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871A -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 - Google Patents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871A
KR20160105871A KR1020167021200A KR20167021200A KR20160105871A KR 20160105871 A KR20160105871 A KR 20160105871A KR 1020167021200 A KR1020167021200 A KR 1020167021200A KR 20167021200 A KR20167021200 A KR 20167021200A KR 20160105871 A KR20160105871 A KR 2016010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zoom lens
mover
lens
zo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핑 후
Original Assignee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줌 렌즈 구동 장치와 줌 렌즈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각각 제1 포커스 렌즈 그룹(411)과 제1 줌 렌즈 그룹(414)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기키 위한 포커싱 모터(402)와 주밍 모터(403)를 포함하되,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고정자(410)와 이동자(403)가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다.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렌즈 구동 모터로 사용하였기에, 가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다른 하나의 모터, 예를 들면, 다른 하나의 디스크 전자기 모터 또는 음성 코일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에 배합되어 촘촘한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여, 마이크로 줌 렌즈 내지 대형 줌 렌즈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ZOOM LENS DRIVING DEVICE AND ZOOM LENS}
본 발명은 광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기술의 확대 및 보급에 따라, 광학 이미징 장치는 종류가 다양한 휴대 및 소형 기기와 같은 여러가지 유형의 기기에 널리 응용되고, 소형 줌 렌즈와 같은 소형화된 광학 이미징 장치가 광범하게 수요된다.
줌 렌즈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독립적인 운동과정을 구비하는 바, 하나는 줌(Zoom) 운동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오토 포거스(Auto Focus) 운동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두 개의 운동과정은 각각 두 개의 독립된 모터로 실현된다.
이미징 장치가 소형화된 경우 정확하게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능력을 구비하게 하기 위해, 나사산 구동되는 초음파 모터(USM, Ultra Sonic Motor)를 사용하여 초점거리와(공보 번호가 WO2007118418인 PCT 국제 출원을 참조바람) 주밍(공보 번호가 CN102590979A인 중국 특허를 참조바람)을 조절하는 것을 이미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주밍과 포커스가 모두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면, 가공 난이도가 비교적 높고, 매우 많은 정밀한 가공 기기가 수요되며, 일치성과 완제품 비율이 비교적 낮다.
현재, 휴대폰용 마이크로 렌즈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커싱 모터는 음성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인 바, 그 원가가 낮고, 구조가 간단하며 포커스 속도가 빠르나, 전력소모가 크고 진행 과정이 짧으므로 주밍에 사용되기 어렵다. 주밍 운동 방면에서, 현재까지 트랜디한 모터 구동 방안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제1 포커스 렌즈 그룹과 제1 줌 렌즈 그룹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를 포함하되,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며,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와 이동자는 중공 구조를 구비하며,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은 제1 포커스 렌즈 그룹 및 제1 줌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한 줌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상응한 렌즈 지지부재에 장착된 이동을 필요로 하는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줌 렌즈에 따르면,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렌즈 구동 모터, 특히는 주밍 모터로 사용하면 가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른 그룹의 모터와 배합되어 촘촘한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여 마이크로 줌 렌즈 내지 대형 줌 렌즈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문에서 "제1", "제2" 등 표기는 서로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뿐, 순서 또는 부가적인 기술적 의미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성 코일 모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4층 인쇄 회로의 와인딩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4층 인쇄 회로의 와인딩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음파 모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동자의 동력 전달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이동자의 동력 전달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8은 실시예 1의 줌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9는 실시예 1 중의 두개의 바람직한 고정자 와인딩의 실현 방식의 모식도이다.
