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463A - 리필용 캡슐장치 - Google Patents

리필용 캡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463A
KR20160106463A KR1020150029470A KR20150029470A KR20160106463A KR 20160106463 A KR20160106463 A KR 20160106463A KR 1020150029470 A KR1020150029470 A KR 1020150029470A KR 20150029470 A KR20150029470 A KR 20150029470A KR 20160106463 A KR20160106463 A KR 2016010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container
folded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15002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463A/ko
Publication of KR2016010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65D25/085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the partition being in the form of a plug or the like which is dislodged by means of a plunger rod or the like pushing the plu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리필용 캡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접철부를 기준으로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된 리필용 캡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필용 캡슐장치{omitted}
본 발명은 분무기(트리거 스프레이어)가 장착된 용기와, 상기 용기내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 용기를 폐기하지 않고, 상기 용기에 캡슐장치를 결합하여 즉석에서 이종물질을 혼합하는 리필용 캡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미국특허3,655,096/7,331,486/6,041,969/5,421,483/
6,182,865/6,290,100 및 미국특허공개2007/228074 및 미국특허 5,957,335/
6,152,326/5,529,216/5,836,479/8,302,816/8,261,943/4,201,316/6,997,351/7,874,420 및 PCT/KR2010/8175가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 또한 생활환경의 변화로 스프레이 용기(분무기)는 가정이나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분무기는 편리함과 더불어 이젠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등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상기한, 분무기의 편리한 이면에 환경오염이란 문제가 있어, 분무기를 채용하여 유통하는 제조업체에서는 사용 후 용기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리필용 제품을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점으로는, 사용이 번거롭고 아직 대중화되지 못하여 구입이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소비자의 경우, 리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손쉬운 완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격은 다소 비싸도 편리함이 주는 만족도가 더 커 리필 문화는 아직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분무기가 장착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기업 또는 개인을 불문하고 많은 분야에서 리필장치를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일예로 미국특허3,655,096/7,331,486의 경우는, 배출관의 뾰쪽한 단부를 통해 캡슐장치의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구성한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으로는 캡슐장치를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미국특허6,041,969/5,421,483/6,182,865/6,290,100 및 미국특허공개2007/228074 및 미국특허 5,957,335의 경우는, 펌프장치를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캡슐장치의 수용부 하단 밀폐부가 절취되거나 분리되면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단점으로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위치된 것만 수용가능하고,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서 벗어나 측방에 형성된 것의 경우는 적용이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다른 유형으로서, 미국특허 6,152,326/5,529,216/5,836,479의 경우는, 캡슐장치의 수용부에 다수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하나의 캡슐장치를 통해 적어도 2회 이상 리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문제점으로는,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펌프장치를 통해서는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별도의 보조수단을 부가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한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기술로서, 미국특허 8,302,816의 경우는, 캡슐장치의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부를 둔 특징이 있으며, 상기함에도 불구하고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형성된 것만 수용 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것으로서, 미국특허 8,261,943의 경우는, 펌프장치의 배출관 구성 위치에 관계없이 캡슐장치에 펌프장치를 수용 가능하도록 캡슐장치에 배출관 결합공간을 보다 넓게 구성한 특징이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문제점으로는, 캡슐장치에 든 이종물질을 혼합하기 위해서는 캡슐장치의 하단에 형성된 마개를 제거하고 마개가 제거된 배출구를 통해 이종물질을 용기에 혼합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것으로서, 미국특허 4,201,316의 경우는, 펌프장치를 결합하면 캡슐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에 수용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상부로 천공되고, 그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에 든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혼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문제점으로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위치된 것만 사용할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것으로서, 미국특허 6,997,351의 경우는, 캡술장치를 회전시키는 과정에 내부에 설치된 수용부가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한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 하단부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상부로 천공되면서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역시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형성된 것만 사용할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것으로서, 미국특허7,874,420의 경우는, 캡슐장치의 상부면이 하부로 접철되면서 수용부의 저장공간이 열리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그러나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형성된 것만 사용할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것으로서, PCT/KR2010/8175의 경우는, 캡슐장치의 수용부를 개방하기 위해 설치된 작동부가 필름 형태로 되어 있는바, 캡슐장치의 수용부를 개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문제점으로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정 중앙에 있는 것만 적용이 가능한 폐단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는, 펌프장치의 배출관 구성 위치와 무관하게 리필용 캡슐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둔다.
그리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접철부를 기준으로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된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접철부는 연질의 수지인 것이며, 상황에 따라 상기 연질의 수지는 고무재질로서 베리어성이 있으면 최적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 상단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이며, 상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의 것이 좋다.
일 양상에 따르면,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둔다.
그리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이 형성됨과, 상기 구부공간이 있는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면,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부 및 접철부가 수용부본체에 위치될 때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상기 캡슐장치를 기준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며,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고,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알루미늄박판인 것이 좋고, 다르게는,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의 내측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두고, 상기 절취막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를 형성한 것도 한 예이다.
또한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의 내측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두고, 상기 절취막의 상방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인 것도 좋은 예이고, 다르게는,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이 좋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의 외측부는 편향되게 설계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된 공간인 것이다.
