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129A - 연습용 탁구라켓 - Google Patents
연습용 탁구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07129A KR20160107129A KR1020160045207A KR20160045207A KR20160107129A KR 20160107129 A KR20160107129 A KR 20160107129A KR 1020160045207 A KR1020160045207 A KR 1020160045207A KR 20160045207 A KR20160045207 A KR 20160045207A KR 20160107129 A KR20160107129 A KR 201601071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 tennis
- swing
- tennis racket
- practice
- elastic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8—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perforated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 끝 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하므로 탁구의 정확한 스윙 자세을 익히고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구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을 강화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습용 탁구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 끝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하므로 탁구의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구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을 강화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연습용 탁구라켓에 관한 것이다.
탁구의 스윙은 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몸동작으로 라켓을 휘두르는 동작이고 타구는 휘둘러서 생긴 에너지를 공에 전달하는 행위이다. 탁구의 스윙에는 스트로크 쇼트 블로킹 스매시 푸시 로빙 드라이브 커트 백스매시 백드라이브 백쇼트 백푸쉬 플릭 등이 있다. 타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발 다리 허리 손목 팔 어깨 등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리듬을 타야 부드럽고 정확한 스윙자세를 만들 수 있다. 탁구를 처음 배우는 초급자들은 5분에서 20분 정도 레슨을 받고 개인적으로 거울을 보며 스윙자세를 연습하게 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라켓을 사용하거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라켓보다 2배 정도 무거운 연습용 탁구라켓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윙자세를 연습하게 되면 레슨을 받을 때의 정확한 자세가 처음에는 유지되지만 스윙의 횟수가 증가 될수록 스윙자세가 흩으러 지게 된다. 결국 발 다리 허리 손목 팔 어깨등을 유기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팔과 어깨만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하게 된다. 정확한 스윙자세를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며 탁구에 흥미를 잃게 된다. 또한 스윙연습을 통하여 근력을 강화하여 스윙속도와 타구력 순발력등의 향상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효과를 거두기는 힘들기도 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급 이상의 실력을 갖춘 사람도 탁구 게임을 할 때 자신의 근력보다 더 강한 힘으로 스윙을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결국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윙연습은 스윙의 시작점과 종착점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매 스윙마다 스윙의 궤적이 다르다. 탁구의 정확한 스윙자세를 개인적으로 연습함에 있어서 스윙의 횟수가 증가하여도 처음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는 시작점과 종착점까지의 스윙 궤도를 잡아주어 자세가 흩으러지지 않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연습을 통하여 근력을 강화하여 스윙속도와 타구력 순발력등의 향상과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습용 탁구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연습용 탁구라켓에 있어서 그립부의 끝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블레이드부에도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나머지 한쪽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탁구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는 연습용 탁구라켓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탁구의 스윙연습을 하므로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탁구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생활체육의 한 종목이다. 우리나라의 생활체육이 활성화되고 발전하면서 탁구를 즐기는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어느 정도 기본기만 배우면 즐길 수는 있지만 실력향상은 쉽게 되지 않는 운동이기도 하다. 탁구는 가벼운 공을 다루는 운동이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자세가 중요하다. 처음부터 공을 치는 스윙을 하게 되면 정확한 자세를 잡기가 힘들다. 먼저 정확한 자세를 연습하여 몸에 익히고 난 뒤 공을 치는 것이 탁구를 하는데 있어서 올바른 방법이다. 그런 의미에서 종래의 연습용 탁구라켓만을 들고 스윙연습을 하는 것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므로 탄성체가 스윙의 궤적을 잡아주므로 정확한 스윙동작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스윙에 필요한 근력이 향상되고 순발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피가 작고 가벼워서 가지고 다니면서 장소에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라도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탁구는 한쪽 방향으로의 스윙이 많은 운동이다. 탄성체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스윙의 궤도를 잡아줌으로 사용하지 않는 팔도 용이하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불균형을 예방하고 부상도 예방할 수 있다. 라켓을 움직여서 하는 운동은 타이밍이 중요하므로 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게 되면 근력 증가에도 효과적이지만 근력을 발휘하게 하는 타이밍을 위한 연습에도 효과적이다. 스윙이 흔들리거나 팔의 움직임이 많은 사람의 스윙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해준다. 탄성체에 연결된 라켓을 들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똑같이 하기 때문에 몸의 회전력이 향상되고 움직임이 가벼워져서 볼을 치는 파워가 향상된다. 탁구의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격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이 향상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연습용 탁구라켓이다.
