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54A -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 Google Patents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454A
KR20160107454A KR1020150030190A KR20150030190A KR20160107454A KR 20160107454 A KR20160107454 A KR 20160107454A KR 1020150030190 A KR1020150030190 A KR 1020150030190A KR 20150030190 A KR20150030190 A KR 20150030190A KR 20160107454 A KR20160107454 A KR 2016010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fixed
rotating bar
shellfis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신우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신우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토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3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454A/ko
Publication of KR2016010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1Cleaning operations on shellfish, e.g. evisceration,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락, 모시조개, 키조개, 피조개, 맛조개, 쌍각조개, 전복, 소라, 대합, 굴, 우바가이, 가리비, 고막 등 패류에 속하는 다양한 조개의 패각(조개껍질)과 조갯살을 분리한 후, 상기 조갯살을 세척함과 동시에 해캄, 조개 부산물 찌꺼기를 분리하여 세척된 조갯살을 선별하는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Centrifugal buoyant device for washing and sorting according to size the shellfish flesh}
본 발명은 바지락, 모시조개, 키조개, 피조개, 맛조개, 쌍각조개, 전복, 소라, 대합, 굴, 우바가이, 가리비, 고막 등 패류에 속하는 다양한 조개의 패각(조개껍질)과 조갯살을 분리한 후, 상기 조갯살을 세척함과 동시에 해캄, 조개 부산물 찌꺼기를 분리하여 세척된 조갯살을 선별하는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개는 두장의 패각(조개껍질)으로 조갯살을 둘러싸고 있는 연체동물로서, 가리비, 대합,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키조개, 피조개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신선한 상태의 조갯살을 엊기 위해서는 두장의 패각을 벌려 내부에 있는 조갯살을 분리 인출하는 탈각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게 되며, 이러한 탈각작업없이 조갯살을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조개를 통째로 불에 굽거나 삶아서 패각이 벌어지면 내부의 조갯살을 취식하게 된다.
일반 소비자들은 조갯살을 취식함에 있어서, 패각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의 조개를 구매하여 가정에서 요리시에 삶거나 구워서 취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조갯살의 취식을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일반사용자들의 어려운 취식행위를 해소하기 위하여 조개를 공급하는 공급자들은 패각을 제거한 후, 조갯살만을 취하여 일반사용자들에게 공급하고 있으며, 이때, 조갯살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염수에 담가 단위포장하여 판매하거나, 또는 조갯살을 얼린상태로 유통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자들이 조갯살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패각을 제거하는 과정을 일일이 수작업을 거치게 되고, 그렇게 하여 패각과 분리된 조갯살은 인력에 의해 세척과 선별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작업방식은 인력이 많이 투입되고, 위생적인 조갯살 작업환경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동시에 다수의 인력 투입으로 과다한 생산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9351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82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위생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소수의 인력투입으로 최대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는 원통형의 세척통(110)과, 상기 세척통(110)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봉(120)과 상기 회전봉(110)의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구동장치(130)와, 상기 모터구동장치(130)를 고정하고, 상기 세척통(110)에 연결되어 고정하는 다수개의 완충스프링(140)과, 상기 완충스프링(140)의 타측이 연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철기둥(15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통(110)은 상측에 세척수 공급관(11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볼형 체크밸브(112)가 구비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소정폭과 길이의 투명창(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부는 중앙에 모터취부 절삭부(115)가 형성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은 세척통몸체(116)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경첩에 에 의해 고정되어 개패부(117)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120)은 상기 세척통 내부삽입부에 서로 다른 길이의 패들(122)이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다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철기둥(140)은 고정금구대(142)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개방형 다각형구조가 되도록 고정되고, 상측 끝단에는 상기 완충스프링 고정링(14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밀폐면의 중심에 레일고정봉(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봉(200)과 결합되는 레일(220)과 상기 레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40)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는 중심에 구성되는 회전봉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들에 의해 회전봉의 회전으로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그 와류의 효과로 조갯살이 세척되고, 상기 조갯살이 세척통의 상측으로 상승되어 세척된 상태의 조갯살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고, 보다 위생적이고 생산성이 향상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요부단변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요부단변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세척통(110)과, 상기 세척통(110)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봉(120)과 상기 회전봉(110)의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구동장치(130)와, 상기 모터구동장치(130)를 고정하고, 상기 세척통(110)에 연결되어 고정하는 다수개의 완충스프링(140)과, 상기 완충스프링(140)의 타측이 연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철기둥(15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통(110)은 상측에 세척수 공급관(11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볼형 체크밸브(112)가 구비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소정폭과 길이의 투명창(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부는 중앙에 모터취부 절삭부(115)가 형성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은 세척통몸체(116)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경첩에 에 의해 고정되어 개패부(117)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120)은 상기 세척통 내부삽입부에 서로 다른 길이의 패들(122)이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다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철기둥(140)은 고정금구대(142)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개방형 다각형구조가 되도록 고정되고, 상측 끝단에는 상기 완충스프링 고정링(14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밀폐면의 중심에 레일고정봉(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봉(200)과 결합되는 레일(220)과 상기 레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40)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세척선별기의 작동상태를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척통에 조갯살을 넣고, 세척수를 공급한 다음 모터를 구동시켜 회정봉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봉이 회전하면서 회전봉에 결합된 패들에 의해 세척수에 와류가 형성되고, 그 와류에 의해 조갯살이 세처고디면서 부력에 의하여 조갯살이 위로 솟구치게 되고, 해캄, 조개부산물 찌꺼기 등은 하부에 침전(일종의 쌀조리 역할)되게 된다. 이렇게 침전된 해캄과 조개부산물 찌꺼기 등은 투명창을 통해 확인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다른 실형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밀폐면의 중심에 레일고정봉(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봉(200)과 결합되는 레일(220)과 상기 레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40)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되는 세척선별기의 경우에는 레일의 작동 방향으로 세척통이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기울어져 세척통이 흔들리는 구조로 되어 조갯살의 세척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고, 아부에 침전된 해캄 및 조개부산물 찌꺼기 등의 일정량 쌓여있을때, 세척통의 배출구가 아래족을 향하도록 기울어졌을 때, 배출구에 설치된 볼형 체크밸브가 작동되어 배출시키고, 세척된 조갯살은 와류에 의해 형성되는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고, 동시에 세척통의 흔들림에 의해 맨 위쪽으로 상승된 조갯살은 자동으로 배출되게 된다.
110: 세척통
120: 회전봉
130: 모터구동장치
140: 완충스프링
150: 철기둥
200: 레일고정봉
220: 레일
240: 레일구동장치