또한 상기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하고, 다르게는, 상기 상부밀폐부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이 구부의 내측방향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절취막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가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밀폐부는 알루미늄 박판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를 밀폐하는 덮개이며,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부의 저부에 형성된 구부마개가 구부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부의 외환부로 덮개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상면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덮개절취선이 파괴되면서 덮개상면부와 함께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밀폐부를 둔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상부구멍을 밀폐시키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접철부의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한다.
또한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이자 측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배출관삽입공간을 접철부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편심 되게 두며, 상기 접철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둔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된다.
또한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삽입공간을 중심으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삽입하되, 배출관의 편심정도에 따라 배출관삽입공간의 중앙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배출관이 삽입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삽입공간의 외측방향에서 상부로 길게 돌출된 구부공간이 있는 구부를 접철부의 상방에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체측면부의 내측부에는 용기목에 결합 가능한 본체결합용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되어 본체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내부공간의 하단에는 하부밀폐부가 형성됨과, 상기 본체결합부의 본체내부공간을 중심으로는 상부작동부관부가 있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단 내부에는 상부밀폐부를 두고,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단 외환부에는 펌프장치의 조립부를 조립할 수 있는 상부작동부구부나사산이 있는 상부작동부구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밀폐부는 본체절취선을 구획된 본체절취막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상부작동부구부절취선으로 구획된 상부작동부구부절취막을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를 압박하면 상부작동부관부가 하향되면서 본체절취막이 열리고, 동시에 본체내부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은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결합부는 리필 대상의 용기목에 결합되고, 펌프장치의 조립부는 상부작동부구부를 중심으로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 형태인 것이 좋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체결합부관부가 있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의 하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의 본체내부공간으로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가 형성됨과,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은 상부밀폐부로 밀폐된 것이며, 다르게는,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인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둥근형의 본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의 하부는 낙하공간과 돌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의 내부공간으로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가 형성됨과,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작동부관부의 하단부는 결합용개방체로 밀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은 상부밀폐부로 밀폐된 것이며, 다르게는,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인 것이 좋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캡슐장치는, 상부에 접철부를 두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관부형의 원통부를 두며, 상기 저장공간이 있는 관부의 하단은 하부밀폐부로서 밀폐하며, 상부의 접철부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을 두되,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은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공간을 갖는 것이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은 필름 형태의 것으로 밀폐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부로 접철부를 두고, 접철부의 하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본체의 하단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됨과,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편심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구멍을 두고, 상기 상부구멍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가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 하단부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부가 있는 결합용개방체를 조립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하고, 수용부본체의 하단부는 필름 형태의 것으로 하부밀폐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결합용개방체절취선으로 구획된 결합용개방체절취막을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캡슐장치는, 접철부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부본체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측향으로 더 확장된 구멍을 두며, 상기 구멍은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가 밀폐하고,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체를 형성한 것임과, 상기 결합용개방체의 외환부에는 나선형의 작동용돌기를, 상기 작동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용개방체돌기홈은 수용부본체의 내벽부에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본체의 내부 저장공간 하단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한 것이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캡슐장치는, 결합본체수용부가 있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수용부의 내부로는 작동용본체를 조립하며, 상기 작동용본체는 상부로 작동용본체구부를 두고, 하부로는 결합본체밀폐부에 대응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는 작동용본체하부를 형성함과, 상기 결합본체수용부의 하단에 조립된 결합본체밀폐부는 결합본체수용부저장공간을 기밀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본체밀폐부는 작동용본체가 하부로 이동할 때에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용본체는,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작동용본체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용본체내부공간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편심되게 외향으로 공간이 배치된 부분이 중앙 부분으로 모아져 작동용본체하부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용본체에는 작동용본체돌편을 두어, 상기 작동용본체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용본체돌편이 결합본체밀폐부를 분리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리필전의 완제품은 매장의 진열 공간을 많이 확보하고, 또한 과 중량으로 유통비용이 과하게 지출되며, 또한 용기를 폐기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이 심각하지만 본 발명의 캡슐장치는, 완제품의 1/5도 안 되는 부피로 매장의 진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음은 물론, 중량 또한 1/20 미만으로 매우 가벼워 유통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됨과, 또한 순환리필이 가능하여 쓰레기 공해를 줄일 수 있는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르게는,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다양한 산업으로 진출하는 게 가능하고, 아울러 소비를 촉진하여 산업발전을 도모하는 순기능도 있다.
도 1 내지 도 30 은는 본 발명의 제1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은 본 발 캡슐장치의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 는 구부에 상부밀폐부가 적용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3 은 저장공간을 중심으로 이종물질을 충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 는 수용부본체의 하단이 하부밀폐부로 밀폐되고, 상방의 구부는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5 는 캡슐장치를 용기(B)의 용기목(BN)을 중심으로 결합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6 은 용기에 펌프장치(P1)를 결합한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7 은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펌프장치를 용기목(BN)으로부터 분리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8 은 캡슐장치의 구부에 상부밀폐부를 형성함에 있어, 상부밀폐부를 제거하지 않고 펌프장치의 배출관 하단부를 통해 상부밀폐부를 제가 가능하도록 상부밀폐부를 설치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9 는 구부의 내부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과, 상기 절취막에는 당김손잡이를 두어 누구나 쉽게 절취막(12)을 제가할 수 있게 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0 은 도 9 의 내용을 종단면 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 은 도 9 의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2 는 도 9 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3 은 접철부를 이중 사출 방식으로 하지 않고 단일의 사출로서 연출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변형의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5 는 단일의 사출물로서 캡슐장치를 나타내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7 은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사시도이고,
도 18 은 도 17 의 종단면도이며,
도 19 는 도 17 의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0 은 구부에 덮개를 적용하여 본 변형의 예이고,
도 21 은 도 20 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접철부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마감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3 은 도 22 에 따른 수용부본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24 는 도 22 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25 내지 도 30 은 캡슐장치를 유통을 위하여 포장하는 방법을 보인 일 사시도이다.
