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113A -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113A
KR20160104113A KR1020150016682A KR20150016682A KR20160104113A KR 20160104113 A KR20160104113 A KR 20160104113A KR 1020150016682 A KR1020150016682 A KR 1020150016682A KR 20150016682 A KR20150016682 A KR 20150016682A KR 20160104113 A KR20160104113 A KR 20160104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communication
battery cell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088B1 (ko
Inventor
나윤상
Original Assignee
(주)디지탈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탈포디 filed Critical (주)디지탈포디
Priority to KR1020150016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8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킴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전지셀과 전지셀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각각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한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도록 하는 펌웨어와,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펨웨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상기 주변 단말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부; 및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AUXILIARY BATTERY SYSTEM HAVING A MEMO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 충전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또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그 크기가 작고 가벼워져 휴대가 간편해짐에 따라 그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이거나 실내 즉,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검색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정보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 예컨대, 휴대 전화는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통화 기능이 주된 기능이었으나, 점차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디지털 카메라 (Digital camera)와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는 통화 이외의 부가 기능의 추가로 인해 내부 회로가 점차 복잡해지고, 휴대 전화의 사이즈와 중량이 증가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는 점차 증가하나, 휴대 전화의 배터리는 한정된 충전 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고갈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 더 큰 충전 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지 않는 부가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부가 기능이 내장된 별도의 휴대 단말기 또는 보조 장치를 추가로 휴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공보 특2003-0011146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75046호 '휴대 단말기와 주변 장치간의 통신 중계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킴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은 내부에 전지셀과 전지셀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각각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한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도록 하는 펌웨어와,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펨웨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상기 주변 단말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부; 및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부는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상기 주변 단말이 위치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주변 단말 감지부; 상기 감지된 주변 단말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해당 주변 단말을 인증하는 어플 인증부; 상기 주변 단말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및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부는 상기 감지된 주변 단말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단말에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팝업 메시지를 푸쉬하는 메시지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는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경로가 링크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드와, 상기 주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스트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는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인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에 접속되어 휴대용 단말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로 비상 또는 예비적인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 단말의 메인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조 배터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호스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조 배터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의 충전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저장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보조 배터리(10), 제1 휴대용 단말(20), 제2 휴대용 단말(30) 및 주변 단말(4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은 사용자가 이동중이거나 실내 즉,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보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단말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 수첩, 또는 네트워크 게임기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주변 단말(40) 역시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은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실내 즉,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보조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뿐 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1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충전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 PDA, MP3 플레이어 또는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 또는 비상 동작 전원(예컨대,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의 메인 배터리가 거의 소모된 경우)을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로 공급해주고, 또한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60)를 통하여 저장하거나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주변 단말(40)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여 주변 단말(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내부에 전지셀(110)과 전지셀 보호회로(120)를 포함하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일측과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각각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한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는 몸체부(11)의 상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4)와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몸체부(11)는 보조 배터리(10)의 외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면, 하면, 상면과 하면 사이에 구비된 네 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몸체부(11)는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지니고 다니며, 충전 기능과 전기 공급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는 안착홈(미도시)에 결합되는 전지셀(110) 이외에, 후술하는 전지셀 보호회로(120)와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배선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는 일측벽 상에 형성되어 전지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입력 단자(15)와, 상면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보조 배터리(1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선택부(16)는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드와, 주변 단말(4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스트 통신 모드와, 펌웨어(firmware)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몸체부(11)는 일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가능한 전원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출력 단자는 전지셀(110)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 구조를 가지는 외부의 전자기기(미도시)로 공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출력 단자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12)는 제1 휴대용 단말(20)에 연결되어 전지셀(110)로부터 제1 휴대용 단말(20)로 전원을 공급하는 핀 단자로서, 몸체부(11)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휴대용 단말(20)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단자(12)는 MP3, 핸드폰, 노트북 등과 같은 제1 휴대용 단말(20)의 입출력 커넥터(I/O Connector)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 커넥터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단자(12)는 제1 휴대용 단말(20)의 입출력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전기 및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자(12)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폰에 접속이 가능한 5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자(12)는 전지셀 보호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고, 전지셀 보호회로(120)의 제어에 의하여 전지셀(11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제1 휴대용 단말(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12)는 제1 휴대용 단말(20)에 전기 공급과 함께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휴대용 