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434A -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7434A KR20160107434A KR1020150030139A KR20150030139A KR20160107434A KR 20160107434 A KR20160107434 A KR 20160107434A KR 1020150030139 A KR1020150030139 A KR 1020150030139A KR 20150030139 A KR20150030139 A KR 20150030139A KR 20160107434 A KR20160107434 A KR 201601074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air
- inlet
- combustion
- fuel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3/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before the fi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07006—Control of the oxygen supp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소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불완전연소로 인해 배출되는 공해 가스를 최소화하는 연소장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module having improved combustion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device module that improves combustion efficiency by inducing complete combustion and minimizes polluting gas discharg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을 위한 온열기술로는 전기 또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연소를 이용하는 난로를 통해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실내 공기를 가열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Generally, as a heating technology for indoor heating, a method of heating room air by means of heat generated by electricity or a furnace using combustion of coal, oil, gas and the like is used.
한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실내 난방을 위한 온열기술로는 온돌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1은 아궁이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형태의 온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1)를 이루는 벽(2)의 외부에 설치된 아궁이(3)에 장작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며,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연기(화염)가 실내 바닥의 온돌(4) 하부를 지나면서 상기 온돌(4)을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높이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method of using ondol as a traditional heating technology for domestic indoor heating.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ditional type Ondol using an oven. Referring to FIG. 1, fuel such as firewood is burnt in an
오늘날에는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온돌 형태를 개량하여, 석유, 석탄,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설치하고, 방바닥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난방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전통 한옥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면서,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아궁이를 열공급원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Today, it is common to improve the traditional Ondol type, to install boilers that use oil, coal, gas, etc. as fuel, and to heat water by circulating hot water by installing pipes on the floor. However, recently, interest in traditional Korean hanok has increased, and there is an increasing use of firewood that uses firewood as fuel.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은 주 연료가 장작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완전연소를 기대하기 어려워, 가스 보일러 등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열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굴뚝(5)을 통해 빠져나가는 연기에 불완전연소로 인한 공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is incapable of completely burning because the main fuel uses firewood, so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gas boiler, and the smoke escaping through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화실 내부에 공급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함으로써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연소장치 모듈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ustion device module in which combus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supplying air introduced through an intake port into a firebox to induce complete combustion.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은, 연료가 연소되는 화실의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화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출구를 구비하는 화실하부구조체,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분출구를 통해 떨어지는 연료의 잔류물을 적재하는 적재공간이 구비된 잔류물받이, 및 상기 화실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화실로 연료를 투입할 수 있는 연료투입구를 형성하고, 하측 전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흡기구 및 상측에 화실방향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분출구를 구비하는 연료투입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흡기구와 상기 제2분출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며,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제2흡기구와 상기 제2분출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mbustion dev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ortion of a firebox in which fuel is burnt,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first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firebox Wherein the first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rst air inlet port on the front face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mpartment floor structure through an opening of the compartment floor structure, And a fuel inlet for injecting fuel into the refractory chamber, wherein the refractory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 inlet port formed on the entire lower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second inlet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actory chamber, And a fuel inlet frame having one second air outlet, wherein the first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inlet And a second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fuel inlet frame.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화실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분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제3분출구와 상기 제2유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3유로가 형성된 보조급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third jet port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inlet frame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uel injection port frame and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third flow path for allowing the first flow path to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에서, 상기 보조급기관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1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를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3분출구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air-fuel-supply engine may include a pair of first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inlet frame and extending rearwardly, and a pair of first members interconnected across the pair of first members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third jet port.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dev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hinged to the fuel inlet frame to open or close the fuel inlet.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에서, 상기 제1흡기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유량조절밸브가 부착될 수 있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low rate control valve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air inlet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cked.
본 발명에 의한 연소장치 모듈에서, 상기 제2흡기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유량조절밸브가 부착될 수 있다.
