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626Y1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626Y1 KR200466626Y1 KR2020110011242U KR20110011242U KR200466626Y1 KR 200466626 Y1 KR200466626 Y1 KR 200466626Y1 KR 2020110011242 U KR2020110011242 U KR 2020110011242U KR 20110011242 U KR20110011242 U KR 20110011242U KR 200466626 Y1 KR200466626 Y1 KR 2004666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heating
- pellet
- uni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7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 F23M2700/007—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도중에 연료탱크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펠릿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펠릿형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갖는 연료탱크; 상기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유닛을 가지며, 상기 연료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난방장치 본체; 상기 내부 케이스에서 상기 연소유닛으로 상기 펠릿형 연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연료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연료이송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이송유닛은 상기 내부 케이스와 연통되는 연료이송관과, 상기 연료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형 블레이드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료이송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연료이송관과 연통되어 있는 소화물질 공급관과, 상기 연료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이송관의 상태를 센싱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난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heat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lame from moving to the fuel tank in advance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pellet fue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tank having an inner case in which pellet fuel is stored; A heating unit having a combustion unit for burning the pellet fuel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uel tank; A fuel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ellet type fuel from the inner case to the combustion unit;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disposed on the fuel transfer unit to block flame from moving from the heating body to the inner case, wherein the fuel transfer unit includes a fuel transf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ase, And a fuel feed motor for rotating the spiral blade,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uel feed pipe, and installed on the fuel feed pipe. It provides a pellet type heating device comprising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ontrol, and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ing sensor.
Description
본 고안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도중에 연료탱크로 화염이 전이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펠릿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let heating device that can block the flame transfer to the fuel tank in advance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pellet fuel.
통상적으로 동절기가 되면, 난방장치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는데, 상기 난방장치의 연료로는 석탄, 가스, 석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와 전기가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when the winter season, the use of a heating device is rapidly increased, and fossil fuels such as coal, gas, petroleum, and electricity are mainly used as fuel for the heating device.
최근에는 상기 전기 및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써 펠릿형 연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펠릿형 연료는 목재 등을 잘게 부순 후 펠릿(pellet) 형태로 만든 연료를 의미한다. Recently, a pellet fuel is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source that can replace the electricity and fossil fuel. The pellet fuel refers to a fuel made of pellets after crushing wood and the like.
상기 펠릿형 연료를 사용하는 펠릿형 난방장치, 예를 들면 펠릿형 난로 또는 펠릿형 보일러들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로 상기 펠릿형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파이프를 포함한다.Pellet heaters using the pellet fuel, for example pellet stoves or pellet boilers,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pellet fuel is combusted, an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pellet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그러나, 종래의 펠릿형 난방장치에서는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 중에 화염이 상기 공급파이프 내부의 펠릿형 연료로 전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lame may be transferred to the pellet type fuel in the supply pipe while the pellet type fuel i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y causing a fire.
또한, 종래의 펠릿형 난방장치는 특정의 목적, 예를 들면 난로의 역할 또는 보일러의 역할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었기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ellet heater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efficiently used because it is designed to perform a specific purpose, for example, the role of the stove or the role of the boiler individually.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는 도중에 연료탱크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펠릿형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et-type heating device that can block the movement of the flame in advance to the fuel tank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pellet-type fuel.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한 난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거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보일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펠릿형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et-type heating device that can perform not only the role of the stove for heating the indoor space, but also the role of a boiler that can heat a specific space outside or supply hot water at the same time. .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펠릿형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갖는 연료탱크; 상기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유닛을 가지며, 상기 연료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난방장치 본체; 상기 내부 케이스에서 상기 연소유닛으로 상기 펠릿형 연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연료이송유닛; 그리고, 상기 연료이송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이송유닛은 상기 내부 케이스와 연통되는 연료이송관과, 상기 연료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형 블레이드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료이송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연료이송관과 연통되어 있는 소화물질 공급관과, 상기 연료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이송관의 상태를 센싱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난방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o be solv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tank having an inner case in which pellet fuel is stored; A heating unit having a combustion unit for burning the pellet fuel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uel tank; A fuel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ellet type fuel from the inner case to the combustion unit;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disposed on the fuel transfer unit to block flame from moving from the heating body to the inner case, wherein the fuel transfer unit includes a fuel transf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ase, And a fuel feed motor for rotating the spiral blade,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uel feed pipe, and installed on the fuel feed pipe. It provides a pellet type heating device comprising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control, and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ing sensor.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연소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에서 배출되는 재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apparatus main body has a main body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 discharge tray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ncluding ash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unit,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panel that can check the inside of the case.
