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099B1 -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099B1
KR101241099B1 KR1020110145209A KR20110145209A KR101241099B1 KR 101241099 B1 KR101241099 B1 KR 101241099B1 KR 1020110145209 A KR1020110145209 A KR 1020110145209A KR 20110145209 A KR20110145209 A KR 20110145209A KR 101241099 B1 KR101241099 B1 KR 10124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image input
image
unit
in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1014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키를 하기 위한 입력부(110)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전면 하우징(100H)을 가진 도어락에 있어서, 전면 하우징(100H)의 탈거시 또는 입력부(110)에 대한 인증키의 오류나 미입력시의 현관문(300)의 개문을 감지하여 현관문(300)의 개문시 이에 대한 신호(SIG)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120),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상입력부(130), 제1 영상입력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영상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로 이루어지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Doorlock for intruder surveillance}
본 발명은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에 구비되는 도어락에 있어서 침입자가 도어락의 해제에 필요한 비밀번호의 횟수를 초과하여 오류하거나 도어락을 파손하여 개문되었을 경우에 침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속에서 침입자의 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현관의 출입구에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오피스텔, 사무실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이 경우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하였다. 따라서, 종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인증 수단으로 전자 키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를 도어락에 탑재하여 도어락의 전반적인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인증 수단을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은 인증 수단이 정당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수단이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구동부를 작동하여 모티스를 해정하게 된다.
인증수단인 키입력에 있어서 인증번호 등은 동일기기에 대하여 반복적 사용으로 인하여 인증번호 등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어 모티스가 해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디지털 도어락의 본체를 하우징하는 하우징 수단은 연질의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침입자의 파손에 쉽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번호 등을 모른다하여도 침입자는 휴대용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도어락의 해정장치를 파손하여 침입할 수 있다.
도어락의 인증과정을 정상적으로 거치지 않거나 도어락을 파손하여 침입한 경우 이에 대한 사후적인 침입자에 대한 증거, 예를 들면 침입자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에 따라 방범의 사후적인 조치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비정상적인 인증여부를 확인하지 않거나 파손에 관계없이 비디오폰의 현관 단말기에 획일적으로 방문자의 영상을 녹화하여 전송하는 카메라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현관의 입구 외측을 기준으로 현관을 방문한 사람을 영상 녹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침입자가 비디오폰의 카메라 화각을 벗어나 도어락을 파손시켜 침입할 경우 이에 대한 침입 증거자료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침입자의 침입을 인지하며, 침입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침입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도어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입을 감지하며 침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속에서 침입자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입으로 감지되었을 경우 침입을 알리는 경보음이 울리게 하는 주전원과 침입자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보조전원을 분리하여 침입자가 침입자가 침입시 도어락 동작을 위한 주전원인 배터리 등을 제거하더라도 영상녹화를 위한 보조전원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키를 하기 위한 입력부(110)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전면 하우징(100H)을 가진 도어락에 있어서, 전면 하우징(100H)의 탈거시 또는 입력부(110)에 대한 인증키의 오류나 미입력시의 현관문(300)의 개문을 감지하여 현관문(300)의 개문시 이에 대한 신호(SIG)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120),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상입력부(130), 제1 영상입력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영상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로 이루어지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체의 후면을 하우징하는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상입력부(14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6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제2 영상입력부(140)로 하여금 영상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영상입력부(130) 또는 제2 영상입력부(140)에 의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는 CCD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 하우징(100H) 또는 후면 후우징(200H)에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170S)가 전면 하우징(100H) 또는 후면 후우징(200H)의 내측에 장착되는 알람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람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부(180)와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부(190)가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1 전원부(180)는 후면 후우징(200H)에 구비된 제1 전원커버(300B)의 내측에서 회로기판(미도시)의 상면에 탈거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전원부(190)는 회로기판의 하면 또는 제1 전원커버(300B)의 개방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제1 전원부(180)로부터 충전되는 보조 배터리 또는 탈거 가능한 보조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홀(100h)들이 전면 하우징(100H)의 전면에 형성되며, 핀홀(100h)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1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100L)가 장착되어 제1 영상입력부(130)로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홀(200h)들이 후면 후우징(200H)의 전면에 형성되며, 핀홀(200h)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2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200L)가 장착되어 제2 영상입력부(140)로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는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의 직경보다 큰 깊이로 핀홀(100h)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는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의 직경보다 큰 깊이로 핀홀(200h)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침입을 감지하며 침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속에서 침입자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으며, 침입으로 감지되었을 경우 침입을 알리는 경보음이 울리게 하는 주전원과 침입자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보조전원을 분리하여 침입자가 침입시 도어락 동작을 위한 주전원인 배터리 등을 제거하더라도 영상녹화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핀홀부(P)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b의 핀홀부(Q)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은 인증키를 하기 위한 입력부(110)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전면 하우징(100H), 전면 하우징(100H)의 탈거시 또는 입력부(110)에 대한 인증키의 오류나 미입력시의 현관문(300)의 개문을 감지하여 현관문(300)의 개문시 이에 대한 신호(SIG)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120),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상입력부(130), 본체의 후면을 하우징하는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상입력부(140), 제1 영상입력부(130) 또는 제2 영상입력부(140)에 의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50) 및 제1 영상입력부(130) 또는 제2 영상입력부(14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신호(SIG)가 생성될 때 영상 입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는 CCD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증키는 숫자나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지문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120)에 의한 현관문(300)의 개문에 대한 감지는 현관문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근접센서 등에 의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한편, 전면 하우징(100H) 또는 후면 후우징(200H)에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신호(SIG)가 생성될 때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170)가 구비된다.