도10은 실시예 2의 줌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11은 실시예 3의 줌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포커스 렌즈 그룹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포커싱 모터와, 제1 줌 렌즈 그룹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주밍 모터를 구비한다. 본문에서, 모터 중의 운동하는 부재를 이동자라고 칭하고(예를 들면, 직선 타입 모터 중의 이동자 또는 회전 타입 모터 중의 로터임), 모터 중의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부재를 고정자라고 칭한다. 상기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 중의 적어도 하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출원번호가 CN201310677074.4이고, 명칭이 "전자기 모터”인 중국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원리와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 모식도는 도1을 참고할 수 있는 바, 중공 구조를 구비한 고정자(101)와 이동자(102)를 포함하고, 이동자의 회전축은 제1 포커스 렌즈 그룹 및 제1 줌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는 중공의 위치 결정 슬리브로 표현되고, 기판(104)에 대해 고정되며, 기판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자 와인딩(105)이 설치되고(도1에서는 예시적으로 4개를 도시하였고, 그 중의 하나는 고정자 슬리브에 의해 가려짐), 적어도 한쌍의 자극(107)은 이동자의 최하부에 장착된다. 도1에서, 이동자는 고정자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고정자를 둘러싸고 회전할 수 있으며, 기타 실시 형태에서, 이동자는 고정자의 내부에 씌움 설치되어, 두 그룹의 모터가 공동으로 하나의 고정자를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는 하나의 순수한 코어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이동자의 자극은 간단하게 코어에 박힐 수 있다. 이동자는 플라스틱 등 비자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동자의 자극은 비자성 재료 표면에 장착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내포되며, 이동자는 두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중 최하부는 자극 링(자극이 내포된 자성 또는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 링)이, 상부는 자성 재료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로 제조된 슬리브이다. 자극은 단면을 돌출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케이싱을 증가하는 것을 통해 자극과 케이싱의 단면을 평탄하게, 심지어 약간 함몰되게 할 수 있다. 일정한 규율에 따라 고정자 와인딩에 교류 또는 직류 전류를 제공할 경우, 고정자 와인딩과 이동자 자극 사이에는 하나의 회전 자기장이 산생되고, 상기 자기장은 자극을 통해 이동자와 함께 회동한다. 이러한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중공 구조이기에, 렌즈를 장착할 수 있고, 훌륭한 포커스와 줌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바람직하게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자의 이동을 측정하지 않고도 정밀한 변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바람직하게 주밍 모터로 사용되고, 상응하게 매치되는 포커싱 모터는 다른 하나의 디스크 전자기 모터 또는 음성 코일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일 수 있다. 주밍 모터는 바람직하게 포커싱 모터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이러한 구조는 줌 렌즈가 더욱 큰 구경을 구비하도록 하여, 한편으로는 광각 렌즈를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에서 외부로로 점차 커지는 렌즈 구조도 장착하기 더욱 간편하여 장착 난이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성 코일 모터는 출원번호가 CN201310748592.0이고, 명칭이 "구동 장치 및 소자 제조 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에 설명된 원리와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구조 모식도는 도2를 참고할 수 있으며,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고정자(201)와 이동자(202)를 포함하고, 고정자와 이동자는 탄성 부재(208)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는 중공의 위치 결정 슬리브로 표현되고, 기판(204)에 대해 고정하며, 기판에는 고정자 와인딩(205)이 설치되어 있고, 이동자에는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자 와인딩에 전류가 흐른 후, 이동자는 고정자의 전자기장의 작용하에 직선 이동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운동은 역방향 전류를 가하거나 또는 탄성 부재의 회복력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말하자면, 도2에 도시된 탄성 부재는 입체 나선형 스프링이고, 구체적으로 실시될 경우, 실제 수요에 따라 여러가지 상이한 형식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금속 에칭 공법에 제조된 평면 리프 스프링(leaf spring) 등이다. 탄성 부재가 스프링을 사용하면, 동시에 스프링을 구동 코일로 사용하여 고정자 와인딩을 생략할 수 있고, 물론 동시에 스프링과 고정자 와인딩을 사용하여 구동 코일을 대체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은 우수한 전기 전도 능력을 구비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표면이 동으로 도금되고 절연 재료가 피복된 스틸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도2에 도시된 음성 코일 모터는 한가지 바람직한 설계를 사용하였는 바, 즉,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음성 코일 모터의 탄성 부재(208)는 자체의 탄력(F1)과 방향이 반대인 미리 존재하는 자기력(F2)의 작용하에 받는 힘 평형위치(x0)에 평형된다. 탄성 부재의 형상 변량이 0인 위치를 원점의 위치 변량으로 하는 것을 x로 표시하면(당연히 x는 동시에 형상 변량을 표시하기도 함), F1과 F2는 간단하게 F1 = k1*x, F2 = F0 + k2*x로 기록할 수 있는 바, 여기서, F0은 탄성 부재가 형상 변이 0인 위치에서 받는 F2의 크기이고, k1과 k2는 각각 탄력과 자기력의 변화 계수를 표시하며, 부호는 동일하지만 방향은 반대되고, 상수 또는 변량일 수 있다. 위치x0에서, F1 = F2이기에, x0 = F0 /(k1-k2)를 유추할 수 있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음성 코일 모터가 받는 힘 평형위치(x0) 부근에서 작동할 경우, 코일 구동력이 극복해야 하는 탄성 부재의 등가 변화 계수는 단지 (k1-k2)이고, F2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의 변화 계수k1보다 작으므로,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는 힘 평형위치(x0)는 탄성 부재의 작동 구간의 두개 끝점 중의 하나 또는 그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응한 작동 상태의 0 전력 소모 상태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다.