특히 도 29 의 경우는, 포장용기(100D)를 분무기(용기) 형태로 하여 리필을 위한캡슐장치임을 인식 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포장을 한 예이다.
도 31 은 본 발명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2 의 경우는, 도 31 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33 의 경우는 배출관삽입공간을 중심으로 절개한 종단면도이며,
도 34 의 경우는 캡슐장치에 이종물질을 충진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고,
고 35 의 경우는 수용부본체 하단부를 하부밀폐부로 밀폐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6 의 경우는 도 35 의 일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7 의 경우는 캡슐장치를 용기목에 결합한 상태의 1차 모습이며,
도 38 의 경우는 도 37 과 같은 상태에서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희석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9 의 경우는 펌프장치를 결합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0 의 경우는 도 31 과 같은 상태에서 접철부의 상방에 돌출된 구부를 형성한 종단면도이고,
도 41 의 경우는 도 40 의 상황에서 수용부본체 부위 횡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42 는 도 31 의 변형의 예이다.
도 43 의 경우는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44 의 경우는 도 43 의 사시도이다.
도 45 의 경우는 도 43 의 변형의 예이다.
도 46 은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로서, 종단면도이며,
도 47 은 도 46 의 변형의 예이다.
도 48 은 본 발명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로서, 종단면도이고,
도 49 및 도 50 은 도 48 의 변형의 예이고,
도 51 은 도 50 에 있어서, 결합용개방체의 일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2 내지 도 53 은 본 발명 캡슐장치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2 는 사용전의 종단면도이고,
도 53 은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중앙에 형성된 것이 캡슐장치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도 54 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측방에 형성된 것이 캡슐장치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55 는 배출관의 위치에 따라 캡슐장치에 배출관삽입공간을 설치하는 일예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는,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6)를 두며, 상기 구부(6)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둔다.
그리고 상기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9)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9)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B)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B)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된 용기(B)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P1)는, 펌프장치(P1)의 손잡이(P2)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P4)을 통해 노즐(P3)로 분사되는 것이다.
* 그리고 상기 구부(6)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7)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7)은, 구부공간(7)의 중앙이자 접철부(4)를 기준으로 중앙에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7)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1)의 수용부본체(2A) 근처까지 연장시킨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면, 캡슐장치(1)가 완성된(이종물질이 저장공간에 넣어진 상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접철부(4)의 상부에 조립된 덮개(11)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환테(1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장치(1)가 용기목(BN)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여기서 약간의 설계변경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접철부(4)는 이중 사출로 성형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지만, 기타 조립도 가능하다. 그러나 조립의 경우 밀폐성 문제가 있어 이는 절대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다.
그리고 접철부(4) 부분은 기타 연질의 필름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성형하여 열접착이나 초음파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 의 경우는, 덮개(11)를 생략한 캡슐장치(1)의 완성된 상태다.
도 3 의 경우는, 충진부(F)를 통해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을 넣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덮개(11)가 조립된 것이 품질면에서 안정적일 것이다.
도 5 의 경우는, 캡슐장치(1)가 용기목(BN)에 조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상기한 상태에서 덮개(11)를 제거하고 구부(6) 상단을 압박하면 접철부(4)가 하방으로 접히면서 개방부(5)가 하강하고, 상기한 과정에 개방부(5)가 하부밀폐부(9)를 절취하며, 동 과정에 저장공간(3)에 든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상부밀폐부(8)를 제거하고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을 구부(6) 내부를 중심으로 넣은 후 펌프장치결합부(PC)를 용기(BN)을 중심으로 결합하면 도 6 과 같이 캡슐장치(1)가 결합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손잡이(P2)를 작동시키면 용기(B) 내부의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관((P4)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노즐(P3)을 통해 비산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배출관(P4)이 중앙에 있지 않고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을 경우, 배출관(P4)을 중앙부가 아닌 중앙부의 외측인 구부공간(7)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도 7 의 경우는, 혼합된 내용물을 전부 사용한 후에 새로운 캡슐장치(1)로 교체하고자 할 때에 펌프장치본체(PC-1)를 분리하면 결합용나사산(PC-2)이 접어진 형태의 탄력적인 환테(10)를 걸고 캡슐장치(1)와 함께 용기목(BN)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슐장치(1)를 펌프장치(P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에는 수용부본체(2A)를 잡아 당기면 환테(10)가 뒤집히면서 캡슐장치(1)가 펌프장치(P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도 8 의 경우는, 구부(6)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밀폐부(8A)를 박판의 필름 소재로 접착 밀폐시킨 예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부(6) 상단을 압박하여 하부밀폐부(9)를 개방한 후에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 단부를 통해 상기 상부밀폐부(8A)를 파괴한 다음 펌프장치(P1)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 단부로 상부밀폐부(8A)를 파괴한 다음에 펌프장치(P1)를 용기목(BN)에 압박하면서 결합하면 접철부(4) 접히고, 그 과정에 개방부(5)가 하부밀폐부(9)를 파괴하여 저장공간(3)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참고적으로, 하부밀폐부(9)를 박판으로 처리하면, 배출관(P4) 단부를 통해 하부밀폐부(9)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배출관(P4)은 매우 단단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배출관(P4)은 하방의 하부밀폐부(9)를 파괴할 정도로 단단한 상태가 아님을 지적하는 바이다.