이 때, 알람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부(180)와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부(190)가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전원부(180)는 후면 후우징(200H)에 구비된 제1 전원커버(300B)의 내측에서 회로기판(미도시)의 상면에 탈거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원부(190)는 회로기판의 하면 또는 제1 전원커버(300B)의 개방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제1 전원부(180)로부터 충전되는 보조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원부(190)는 제1 전원부(180)로부터 충전되는 전원 배터리 대신에 회로기판의 하면 또는 제1 전원커버(300B)의 개방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탈거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져도 좋다.
따라서 침입자가 침입시 제일 먼저 알람부(170)에 의하여 발생되는 경보음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후면 후우징(200H)에 장착된 제1 전원커버(300B)를 개방하여 제1 전원부(180)인 주 배터리를 제거하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구동을 위한 제2 전원부(190)는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침입자는 자신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침입자는 무의적으로 노출된 제1 전원부(180)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도어락의 감시기능이 제거되었다고 판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면 하우징(100H)의 내면에는 알람부(170)의 구동에 의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기 위한 스피커(170S)가 구비되며,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핀홀(100h)이 전면 하우징(100H)의 전면에 형성된다. 전면 하우징(100H)에 형성된 핀홀(100h)은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로 배열된 핀홀(100h)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1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100L)가 장착되어 제1 영상입력부(130)로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가 스피커(170S)의 출력을 위한 홀(hole)인 복수개의 핀홀(100h)들 중의 하나에 안착됨으로써 침입자는 제1 영상입력부(130)인 CCD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후면 하우징(200H)의 내면에는 알람부(170)의 구동에 의하여 경보음이 출력되기 위한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핀홀(200h)이 후면 후우징(200H)의 전면에 형성된다. 후면 후우징(200H)에 형성된 핀홀(200h)은 복수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로 배열된 핀홀(200h)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2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200L)가 장착되어 제2 영상입력부(140)로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가 스피커(170S)의 출력을 위한 홀(hole)인 복수개의 핀홀(200h)들 중의 하나에 안착됨으로써 침입자는 제2 영상입력부(140)인 CCD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는 각각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의 직경보다 큰 깊이로 핀홀(100h)과 핀홀(200h)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메라 렌즈(100L, 200L)가 안착됨으로써 침입자는 카메라 렌즈(100L, 200L)를 전혀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에 의하면, 침입자는 침입시 발생되는 경보음을 무의적 또는 의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후면 후우징(200H)에 구비된 제1 전원커버(300B)를 개방하여 제1 전원부(180)인 주 배터리를 제거하게 되지만, 스피커(170S)의 출력을 위한 핀홀(100h)들과 핀홀(200h)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내재된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전원부(180)와 독립적으로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1 전원커버(300B)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구비되는 제2 전원부(190)인 보조 배터리에 의하여 침입자의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150)에 저장함으로써, 사후적인 침입자에 대한 침입의 증거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침입자는 스피커(170S)의 출력을 위한 핀홀(100h)과 핀홀(200h)을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와 구별할 수 없게 되어 자신의 영상이 녹화되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침입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배터리와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배터리가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침입자가 일차적으로 제1 전원부(180)인 주 배터리를 제거하더라도 침입자의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의 전원은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300: 현관문
100H: 전면 하우징
100h: 핀홀
100L:카메라 렌즈
110: 입력부
120: 감지부
130: 제1 영상입력부
140: 제2 영상입력부
150: 메모리부
160: 제어부
170: 알람부
170S: 스피커
180: 제1 전원부
190: 제2 전원부
200B: 제1 전원커버
200H: 후면 하우징
200h: 핀홀
200L: 카메라 렌즈

Claims (12)

  1. 인증키를 하기 위한 입력부(110)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전면 하우징(100H)을 가진 도어락에 있어서,
    전면 하우징(100H)의 탈거시 또는 입력부(110)에 대한 인증키의 오류나 미입력시의 현관문(300)의 개문을 감지하여 현관문(300)의 개문시 이에 대한 신호(SIG)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120);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상입력부(130);