단말(20)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4)를 제1 휴대용 단말(20)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휴대용 단말(20)에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단자(13)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연결되어 전지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핀 단자로서, 몸체부(11)의 일측과 반대인 타측에 위치되는 제2 휴대용 단말(30)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단자(13)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연결되어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 단자(13)는 제2 휴대용 단말(30)의 커넥터 단자(미도시)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커넥터 단자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단자(13)는 제2 휴대용 단말(30)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자(13)는 IOS 플랫 폼 기반의 스마트 폰에 접속이 가능한 20핀, 24핀 또는 30핀 등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단자(13)는 전지셀 보호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고, 전지셀 보호회로(120)의 제어에 의하여 전지셀(110)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제2 휴대용 단말(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3)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 공급과 함께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14)는 그 사이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슬라이드 동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휴대용 단말(20)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4)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휴대용 단말(20)에 접속시키고, 이와 반대로 제2 휴대용 단말(30)을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4)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가 몸체부(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11)의 다른 면 또는 다른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입력 단자(15)는 몸체부(11)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측벽 상에 형성되어 가정용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 입력 단자(15)는 몸체부(11) 내부의 전지셀 보호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 라인(미도시)의 전원 케이블 단부의 전원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전지셀 보호회로(120)에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를 통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로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몸체부(11)의 일측면에는 설정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가 누름식 버튼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압 조절부를 통해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로 출력함으로써,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의 입력 전압 세기에 따라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110)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서, 몸체부(11)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전지셀(110)은 통상의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10)로서, 전원 입력 단자(15)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제1 단자(12) 및 제2 단자(13)를 통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기를 방전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전지셀(110)은 휴대폰용 배터리 이외에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110)이 사용될 수 있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전지셀 보호회로(12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셀(110)로서, 리튬, 폴리머 계통의 2차 전지일 수 있고, 전지셀(110)의 크기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 정도의 크기이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110)에 충전되는 전기의 양은, 휴대폰의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적어도 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 전후의 대기시간이 가능한 양의 전기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120)는 전지셀(110)에 연결되어 전원 입력 단자(15)로부터 공급되어 전지셀(110)에 충전된 전원을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주변 단말(40)과의 호스트 통신을 수행하거나 하는 동작들을 제어하고, 또한 해당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30), 제1 통신부(140), 제2 통신부(150), 메모리부(160), 호스트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120)를 구성하는 전원 공급부(130), 제1 통신부(140), 제2 통신부(150), 메모리부(160), 호스트부(170) 및 제어부(180)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들이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충전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몸체부(1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전지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제1 단자(12) 또는 제2 단자(13)를 통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1 통신부(140)는 제1 단자(12) 또는 제2 단자(13)를 통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통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1 단자(12) 또는 제2 단자(13)를 통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의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multimedia data)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60)에 제공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40)는 제어부(180)를 통하여 보조 배터리(10)의 충방전 데이터를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신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인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신부(150)는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호스트 통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호스트부(170)를 통하여 주변 단말(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주변 단말(40)의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인증 정보, 보조 배터리(10)의 충방전 정보, 펌웨어 설치 또는 업데이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도록 하는 펌웨어와, 전지셀(110)의 충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펌웨어는 업데이드 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그 외에도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제어부(180)를 통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SRAM, 롬, EEPROM, PROM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부(170)는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호스트 통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펨웨어에 따라 보조 배터리(10) 주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주변 단말(40)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트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단말 감지부(171), 어플 인증부(172), 정보 전송부(174), 업데이트부(175) 및 메시지 푸쉬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단말 감지부(171)는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주변 단말(40)이 위치되는 지 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주변 단말 감지부(171)는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호스트 통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호스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인 근거리 통신방식에서 적용되는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주변 단말(40)을 감지한다.
상기 어플 인증부(172)는 주변 단말 감지부(171)에 의하여 감지된 주변 단말(40)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해당 주변 단말(40)을 인증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174)는 어플 인증부(172)에 의하여 인증된 주변 단말(40)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통신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지셀(110)의 충방전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업데이트부(175)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즉, 상기 업데이트부(175)는 모드 선택부(16)에 의하여 동작 모드가 업데이터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주변 단말(40)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무선 통신망과 호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40)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펌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펌웨어를 업데이트한다. 또는, 상기 업데이트부(175)는 별도의 단자를 통하여 PC에 접속시킨 후, 업데이트된 펌웨어 파일을 PC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받아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푸쉬부(173)는 주변 단말 감지부(171)에 의하여 감지된 주변 단말(40)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팝업 메시지를 푸쉬한다. 