F2는 두 개의 자성체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1 자성체는 이동자의 영구 자석에 설치되고, 제2 자성체는 영구 자성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로 제조된 위치 결정 슬리브이다. 구조를 간략화하기 위해, 스틸 재료 스프링으로 제2 자성체를 대체할 수 있고, 가장 간략화된 상황하에서, 표면이 동으로 도금되고 절연 재료가 피복된 스틸 스프링은 동시에 탄성 부재, 구동 코일 및 제2 자성체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의 한가지 바람직한 실현 방식은 인쇄 회로로 제조된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와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은 인쇄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인쇄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 Circuit Board)과 같은 하드 보드에 제조될 수 있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과 같은 소프트 보드에 제조될 수도 있다. 각 블록의 PCB 또는 FPC는 싱글 층 회로를 구비할 수 있고, 2층, 4층, 6층, 8층, 10층, 12층 회로 등과 같은 두 층 이상의 회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쇄 회로를 사용하여 고정자 와인딩을 제조하면, 한편으로 어렵고 정교한 마이크로 모터의 와인딩 작동을 철저하게 해결하고, 다른 한편으로 권선이 프린트된 PCB 또는 FPC를 줌 렌즈의 기판으로 하고, 감광 칩, 제어 회로 등을 그 위에 설치하여 렌즈 구조가 더욱 빈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성숙한 인쇄 회로 제조 기술에 기반하면, 예정된 코일 구조에 따라 인쇄 회로의 구조를 배열하여, 전체적으로(한 블록의 PCB 또는 FPC) 또는 다수의 블록 접합 (단부는 연결해야 하는 선로를 용접함)의 방식으로 수요되는 권선을 실현할 수 있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두가지 전형적인 인쇄 회로 배열 방식을 도시하고, 도면에서 화살표는 구현예의 전류 방향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코일이 수요하는 구조에 따라 인쇄 회로의 배열 및/또는 접합 방식을 상응하게 설계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한다. 여기서, 도3은 축방향으로 다층이 중첩되는 평면 나선형 와인딩 방식을 도시하였고, 먼저 싱글 층에 대하여 나선형 와인딩을 진행한 후 천공을 통해 다른 한 층에 진입하여 계속하여 나선형 와인딩을 진행하며, 각 층의 나선형 회로는 한 블록의 싱글 층의 PCB 또는 FPC일 수 있고, 다층의 PCB 또는 FPC 중의 한 층일 수도 있으며, 층 사이에는 전기 전도 통공을 통해 연결된다(이하 동문). 도4는 방사 방향으로 다층이 내포(nested)된 입체 나선형 와인딩 방식을 도시하였고, 먼저 상이한 층 사이에서 나선형 와인딩을 진행하고, 내부에서 외부로(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입체 나선형 와인딩을 진행하며, 다수의 상이한 직경의 입체 코일의 내포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음파 모터는 공개번호가 CN1873455A이고, 명칭이 "포커싱/주밍 시스템이 일체화된 광학 기기”인 중국 특허에 설명된 원리와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구조 모식도는 도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고정자(301)와 이동자(302)를 포함하고,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은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과 일치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모터의 고정자 또는 이동자 중의 하나에는 압전 재료(309)가 부착되어 있고, FPC를 사용하여 각각의 압전 재료에 금속 도선(미도시)을 접착하거나 또는 용접하여, 이로써 압전 재료를 자극하는 전자파 신호를 전달하는 바, 이러한 압전 재료는 전자파 신호의 자극하에, 부착된 고정자 또는 이동자를 진동시켜 진행파를 산생시킴으로써, 고정자와 이동자 사이의 배합 (예를 들면, 나사산 배합 또는 원주면 마찰 배합)을 통해 이동자 회전을 구동시킨다. 도5는 다면체 초음파 모터를 도시하는 바, 즉 고정자 또는 이동자에 압전 재료가 부착된 표면은 다면체이고, 각 면에는 압전 재료가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된 압전 재료는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일 수 있다. 도5에서, 고정자는 이동자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고정자의 내벽과 이동자의 외벽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배합되며, 고정자의 외벽은 다면체이다. 또한 반대되는 설치를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즉, 이동자는 고정자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이동자의 내벽과 고정자의 외벽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배합되며, 고정자의 내벽은 다면체이다. 압전 재료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자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동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고, 나사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자는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면체 초음파 모터는 바람직하게 진행파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의 이동자는 여러가지 적당한 동력 전달 구조를 사용하여 렌즈 그룹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일반적으로, 렌즈 그룹은 상응한 렌즈 지지부재, 예를 들면, 렌즈 튜브에 고정 장착되고 , 이동자는 렌즈 지지부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통해 렌즈 그룹의 운동을 구동시킨다. 렌즈 지지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어, 렌즈 그룹이 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렌즈 지지부재에 축방향으로의 위치 제한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를 설치하여 렌즈 지지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실현하며,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는 렌즈 지지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렌즈 지지부재가 슬라이딩 바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거나, 또는 렌즈 지지부재의 측벽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요홈 또는 돌기를 설치하여 상응한 고정부재와 배합시켜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제한한다. 물론, 이동자가 나선형 또는 직선 운동 궤적을 구비하면, 렌즈 그룹은 직접 이동자에 고정될 수 있다.
주밍 모터의 이동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홀 자기 링과 홀 감응소자를 더 설치할 수 있고, 홀 자기 링과 홀 감응소자 중의 하나는 주밍 모터(예를 들면,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에 설치되며, 다른 하나는 주밍 모터의 고정자에 대해 고정되고, 홀 감응소자는 홀 자기 링이 홀 감응소자에 대한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측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자의 회전과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의 축방향 이동이 대응 관계를 구비하므로, 이동자의 회전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 렌즈 지지부재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측정 데이터는 메인 기기에 관련 광학 산출 및/또는 렌즈 그룹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디스크 전자기 모터가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정확한 이동을 실현하기에 매우 적합하므로,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주밍 모터로 사용할 경우, 홀 위치 측정 시스템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사이는 예압(pre-pressure)을 인가하는 것을 통해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예압의 제공은 여러가지 실행 가능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가지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탄력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스프링을 사용하여 렌즈 지지부재에서 이동자와 접촉하지 않는 일단에 압력을 인가한다. 다른 한가지 실시 형태에서 자기력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이동자가 렌즈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일단에 자기 링을 접착시키고, 렌즈 지지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를 사용하며, 자성의 흡인력을 통해 이동자와 렌즈 지지부재의 접촉을 유지한다.