In the combustion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low rate control valve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inlet port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cked.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에 의하면, 화실 내부로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배기가스에 포함될 수 있는 공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mbustion devic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into the interior of the firebox is uniformly supplied to induce complete combustion, thereby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minimizing pollutant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도 1은 일반적인 온돌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아궁이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의 일부 분해 일부 절개 사시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general ondol struct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oven including a combustion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mbustion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ion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아궁이(1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궁이(10)는 연소장치 모듈(100), 열기배출구(11')를 구비하는 외벽구조(1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n
상기 외벽구조(11)는 흙과 돌 등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외벽구조의 내부가 장작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실(12)이 될 수 있다. The
상기 화실(12)에는 장작 등의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연소되게 되고, 연소에 의한 열기 및 배기가스가 열기 배출구(11')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Solid fuel such as firewood is injected into the
한편, 공장 등에서 제작할 수 있는 상기 연소장치 모듈(100)을 기반으로 상기 외벽구조(11)를 현장에서 시공함으로써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10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100)의 일부 분해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100)은 상기 화실(12)의 하부를 형성하는 화실하부구조체(110),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잔류물받이(120), 상기 화실(12)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화실(12)로 연료를 투입할 수 있는 연료투입구(130')를 형성하는 연료투입구 프레임(130),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의 상부로부터 상기 화실(1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급기관(140), 및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5, a
여기에서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전방(前方)이라 함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상기 화실(12)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後方) 혹은 화실방향이라 함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상기 화실(12) 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 the forward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의 상측에는 장작으로 대별될 수 있는 고체연료가 적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가 상기 화실(12)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는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내부공간(111)을 구비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공간과 전면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는 상기 내부공간(111)과 상기 화실(12)이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분출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출구(113)는 후술하는 제1흡기구(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1유로(L1)를 거쳐 상기 화실(12)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화실(12)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고체연료의 연소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rtificial flower
이에 더하여, 상기 제1분출구(113)는 장작 등의 고체연료가 연소되고 남은 잔류물이 상기 화살하부구조체(110)의 내부로 낙하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잔류물받이(120)의 적재공간(121)에 쌓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잔류물받이(120)는 상면이 개방되어 적재공간(123)이 구비되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가 개방되고, 적재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류물받이(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흡기구(12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잔류물받이(120)는 상기 개구부(112)를 통하여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의 내부공간(111)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잔류물받이(20)는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잔류물받이(120)가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화실(12)에서 연소된 고체연료의 잔류물(재)이 상기 제1분출구(113)을 통해 낙하하여 상기 적재공간(123)에 쌓이게 되고, 일정량이 쌓인 이후에는 상기 잔류물받이(120)를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로부터 슬라이딩 분리하여 손쉽게 고체연료의 잔류물(재)을 제거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 잔류물받이(120)가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공간(123)과 상기 내부공간(111)이 상기 제1흡기구(121)과 상기 제1분출구(113)를 연결하는 제1유로(L1)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흡기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유로(L1)를 거쳐 상기 제1분출구(113)를 통해 상기 화실(12)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화실(12)에서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1흡기구(121)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유량조절밸브(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량조절밸브(122)를 통해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화실(12)에서 연소되는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상기 화실(12)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화실(12)에 연료를 투입할 수 있는 연료투입구(13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연료투입구(13)를 형성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상기 화실하부구조체(110)의 전면부와 더불어 상기 연료투입구(1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The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하측 전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흡기구(132), 및 상측 후면, 즉, 상측에 화실방향으로 형성된 제2분출구(1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흡기구(132)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2분출구(133)를 통해 상기 화실(12)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 내부에는 상기 제2흡기구(132)와 상기 제2분출구(133)를 연결하는 제2유로(L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내부공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제2분출구(133)를 통해서 상기 제2흡기구(13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화실(12)의 상부에 공급해 줌으로써, 불완전연소된 연소가스의 2차 연소를 유발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우수한 열효율을 가져오게 되고, 굴뚝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공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또한,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은 상부에 후술하는 보조급기관(140)과 연결되는 연결구(134)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제2흡기구(132)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유량조절밸브(135)가 부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second
상기 보조급기관(140)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의 상부로부터 후방, 즉, 화실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급기관(140)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제1부재(141)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141)를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부재(141) 및 상기 제2부재(142)는 내부에 제3유로(L3)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The auxiliary
또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연결구(134)가 구비된 위치에서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유로(L2)와 상기 제3유로(L3)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제1부재(141) 및 상기 제2부재(142)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분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이를 통해, 상기 제2흡기구(1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유로(L2) 및 제3유로(L3)를 거쳐 제3분출구(143)을 통해 화실로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분출구(132)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제3분출구(143)를 통해서도 화실로 유입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유입공기를 상기 화실(12)에 고루 분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소효율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Thu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상기 도어(150)는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1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연료투입구(13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50)를 통해 상기 연료투입구(131)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화실(12)로 연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연료가 투입된 이후에는 상기 연료투입구(13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화실(12)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장치 모듈(100)은 제1분출구(113), 제2분출구(133) 및 제3분출구(143)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를 화실(12) 내부로 공급하여 연소효율을 상승시켜 완전연소를 유도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될 수 있는 공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아궁이
100: 연소장치 모듈
110: 화실하부구조체
120: 잔류물받이
130: 연료투입구 프레임
140: 보조급기관
150: 도어10: The fireplace
100: Combustion Device Module
110:
120: Residual water tray
130: fuel inlet frame
140: Auxiliary class engine
150: Door
Claims (6)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분출구를 통해 떨어지는 연료의 잔류물을 적재하는 적재공간이 구비된 잔류물받이; 및
상기 화실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화실로 연료를 투입할 수 있는 연료투입구를 형성하고, 하측 전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흡기구 및 상측에 화실방향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분출구를 구비하는 연료투입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화실하부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흡기구와 상기 제2분출구를 연결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제2흡기구와 상기 제2분출구를 연결하는 제2유로가 형성되는 연소장치 모듈.