또한,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음식물이 담겨져 익혀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음식물 수납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apparatus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food contain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food can be contained and cooked.
상기 연소유닛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덕과, 상기 화덕의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펠릿형 연료를 발화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화덕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유로와, 상기 공기공급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화덕으로 불어 넣어주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includes an oven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ellet-type fuel is combusted, a heater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oven to ignite the pellet-type fuel, an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oven, and It may include a blowing fan installed on an air supply passage for blowing the air into the oven.
상기 펠릿형 난방장치는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기 배출관, 상기 연기배출관과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열매체를 흡입하여 상기 연기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pellet-type heating device sucks the heat medium including the smoke discharge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eating main body, the smoke discharge pipe and the smoke dispo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eating main body and present inside the heating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fan discharged to the smoke discharge pip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ction fan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열매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1 이동유로와 제2 이동유로로 구획하는 구획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매체가 상기 제1 이동유로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흐른 후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유로를 경유하고 다시 상기 제2 이동유로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팬은 상기 제2 이동유로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배출관과 연결될 수 있다.The heating apparatus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anel that divides the path in which the heating medium is moved inside the main body case into a first moving channel and a second moving channel, wherein the heating medium is disposed from the bottom along the first moving channel. The suction fan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moving channel to be connected to the smoke discharge pipe so as to mo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ong the second moving channel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channel of the main body case.
상기 연료이송관은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이송관의 끝단부는 상기 화덕의 상단면 보다 높게 배치됨과 동시에 하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The fuel transfer pip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case of the fuel tank and the main body case of the heater main body, and an end portion of the fuel transfer pipe may be disposed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oven and bent downward.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거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보일러 탱크를 갖는 보일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유닛은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oiler unit having a heating pipe for heating or supplying hot water to an external specific space, and a boiler tank in which the heating pipe is installed, wherein the boiler unit is disposed above the combustion unit. Can be.
본 고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ellet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펠릿형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이송관 상에 소화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중에 연소유닛에서 상기 펠릿형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연료탱크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rst, by installing a fire extinguishing unit on a fuel transfer pipe to which pellet fuel is suppl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am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from the combustion unit to the fuel tank in which the pellet fuel is stored while the pellet fuel is combusted. .
둘째, 난방장치 본체에 보일러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한 난로의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거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보일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by providing a boiler unit in the heating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erform not only the role of the stove for heating the indoor space but also the role of a boiler that can heat a specific space outside or supply hot water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펠릿형 난방장치에 구비된 난방장치 본체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ellet-typ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main portion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main body provided in the pellet-type heating device of FI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ellet-typ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에 대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ellet-typ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1 to 3, a first embodiment of a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는 펠릿형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110)를 갖는 연료탱크(100)와, 상기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유닛(300)을 갖는 난방장치 본체(200)와, 상기 연료탱크(100)와 연장형성되며,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의 측면테두리와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그물망(130)을 포함한다.The pellet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또한, 상기 펠릿형 난방장치는 상기 내부 케이스(110)에서 상기 연소유닛(300)으로 상기 펠릿형 연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연료이송유닛(400)과, 상기 연료이송유닛(4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110)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화유닛(80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ellet-type hea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상기 연료탱크(100),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0) 상에 설치된다.The
상기 연료탱크(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40),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내부 케이스(110), 상기 외부 케이스(140) 및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뚜껑(120)을 포함한다.The