아래에 예시적으로 이동자가 렌즈 지지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을 몇가지 열거하는 바, 구체적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자의 운동 방식에 따라,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는 동일한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실제 상황에 따라 각각 상이한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1) 서포트 핀이 요철 에지와 배합되는 동력 전달 방식
이러한 동력 전달 방식에서,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 궤적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디스크 전자기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이다.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중의 하나의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핀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단면은 요철 에지를 구비하고, 서포트 핀의 자유단과 요철 에지는 접촉을 유지하여, 이동자의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을 통해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면, 렌즈 지지부재의 요철 에지의 형상을 설계하는 것을 통해 렌즈의 운동 곡선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서포트 핀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회동 범위의 두 개의 끝점에서 돌기의 형태를 설계하여 서포트 핀의 이동을 차단한다.
하나의 구현예는 도6을 참조할 수 있고, 렌즈 지지부재로 사용되는 렌즈 튜브(S21)의 단면은 광학 설계에 따라 두개 구간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요철 에지를 구비하며, 그 중, S22는 렌즈 튜브 수축 종점이고, S23은 주밍 시작점이며, S24는 주밍 종점이고, 도면에서 곡선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광학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렌즈 튜브 내벽에는 렌즈 튜브를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S29)가 더 설치되어 있어, 이동자의 회전 운동을 렌즈 튜브의 축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이동자(S25)에는 두 개의 대칭되는 서포트 핀(S26)이 고정되어 있고, 상응하게, 렌즈 튜브 및 이와 접촉되는 요철 에지도 대칭되는 설계를 사용하며, 이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더욱 훌륭한 안정성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 밖에, 렌즈 튜브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자 표면에는 홀 자기 링(S27)이 접착되어 있고, 렌즈 튜브에는 상응하게 홀 감응소자(S28)가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서 홀 자기 링은 렌즈 튜브(스틸 재료)와 이동자 사이의 자기력 연결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가공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 튜브는 두 개 부분으로 나뉘어 제조된 후 하나로 조합되는 바, 예를 들면, 요철 에지를 구비하는 하나의 세그먼트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원통형의 하나의 세그먼트는 자성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를 사용한다.
(2) 연결 로드가 커브 슬라이딩 슬롯과 배합되는 동력 전달 방식
이러한 동력 전달 방식에서,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 궤적을 구비하고,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중의 하나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 로드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측벽은 커브 슬라이딩 슬롯을 구비하고, 제1 연결 로드의 자유단은 커브 슬라이딩 슬롯에 인서트되어, 이동자의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을 통해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하나의 구현예는 도7을 참조할 수 있고, 렌즈 지지부재로 사용되는 렌즈 튜브(S31)의 외벽(또는 내벽)은 광학 설계에 따라 커브 슬라이딩 슬롯을 구비하고, 그 중 S32는 신축 세그먼트이고, S33은 주밍 세그먼트이며, 도면에서 곡선 형상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S33의 끝단이 위로 상승된 것은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가 변곡점을 구비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구체적인 곡선 형상은 광학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렌즈 튜브 내벽에는 렌즈 튜브가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S35)가 더 설치된다. 이동자(미도시)에 고정된 제1 연결 로드의 자유단(S34)은 슬라이딩 홈에 인서트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면, 슬라이딩 홈의 시작점과 종점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연결 로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기에, 별도로 이동자 또는 렌즈 튜브의 위치 제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 로드 및 슬라이딩 홈을 대칭되게 설치하여 더 안정적인 구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6과 도7은 주밍 모터의 이동자가 렌즈 지지부재 동력을 전달하는 두가지 바람직한 방식을 도시하였고, 여기서, 요철 에지 또는 커브 슬라이딩 슬롯의 형상은 두개 구간의 커브를 포함하며, 각각 줌 렌즈 그룹의 신축 운동과 주밍 운동에 대응되어, 렌즈의 신축 과정과 주밍 과정이 일체화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3) 직접 접촉 동력 전달의 방식
이러한 동력 전달 방식에서,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직선 운동 궤적을 구비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크 전자기 모터 또는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가 고정자 사이의 나사산과 배합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운동 궤적을 산생하고, 음성 코일 모터의 이동자는 직선 운동 궤적을 구비하며, 이동자의 단면과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의 일단이 접촉을 유지하여,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직접 동력을 전달한다.