A firebox structure including a lower portion of a firebox in which fuel is burnt, an interior space formed therein,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at least one first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space and the firebox;
And at least one first air intake por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Water table; And
A fuel inlet for injecting fuel into the artillery chamb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rtillery chamber, at least one second inlet port formed in the lower front surface thereof, and at least one second outlet port formed in the upper side thereof in the artillery direction A fuel inlet frame,
A first flow path for connecting the first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lowerpot chamber,
And a second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is formed in the fuel inlet frame.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화실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분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제3분출구와 상기 제2유로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3유로가 형성된 보조급기관;을 더 포함하는 연소장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inlet frame toward the work chamber and having at least one third air outlet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nd having a third flow path communicating the third air outlet and the second flow path, Further comprising: an engine;
상기 보조급기관은,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제1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를 가로질러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3분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연소장치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air classifier includes a pair of first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inlet frame and extending rearwardly and at least one second member interconnected across the pair of first members,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each comprise at least one third air outlet.
상기 연료투입구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연소장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oor hinged to the fuel inlet frame to open or close the fuel inlet.
상기 제1흡기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유량조절밸브가 부착된 연소장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flow control valve is attached to the first air inlet so as to adjust an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first air inlet.
상기 제2흡기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유량조절밸브가 부착된 연소장치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flow control valve is attached to the second intake port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to be suck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39A KR20160107434A (en) | 2015-03-04 | 2015-03-04 |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39A KR20160107434A (en) | 2015-03-04 | 2015-03-04 |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434A true KR20160107434A (en) | 2016-09-19 |
Family
ID=5710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0139A KR20160107434A (en) | 2015-03-04 | 2015-03-04 |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0743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3149B1 (en) * | 2021-11-30 | 2022-06-24 | 주식회사 파이어우드 | Wood stove that causes complete combustion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139A patent/KR2016010743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3149B1 (en) * | 2021-11-30 | 2022-06-24 | 주식회사 파이어우드 | Wood stove that causes complete combus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87B1 (en) | Hot air blower for solid fuel | |
US8186286B2 (en) | Wood fired boiler | |
KR200448540Y1 (en) | A wood pellet stove | |
KR101587377B1 (en) | Reverse combustion firewood stove | |
PL224288B1 (en) | Central heating boiler | |
WO2017048314A1 (en) | Improved pellet stove | |
KR200486674Y1 (en) | Stove | |
KR20100137897A (en) | Wood burner without producing smoke | |
KR101741209B1 (en) | hypocaust heating apparatus using the biomass | |
KR100796434B1 (en) | Fuel save boiler | |
US8161959B1 (en) | Wood burning furnace | |
KR101537051B1 (en) | A downward type stove | |
KR20160107434A (en) | Module for Combustion Apparatus having Increased Combustion Efficiency | |
KR102437889B1 (en) | Air circulation typ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firewood stove | |
CN110081416A (en) | Smokeless burning stove | |
US9273869B1 (en) | Wood burning furnace | |
KR200466626Y1 (en)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
KR20160114755A (en) | Using pellet stoves | |
KR101250434B1 (en) | Combustion device for fire wood boiler | |
KR102414733B1 (en) | Heater for burning firewood tree by fire | |
KR102361252B1 (en) | Stove installed with air blocking and guiding wall | |
KR101644235B1 (en) | Movable Pellets stove not using external power | |
KR20140135353A (en) | Firewood fireplace | |
KR101325663B1 (en) | Combustion device for fire wood boiler | |
KR20130082322A (en) | Boiler for solid feul and method for burinng the soild feul using the boi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