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35A -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35A
KR20160108135A KR1020160006096A KR20160006096A KR20160108135A KR 20160108135 A KR20160108135 A KR 20160108135A KR 1020160006096 A KR1020160006096 A KR 1020160006096A KR 20160006096 A KR20160006096 A KR 20160006096A KR 20160108135 A KR20160108135 A KR 2016010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tem
note
intere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10201600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8135A/ko
Publication of KR2016010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F17/30979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1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 G09B7/1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학습자 또는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교재용 학습지를 생성함으로써, 학습자 또는 교사가 학습용 또는 교재용 학습지를 통해 선택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Learning note managing apparatus using a study paper}
본 발명은 학습노트에 관련한 기술로, 특히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496호(2013. 06. 19)에서 각 문항에 블록 코드가 기재된 문제지의 스캐닝 이미지를 채점한 후, 오답 문항과 블록 코드를 포함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는 서버 기반의 오답 노트 생성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학습자 또는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과제용 학습지를 생성할 수 있는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8496호(2013. 06. 19)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학습자 또는 교사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과제용 학습지를 생성할 수 있는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 및 학습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용 교재 식별코드를 학습용 교재로부터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학습 항목 정보를 참조하여 학습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와; 상기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 항목 리스트로부터 관심 항목들을 선택받는 관심 항목 선택부와; 학습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 항목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관심 항목들을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학습노트에 기록하는 학습노트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학습노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학습노트를 표시하는 학습노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학습노트와 문제은행 DB를 연동하는 DB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DB 연동부가 학습노트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노트로부터 학습할 특정의 학습 항목을 선택받는 학습 항목 선택부와; 학습노트에 포함된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에 매칭되고, 상기 학습 항목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학습 항목과 관련된 학습 문제 데이터를 문제은행 DB로부터 검색하는 DB 검색부와; 상기 DB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학습 문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학습 문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 문제 데이터가 학습 문제 내용 및 해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학습자 또는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과제용 학습지를 생성함으로써, 학습자 또는 교사가 학습용 또는 교재용 학습지를 통해 선택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의 학습노트 생성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장치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을 결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100)는 식별코드 인식부(110)와,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120)와, 관심 항목 선택부(130)와, 학습노트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110)는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 및 학습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용 교재 식별코드를 학습용 교재로부터 인식한다. 상기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는 학습용 교재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일련의 숫자 조합 또는 문자 조합 또는 이들을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학습용 교재는 교과서, 학습지, 문제지 등의 학습용 종이일 수 있고, 학습 항목 정보는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용 교재에 포함된 총 학습 문항수일 수 있고, 학습용 교재 식별코드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110)가 오프라인상의 학습용 교재 특정 부분에 인쇄된 QR코드 형태의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QR코드 인식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120)는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된 학습 항목 정보를 참조하여 학습 항목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때,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120)가 터치패드상에 학습 항목 리스트를 문항 번호들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항목 정보에 포함된 총 학습 문항수가 20이라면, 상기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120)가 1 부터 20까지의 학습 문항 번호를 터치패드상에 학습 항목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항목 선택부(130)는 상기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120)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 항목 리스트로부터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선택받는다. 예컨대, 터치패드상에 학습 항목 리스트로 1 부터 20까지의 학습 문항 번호가 표시되었다면, 상기 관심 항목 선택부(130)가 터치패드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로부터 오답 등의 관심 문항 번호를 터치 입력받아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학습노트 생성부(140)는 학습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 항목 선택부(130)에 의해 선택된 관심 항목들을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학습노트에 기록한다. 상기 학습노트는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와 관심 항목들이 매칭된 전자적인 데이터로, 학습자에 의해 학습노트가 생성되면 학습용 학습지가 되고, 교사에 의해 학습노트가 생성되면 교재용 학습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학습자 또는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교재용 학습지를 생성함으로써, 학습자 또는 교사가 선택적 학습을 수행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100)가 학습노트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노트 표시부(150)는 학습노트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학습노트를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학습노트 표시부(150)가 학습노트를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학습노트 표시부(150)가 PC 등의 외부장치로 학습노트를 전송하여 PC 등의 화면에 학습노트가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학습노트 표시부(150)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노트에 포함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확인함으로써 학습자는 관심 항목과 관련한 문제를 학습시 학습용 학습노트를 이용할 수 있고, 교사는 학습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는 관심 항목을 참조해 강의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100)가 DB 연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 연동부(160)는 학습노트와 문제은행 DB(200)를 연동한다. 예컨대, 상기 DB 연동부(160)가 학습 항목 선택부(161)와, DB 검색부(162)와, 학습 문제 표시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항목 선택부(161)는 학습노트 표시부(150)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노트로부터 학습할 특정의 학습 항목을 선택받는다. 예컨대, 학습노트 표시부(150)에 의해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학습노트에는 관심 항목 번호들이 포함되고, 학습자 또는 교사는 학습할 특정의 관심 항목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학습 항목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B 검색부(162)는 학습노트에 포함된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에 매칭되고, 상기 학습 항목 선택부(161)에 의해 선택된 학습 항목과 관련된 학습 문제 데이터를 문제은행 DB(200)로부터 검색한다.
이 때, 학습 항목과 관련된 학습 문제 데이터는 선택된 학습 항목의 학습 문제 데이터 또는 이와 유사한 문제의 학습 문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학습 문제 데이터는 학습 문제 내용 및 해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문제은행 DB(200)에는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용 교재에 포함된 각 학습 항목들의 문제 내용 및 해답과, 이와 유사한 문제들의 문제 내용 및 해답들이 미리 저장되며, 상기 DB 검색부(162)는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 및 선택된 학습 항목 번호에 대응하는 학습 항목의 학습 문제 데이터 또는 이와 유사한 문제의 학습 문제 데이터를 문제은행 DB(200)에 조회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학습 문제 표시부(163)는 상기 DB 검색부(162)에 의해 검색된 학습 문제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학습 문제 표시부(163)가 학습 문제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상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학습자 또는 교사는 상기 학습 문제 표시부(163)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 문제 데이터를 확인하여 관심 항목과 관련한 문제를 학습하여 숙지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의 학습노트 생성 동작을 도 2 를 통해 알아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의 학습노트 생성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310에서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 및 학습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용 교재 식별코드를 학습용 교재로부터 인식한다.
그러면, 단계 320에서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상기 단계 310에 의해 인식된 학습 항목 정보를 참조하여 학습 항목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 다음, 단계 330에서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상기 단계 320에 의해 표시되는 학습 항목들 중에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학습자 또는 교사로부터 선택받는다.
그러면, 단계 340에서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학습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계 340에 의해 선택된 관심 항목들을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학습노트에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350에서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가 상기 단계 340에 의해 생성된 학습노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학습자 또는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학습노트 관리장치를 통해 학습자 또는 교사 스스로 오답 등의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여 학습용 또는 교재용 학습지를 생성함으로써, 학습자 또는 교사가 선택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학습노트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110 : 식별코드 인식부
120 :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
130 : 관심 항목 선택부
140 : 학습노트 생성부
150 : 학습노트 표시부
160 : DB 연동부
161 : 학습 항목 선택부
162 : DB 검색부
163 : 학습 문제 표시부
200 : 문제은행 DB