설명해야 하는 것은, 주밍 모터의 이동자가 두 개 이상의 서로 인서트된 줌 렌즈 튜브와 같은 두 개 이상의 렌즈 지지부재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해야 하면, 상기 이동자는 동시에 동일한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이한 동력 전달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자는 직접 접촉을 통해 하나의 렌즈 튜브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아울러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렌즈 튜브 밖에 씌움 설치된 다른 하나의 렌즈 튜브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이동자는 상이한 반경 방향에서 서포트 핀(또는 요철 에지)을 각각 설치하고, 구경이 서포트 핀 위치와 대응되는 렌즈 튜브를 각각 동력을 전달한다. 또는, 이동자는 서포트 핀을 통해 하나의 렌즈 튜브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연결 로드를 통해 상기 렌즈 튜브 밖에 씌움 설치된 다른 하나의 렌즈 튜브를 동력을 전달한다. 또는, 이동자는 동시에 상이한 연결 로드를 통해, 내포된 두 개의 렌즈 튜브를 각각 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는 상기 줌 렌즈 구동 장치에 기반하여 획득하고, 상응한 렌즈 지지부재에 장착된 이동을 필요로 하는 렌즈 그룹을, 이동자의 동력 전달 구조에 따라 줌 렌즈 구동 장치에 장착하면 된다. 물론 광학 설계의 수요에 따라, 고정된 포커스 렌즈 그룹 및/또는 줌 렌즈 그룹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고정된 렌즈 그룹은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된다. 이 밖에, 수요에 따라 기타 렌즈 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고정된 렌즈 그룹의 상표면 또는 하표면에 셔터 및/또는 조리개 제어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줌 렌즈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 중, 전술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 내용이 언급되는 바, 예를 들면, 모터의 구체적인 구조, 이동자가 렌즈 지지부재에 대한 동력 전달 방식 등에 대해서는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한가지 실시 형태는 도8을 참조할 수 있는 바, 포커싱 모터는 음성 코일 모터를 사용하고, 주밍 모터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사용하며,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음성 코일 모터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며, 두 개의 모터는 고정자를 함께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자로 사용되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410)는 PCB 또는 FPC기판(404)(이하, 모두 "기판”으로 약칭함)에 고정되고, 음성 코일 모터의 이동자(402)와 스프링(408)은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내측에 설치되고, 이동자(402)는 중공 구조를 구비하는 자기 링이고, 제1 포커스 렌즈 그룹(411)은 그 중에 장착된다.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403)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외측에 설치되고, 그 최하부에는 홀 자기 링(412)이 고정되어 있으며, 홀 측량 소자(413)는 이동자(403) 외각의 기판에 고정된다. 제1 줌 렌즈 그룹(414)은 제1 줌 렌즈 튜브(415)에 장착되고, 제3 줌 렌즈 그룹(416)은 제2 줌 렌즈 튜브(417)에 장착되며, 제2 줌 렌즈 튜브는 제1 줌 렌즈 튜브를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두 개의 줌 렌즈 튜브에는 모두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418)가 설치되어 있어, 두 개의 줌 렌즈 튜브가 축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고,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418)는 다수의 세그먼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줌 렌즈 튜브에 따라 신축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이동자(403)는 요철 에지(419)를 통해 제1 줌 렌즈 튜브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시에, 제1 연결 로드(420)를 통해 제2 줌 렌즈 튜브를 동력을 전달한다. 기타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전자기 모터도 두 개의 연결 로드를 통해 제1 줌 렌즈 튜브와 제2 줌 렌즈 튜브에 각각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간단한 줌 렌즈에 대하여, 제3 줌 렌즈 그룹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 에지와 연결 로드는 분단된 곡선 운동을 통해 신축과 주밍 운동의 일체화를 실현함으로써, 렌즈가 수축된 상태하에서 작은 사이즈를 갖도록 한다.
제2 줌 렌즈 그룹(421)은 제1 위치 결정 슬리브에 고정되고, 제1 줌 렌즈 그룹과 제1 포커스 렌즈 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그 상표면에는 셔터 및/또는 조리개 제어기(422)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감광 칩(423)은 광축과 마주하여 기판에 설치되고, 기판에 수요되는 선로와 소자를 대응되게 배치하여 완전한 줌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코일 모터는 미리 존재하는 자기력(예를 들면, 자기 링(402)과 스틸 재료 스프링(408) 및 스틸 재료의 제1 위치 결정 슬리브(410) 사이의 자기력을 포함함)과 스프링(408)의 탄력의 받는 힘 평형위치 부근에서 작동하여, 음성 코일 모터에 수요되는 구동 전류를 감소시킨다. 스프링(408)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고, 표면에 절연층이 피복된 전류가 흐르는 와이어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가지 바람직한 디스크 전자기 모터와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의 실현 방식은 도9를 참조할 수 있다. 도9에서, 내층에 위치하는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405) 및 외층에 위치하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406)(자극 코일)은 모두 인쇄 회로의 형식으로 일체화로 기판(404)에 제조되며, 감광 칩(423)은 고정자 와인딩(405) 내에 위치한다. 그 중, 도9(a)에서, 내층의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은 단일 동심 나선형의 링타입 코일이고, 도9(b)에서, 내층의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은 더욱 바람직하게 멀티 링 체인타입 코일이며, 상기의 멀티 링 체인타입 코일은 다수의 작은 나선형 코일로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의 코일은 비교적 작은 전류로 비교적 큰 전자기력을 산생시킬 수 있어 음성 코일 모터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킨다. 멀티 링 체인타입 코일 중의 각각의 코일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직렬 연결될 수도 있으며, 그룹을 나누어 병렬 연결되거나 또는 그룹을 나누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에 대해 온, 오프 제어를 허락하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 심지어는 상이한 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하여, 전압의 분압 정밀도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실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9(b) 중의 코일 구조도 두 개의 내포된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을 실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과 음성 코일 모터의 멀티 링 체인타입 코일은 동일한 인쇄 선로 구조를 구비할 수 있지만, 각각 상이한 통전 제어 방식을 구비한다. 여기서,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정확한 스텝 제어를 실현할 수 있고, 음성 코일 모터는 다수의 작은 코일의 직렬, 병렬 및 전압 조절을 통해 이동자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다른 실시 형태는 도10을 참조할 수 있고, 두 개의 내포된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포커싱 모터와 주밍 모터로 사용하고, 두 개의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고정자를 함께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자로 사용되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510)는 기판(504)에 고정되고, 포커싱용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502)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내측에 밀착되며, 이동자(502)는 슬리브형 자극 링이고, 요철 에지(519)를 통해 자성 리셉션 재료(예를 들면, 철, 스틸 등)로 제조된 렌즈 지지링(524)에 동력을 전달하며, 렌즈 지지링(524)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518)(다수의 세그먼트가 있을 수 있음)가 설치되어 있고, 제1 포커스 렌즈 그룹(511)은 렌즈 지지링(524)에 장착된다. 렌즈 지지링(524)은 자극 링(502) 사이의 자기력을 통해 자극 링(502)과 접촉을 유지한다.
