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47A -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947A
KR20160106947A KR1020150029719A KR20150029719A KR20160106947A KR 20160106947 A KR20160106947 A KR 20160106947A KR 1020150029719 A KR1020150029719 A KR 1020150029719A KR 20150029719 A KR20150029719 A KR 20150029719A KR 20160106947 A KR20160106947 A KR 2016010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tube
tube
vehic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293B1 (ko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이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수 filed Critical 이남수
Priority to KR102015002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2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to be attached to overhanging loads or extending parts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루프의 프레임 전방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에 수납되는 에어튜브; 및 루프패널에 매립되며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튜브를 직립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튜브의 일면에는 후방 차량에 전방 차량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기호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The air-tube for vehicle safety}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차량의 비상상황 시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여 직립시킴으로써 후방 차량들이 전방 차량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감속 또는 우회할 수 있어 2차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로, 고속도로 등에서 사고 등의 이유로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 해당 비상상황을 후방에서 뒤따라오는 차량 운전자가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차, 3차 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후속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로교통법에서는 법정의 안전표지판(이하 "삼각대" 이라 함)을 사고 차량의 후방 약 100m 지점에 설치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또한 야간 교통사고 때 "적색의 섬광신호·전기 제등 또는 불꽃신호”를 설치하여 뒤따르는 차에 알려야 한다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라 불꽃신호기의 의무 사용이 규정돼 있다.
그러나 삼각대를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고, 사고 발생시 삼각대의 설치를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 등은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 등에서는 노면에 위치하는 삼각대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설사 인식하더라고 비상사태에 대처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삼각대는 노면에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관계로 사고차량의 바로 뒤 차량은 전방사고 차량을 어느 정도 인식이 가능하나, 그 뒤를 따르는 또 다른 차량은 이를 미처 인식하지 못하여 또 다른 사고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불꽃 신호기는 총포, 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에 따른 양도, 양수 금지 조항에 묶여 시중에 유통되지 못하면서 불꽃 신호기 사용 조항은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이러한 종래 삼각대 및 불꽃 신호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장치나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76786호에는 자동차의 지붕 또는 트렁크의 후미 측에 표시기 몸체를 설치하여 주행 중인 자동차가 급제동 및 정차를 하는 순간 표시기 몸체의 개방동작에 의해 경보성 안전표식을 전개하게 됨으로써 후방차량은 물론 주변을 교행하는 상대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표식을 인식하게 되어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비상사태 표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04737호에는 차량의 트렁크 내에 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네트 모서리 부분에 후크가 연결되면서 프레임의 홀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네트에 삼각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전표지 삼각대를 갖는 차량용 네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발명 등에 의하는 경우, 번거로운 기계장치가 필요하거나 삼각대의 위치가 그다지 높지 않아 뒤따라오는 차량에서 조기에 발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1차선, 내리막길이나 회전도로 등의 굴곡이 있는 도로, 또는 기상상황이 열악한 경우에는 삼각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위험에 노출되고, 후방에서 진행하는 차량에 사고 상황을 조기에 전달하지 못하여 2, 3차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 등에서는 이러한 2, 3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휴대가 용이하며 전,후방에서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전표지판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차량사고 등 비상시 선루프에 장착시킨 에어튜브에 에어를 공급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연이어 뒤따라오는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전방 차량의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킬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야간, 우천시 등과 같은 악 조건에서도 식별성을 향상시켜 2차, 3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의 프레임 전방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에 수납되는 에어튜브 및 상기 루프패널에 매립되며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튜브를 직립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튜브의 일면에는 후방 차량에 전방 차량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기호가 인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관이 구비되되, 상기 에어 주입관의 일단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 중단시, 상기 에어튜브에 주입된 에어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는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 중단시,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압력 또는 상기 밸브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주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튜브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재부가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켜 상기 문자 또는 기호의 야간식별을 위한 발광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먼저,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차량사고 등 비상시 선루프에 장착시킨 에어튜브에 에어를 공급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연이어 뒤따라오는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전방 차량의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킬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야간, 우천시 등과 같은 악 조건에서도 식별성을 향상시켜 2차, 3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박스에 에어튜브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 주입관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주입관의 수직단면도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의 개폐방식을 도시한 수직단면도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의 사용상태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에 에어튜브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다.