상기 내부 케이스(110)의 하단부(111) 양측은 중앙 하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펠릿형 연료가 자체 하중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되며 한곳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스 하단부(111)는 상기 연료이송유닛의 연료이송관(420)과 서로 연통된다.Both sides of the
한편,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는 상기 연료탱크(10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그물망(130)은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가 작동되는 동안에 사람이 화상을 입거나 주변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210)와, 상기 연소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유닛(300)에서 배출되는 재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240)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패널(220), 상기 연소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음식물이 담겨져 익혀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음식물 수납통(230)을 포함한다.The heating apparatus
상기 배출 트레이(240)와 상기 음식물 수납통(230)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220)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본체 케이스(210) 내부에는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열매체가 이동되는 제1 이동유로(251)와 제2 이동유로(253)로 구획하는 구획패널(260)이 설치된다.A
상기 열매체는 상기 제1 이동유로(251)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흐른 후에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유로(252)를 따라 흐르고, 다시 상기 제2 이동유로(253)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실내공간과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The heating medium flows along the first moving
상기 연소유닛(300)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덕(310)과, 상기 화덕(310)의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펠릿형 연료를 발화시키기 위한 히터(370)와, 상기 화덕(31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유로(380)와, 상기 공기공급유로(38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화덕(310)으로 불어 넣어주는 송풍팬(390)을 포함한다.The
상기 화덕(310)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획패널(260)과 접촉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히터(370) 및 공기공급유로(380)는 상기 본체 케이스(210) 및 상기 구획패널(260)을 관통하여 상기 화덕(310)과 연결된다.The
상기 연료이송유닛(400)은 상기 내부 케이스(110)와 연통되는 연료이송관(420)과, 상기 연료이송관(4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형 블레이드(430)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료이송모터(410)를 포함한다.The
상기 연료이송관(420)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1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연통홀(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이송관(420)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하단부(111)과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연료이송관(420)은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 케이스(140) 및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본체 케이스(210)를 관통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료이송모터(410)가 회전되면,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430)가 회전되면서 상기 연료이송관(420) 내부의 상기 펠릿형 연료를 상기 내부 케이스(110)에서 상기 화덕(310)의 상부로 이송시키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연료이송관의 끝단부(423)는 상기 화덕(310)의 상단면 보다 일정구간 높게 배치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연료이송관의 끝단부(423)는 상기 화덕을 향하여 하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료이송관의 끝단부(423)의 끝단면은 상기 구획패널(260)의 의하여 잘려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Here, the
상기 연료 이송관의 끝단부(423)가 하향으로 절곡된 이유는 상기 펠릿형 연료의 자중으로 인하여 상기 펠릿형 연료가 상기 화덕(310)으로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동시에, 상기 화덕(310)으로 연료가 공급된 이후에 상기 화덕(310)에서 상기 펠릿형 연료의 연소가 시작되더라도 상기 연료 이송관의 끝단부(423)에는 공급대기 중인 펠릿형 연료가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연료이송관(420)으로 화염이 이동되기가 어려워 지게 된다.At the same time, even after combustion of the pellet-type fuel is started in the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화덕(310)에서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도중에 화염이 상기 연료이송관(420)에 존재하는 펠릿형 연료로 전이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화유닛(800)에 의하여 조기에 화염의 전이가 차단되게 된다.Nevertheless, if the flame is transferred to the pellet fuel existing in the
상기 소화유닛(800)은 상기 연료이송관(420)과 연통되어 있는 소화물질 공급관(830)과, 상기 연료이송관(4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이송관(420)의 상태를 센싱하는 감지센서(810)와, 상기 감지센서(810)에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830)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밸브(830)를 포함한다.The
결과적으로, 상기 감지센서(810)에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소화물질을 상기 연료이송관(42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화염이 상기 연료이송관(420)을 통하여 상기 연료탱크(100)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lame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상기 소화물질로는 물 또는 모래가 될 수도 있고, 가스 형태의 이산화탄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810)는 상기 연료이송관(420)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일 수도 있고, 상기 연료이송관(420)을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water or sand or carbon dioxide in gaseous form.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펠릿형 난방장치는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기배출관(520), 상기 연기배출관(520)과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열매체를 흡입하여 상기 연기배출관(520)으로 배출하는 흡입팬(510)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ellet-type hea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상기 흡입팬(510)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에 형성된 상기 제2 이동유로(253)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배출관(52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열매체가 상기 제1 이동유로(251)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흐른 후에 상기 상부유로(252)를 따라 흐르고, 다시 상기 제2 이동유로(253)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실내공간과의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The
결과적으로, 상기 열매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210) 내부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면서 외부와의 열교환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가 설치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따뜻하게 데우게 된다.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time with the outside becomes long while the heat medium stays inside the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팬(510)과 송풍팬(390)을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510)의 회전속도와 상기 송풍팬(390)의 회전속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만약, 상기 송풍팬(390)만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송풍팬(390)의 회전수가 너무 커서 공기 공급량이 많아지면 불완전연소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상기 송풍팬(390)의 회전수가 너무 작으면 연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f only the blowing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송풍팬(390)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기에 적합한 정도의 공기량을 상기 화덕(31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흡입팬(510)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연기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the blowing