정지된 제2 포커스 렌즈 그룹(525)은 제1 포커스 렌즈 그룹의 하방에 장착되는 바, 예를 들면, 제2 위치 결정 슬리브(528)에 고정되고, 제2 위치 결정 슬리브는 이동자(502)의 내측에 위치하며, 기판에 고정된다. 제2 포커스 렌즈 그룹의 상 표면(또는 하 표면)에는 셔터 및/또는 조리개 제어기(52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주밍용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503)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외측에 밀착되고, 이동자(503)의 최하부는 자극 링(526)이며, 상부 슬리브는 자성 재료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로 제조되고, 요철 에지(527)(또는 연결 로드)를 통해 제1 줌 렌즈 튜브(515)에 동력을 전달하며, 제1 줌 렌즈 튜브에는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51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줌 렌즈 그룹(514)은 제1 줌 렌즈 튜브에 장착되고, 제1 줌 렌즈 튜브의 요철 에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 재료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로 제조되며, 자극 링 사이의 자기력을 통해 이동자(503)와 접촉을 유지한다.
제2 줌 렌즈 그룹(521)은 제1 위치 결정 슬리브에 고정 장착되고, 제1 줌 렌즈 그룹과 제1 포커스 렌즈 그룹 사이에 위치한다. 감광 칩(523)은 광축과 마주하여 기판에 설치되고, 기판의 수요되는 선로와 소자를 대응되게 설치하여 완전한 줌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내포된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은 도9(b)에 도시된 인쇄 회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또한, 두 개의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모두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기에, 위치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아도 정확한 위치 결정의 목적을 실현시킬 수 있다. 두 개의 모터가 모두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면, 그 제어 회로는 통일되어 제어 시스템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그룹의 이동 가능한 줌 렌즈 그룹만 있고, 기타 실시 형태에서, 제1 줌 렌즈 그룹 외에도 이동 가능한 제3 줌 렌즈 그룹을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주밍 모터의 이동자로 연결 로드를 통해 구동시켜(실시예1을 참조), 렌즈의 줌 배수를 확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한가지 실시 형태는 도11을 참조할 수 있고, 포커싱 모터는 다면체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고, 주밍 모터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를 사용하며,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초음파 모터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두 개의 모터는 고정자를 함께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자로 사용되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610)는 기판(604)에 고정되고,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602)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외측에 씌움 설치되고, 이동자(602)의 내벽과 제1 위치 결정 슬리브의 외벽은 나사산을 통해 배합되며, 제1 위치 결정 슬리브의 내벽은 다면체이고, 각 면에는 압전 세라믹 시트(609) 및 상응한 전기 공급 선로(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이동자(602)는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영구 자석 재료로 제조된 렌즈 지지링(624)에 동력을 전달하고, 이동자(602)에 대한 회전 위치 제한 기구(미도시)를 설치하여, 합리한 범위내에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렌즈 지지링(624)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618)(다수의 세그먼트가 있을 수 있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자(602)의 나선형 운동을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1 포커스 렌즈 그룹(611)은 렌즈 지지링(624)에 장착된다.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602)는 자성 리셉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렌즈 지지링(624)과 이동자(602) 사이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존재하지만, 자기력의 작용하에서 접촉을 유지한다.
정지된 제2 포커스 렌즈 그룹(625)은 제1 위치 결정 슬리브에 장착되고, 제1 포커스 렌즈 그룹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상표면에는 셔터 및/또는 조리개 제어기(62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603)는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602) 외측에 설치되고, 이동자(602)의 외벽은 매끈한 기둥 면이며, 이동자(603)의 내벽에 밀착되고, 두 개의 이동자는 제1 위치 결정 슬리브 고정자로 함께 사용한다. 이동자(603)의 최하부는 자극 링(626)이고, 상부 슬리브는 자성 재료 또는 자성 리셉션 재료로 제조되며, 요철 에지(619)(또는 연결 로드)를 통해 영구 자석 재료로 제조된 렌즈 지지링(615)에 동력을 전달하고, 렌즈 지지링(615)에는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618)가 설치되고, 제1 줌 렌즈 그룹(614)은 렌즈 지지링(615)에 장착된다. 렌즈 지지링(615)은 자극 링(626) 사이의 자기력을 통해 이동자(603)와 접촉을 유지한다. 이동자(603)는 제1 연결 로드(620)를 통해서도 제2 줌 렌즈 튜브(617) 동력을 전달하고, 제2 줌 렌즈 튜브에는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6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3 줌 렌즈 그룹(616)은 제2 줌 렌즈 튜브에 장착된다.