상기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기 선루프(110)의 프레임(111) 전방 내측에 상기 프레임(111)의 폭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박스(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박스(120)는 에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에어튜브(air-tube)(130)가 말아져 수납되는 공간으로, 상기 수용박스(120)의 일 측에는 힌지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박스(120)를 개폐하는 박스커버(1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박스커버(121)는 에어 주입시 팽창하는 상기 에어튜브(130)에 의해 강제 개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술한 수용박스(120)에 수납되는 에어튜브(12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튜브(120)는 후술할 에어펌프(140)에 의해 에어가 주입되는 경우,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박스커버(121)를 강제로 개방하고, 개방된 선루프(110)를 통해 차량의 루프 위로 직립된다.
이때, 상기 에어튜브(130)의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면에는 전방 차량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기호(131)가 인쇄된다.
한편, 상기 문자 또는 기호(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130)의 일면에 인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는 알리고자 하는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로 절단된 반사시트를 상기 에어튜브(130)의 일면에 부착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3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튜브(130)의 내부 전면 및 후면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음살(134)이 구비된다.
상기 이음살(134)은 상기 에어튜브(130)의 팽창시, 상기 에어튜브(130)가 원기둥 형태가 아닌 사각기둥 형태로 팽창되도록 상기 에어튜브(130)의 내부 전면 및 후면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튜브의(130) 종 방향으로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살(134)을 통해 상기 에어튜브(130)를 사각기둥 형태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에어튜브(130)에 인쇄된 문자 또는 기호(131)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튜브(130)는 주입된 에어가 누출되지 않는 다양한 합성섬유 또는 자연섬유를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30)의 하부에는 주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32)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구(132)를 통해 주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고 수축된 에어튜브(130)를 다시 말아 상기 수용박스(120)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30)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튜브(130)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재부(133)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힘재부(133)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는 권취가 가능한 유연한 금속재질, 예를 들어 권취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양철 판 또는 스프링 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기 에어튜브(130)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튜브(130)를 직립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펌프(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140)는 차량의 루프 패널(R)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프레임(111)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튜브(130)에 에어를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펌프(1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140)에 공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엔진룸에 구비되는 축전지(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펌프(140)를 구동한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펌프(140)의 구동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기 에어튜브(130)의 하부에 상기 에어펌프(140)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튜브(130)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관(15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주입관의 수직단면도인 도 3,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주입관의 수직단면도인 도 4 및 상기 도 3에 도시된 밸브의 개폐방식을 도시한 수직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에어 주입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주입관(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130)와 에어펌프(140)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펌프(140)를 통해 발생된 에어를 상기 에어튜브(130)에 주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일단에는 일정형상의 밸브(160)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160)는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일단에서 승,하강 됨으로써 상기 에어 주입관(160)을 개폐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일단 내부에는 상기 밸브(160)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홀(151)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15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살(1520에 의해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밸브(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홀(151)을 통해 승,하강 된다.
이때, 상기 밸브(160)의 일단에는 상기 밸브(160)의 승강시 상기 밸브(160)가 상기 가이드 홀(1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형상의 걸림 턱(161)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밸브(160)의 하강시 상기 밸브(160)가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외경과 동일 또는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밀착 판(16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밀착 판(162)은 밸브(160)의 하강시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일단에 밀착되어 주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튜브(130)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밸브(160)는 상기 에어펌프(140)의 작동 중단시, 상기 에어튜브(130)에 주입된 에어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주입관(150)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160)의 걸림 턱(161)과 가이드 홀(151)의 하부 사이에 상기 밸브(160)의 자동 폐쇄를 위한 탄성체(163)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63)는 상기 밀착 판(162)이 상기 에어 주입관(150)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스프링을 이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주입관(150)은 상기 탄성체(163)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주입관(150)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토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기 에어펌프(140)의 작동시 상기 에어펌프(14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160)가 상기 에어 주입관(150)의 가이드 홀(151)을 따라 승강되면서 개방된다.