도 9 의 경우는, 접철부(4)가 접힌 후에 당김손잡이(13)를 당기면 절취선(14)이 파괴되면서 절취막(12)이 구부(6)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절취선(14)의 구조 및 절취막(12)의 형태를 도 10에서 잘 나타내 보이고 있다.
보충된 설명으로서, 상기 접철부(4)는 연질의 수지, 즉 고무재질 사용하여 다중 사출 성형한 것이 품질 안정면에서 아주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캡슐장치(1)를 다시 정리하면,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는,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6)를 두며, 상기 구부(6)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두고, 상기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9)를 파괴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밀폐부(9)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P1)는, 펌프장치(P1)의 손잡이(P2)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P4)을 통해 노즐(P3)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부(6)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7)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7)은, 구부공간(7)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2A)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7)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1)의 수용부본체(2A)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P4)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부공간(7)이 있는 구부(6)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8,8A)를 형성한 것이다.
첨언하여, 이상의 캡슐장치(1)를 다시 정리하면,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는,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P4)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6)를 두며, 상기 구부(6)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두고, 상기 구부(6)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8,8A)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9)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9)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부(6) 및 접철부(4)가 수용부본체(2A)에 위치될 때에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을 상기 캡슐장치(1)를 기준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6)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7)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7)은, 구부공간(7)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2A)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7)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1)의 수용부본체(2A)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P1)의 배출관(P4)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P4)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7)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밀폐부(8A)는 도 8 에서와 같이 알루미늄박판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폐부(8A)는, 도 9 에서와 같이, 구부(6)의 내측에 절취선(14)으로 구획된 절취막(12)을 두고, 상기 절취막(12)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당김손잡이(13)가 있는 절취막(12)을 별도 제작한 후에 구부(6)의 구부공간(7)에 결합하였다가 이를 잡아 당기거나 또는 밀어 넣어 구부(6)의 구부공간(7)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는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6)의 내측에 절취선(14)으로 구획된 절취막(12A)을 두고, 상기 절취막(12A)의 상방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 시에는, 절취막(12A)을 압박하면 절취선(14)이 파괴되면서 절취막(12A)이 저장공간(3)의 내부로 분리되는 것이고, 동시에 개방부(5)가 하부의 하부밀폐부를 파괴하게 된다.
여기서, 절취막(12A)을 별도 제작한 후에 구부(6)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상부로 돌출된 절취막을 압박하면 구부(6) 내부에 조립된 절취막이 하강하면서 구부(6)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2를 참고하면, 당김손잡이(13)가 있는 상부밀폐부(8B)를 구부(6)를 중심으로 결합한 것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접철부(4A)는 구부(6)와 동일 재질로 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이 경우, 접철부(4A)는 얇게 함이 바람직하고, 얇을 경우 베리어성 소재를 사용함이 당연할 것이다. 다르게는, 접철부(4A)가 두꺼울 경우 접철부(4A)에 접히는 형태의 주름을 형성하여 접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4의 경우는, 수용부본체(2A)를 조립수용부(2')로 한 경우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조립수용부(2')의 하단부를 하부절취선(16)으로 된 하부절취막(15)을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부의 경우는, 구부(6)가 조립용구부(6')로서 이루어진 바, 접철부(4B)의 소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 의 경우는, 수용부본체(2A)와 접철부(4C) 등이 단일의 소재로 된 캡슐장치(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때에는 접철부(4C)의 접힘성이 아주 중요하다.
도 16 의 경우에는,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구부(6)의 상단과 수용부본체(2A)의 각 단부를 상부밀폐부(8C)와 하부밀폐부(9)로 밀폐 처리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C)가 접히고, 그 과정에 개방부(5)가 하부밀폐부(9)를 파괴하여 저장공간(3)에 든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사용의 예로서,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는,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2)(또는 수용부본체(2A)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6)를 두며, 상기 구부(6)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둔다.
* 그리고 상기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부(6)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7)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7)은, 구부공간(7)의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7)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의 외측부는 편향되게 설계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된 공간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부(6)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상부밀폐부는 절취선(14)으로 구획된 절취막(12)이 구부(6)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절취막(12)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13)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밀폐부(8D)는 도 19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박판일 수 있다.
또는 도 20 및 도 2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6)를 밀폐하는 덮개(11)이며, 상기 덮개(11)는, 덮개상면부(18)의 저부에 형성된 구부마개(17)가 구부(6)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덮개(11)는 덮개상면부(18)의 외환부로 덮개절취선(19)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상면부(18)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덮개절취선(19)이 파괴되면서 덮개상면부(18)와 함께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개방부(5)가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구부공간(7)은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편심이 된 경우에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중앙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적으로, 도 21을 참고하면, 덮개상면부(18)의 임의 양측방부가 공간으로 되게 하여 덮개절취선(19)이 절취되면 덮개상면부(18)가 하부로 용이하게 하강하는 것을 돕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22 이하에 따라 설명하면,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는,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밀폐부(8E)를 두며, 상기 상부밀폐부(8E)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상부구멍(21)을 밀폐시키고 있는 것이고, 상기 접철부(4)의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두며, 상기 접철부(4)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개방부(5)가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도 25 는 튜브 형태의 포장용기(100)에 캡슐장치(1)를 포장한 예이고, 도 26은 블리스터 포장용기(100A)의 일예이다.