Claims (1)

  1. 휴대용 통신장치에 탑재되어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학습노트를 관리하는 학습노트 관리장치에 있어서,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 및 학습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용 교재 식별코드를 학습용 교재로부터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와;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학습 항목 정보를 참조하여 터치패드상에 학습 항목 리스트를 문항 번호들로 표시하는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와;
    상기 학습 항목 리스트 표시부에 의해 문항 번호들로 표시되는 학습 항목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관심 문항 번호를 터치 입력받아 관심 항목들을 선택하는 관심 항목 선택부와;
    학습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관심 항목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관심 항목들을 학습용 교재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학습노트에 기록하는 학습노트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KR1020160006096A 2016-01-18 2016-01-18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KR20160108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96A KR20160108135A (ko) 2016-01-18 2016-01-18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96A KR20160108135A (ko) 2016-01-18 2016-01-18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10 Division 2015-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35A true KR20160108135A (ko) 2016-09-19

Family

ID=5710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096A KR20160108135A (ko) 2016-01-18 2016-01-18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1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6B1 (ko) 2009-11-14 2013-07-02 권승철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 및 오답 노트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6B1 (ko) 2009-11-14 2013-07-02 권승철 오답 노트 생성 시스템 및 오답 노트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7932B (zh) 显示系统
US20100178645A1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with question authoring/editing facility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US9042808B2 (en) Didactic appliance
CN102419918A (zh) 一种教师家庭作业布置的方法及其系统、学生家庭作业系统
CN107016022A (zh) 教学难点大数据分析系统
KR20130094092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적 학생 출결 체크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89998A (ko)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U2011269688A1 (en) Equation-based assessment grading method and participant response system employing same
KR101640574B1 (ko) Push 메시지 기반의 쓰기와 음성 정보 전달 및 재생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20140029885A (ko)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
KR20160095543A (ko) 학습활동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12396897A (zh) 一种教学系统
KR20160108135A (ko) 학습용 교재를 이용한 학습노트 관리장치
US20050178839A1 (en) Coordinate designation interface
JP5876180B1 (ja) 情報リンクシステム、情報リンクプログラム、及び情報リンクシステムの運用方法
KR20130113218A (ko) 전자노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1241378A (zh) 教学信息查询方法及装置
KR20150074608A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US20130042173A1 (en) Integrated electronic compilation of study material
Cheng et al. Combining mobile devices with NFC technology in a test assessment system
CN100511413C (zh) 用户创建交互界面
JP2019113806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学習支援システム
KR102594319B1 (ko) 학습자의 필기 궤적 정보를 이용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CN113282225B (zh) 触控操作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