탁구에 자주 쓰이는 부위별 근육 명칭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기본자세에서 엄지발가락에 힘을 주면서 힘이 시작되는데, 좌우 앞뒤 스텝일 때 비복근이 중요하고 기본 스트로크부터 드라이브까지 엄지발가락을 시작으로 대퇴근까지 다리의 근육이 지탱을 해주어야 안전하고 탄탄한 스윙이 될 수 있다. 상체는 기본 스트로크부터 드라이브까지 어깨와 상완근이 많이 쓰이고 플릭일 때는 전완근을 주로 사용한다. 백스매싱과 백드라이브일 때는 복근의 힘으로 스윙을 해야하는데 이때 복근과 등쪽 근육이 안정되어야 탄탄한 백쪽 스윙들이 위력을 발휘한다.
탄성체가 연결되는 구멍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탁구의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부위별 근력이 향상되어 진다. 도1에서 201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을 연습할 수 있다. 특히 탁구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가 스윙의 동작을 익히기에 적합하다. 도1에서 202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 커트,플릭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스윙할 때 무게중심이 손바닥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손목과 블레이드를 받치고 있는 검지손가락이 자유로워 공이 맞는 타이밍에 라켓의 끝을 순간적으로 감아 줌으로 공의 회전을 더 많이 주고 더 빠르게 타구할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도1에서 203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검지손가락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4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검지손가락과 손목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5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전완근,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4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도1에서 206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 전완근, 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5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스윙연습을 통하여 자세가 갖춰지고 익숙해지면 스윙동작과 함께 탁구의 스텝을 밟으며 더 역동적으로 다리운동과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근력 운동을 함께할 수 있으며 탁구의 실력을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습용 탁구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자세를 취한 모습과 연결된 탄성체가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스윙의 시작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제탁구연맹의 탁구라켓에 관한 규정 중 2.4.1(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판은 평평하고 단단해야한다)의 정의하는 내용 중 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만을 따른다. 하지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탁구라켓인 쉐이크핸드형 탁구라켓을 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스윙연습용으로 이용되는 바 라켓의 모양만 형성되면 되기 때문에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그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습용 탁구라켓의 사시도이다. 구멍의 크기와 모양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탄성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멍의 위치는 도1에서 201은 블레이드부의 가운데 형성한다. 도1에서 202는 그립부의 하단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3은 라켓을 파지하였을 때 검지손가락 둘째 마디 아랫부분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4는 라켓을 파지하였을때 검지손가락 손톱 아랫부분에 가장자리로 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5는 블레이드부의 2분의1지점 오른쪽 끝부분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정도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6은 12시방향 끝부분에 가장자리로 부터 10mm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 2는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시작점을 도시한 것이다. 연습용 탁구라켓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한쪽 끝을 사용자의 무릎에서 허리의 높이 사이의 고정체에 고정한다. 사용자는 탄성체의 한쪽 끝을 고정 시킨 곳을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을 오른쪽 뒤에 두고 9시~11시 방향에서 스윙자세를 잡는다. 연습하고자 하는 스윙의 종류에 따라 탄성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사용자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조절된 (45cm~100cm) 탄성체에 연결된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한다. 탄성체와 라켓의 연결은 라켓의 구멍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탄성체를 넣고 당겨 그립부와 함께 잡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매듭을 지어 고정할 수도 있고 인접한 구멍 3개를 이용하여 첫번째 구멍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넣고 두번째 구멍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고 세번째 구멍 바깥쪽 에서 안쪽으로 넣고 당겨 주어 고정한다. 스윙동작중 라켓을 뒤로 뺏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탄성체가 최소의 탄력을 유지하도록 한다.(도 2의 302) 최소의 탄력이 유지된 곳이 스윙의 시작점이며 기준점이 된다. 기준점에서 스윙을 하게 되면 탄성체가 각 스윙별로 종착점까지 스윙의 궤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로 인해 일정한 스윙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스윙의 시작점을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탄성체로 설정함으로 인해 스윙의 시작점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올바른 스윙자세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당길 때의 저항하는 탄력으로 인해 과도한 스윙이 방지되고 탁구에 필요한 근력이 강화 되어진다. 그립과 함께 잡은 탄성체로 인해 그립을 쥐는 손아귀의 힘과 손목의 근력도 강화되며 블레이드 부를 받치는 검지 손가락의 힘도 강화 된다. 근력 증가에도 효과적이지만 근력을 발휘하는 타이밍을 위한 연습에도 효과적이다.