도 27은 병열포장의 포장용기(100B)를 보인 일예이고, 도 28은 직렬포장의 포장용기(100C)일예이다.
도 29는 분무기가 장착된 포장용기(100D) 형태에 캡슐장치(1)를 포장한 일예를 보이고 있고, 도 30의 경우는, 상기한 포장용기(100D)를 진열대의 걸이대(101)에 걸어서 진열한 일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이하 도 31부터 도 39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캡슐장치(1)는, 내부 저장공간(3)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1)와, 저장공간(3)이 있는 원통형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4)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이자 측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배출관삽입공간(22)을 접철부(4)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편심 되게 두며, 상기 접철부(4)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5)를 두고, 상기 접철부(4)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철되면서 개방부(5)가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9)를 파괴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밀폐부(9)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3)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삽입공간(22)을 중심으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삽입하되, 배출관의 편심정도에 따라 배출관삽입공간(22)의 중앙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배출관이 삽입되는 것이다.
도 32는 도 31의 선 A-A에 따란 횡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저장공간(3)이 말굽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3)의 면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배출관삽입공간(22)이 도 3와 같이 최적화 되어 있는바 그 외 부분을 저장공간(3)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3의 경우는, 배출관삽입공간(22)과 저장공간(3)이 효율적으로 안배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4의 경우는, 저장공간(3)을 통해 이종물질을 충진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5의 경우는, 저장공간(3)의 하단부를 하부밀폐부(9)로서 밀폐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6의 경우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본체(2A)의 하단부를 하부밀폐부(9)로서 밀폐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의 하단부는 저장공간하부밀폐부(9')로서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고, 배출관삽입공간(22)의 하단부는 배출관삽입공간하부밀폐부(9")와 같이 일부 이상이 절단되어 있어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르게는, 배출관삽입공간하부밀폐부(9") 부위를 천공시킬 수 있다.
도 37의 경우는, 캡슐장치(1)가 용기(B)에 결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한 상태에서 접철부(4)의 상단부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히면서 개방부(5)가 하부밀폐부(9)를 천공시키게 되며, 상기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38과 같다.
상기 도 38과 같은 상태에서, 펌프장치(P1)를 캡슐장치(1)에 결합하면 도 39와 같이 조립부(P5)가 캡슐장치(1)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배출관(P4),은 공간이 넓게 확보된 배출관삽입공간(22)을 통해 삽입시키면 된다. 이 경우, 배출관(P4)이 편심되어 있어도 배출관삽입공간(22)이 중앙에서 외측향으로 넓게 구성되어 있는바 편심된 배출관(P4)을 결합하는 것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39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P2)를 압박하면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관(P4)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노즐(P3)을 비산되는 것이다.
도 40, 도 41의 경우는, 배출관삽입공간(22)의 외측방향에서 상부로 길게 돌출된 구부공간(7)이 있는 구부(6)를 접철부(4)의 상방에 형성한 것이며, 도 22의 경우는 캡슐장치(1)의 횡단면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시에는, 구부(6)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히면서 개방부(5)가 하부의 하부밀폐부를 파괴시키게 되는 것이며, 펌프장치의 배출관은 상기 배출관삽입공간(22)을 통해 삽입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배출관이 편심되어 있을 경우, 배출관삽입공간(22)의 외측방향 공간에 배출관을 삽입하면 된다.
도 42는, 접철부(4)의 상방에 돌출된 압박부(23)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또 다른 변형의 예로서(도 43 내지 도 45 참고), 본체측면부(31)의 내측부에는 용기목에 결합 가능한 본체결합용나사산(32)이 형성되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되어 본체내부공간(35)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내부공간(35)의 하단에는 하부밀폐부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하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의 것도 무난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본체절취선(34)으로 구획된 본체절취막(33) 형식의 것이 무난하다.
