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568A - 도주 방지 수갑 장치 - Google Patents

도주 방지 수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568A
KR20160105568A KR1020150027853A KR20150027853A KR20160105568A KR 20160105568 A KR20160105568 A KR 20160105568A KR 1020150027853 A KR1020150027853 A KR 1020150027853A KR 20150027853 A KR20150027853 A KR 20150027853A KR 20160105568 A KR20160105568 A KR 20160105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sensor unit
sensing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익
윤웅
허영진
Original Assignee
정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익 filed Critical 정상익
Priority to KR102015002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568A/ko
Publication of KR2016010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수납부 내부에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 돌출부와 결합되어 잠금 구조를 갖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와 상기 결합부의 잠금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열쇠가 삽입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지정된 열쇠가 아닌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수갑을 탈거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여 범인의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주 방지 수갑 장치{HANDCUFF APPARATUS FOR ESCAPE PREVENTION}
본 발명은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범죄자를 구속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갑은 도 1a에 도시한 것처럼 제1부(10)와 제1부(10)에 연결된 제2부(2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제1부(10)가 제2부(20)에 형성된 수납부(30)에 내삽되는 형태로서 제1부(10)와 제2부(20)가 원형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부(10)의 단부는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수납부(3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31)와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제1부(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출부(11)가 결합부(3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출부(32)와 대응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갑 형태에서, 제1부(10)가 수납부(30) 외부에서 수납부(30) 내부 방향을 따라 수납부(30)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제1부(10)의 제1 돌출부(11)가 결합부(31)의 제2 돌출부(32)에 결합되며, 제1부(10)를 수납부(30) 외부로 탈거하기 위해 제1부(10)를 수납부(30) 내부에서 수납부(30) 외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부(10)의 제1 돌출부(11)와 결합부(31)의 제2 결합부(32)의 구조로 인해 제1부(10)는 결합부(31)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다만, 수납부(30)의 표면에 뚫린 형태로 형성된 열쇠관통부(40)에 열쇠를 삽입하고, 열쇠를 이용하여 결합부(31)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만 제1부(10)를 수납부(3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그러나, 열쇠관통부(40)에 지정된 열쇠뿐 아니라 클립이나 핀을 구부려 삽입하여도 결합부(31)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수갑을 채운 범죄자가 경찰의 도움 없이도 수갑을 풀고 달아날 수 있어 도주가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설정된 열쇠 이외에 수갑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열쇠 이외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갑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없도록 하는 수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수납부 내부에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 돌출부와 결합되어 잠금 구조를 갖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와 상기 결합부의 잠금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열쇠가 삽입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열쇠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내부벽에 위치하여 상기 열쇠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것이 좋다.
한 예에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가 발생된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이후 동작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센서부가 결합부의 단부를 밀어내는 열쇠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제2 센서부에서 제2 감지신호가 발생하면 제1 신호부가 결합부를 밀어내는 열쇠의 형태를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는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로 인해, 지정된 열쇠가 아닌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수갑을 탈거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여 범인의 도주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은 종래의 수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수갑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열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경보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110a)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부(110b)로 구성되고,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센서부(110a)는 수납부(30)의 내부 벽에 부착되어 열쇠(41)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감지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1 센서부(110a)는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 사이에 장애물이 없도록 위치함으로써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좋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몸통부(41a)와 돌출부(41b)를 갖는 열쇠(41)의 구조에 따라, 제1 센서부(110a)는 열쇠(41)의 몸통부(41a)와의 거리와 열쇠(41)의 돌출부(41b)와의 거리를 각각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한 예에서, 제1 센서부(110a)는 거리 감지 센서인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서부(110b)는 결합부(31a)의 단부에 부착되어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감지신호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예로써, 제2 센서부(110b)는 결합부(31a)의 단부를 밀어내기 위해 결합부(31a)의 단부에 접촉되는 열쇠(41)의 몸통(41b)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연결되어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자세하게는, 센서부(110)의 제1 센서부(110a) 및 제2 센서부(110b)에서 각각 발생한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20)는 제1 센서부(110a) 및 제2 센서부(110b)와 전선연결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센서부(110a) 및 제2 센서부(110b)로부터 제1 감지신호 또는 제2 감지신호를 전달받는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수갑 해제 동작을 판단하는데, 제어부(120)는 제2 감지신호로부터 결합부(31a)에 열쇠(41)의 돌출부(41b)가 접촉되었다고 판단하여 수갑 해제 요청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 감지신호로부터 수납부(30)의 열쇠관통부(40)를 통해 수납부(30) 내부로 삽입된 열쇠(41)의 형태를 감지하여 열쇠(41)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한 예에서, 제어부(120)는 제1 감지신호로부터 제1 센서부(110a)와 수납부(30)에 삽입된 열쇠(41)의 몸통부(41a)와의 거리 및 제1 센서부(110a)와 수납부(30)에 삽입된 열쇠(41)의 돌출부(41b)와의 거리를 각각 전달받고, 정상열쇠가 삽입되었을 때의 예상거리와 제1 감지신호에 따른 거리를 비교하여 수납부(30)에 삽입된 열쇠(41)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열쇠(41)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의 몸통부(41a) 사이의 거리 및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의 돌출부(41b) 사이의 거리를 각각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고, 제1 센서부(110a)에서 직접 측정한 거리와 이를 비교하여 열쇠(41)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예로써, 제어부(120)가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에 따른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에 이르는 거리가 제어부(120)에 이미 저장된 거리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수납부(30) 내부에 삽입된 열쇠(41)가 정상열쇠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130)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다른 한 예로써, 제어부(120)가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에 따른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에 이르는 거리가 제어부(120)에 이미 저장된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20)는 수납부(30) 내부에 삽입된 열쇠(41)가 정상열쇠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발생부(1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경보 발생부(130)로 전달한다.
이때, 클립이나 핀을 구부려 열쇠 형태로 변형시킨 도구가 열쇠관통부(40)를 통해 수납부(30) 내부로 삽입된 경우, 제1 센서부(110a)가 클립이나 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출력한 제1 감지신호는 제어부(120)가 이미 가지고 있는 제1 센서부(110a)와 열쇠(41)와의 거리와는 다르므로, 제어부(120)는 수납부(30) 내부에 지정된 열쇠(41)가 삽입된 경우에만 정상열쇠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경보 발생부(130)는 제어부(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120)로부터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음을 출력한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본 발명의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지정된 열쇠(41)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정상열쇠로 판단하고, 이외의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보 발생부(130)를 동작하게 하므로, 정상열쇠가 아닌 도구를 이용하여 수갑을 해제하려 하는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켜 도주 의도를 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주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경보 발생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도주 방지 수갑 장치는 제어부(120)의 정상열쇠 판단 결과를 외부의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제1부가 수납부(30) 내부로 삽입되어 제1부의 제1 돌출부(11)가 수납부(30) 내부의 결합부(31a)에 형성된 제2 돌출부(32a)에 대응되어 이미 수갑이 체결된 상태에서, 열쇠관통부를 통해 열쇠(41)가 삽입되어 열쇠(41)가 화살표 A1 및 A2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이때, 결합부(31a)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센서부(110b)는 열쇠(41)의 돌출부(41b)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부(120)가 제2 센서부(110b)로부터 제2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제1 센서부(110a)를 구동시켜 제1 센서부(110a)가 열쇠(41)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제1 센서부(110a)는 열쇠(41)의 몸통부(41a)와의 거리 및 열쇠(41)의 돌출부(41b)와의 거리를 각각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로서 제어부(120)로 전달하고, 제어부(120)는 전달받은 제1 감지신호에 포함된 거리정보와 이미 저장된 정상열쇠의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정상열쇠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20)가 열쇠관통부(40)를 통해 삽입된 열쇠가 정상열쇠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발생부(130)를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발생부(130)로 전달하므로, 경보 발생부(130)에서 경보음을 출력한다.
그러나 이때, 제어부(120)가 열쇠관통부(40)를 통해 삽입된 열쇠가 정상열쇠라고 판단한 경우, 경보 발생부(130)는 동작하지 않으며 화살표 A1 및 A2 방향을 따라 회전한 열쇠(41)의 돌출부(41b)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도주 방지 수갑 장치의 결합부(31a)가 화살표 B1 방향을 따라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31a)는 결합부(31a)를 고정하는 고정부(310)를 기준으로 위치가 이동하게 되어, 결합부(31b)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31b)의 위치 변경에 따라 결합부(31b)의 제2 돌출부(32)는 제1부(10)의 제1 돌출부(11)에 인접하게 위치했다가(32a) 제1 돌출부(11)로부터 떨어지도록 위치하게 된다(32b).
이로 인해, 제1부(10)의 돌출부(11)가 수납부(30) 내부에서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만한 장애물(이전의 결합부(31)에 형성된 제2 돌출부(32))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부(10)가 수납부(30) 외부로 빠져나가며 결합상태를 유지하던 수갑 장치가 풀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a : 제1센서부 110b : 제2 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경보 발생부