Claims (2)

  1. 원통형의 세척통(110)과, 상기 세척통(110)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봉(120)과 상기 회전봉(110)의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구동장치(130)와, 상기 모터구동장치(130)를 고정하고, 상기 세척통(110)에 연결되어 고정하는 다수개의 완충스프링(140)과, 상기 완충스프링(140)의 타측이 연결고정되는 다수개의 철기둥(15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통(110)은 상측에 세척수 공급관(11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볼형 체크밸브(112)가 구비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소정폭과 길이의 투명창(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부는 중앙에 모터취부 절삭부(115)가 형성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은 세척통몸체(116)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은 경첩에 에 의해 고정되어 개패부(117)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봉(120)은 상기 세척통 내부삽입부에 서로 다른 길이의 패들(122)이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다수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철기둥(140)은 고정금구대(142)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개방형 다각형구조가 되도록 고정되고, 상측 끝단에는 상기 완충스프링 고정링(14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밀폐면의 중심에 레일고정봉(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봉(200)과 결합되는 레일(220)과 상기 레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40)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KR1020150030190A 2015-03-04 2015-03-04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KR20160107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90A KR20160107454A (ko) 2015-03-04 2015-03-04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190A KR20160107454A (ko) 2015-03-04 2015-03-04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54A true KR20160107454A (ko) 2016-09-19

Family

ID=5710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190A KR20160107454A (ko) 2015-03-04 2015-03-04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4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71Y1 (ko) 2017-07-13 2019-01-18 주식회사 선채향 연체 해산물 세척장치
CN112273424A (zh) * 2020-09-28 2021-01-29 黄磊 一种水产养殖用龙虾清洗设备
KR20210056787A (ko) 2019-11-11 2021-05-20 김일하 갑각류 원심 분리기
CN115191472A (zh) * 2022-07-11 2022-10-18 湖北龙感湖小蓝虾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多层次虾清洗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51A (ko) 1987-12-14 1989-08-01 신석균 심장 박동 녹음 청진기
KR20130068214A (ko)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51A (ko) 1987-12-14 1989-08-01 신석균 심장 박동 녹음 청진기
KR20130068214A (ko) 2011-12-15 2013-06-26 신승진 조갯살분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71Y1 (ko) 2017-07-13 2019-01-18 주식회사 선채향 연체 해산물 세척장치
KR20210056787A (ko) 2019-11-11 2021-05-20 김일하 갑각류 원심 분리기
CN112273424A (zh) * 2020-09-28 2021-01-29 黄磊 一种水产养殖用龙虾清洗设备
CN115191472A (zh) * 2022-07-11 2022-10-18 湖北龙感湖小蓝虾科技有限公司 一种分段式多层次虾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7454A (ko) 원심 부력식 조갯살 세척선별기
KR101463570B1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WO2009032282A1 (en) Appliance for shucking seed coverings from their kernals
JP2018530346A (ja) エラ除去が容易なカニの殻除去装置
KR101524814B1 (ko) 수하식 양식굴 껍질 절삭세척기
CN108991088A (zh) 一种左右往复清刷的贝类清洗装置
CN209121143U (zh) 多功能水产品清洗装置
KR20160107455A (ko) 생조개 자동세척 및 크기별 선별장치
JP4575351B2 (ja) 種籾選別装置及び種籾選別方法
KR200488371Y1 (ko) 연체 해산물 세척장치
CN108850117A (zh) 基于震荡力与温水浸泡法的花甲吐沙清洗装置
CN207628731U (zh) 摆动式粮油加工原料清洗装置
CN215501135U (zh) 一种鱼糜制备设备中的清洗装置
KR20160010249A (ko) 패육 자숙 및 분리 장치
KR200459309Y1 (ko) 회전날개가 구비된 과실 선별 세척장치
CN205308862U (zh) 鲍鱼清洗机
KR102334065B1 (ko) 갑각류 원심 분리기
CN108607655A (zh) 一种菌类加工用清洗机
CN114651859A (zh) 一种针对熟制小龙虾加工的分级装置及方法
CN209048072U (zh) 一种新型家用筷子清洗机
CN104939699A (zh) 可排水自滤的淘米盆
CN203676074U (zh) 咖啡豆漂洗装置
CN112674262A (zh) 一种用于提升河粉生产效率的装置及其工艺
KR101379352B1 (ko) 팥에서 돌을 고르고 세척을 하는 팥세척장치
JP2005238203A (ja) 種籾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