또한 상기 본체결합부(30)의 본체내부공간(35)을 중심으로는 상부작동부관부(41)가 있는 상부작동부(40)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40)의 상단 내부에는 상부밀폐부를 두고, 상기 상부작동부(40)의 상단 외환부에는 펌프장치의 조립부를 조립할 수 있는 상부작동부구부나사산(44)이 있는 상부작동부구부(43)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밀폐부는 본체절취선(34)으로 구획된 본체절취막(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상부작동부구부절취선(46)으로 구획된 상부작동부구부절취막(45)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작동부(40)를 압박하면 상부작동부관부(41)가 하향되면서 본체절취막(33)이 열리고, 동시에 본체내부공간(35)에 있던 이종물질은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결합부(30)는 리필 대상의 용기목에 결합되고, 펌프장치의 조립부는 상부작동부구부(43)를 중심으로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도 4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밀폐부(8F)는 필름 형태로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44를 참고하면, 상부작동부구부(43)에는 간헐적으로 트여진 공간(S)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유는, 펌프장치가 결합될 때에 있어, 펌프장치의 펌프장치결합부 나사산의 치수가 다소 차이가 날지라도 공간(S) 때문에 상부작동부구부나사산(44)이 탄력적으로 작동하여 결합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측면부(3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측면부탄력부(36)은 본체측면부탄력부절단선(37) 때문에 본체측면부탄력부(36)가 용기목에 탄력적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작동부구부(43)의 하단부에는 상부작동부구부절취선(49)으로 구획된 상부작동부구부측면부(48)가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6을 참고하면, 본체결합부관부(60A)가 있는 본체결합부(60)와, 상기 본체결합부(60)의 하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되고, 상기 본체결합부(60)의 본체내부공간(65)으로는 상부작동부(50)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50)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50)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52,53)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52,53)은 상부밀폐부(8G)로 밀폐된 것이며, 상기 상부밀폐부(8G)는 필름형태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캡슐장치(1)의 사용 시에는, 캡슐장치(1)를 용기목에 결합하고, 상부작동부(50)의 상면을 압박하면 상부작동부관부(51)가 하향되며, 상기한 과정에 상부작동부관부개방부(54)가 본체절취선(64)을 파괴함과 동시에 본체절취막(63)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차의 후에는, 상부밀폐부(8G)를 제거하고 펌프장치의 배출관 위치에 따라 배출관을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52,53)에 삽입한 후에 펌프장치를 용기목에 결합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부밀폐부(8G)를 박판으로 하여 상부밀폐부(8G)를 제거시키지 않고 배출관의 단부를 통해 상부밀폐부(8G)를 파괴한 후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7의 경우는, 둥근형의 본체결합부(60)와, 상기 본체결합부(60)의 하부는 낙하공간(67)과 돌핀(66)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부(60)의 내부공간으로는 상부작동부(50)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50)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작동부(50)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52,53)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작동부관부(51)의 하단부는 결합용개방체(70)로 밀폐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52,53)은 상부밀폐부(8G)로 밀폐된 것이며, 상기 상부밀폐부(8G)는 필름형태인 것이 좋은 예이다.
그리고 상기 도 47과 같은 상태에서 상부작동부(50)를 압박하면 돌핀(66)에 결합용개방체(70)가 파괴되면서 본체내부공간(65)의 내용물이 낙하공간(67)을 경유하여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 도 48의 경우는, 캡슐장치(1)는, 상부에 접철부(4)를 두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관부형의 원통부를 두며, 상기 저장공간(3)이 있는 관부의 하단은 하부밀폐부로서 밀폐하며, 상부의 접철부(4)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72)을 두되,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72)은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공간을 갖는 것이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72)은 필름 형태의 것으로 밀폐된 것이다.
부가하면,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72)의 상방부를 상부밀폐부(8H)로서 기밀 처리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 도 49의 경우에는, 상부로 접철부(4)를 두고, 접철부(4)의 하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3)이 있는 수용부본체(2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본체(2A)의 하단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됨과, 상기 접철부(4)의 상단에는 편심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구멍을 두고, 상기 상부구멍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75)가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75) 하단부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부(71)가 있는 결합용개방체(70)를 조립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75) 상방에는 상부밀폐부(8H)를 형성하고, 수용부본체(2A)의 하단부는 필름 형태의 것으로 하부밀폐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결합용개방체절취선(74)으로 구획된 결합용개방체절취막(73)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접철부(4)의 상단부를 압박하면 접철부(4)가 접히고, 상기한 과정에 결합용개방부(71)가 하부밀폐부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결합용개방체(70)는 상부의 접철부에 분리되어 접철부에 상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상부구멍을 중심으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삽입하면 된다.
또 다른 실시로서, 도 50의 경우는, 캡슐장치(1)는, 접철부(4)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부본체(2A)를 두고, 상기 접철부(4)의 상방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측향으로 더 확장된 구멍을 두며, 상기 구멍은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82)가 밀폐하고,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82)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체(80)를 형성한 것임과, 상기 결합용개방체(80)의 외환부에는 나선형의 작동용돌기(81)를, 상기 작동용돌기(81)에 대응하는 결합용개방체돌기홈(83)은 수용부본체(2A)의 내벽부에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본체(2A)의 내부 저장공간 하단부는 하부밀폐부(9)로 밀폐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접철부(4)의 상방부를 압박하면 작동용돌기(81)가 결합용개방체돌기홈(83)를 따라 내려가고, 상기한 과정에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82)가 접철부(4)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에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분리된 구멍을 통해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삽입하게 되는데, 도 51을 참고하면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82)가 회전하면서 이격하고 이때 작동용돌기공간부(84)가 접철부(4)에 형성된 공간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2의 경우는, 캡슐장치(1)는, 결합본체수용부(91)가 있는 결합본체(90)와, 상기 결합본체수용부(91)의 내부로는 작동용본체(110)를 조립하며, 상기 작동용본체(110)는 상부로 작동용본체구부(111)를 두고, 하부로는 결합본체밀폐부(120)에 대응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는 작동용본체하부(112)를 형성함과, 상기 결합본체수용부(91)의 하단에 조립된 결합본체밀폐부(120)는 결합본체수용부저장공간(92)을 기밀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본체밀폐부(120)는 작동용본체(110)가 하부로 이동할 때에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용본체(110)는,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작동용본체(110)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용본체내부공간(113)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편심되게 외향으로 공간이 배치된 부분이 중앙 부분으로 모아져 작동용본체하부(112)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용본체(110)에는 작동용본체돌편(114)을 두어, 상기 작동용본체(1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용본체돌편(114)이 결합본체밀폐부(120)를 분리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5의 경우는, 펌프장치(P1)의 조립부(P5)에 배출관(P4,P4')이 각각 달리 설치될 수 있음과, 상기 배출관(P4,P4')이 저장공간(3)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배출관삽입공간(22,22A,22B)을 형성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청소용품, 가든용품 등 산업이나 가정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리필용 캡슐장치이다.