도1의 201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을 연습할 수 있다. 특히 탁구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가 스윙의 동작을 익히기에 적합하다. 도1의 202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 커트,플릭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스윙할 때 무게중심이 손바닥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손목과 블레이드를 받치고 있는 검지손가락이 자유로워 공이 맞는 타이밍에 라켓의 끝을 순간적으로 감아채 줌으로 공의 회전을 더 많이 주고 더 빠르게 타구할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도1의 203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검지손가락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4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검지손가락과 손목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5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전완근,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4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도1의 206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 전완근, 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5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탄성체의 세기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연습용 탁구라켓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기를 늘리면서 자신의 근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밴드명 | 신장율50%kg | 신장율100%kg | 추천대상 |
20 | 1.6 | 4.7 | 어린이 노인 환자 |
25 | 2.0 | 5.3 | 성인여성 |
30 | 2.6 | 6.3 | 성인여성 남성 |
35 | 2.8 | 7.7 | 성인남성 |
45 | 3.7 | 8.0 | 성인남성 |
55 | 4.2 | 10.3 | 운동선수 전문가 |
10 : 블레이드부 205 : 구멍5
20 : 그립부 206 : 구멍6
201 : 구멍1 301 :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탄성체
202 : 구멍2 302 : 탄성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체
203 : 구멍3
204 : 구멍4
20 : 그립부 206 : 구멍6
201 : 구멍1 301 :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탄성체
202 : 구멍2 302 : 탄성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체
203 : 구멍3
204 : 구멍4
Claims (4)
-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 켓은 국제탁구연맹의 탁구라켓에 관한 규정 중 2.4.1(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판은 평평하 고 단단해야한다)의 정의하는 내용 중 스윙 연습용이므로 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만을 따른다.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탄성체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탁구라켓
- 청구항1에 있어서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그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탁구라켓
- 청구항 1에 있어서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탄성체를 연결할 수 있는 구멍 이외에 다른 장치 예를들어 나사,고리 등 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탁구라켓
- 청구항 1과 청구항 3에 있어서 탁구라켓의 블레이드부에 러버를 부착하여 탄성체를 연결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이나 다른 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탁구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ko) | 2016-04-13 | 2016-04-13 | 연습용 탁구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ko) | 2016-04-13 | 2016-04-13 | 연습용 탁구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129A true KR20160107129A (ko) | 2016-09-13 |
KR101769246B1 KR101769246B1 (ko) | 2017-08-30 |
Family
ID=5694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ko) | 2016-04-13 | 2016-04-13 | 연습용 탁구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92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615B1 (ko) | 2019-12-09 | 2021-04-15 | 서여민 | 장애우용 탁구라켓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1760B2 (ja) | 1998-03-02 | 2001-07-23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デジタル無線通信方法及びデジタル無線通信方法を記憶した記録媒体 |
JP2005095338A (ja) | 2003-09-24 | 2005-04-14 | Ikunobu Tokuichi | スイング練習具 |
KR200346018Y1 (ko) * | 2003-11-27 | 2004-03-26 | 하웅수 | 다용도 라켓 |
-
2016
- 2016-04-13 KR KR1020160045207A patent/KR101769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615B1 (ko) | 2019-12-09 | 2021-04-15 | 서여민 | 장애우용 탁구라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9246B1 (ko) | 2017-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0537B2 (en) | Vibration-based training device and method | |
US9056218B2 (en) |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8944942B2 (en) | Apparatus suspension system | |
KR20070051323A (ko) | 다목적 스포츠용 스윙 트레이닝 장치 | |
US20100105531A1 (en) | Sports skills training device | |
JPS615857A (ja) | 人体鍛練装置 | |
US8852032B1 (en) | Bat swing training machine | |
US3515386A (en) | Training tennis racket | |
KR20160085270A (ko) | 투구 훈련 및 강화 장치 | |
TW200409663A (en) | Club swing training method | |
KR101769246B1 (ko) | 연습용 탁구라켓 | |
US7223218B2 (en) | Muscle strengthening device | |
US20160089561A1 (en) | Apparatus suspension system | |
US11534647B2 (en) | Hip engag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 |
US20170028286A1 (en) |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 |
JP2008264493A (ja) | 素振りトレーニング器 | |
JP3168586U (ja) | 運動練習用具 | |
Alexander et al. | Table tennis: a brief overview of biomechanical aspects of the game for coaches and players | |
JP2007061408A (ja) | 運動練習用具 | |
KR101102151B1 (ko) | 스윙연습기구 | |
CN214232538U (zh) | 一种指戴式啦啦操花球 | |
JP3110296U (ja) | 運動練習用具 | |
Aleksovski | Precision of ground strokes in tennis | |
WO2016157145A1 (en) | Device for body orientation for sports people | |
JP2004065959A (ja) | スポーツのフォーム矯正装着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