012253932A (ja) 永久磁石円板同期型発電機回転維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