감광 칩(623)은 광축과 마주하여 기판에 설치되고, 기판에 수요되는 선로와 소자를 대응되게 배치하여 완전한 줌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줌 렌즈 그룹은 모두 이동 가능한 렌즈 그룹이고,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는 원주 운동 궤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나선형 운동 궤적을 구비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 내벽에 나사산을 설치하는 동시에,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 외벽에 매칭되는 나사산을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는 제1 줌 렌즈 그룹이 장착된 렌즈 지지부재에 직접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 전자기 모터와 초음파 모터의 회전자는 밀착되어 운동이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한 제어 방식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분명히, 초음파 모터가 나사산 구동 방식을 사용하기에,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의 운동은 초음파 모터에 영향주지 않고,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바람직하게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계 모터는 자극을 통해 위치 결정할 수 있기에, 디스크 전자기 모터도 초음파 모터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와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의 접촉면 사이에 윤활유를 첨가하여 두 개의 모터 사이의 상호 영향을 더욱 잘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3개의 실시예에서 주요하게 4개의 렌즈 그룹을 사용하였고, 구조를 더욱 간략화하려면, 하나의 그룹의 정지된 렌즈 그룹을 생략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그룹의 정지된 포커스 렌즈 그룹 또는 줌 렌즈 그룹을 생략할 수 있다. 더욱 많은 렌즈 그룹을 필요로 하면, 연결 로드와 연동 기구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실시예 중의 줌/오토 포커스 구동 방안을 조합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고, 이상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기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제1 포커스 렌즈 그룹(411, 511, 611)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포커싱(focusing) 모터(402, 502, 602),
    제1 줌 렌즈 그룹(414, 514, 614)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주밍(zooming) 모터(403, 503, 603)를 포함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에 있어서,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고,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고정자와 이동자는 중공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은 제1 포커스 렌즈 그룹 및 제1 줌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모터는 상기 포커싱 모터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된 렌즈 그룹은 상응한 렌즈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 지지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 궤적을 구비하고,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중의 하나의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핀(support pin)이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단면은 요철 에지(edge)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핀의 자유단과 상기 요철 에지는 접촉을 유지하여 이동자의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을 통해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 궤적을 구비하고,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중의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 로드(rod)가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측벽은 커브 슬라이딩 슬롯(curved sliding slot)을 구비하고, 제1 연결 로드의 자유단은 상기 커브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되어, 이동자의 나선형 또는 원주 운동을 통해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이동자는 나선형 또는 직선 운동 궤적을 구비하고, 이동자의 단면과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의 일단은 접촉을 유지하여,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모터는 상기 서포트 핀 또는 연결 로드의 동력 전달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요철 에지 또는 커브 슬라이딩 슬롯의 형상은 두 구간의 커브를 포함하며, 각각 줌 렌즈 그룹의 신축 운동과 주밍 운동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모터는 서포트 핀 또는 연결 로드의 동력 전달 방식을 통해 제3 줌 렌즈 그룹(416, 616)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기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이동자와 구동된 렌즈 지지부재 사이에는 스프링 탄력 또는 자기력을 통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부재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위치한정 슬라이드 바(418, 518, 618)가 설치되어, 렌즈 지지부재가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는 스텝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홀(hall) 자기 링(412)과 홀 감응소자(4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 자기 링 및 홀 감응소자 중의 하나는 상기 주밍 모터의 이동자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주밍 모터의 고정자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홀 감응소자는 상기 홀 자기 링이 상기 홀 감응소자에 대한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모터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고, 상기 포커싱 모터는 음성 코일 모터이며, 상기 음성 코일 모터의 고정자와 이동자는 중공 구조를 구비하며,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상기 음성 코일 모터의 탄성 부재는 자체의 탄력과 방향이 반대되는 미리 존재하는 자기력의 작용하에 받는 힘 평형위치에 평형되고, 상기 받는 힘 평형위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작동 구간의 두 개 끝점 중의 하나 또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터 및/또는 주밍 모터의 고정자 와인딩(winding)은 인쇄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에 제조되며, 상기 PCB 또는 FPC는 한 층 또는 두 층 이상의 회로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PCB 또는 FPC는 상기 줌 렌즈의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밍 모터는 디스크 전자기 모터이고, 상기 포커싱 모터는 초음파 모터이며, 상기 초음파 모터의 고정자와 이동자는 중공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은 상기 디스크 전자기 모터의 이동자의 회전축과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모터의 이동자는 고정자의 외부에 씌움 설치되고, 이동자의 내벽과 고정자의 외벽 사이는 나사산을 통해 배합되며, 고정자의 내벽은 다면체이고, 각 면에 압전 재료(609)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구동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상응한 렌즈 지지부재에 장착된 이동을 필요로 하는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모터의 고정자에 대해 고정 장착되고, 제1 포커스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한 제2 포커스 렌즈 그룹(525, 625)을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주밍 모터의 고정자에 대해 고정 장착되고, 제1 줌 렌즈 그룹의 광축과 일치한 제2 줌 렌즈 그룹(421, 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포커스 렌즈 그룹 또는 제2 줌 렌즈 그룹의 상면 또는 하면에 셔터 및/또는 조리개 제어기(422, 522, 6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KR1020167021200A 2014-01-08 2014-04-18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 KR20160105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008023.7A CN104765123A (zh) 2014-01-08 2014-01-08 变焦镜头驱动装置和变焦镜头