이때, 상기 팝업 메시지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경로가 링크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지셀(110)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휴대용 단말(20) 및 제2 휴대용 단말(3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전지셀 보호회로(12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전지셀(110)에 연결되어 전원 입력 단자(15)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주변 단말(40)과의 호스트 통신을 수행하거나 하는 동작들을 제어하고, 해당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펌웨어에 따라 제2 통신부(150)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는 주변 단말(40)로 제어 처리(Control Transaction) 신호를 전송하여 주변 단말(40)이 호스트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변 단말(40)이 호스트 통신 모드를 지원하면,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잇는 지 여부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검색 결과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호스트부(170)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시지 푸쉬부(173)를 통하여 주변 단말(40)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팝업 메시지를 푸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 배터리(10)는 몸체부(11)의 일측면에 제어부(180)에 케이블(12b)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착부(11a)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케이블 단자부(1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단자부(12a)의 단자 형태는 제1 휴대용 단말(20) 또는 제2 휴대용 단말(30)에 적합한 형태의 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의 상면에 전지 셀(110)의 용량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디스플레이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는 전지 셀(110)의 용량이 25%, 50%, 75%, 100% 마다 색상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에 접속되어 휴대용 단말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로 비상 또는 예비적인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용 단말의 메인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 또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외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 변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온도 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 변색 물질이 보조 배터리(10)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 변색층 위에는 온도 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온도 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 변색층은 보조 배터리(1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 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 변색 물질이 보조 배터리(10)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색 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색 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색 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 변색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 변색 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 변색 물질을 사용하여 온도 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1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열에 의한 보조 배터리(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 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 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 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 변색 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보조 배터리 11: 몸체부
11a: 안착부 12: 제1 단자
12a: 케이블 단자부 12b: 케이블
13: 제2 단자 14: 가이드부
15: 전원 입력 단자 16: 모드 선택부
17:USB 단자부 20: 제1 휴대용 단말
30: 제2 휴대용 단말 40: 주변 단말
110: 전지셀 120: 전지셀 보호회로
130: 전원 공급부 140: 제1 통신부
150: 제2 통신부 160: 메모리부
170: 호스트부 171: 주변 단말 감지부
172: 어플 인증부 173: 메시지 푸쉬부
174: 정보 전송부 175: 업데이트부
180: 제어부 19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내부에 전지셀과 전지셀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상기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각각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한 제1 및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및 제2 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대하여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도록 하는 펌웨어와,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펨웨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상기 주변 단말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부; 및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부는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상기 주변 단말이 위치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주변 단말 감지부;
    상기 감지된 주변 단말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해당 주변 단말을 인증하는 어플 인증부;
    상기 주변 단말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및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부는
    상기 감지된 주변 단말 내에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단말에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팝업 메시지를 푸쉬하는 메시지 푸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팝업 메시지는 상기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경로가 링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상기 제1 및 제2 휴대용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드와, 상기 주변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스트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인 근거리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KR1020150016682A 2015-02-03 2015-02-03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KR10166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82A KR101665088B1 (ko) 2015-02-03 2015-02-03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682A KR101665088B1 (ko) 2015-02-03 2015-02-03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13A true KR20160104113A (ko) 2016-09-05
KR101665088B1 KR101665088B1 (ko) 2016-10-24

Family

ID=5693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682A KR101665088B1 (ko) 2015-02-03 2015-02-03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15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
US11258280B2 (en) * 2017-07-21 2022-02-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42Y1 (ko) * 2000-06-01 2000-12-01 바이어블코리아주식회사 온도감지가 가능한 휴대폰용 배터리
KR20030011146A (ko) 2003-01-21 2003-02-06 김효덕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JP2003087984A (ja) * 2001-09-13 2003-03-20 Toshiba Corp 携帯形充電器
KR20130075046A (ko) 2011-12-27 2013-07-05 베가웍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140317303A1 (en) * 2009-03-16 2014-10-23 Apple Inc. Application launching in conjunction with an accesso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542Y1 (ko) * 2000-06-01 2000-12-01 바이어블코리아주식회사 온도감지가 가능한 휴대폰용 배터리
JP2003087984A (ja) * 2001-09-13 2003-03-20 Toshiba Corp 携帯形充電器
KR20030011146A (ko) 2003-01-21 2003-02-06 김효덕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US20140317303A1 (en) * 2009-03-16 2014-10-23 Apple Inc. Application launching in conjunction with an accessory
KR20130075046A (ko) 2011-12-27 2013-07-05 베가웍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 중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8280B2 (en) * 2017-07-21 2022-02-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20190066315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88B1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3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based on temperature
US10581256B2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battery leakage state
US944428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KR101998003B1 (ko) 배터리 공유를 위한 유도성 결합 및 다기능 유도성 안테나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KR20120101004A (ko) 배터리 인터페이싱 장치용 패치와 관련 시스템 및 방법
KR101216145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65088B1 (ko)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KR101372057B1 (ko)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KR20130108903A (ko) 이동 단말에 설치 된 전력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력 공유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12591A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91959A (ko)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US20180006482A1 (en) Terminal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53929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US20140062453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7819934A (zh) 充电提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380779B1 (ko) 휴대용 보안 메모리
KR20160148442A (ko)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240020531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충전 장치
US20240213794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20230129892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수의 배터리들의 정보 표시 방법
US20240030738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4004363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내장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방전 제어 방법
KR20230167855A (ko) 전자 장치 및 배터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