1: 캡슐장치
2: 수용부
3: 저장공간
4: 접철부
5: 개방부
6: 구부
7: 구부공간
8, 8A: 상부밀폐부
9: 하부밀폐부
10: 환테
11: 덮개
12: 절취막
13: 당김손잡이
14: 절취선
18: 덮개상면부
19: 덮개절취선
22: 배출관삽입공간
23: 압박부
31: 본체측면부
32: 본체결합용나사산
33: 본체절취막
34: 본체절취선
35: 본체내부공간
36: 본체측면부탄력부
37: 본체측면부탄력부절단선
40: 상부작동부
41: 상부작동부관부
43: 상부작동부구부
44: 상부작동부구부나사산
48: 상부작동부구부측면부
49: 상부작동부구부절취선
50: 상부작동부
52, 53 :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관
54: 상부작동부관부개방부
60: 본체결합부
64: 본체절취선
65: 본체내부공간
67: 낙하공간
70: 결합용개방체
71: 결합용개방부
72: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
74; 결합용개방체절취선
75: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
80: 결합용개방체
81: 작동용돌기
82: 개방체상부돌기
83: 결합용개방체돌기홈
84:작동용돌기공간부
90: 결합본체
91: 결합본체수용부
92: 결합본체수용부저장공간
100: 포장용기
101: 걸이대
110: 작동용본체
111: 작동용본체구부
112: 작동용본체하부
114: 작동용본체돌편
120: 결합본체밀폐부
P1: 펌프장치
P2: 손잡이
P3: 노즐
P4: 배출관
PC: 펌프장치결합부
B: 용기
BN: 용기목

Claims (38)

  1.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리필용 캡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접철부를 기준으로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연질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수지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 상단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5.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리필용 캡슐장치와,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이 형성됨과,
    상기 구부공간이 있는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6.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구부 및 접철부가 수용부본체에 위치될 때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상기 캡슐장치를 기준으로 결합하는 리필용 캡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이자 수용부본체를 기준으로 횡단면상으로 보았을 때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은 캡슐장치의 수용부본체 근처까지 연장되게 하여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편심되게 설치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구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알루미늄박판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의 내측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두고, 상기 절취막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의 내측에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두고, 상기 절취막의 상방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1.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구부를 두며, 상기 구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구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리필용 캡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부에는 내측으로 구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부공간은, 구부공간의 중앙에 펌프장치의 배출관이 수용되는 공간이고, 동시에, 구부공간은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확장된 공간이 되게 하며, 상기 확장된 공간의 외측부는 편향되게 설계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의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이 구부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막의 상방에는 당김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항 리필용 캡슐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알루미늄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구부를 밀폐하는 덮개이며,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부의 저부에 형성된 구부마개가 구부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덮개상면부의 외환부로 덮개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상면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덮개절취선이 파괴되면서 덮개상면부와 함께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18.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밀폐부를 두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상부구멍을 밀폐시키고 있는 것이며,
    상기 접철부의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리필용 캡슐장치.
  19. 내부 저장공간에 이종물질이 든 캡슐장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방에는 접철이 가능한 접철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이자 측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배출관삽입공간을 접철부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편심 되게 두며, 상기 접철부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개방부를 두고,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접철되면서 개방부가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밀폐부를 파괴하며,
    상기 하부밀폐부가 열리면 상기 저장공간의 내용물은 용기 내부로 낙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인 펌프장치는, 펌프장치의 손잡이를 압박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을 통해 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리필용 캡슐장치와,
    상기 배출관삽입공간을 중심으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삽입하되, 배출관의 편심정도에 따라 배출관삽입공간의 중앙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배출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삽입공간의 외측방향에서 상부로 길게 돌출된 구부공간이 있는 구부를 접철부의 상방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1. 본체측면부의 내측부에는 용기목에 결합 가능한 본체결합용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되어 본체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내부공간의 하단에는 하부밀폐부가 형성됨과,
    상기 본체결합부의 본체내부공간을 중심으로는 상부작동부관부가 있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단 내부에는 상부밀폐부를 두고,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단 외환부에는 펌프장치의 조립부를 조립할 수 있는 상부작동부구부나사산이 있는 상부작동부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밀폐부는 본체절취선을 구획된 본체절취막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밀폐부는 상부작동부구부절취선으로 구획된 상부작동부구부절취막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작동부를 압박하면 상부작동부관부가 하향되면서 본체절취막이 열리고, 동시에 본체내부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은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결합부는 리필 대상의 용기목에 결합되고, 펌프장치의 조립부는 상부작동부구부를 중심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5. 본체결합부관부가 있는 본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의 하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의 본체내부공간으로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가 형성됨과,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은 상부밀폐부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8. 둥근형의 본체결합부와, 상기 본체결합부의 하부는 낙하공간과 돌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결합부의 내부공간으로는 상부작동부를 결합하며, 상기 상부작동부는 하부로 길게 연장된 상부작동부관부가 형성됨과,