또한,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에는 상기 펠릿형 난방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미도시)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연료이송모터(410)를 구동시켜 상기 펠릿형 연료를 공급하는 시기, 공급시간을 제어하거나, 상기 송풍팬(390) 및 흡입팬(510)의 구동시기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거나, 상기 히터(370)의 구동시기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iming and supply time of supplying the pellet fuel by driving the
물론, 상기 제어유닛은 미리 설정된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이송모터(410), 송풍팬(390), 흡입팬(510) 및 히터(3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Of cour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도 4를 참조하며, 본 고안에 따른 펠릿형 난방장치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4, a second embodiment of the pellet-typ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 따른 난방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난방장치 본체의 연소유닛의 상부에 보일러 유닛(900)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에는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거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배관(920)과, 상기 난방배관(920)이 설치되는 보일러 탱크(910)를 갖는 보일러 유닛(900)이 구비되어 있다.The
상기 난방배관(920)의 내부에는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기 위한 유체, 예를 들면 물이 채워져 있다.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에는 외부의 난방수 공급부와 연결되는 난방수 유입구(92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난방하고자 하는 공간과 연결 되는 난방수 유출구(923)가 형성되어 있다.The inside of the
상기 보일러 탱크(910)는 상기 난방배관(92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소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상기 보일러 탱크(910) 내부에는 빈 공간일 수도 있고, 열전달 물질 예를 들면, 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보일러 탱크(910)는 상기 연소유닛(300)을 둘러싸면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상기 보일러 유닛(90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일러 유닛(9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물의 배출온도에 따라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가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에 설치되는 제어유닛에 의하여 상기 물의 배출온도에 따라 상기 난방장치 본체(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연료탱크 110: 내부 케이스
130: 그물망 140: 외부 케이스
200: 난방장치 본체 210: 본체 케이스
220: 투명패널 230: 음식물 수납통
240: 배출트레이 260: 구획패널
300: 연소유닛 310: 화덕
370: 히터 380: 공기공급유로
390: 송풍팬 400: 연료이송유닛
410: 연료이송모터 420: 연료이송관
430: 나선형 블레이드 510: 흡입팬
520: 연기배출관 800: 소화유닛
810: 감지센서 820: 제어밸브
830: 소화물질 공급관 900: 보일러 유닛100: fuel tank 110: inner case
130: mesh 140: outer case
200: heating body 210: body case
220: transparent panel 230: food storage container
240: discharge tray 260: partition panel
300: combustion unit 310: oven
370: heater 380: air supply passage
390: blower fan 400: fuel transfer unit
410: fuel transfer motor 420: fuel transfer tube
430: spiral blade 510: suction fan
520: smoke exhaust pipe 800: fire extinguishing unit
810: detection sensor 820: control valve
830: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900: boiler unit
Claims (8)
상기 펠릿형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유닛을 가지며, 상기 연료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난방장치 본체;
상기 내부 케이스에서 상기 연소유닛으로 상기 펠릿형 연료를 이송시키기 위한 연료이송유닛;
상기 연료이송유닛 상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로 화염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화유닛;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측면 테두리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그물망;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음식물이 담겨져 익혀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음식물 수납통;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기 배출관; 그리고,
상기 연기배출관과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연결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장치 본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열매체를 흡입하여 상기 연기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이송유닛은 상기 내부 케이스와 연통되는 연료이송관과, 상기 연료이송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형 블레이드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료이송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연료이송관과 연통되어 있는 소화물질 공급관과, 상기 연료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이송관의 상태를 센싱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소화물질 공급관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유닛은 상기 펠릿형 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덕과, 상기 화덕으로 공기를 불어주되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와 다른 회전 속도를 가지는 송풍팬과, 상기 화덕의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펠릿형 연료를 발화시키기 위한 히터와, 상기 화덕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공급유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열매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1 이동유로와 제2 이동유로로 구획하는 구획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열매체가 상기 제1 이동유로를 따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흐른 후에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는 상부유로를 경유하고 다시 상기 제2 이동유로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흡입팬은 상기 제2 이동유로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기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화덕은 상기 구획패널과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히터 및 상기 공기공급유로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상기 구획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화덕과 연결되고,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외부의 특정공간을 난방시키거나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이 설치되면서 상기 연소유닛을 둘러싸는 보일러 탱크를 갖는 보일러유닛과, 상기 보일러 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의 배출온도에 따라 상기 난방장치 본체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난방장치.A fuel tank having an inner case in which pellet fuel is stored;
A heating unit having a combustion unit for burning the pellet fuel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fuel tank;
A fuel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ellet type fuel from the inner case to the combustion unit;
A fire extinguishing unit disposed on the fuel transfer unit to block a flame from moving from the heating body to the inner case;
A net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edge of the heating body;
A food storage contain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stored in the main body case while being sli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ase of the heating unit to provide a space for food to be cooked;
A smoke discharge pipe disposed outside the heater body; And,
A suction fan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smoke discharge pipe and the heating main body to suck a heat medium including smoke existing inside the heating main body and discharge the heat medium into the smoke discharge pipe;