Claims (4)

  1. 수납부 내부에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가 상기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제2 돌출부와 결합되어 잠금 구조를 갖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와 상기 결합부의 잠금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열쇠가 삽입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열쇠가 정상열쇠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
    를 포함하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열쇠의 접촉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부,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내부벽에 위치하여 상기 열쇠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부
    를 포함하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도주 방지 수갑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가 발생된 제1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 이후 동작하여 상기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도주 방지 수갑 장치.
KR1020150027853A 2015-02-27 2015-02-27 도주 방지 수갑 장치 KR20160105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53A KR20160105568A (ko) 2015-02-27 2015-02-27 도주 방지 수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53A KR20160105568A (ko) 2015-02-27 2015-02-27 도주 방지 수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68A true KR20160105568A (ko) 2016-09-07

Family

ID=5694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53A KR20160105568A (ko) 2015-02-27 2015-02-27 도주 방지 수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55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384B2 (en) Sensor powered by item of merchandise for retail security
JP2018529173A (ja) 盗難防止装置および電気端末装置用アダプタプラグ
CN103858154A (zh) 接近度标签
KR10217530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EP1197935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Objekten
JP2008226506A (ja) コネクタの接続状態判定装置
CN101545335A (zh)
JP2010148247A (ja)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JP2010277379A (ja) 盗難防止装置
CN105359415B (zh) 用于机器安全的非接触式接近开关
KR100892998B1 (ko) 오토바이용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EP3170723A1 (en) Lock for a bicycle
KR20160105568A (ko) 도주 방지 수갑 장치
JP6026223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687196B1 (ko) 도난 방지 장치
WO2018078692A1 (ja) 盗難防止用タグおよび信号発信装置
JP2004310622A (ja) 表示装置
KR100981209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KR101755273B1 (ko) 상황 알림기능을 갖는 비상문 잠금장치용 보조장치
JP2013107481A (ja) 車載用サイレン装置
KR101851502B1 (ko)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해제되는 잠금장치
JP6882946B2 (ja) 警報器及び通信アダプタ
US20150009033A1 (en) Anti-theft device for a golf club
US20040113762A1 (en) Multi-functional car-burglar-proof annunciator
KR101517847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전자식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