    상기 상부작동부의 상방에는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환부로 확장된, 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는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작동부관부의 하단부는 결합용개방체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작동부배출관삽입공간은 상부밀폐부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밀폐부는 필름형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1. 캡슐장치는, 상부에 접철부를 두고, 하부로는 길게 연장된 관부형의 원통부를 두며, 상기 저장공간이 있는 관부의 하단은 하부밀폐부로서 밀폐하며, 상부의 접철부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을 두되,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은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공간을 갖는 것이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공간은 필름 형태의 것으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2. 상부로 접철부를 두고, 접철부의 하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본체의 하단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됨과,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편심된 펌프장치의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구멍을 두고, 상기 상부구멍에는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가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 하단부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부가 있는 결합용개방체를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 상방에는 상부밀폐부를 형성하고, 수용부본체의 하단부는 필름 형태의 것으로 하부밀폐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결합용개방체절취선으로 구획된 결합용개방체절취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4. 캡슐장치는, 접철부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수용부본체를 두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외측향으로 더 확장된 구멍을 두며, 상기 구멍은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가 밀폐하고, 상기 결합용개방체상부돌기의 하단으로는 길게 연장된 결합용개방체를 형성한 것임과, 상기 결합용개방체의 외환부에는 나선형의 작동용돌기를, 상기 작동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용개방체돌기홈은 수용부본체의 내벽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본체의 내부 저장공간 하단부는 하부밀폐부로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6. 캡슐장치는, 결합본체수용부가 있는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수용부의 내부로는 작동용본체를 조립하며, 상기 작동용본체는 상부로 작동용본체구부를 두고, 하부로는 결합본체밀폐부에 대응하여 밀폐력을 유지하는 작동용본체하부를 형성함과, 상기 결합본체수용부의 하단에 조립된 결합본체밀폐부는 결합본체수용부저장공간을 기밀하도록 결합된 것이며,
    상기 결합본체밀폐부는 작동용본체가 하부로 이동할 때에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용본체는, 펌프장치의 편심된 배출관을 수용하도록 작동용본체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용본체내부공간은 하측으로 내려가면서 편심되게 외향으로 공간이 배치된 부분이 중앙 부분으로 모아져 작동용본체하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용본체에는 작동용본체돌편을 두어, 상기 작동용본체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용본체돌편이 결합본체밀폐부를 분리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리필용 캡슐장치.
KR1020150029470A 2015-03-02 2015-03-02 리필용 캡슐장치 KR20160106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470A KR20160106463A (ko) 2015-03-02 2015-03-02 리필용 캡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470A KR20160106463A (ko) 2015-03-02 2015-03-02 리필용 캡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463A true KR20160106463A (ko) 2016-09-12

Family

ID=5695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470A KR20160106463A (ko) 2015-03-02 2015-03-02 리필용 캡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5817A (zh) * 2017-04-14 2019-11-26 欧莱雅 用于双组分流体产品的包装和分配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5817A (zh) * 2017-04-14 2019-11-26 欧莱雅 用于双组分流体产品的包装和分配组件
CN110505817B (zh) * 2017-04-14 2021-11-09 欧莱雅 用于双组分流体产品的包装和分配组件
US11419404B2 (en) 2017-04-14 2022-08-23 L'oreal Packaging and distribution assembly for a two-component fluid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3679B2 (ja) フォーム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ためのハウジングならびにそれらのための貯蔵ホルダ
CA2560340C (en) Pump dispenser and sealed cartridge inserted into container and broken by dip tube
US12006128B2 (en)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of a liquid to pasty product and refill closed by such a device
JP5285918B2 (ja) 容器
ES2845729T3 (es) Cápsula dispensadora
JPH05506001A (ja) 使い捨ての可撓性再充填容器を備えたポンプ型ディスペンサパッケージ
US20140252029A1 (en) Dispensing device
KR20080096555A (ko) 필름백 천공장치
JP7419636B2 (ja) 二重加圧容器、吐出製品、吐出部材、吐出装置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ディスペンサーシステム
MX2014000905A (es) Atomizador portable y rellenable para crema.
WO2020017617A1 (ja) 二重加圧容器、吐出製品、吐出部材、ディスペンサーシステムおよび吐出製品の製造方法
JP5208876B2 (ja) 二重容器
KR20160106463A (ko) 리필용 캡슐장치
KR200270335Y1 (ko) 이종의 화장품 저장용기
US20220266281A1 (en) Fluid dispenser
KR101890655B1 (ko) 주사기 방식의 이종 물질 혼합기 및 그 조립방법
GB2576684A (en) Assembly for dispensing liquids
JP2017523094A (ja) 媒体を充填可能又は充填された、ヘッドピースを有する容器
JP5057469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スパウト、及び該スパウト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並びに該エアゾール容器に充填されたエアゾール製品
CN108349623A (zh) 再填充用液状内容物收纳用纸制内容器
CN217471424U (zh) 一体式化妆品滴液器
JP7171384B2 (ja) 加圧容器、加圧製品、吐出部材および吐出装置
RU2128138C1 (ru) Повторно наполняемая упаковка и укупорка для нее
KR20160112555A (ko) 캡슐장치
WO2017039424A2 (ko) 리필용 캡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