따라서, 밸브(160)의 개방에 따라 에어가 상기 에어튜브(1310)의 내부로 주입되며 주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에어튜브(130)는 직립된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130)에 충분한 에어가 주입되었다고 사용자가 판단하고 상기 에어펌프(140)의 작동을 중단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밸브(160)는 상기 에어튜브(130)의 내부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에어의 누출을 차단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브(160)는 상술한 내부압력 및 별도로 구비되는 탄성체(163)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되어 에어의 누출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130)의 하부에 상기 에어튜브(130)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키기 위한 발광수단(17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170)을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이용하며, 상기 발광수단(170)의 전원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에어펌프(140)의 전원과 동일한 차량의 축전지를 이용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100)는 상기 발광수단(170)을 통해 야간 또는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후방 차량 운전자가 상기 문자 또는 기호(131)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는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해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에 에어튜브를 설치하여 차량사고 등 비상시 선루프에 장착시킨 에어튜브에 에어를 공급하여 직립시킴으로써 연이어 뒤따라오는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전방 차량의 비상상황을 신속하게 확인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킬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야간, 우천시 등과 같은 악 조건에서도 식별성을 향상시켜 2차, 3차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110 : 선루프
111 : 선루프 프레임
120 : 수용박스
121 : 박스커버
130 : 에어튜브
131 : 문자 또는 기호
132 : 배기구
133 : 힘재부
134 : 이음살
140 : 에어펌프
150 : 에어 주입관
151 : 가이드 홀
152 : 고정살
160 : 밸브
161 : 걸림 턱
162 : 밀착 판
163 : 탄성체
170 : 발광수단
R : 루프패널

Claims (5)

  1. 차량의 루프패널에 장착되는 선루프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의 프레임 전방 내측에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에 수납되는 에어튜브; 및
    상기 루프패널에 매립되며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에어튜브를 직립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튜브의 일면에는 후방 차량에 전방 차량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기호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관이 구비되되, 상기 에어 주입관의 일단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 중단시, 상기 에어튜브에 주입된 에어가 역류되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 중단시,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압력 또는 상기 밸브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주입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튜브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힘재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내부로 빛을 조사시켜 상기 문자 또는 기호의 야간식별을 위한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KR1020150029719A 2015-03-03 2015-03-03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KR10175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19A KR101759293B1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19A KR101759293B1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47A true KR20160106947A (ko) 2016-09-13
KR101759293B1 KR101759293B1 (ko) 2017-07-18

Family

ID=5694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719A KR101759293B1 (ko) 2015-03-03 2015-03-03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8305A (zh) * 2017-06-03 2017-12-12 朱飒昊 快速警示装置及其安装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047B1 (ko) 2021-03-17 2022-07-15 송호종 비상표시대 장착형 선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6728A (ja) * 2007-11-08 2009-05-28 Kenwood Corp 事故車両への追突防止装置
KR101252104B1 (ko) * 2013-01-11 2013-04-12 박의종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KR200476127Y1 (ko) * 2014-10-14 2015-01-30 조일봉 자동차 안전 알림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8305A (zh) * 2017-06-03 2017-12-12 朱飒昊 快速警示装置及其安装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293B1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104B1 (ko) 자동차의 풍선형 안전표지판
KR101687708B1 (ko) 비상표시장치
KR101759293B1 (ko) 차량용 선루프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량 안전 표시용 에어튜브
CN104340159A (zh) 一种汽车防泡水系统及汽车
CN206941483U (zh) 智能式道路施工安全防护栏
KR20130065523A (ko) 안전표시장치
CN107190671B (zh) 车道隔离警示柱及其警示方法
KR100687248B1 (ko) 식별성이 우수한 자동차 안전표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안전표지 구조물 세트
KR101793390B1 (ko) 차량의 안전 표시 시스템
KR101388725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101566871B1 (ko) 풍선튜브 안전표시판
CN108665681A (zh) 基于数据处理的城市内涝预警、防护及救援系统
CN211663151U (zh) 汽车防追尾警示装置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200388818Y1 (ko) 이동식 임시 신호등 및 제어장치
KR200280954Y1 (ko) 교통 안전 표시구
KR200245919Y1 (ko) 교통 안전 표시구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CN205822051U (zh) 电子智能双向交通安全警示标志
CN216551679U (zh) 一种道路施工用警示路桩
KR102113864B1 (ko) 휴대용 비상표시장치
KR100199412B1 (ko) 자동차 도어에 구비되는 안전표시장치
KR20050061906A (ko) 자동차 에어튜브 안전 표지판
CN202935241U (zh) 一种汽车车门边警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