The fuel transfer unit includes a fuel transfer tub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ase, a spiral blade installed inside the fuel transfer tube, and a fuel transfer motor for rotating the spiral blade.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fuel transport pipe, a sensor installed on the fuel transport pipe to sense a state of the fuel transport pipe, and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It includes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The combustion unit includes a blast furnace that provides a space for burning the pellet fuel, a blowing fan which blows air into the blast furnace and has a rotation speed different from that of the suction fan, and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blast furnace. And a heater for igniting a fuel and an air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furnace, wherein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on the air supply passage,
The heating apparatus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panel for partitioning a path through which the heat medium moves within the body case into a first moving path and a second moving path, wherein the heat medium is dispos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direction along the first moving path. The suction fan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oving passage so as to mo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ong the second moving passage after passing through the upper passag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Connected,
The oven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partition panel, the heater and the ai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ven through the body case and the partition panel,
The heating apparatus main body has a heating pipe for heating a specific space or supplying hot water, a boiler unit having a boiler tank surrounding the combustion unit while the heating pipe is installed, and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boil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body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상기 난방장치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연소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에서 배출되는 재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난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er main body has a main body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 discharge tray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including ash dispos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unit,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main body Pellet-type heating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panel that can check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연료이송관은 상기 연료탱크의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이송관의 끝단부는 상기 화덕의 상단면 보다 높게 배치됨과 동시에 하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난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uel transfer pip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outer case and the main body case of the fuel tank, and the end portion of the fuel transfer pipe is arrang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and bent downwardly at the same tim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1242U KR200466626Y1 (en) | 2011-12-19 | 2011-12-19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1242U KR200466626Y1 (en) | 2011-12-19 | 2011-12-19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6626Y1 true KR200466626Y1 (en) | 2013-05-07 |
Family
ID=5367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1242U KR200466626Y1 (en) | 2011-12-19 | 2011-12-19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62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14409B2 (en) | 2017-06-07 | 2019-06-11 | Smart Brain Co., Ltd. | Baby chair |
CN113144463A (en) * | 2021-03-10 | 2021-07-23 | 华能黑龙江发电有限公司 |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eed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787B1 (en) * | 2009-04-03 | 2009-09-21 | 전제선 | Hot air fan for solid fuel |
-
2011
- 2011-12-19 KR KR2020110011242U patent/KR20046662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7787B1 (en) * | 2009-04-03 | 2009-09-21 | 전제선 | Hot air fan for solid fue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14409B2 (en) | 2017-06-07 | 2019-06-11 | Smart Brain Co., Ltd. | Baby chair |
CN113144463A (en) * | 2021-03-10 | 2021-07-23 | 华能黑龙江发电有限公司 |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eed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87B1 (en) | Hot air fan for solid fuel | |
KR101271748B1 (en) | Pellet stove | |
KR101079694B1 (en) | Firewood Boiler | |
KR200448540Y1 (en) | Pellet stove | |
KR101288589B1 (en) | The firewood and wood-pellet boiler | |
KR100679316B1 (en) | Firewood boiler | |
KR101392216B1 (en) | Boiler or stove using solid fuel | |
PL224288B1 (en) | Central heating boiler | |
KR20100137897A (en) | Smokeless Combustion Unit | |
KR200466626Y1 (en)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
KR200441449Y1 (en) | Coal gas boiler | |
KR20140071589A (en) | Boiler using sawdust and pellet fuel | |
KR100796434B1 (en) | Fuel storage boiler | |
KR200465794Y1 (en) |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 |
KR101224631B1 (en) | Pellet boiler | |
KR101312963B1 (en) | Wood combustor | |
KR101852908B1 (en) | Pellet boiler having mobile fire grate | |
KR20120013505A (en) | Multifunction heating system | |
KR101369605B1 (en) | Boiler | |
KR20120054311A (en) | Combustion apparatus for wood pellet | |
KR101320598B1 (en) | Pellet boiler | |
CN207610192U (en) | Gasification of biomass all-in-one machine | |
KR101636713B1 (en) | The Heating Apparatus Using Pellets | |
KR20160067328A (en) | Wood pellet stove | |
KR20130082322A (en) | Boiler for solid feul and method for burinng the soild feul using the boi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21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08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605 |
|
X70R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U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2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605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6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4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7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