CN201410008023.7 2014-01-08
PCT/CN2014/075702 WO2015103821A1 (zh) 2014-01-08 2014-04-18 变焦镜头驱动装置和变焦镜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871A true KR20160105871A (ko) 2016-09-07

Family

ID=5352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200A KR20160105871A (ko) 2014-01-08 2014-04-18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334608A1 (ko)
EP (1) EP3093699A4 (ko)
JP (1) JP2017502356A (ko)
KR (1) KR20160105871A (ko)
CN (1) CN104765123A (ko)
AU (1) AU2014377246A1 (ko)
BR (1) BR112016015822A2 (ko)
CA (1) CA2936033C (ko)
MX (1) MX2016008914A (ko)
RU (1) RU2016132310A (ko)
WO (1) WO2015103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3952A (zh) * 2016-10-21 2017-02-22 安徽协创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镜片焦距的vr相机
CN107203015A (zh) * 2017-05-19 2017-09-26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焦距可变的镜头及具有该镜头的电子设备
CN109240022B (zh) * 2017-07-11 2021-09-28 光芒光学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
JP2021156906A (ja) * 2018-05-01 2021-10-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CN109412354B (zh) * 2018-11-27 2024-01-12 厦门新鸿洲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可感测运动轨迹的音圈马达
CN109412326A (zh) * 2018-12-12 2019-03-01 重庆龙科自动化机械设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电动车后轮轮毂电机
CN110471159A (zh) * 2019-08-01 2019-11-19 湖北三江航天险峰电子信息有限公司 一种快速调-聚焦移动平台
CN112024342B (zh) * 2020-07-09 2021-05-25 江苏大学 一种可切换振动模态的超声装置及方法
CN112601017A (zh) * 2020-12-10 2021-04-02 郑州润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检测装置
CN112526700B (zh) * 2020-12-21 2023-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2731752B (zh) * 2021-01-27 2022-04-22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对焦组件和投影仪
CN113067967A (zh) * 2021-03-04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设备
CN112987224A (zh) * 2021-03-31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设备
CN115201991A (zh) 2021-04-08 2022-10-18 南宁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调焦设备
CN113534393B (zh) * 2021-09-04 2024-04-23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伸缩镜筒结构、透镜驱动装置及摄像装置
CN113960735B (zh) * 2021-10-26 2022-07-29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系统、摄像装置及移动终端
CN116980734A (zh) * 2022-04-15 2023-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组件和电子设备
CN115052093B (zh) * 2022-04-15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N117375356A (zh) * 2022-07-01 2024-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马达、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4624A (en) * 1981-07-14 1985-08-13 Canon Kabushiki Kaisha Construction of lens barrel ope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NL8401519A (nl) * 1984-05-11 1985-12-02 Philips Nv Electrische motor.
US5339126A (en) * 1992-06-17 1994-08-16 Konica Corporation Zoom lens barrel
US6288533B1 (en) * 1997-05-29 2001-09-11 Physical Electronics Laborator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otor position by use of magnetic field sensor pairs
JP2000131586A (ja) * 1998-10-29 2000-05-12 Toshiba Corp 電磁モータ内蔵カメラ装置
JP3977187B2 (ja) * 2002-07-29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光学装置
JP2004254357A (ja) * 2003-02-18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中空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カメラモジュール
JP4739681B2 (ja) * 2004-02-05 2011-08-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鏡筒
JP4606759B2 (ja) * 2004-03-19 2011-01-05 シチズンファインテックミヨタ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6121887A (ja) * 2004-09-22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レンズ装置、撮像装置、光学装置
JP2006171346A (ja) * 2004-12-15 2006-06-29 Canon Inc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
CN100394238C (zh) 2006-04-14 2008-06-11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一体化光学设备调焦/变焦系统
JP5352758B2 (ja) * 2006-12-01 2013-11-27 デジタルオプ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駆動型ステッピングレンズカメラモジュール
CN101056073B (zh) * 2007-05-18 2010-04-14 海德星科技(厦门)有限公司 微型压电马达-镜头片的集成驱动机构
US9217841B2 (en) * 2011-01-25 2015-12-22 Hong Kong Applied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Compact camera module with zoom and auto-focus actuators sharing the same rotating annular magnet with alternating thick and thin poles
JP5821356B2 (ja) *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N102590979B (zh) 2012-01-17 2013-10-23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焦距调节装置和光学成像装置
CN103066782A (zh) * 2012-11-01 2013-04-24 北京理工大学 磁电式微发电机
CN104716766A (zh) * 2013-12-13 2015-06-17 博立码杰通讯(深圳)有限公司 电磁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2356A (ja) 2017-01-19
EP3093699A4 (en) 2017-08-16
BR112016015822A2 (pt) 2017-08-08
CA2936033C (en) 2018-01-16
EP3093699A1 (en) 2016-11-16
CN104765123A (zh) 2015-07-08
AU2014377246A1 (en) 2016-08-11
WO2015103821A1 (zh) 2015-07-16
MX2016008914A (es) 2016-07-19
CA2936033A1 (en) 2015-07-16
US20160334608A1 (en) 2016-11-17
RU2016132310A (ru)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5871A (ko) 줌 렌즈 구동 장치 및 줌 렌즈
KR101961732B1 (ko) 줌 렌즈
KR101903381B1 (ko) 줌 포커스 장치 및 줌 렌즈
KR101730314B1 (ko) 초점거리 조절 줌렌즈장치와 광학 화상장치
JP6330918B2 (ja) 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29069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JP5243187B2 (ja) レンズ装置
JP6346963B2 (ja) ボイスコイルモータ及びフォーカスレンズ
Henderson Piezo ceramic motors improve phone camera auto focus and zoom
JP2007121701A (ja) 光学装置
JP200724868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