    제1 영상입력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영상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후면을 하우징하는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상입력부(140)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60)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제2 영상입력부(140)로 하여금 영상이 입력되도록 제며,
    전면 하우징(100H) 또는 후면 후우징(200H)에는 감지부(120)에 의하여 상기 신호(SIG)가 생성될 때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170S)가 전면 하우징(100H) 또는 후면 후우징(200H)의 내측에 장착되는 알람부(170)를 더 포함하며,
    알람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부(180)와 제1 영상입력부(130)와 제2 영상입력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부(190)가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제1 전원부(180)는 후면 후우징(200H)에 구비된 제1 전원커버(300B)의 내측에서 회로기판(미도시)의 상면에 탈거 가능한 배터리로 이루어지며,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홀(100h)들이 전면 하우징(100H)의 전면에 형성되며, 핀홀(100h)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1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100L)가 장착되어 제1 영상입력부(130)로 전면 하우징(1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원부(190)는 회로기판의 하면 또는 제1 전원커버(300B)의 개방시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제1 전원부(180)로부터 충전되는 보조 배터리 또는 탈거 가능한 보조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피커(170S)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이 본체의 외부로 전파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핀홀(200h)들이 후면 후우징(200H)의 전면에 형성되며, 핀홀(200h)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핀홀(200h)의 내경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카메라 렌즈(200L)가 장착되어 제2 영상입력부(140)로 후면 후우징(200H)의 전방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는 제1 영상입력부(130)의 카메라 렌즈(100L)의 직경보다 큰 깊이로 핀홀(100h)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11. 제9항에 있어서,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는 제2 영상입력부(140)의 카메라 렌즈(200L)의 직경보다 큰 깊이로 핀홀(200h)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12. 삭제
KR1020110145209A 2011-12-28 2011-12-28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KR10124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09A KR101241099B1 (ko) 2011-12-28 2011-12-28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09A KR101241099B1 (ko) 2011-12-28 2011-12-28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099B1 true KR101241099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209A KR101241099B1 (ko) 2011-12-28 2011-12-28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691A (zh) * 2017-01-12 2018-07-20 德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可使用行动装置的电源作为电力来源的门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44Y1 (ko) * 2006-08-31 2006-11-23 (주)대우건설 디지털 도어록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44Y1 (ko) * 2006-08-31 2006-11-23 (주)대우건설 디지털 도어록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1691A (zh) * 2017-01-12 2018-07-20 德金属工业股份有限公司 可使用行动装置的电源作为电力来源的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US11488453B1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9100208A1 (zh) 电子锁装置
JP2006244039A (ja) 監視装置
KR20140138418A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JP2010140288A (ja) 出入口ドア防犯装置
KR101241099B1 (ko)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CN105951888A (zh) 一种基于红外和超声波双重监控防盗井盖及其控制方法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TWM556268U (zh) 電子鎖裝置
KR101991872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TWI654361B (zh) 電子鎖裝置
KR20070110152A (ko) 화상 잠금개폐 처리장치
KR101402694B1 (ko)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0649483B1 (ko) 원격 보안 수단을 내장한 도어록 시스템과 장치
TWM491703U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JP5345308B2 (ja) こじ開け防止システム
JP2007063786A (ja) 錠監視装置
JP2005145299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KR101970706B1 (ko) 샷시용 도어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3217011A (ja) 自動販売機、通報装置および通報方法
JP5120138B2 (ja) セキュリティ機器
KR101974013B1 (ko) 비상문 개방 경보 장치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