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779B1 - 휴대용 보안 메모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안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779B1
KR102380779B1 KR1020200144192A KR20200144192A KR102380779B1 KR 102380779 B1 KR102380779 B1 KR 102380779B1 KR 1020200144192 A KR1020200144192 A KR 1020200144192A KR 20200144192 A KR20200144192 A KR 20200144192A KR 102380779 B1 KR102380779 B1 KR 10238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controller
storage devi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철
Original Assignee
정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철 filed Critical 정은철
Priority to KR102020014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06F21/79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in semiconductor storage media, e.g. directly-addressable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은 휴대용 저장 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는 배터리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용 저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는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배터리의 방전은 차단하고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외부 컴퓨터의 읽기 동작 및 쓰기 동작을 허용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보안 메모리{PORTABLE SECURE MEMORY}
본 발명은 휴대용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메모리의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SSD(Solid State Drive) 장치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 장치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컴퓨터에 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구동이 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저장 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이 크고, 간편하게 구동이 되므로 도난이나 분실이 된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를 소지한 누구나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저장 장치에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상기 패스워드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방식 역시 패스워드가 유출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아무런 보안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안이 강화된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은 휴대용 저장 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배터리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은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읽기 동작 및 쓰기 동작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외부 전압 단자,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IC(Integrated Circuit), 상기 외부 전압 단자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턴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전원 제어 회로, 상기 외부 전압 단자와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고, 보안 제어 신호의 논리 레벨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보안 스위치, 및 턴온 상태에서 상기 턴온 신호를 상기 전원 제어 회로에 제공하고, 상기 전원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작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상기 보안 제어 신호를 상기 보안 스위치에 제공하여 상기 보안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상기 보안 제어 신호를 상기 보안 스위치에 제공하여 상기 보안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애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4 다이오드, 게이트,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는 소스,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PMOS(P-type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이미터, 및 접지 전압에 연결되는 콜렉터를 포함하는 PNP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전압 입력 단자, 및 전압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를 통해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압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상기 전압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를 통해 논리 로우 레벨의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압 입력 단자와 상기 전압 출력 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동작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는 읽기 동작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연결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직접 인가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턴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턴온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고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단말기 탐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단말기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리, 진동, 조명, 및 팝업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저장 장치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소리, 진동, 및 조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이 유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알람을 표시하고 마지막으로 저장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분실 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은 휴대용 저장 장치에 대한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탐색 기능 및 휴대용 저장 장치의 위치 탐색 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저장 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휴대용 저장 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은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내부에 포함되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읽기 동작 및 쓰기 동작을 허용하고, 모바일 단말기(200)와의 상기 무선 통신이 단절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상기 읽기 동작 및 상기 쓰기 동작을 허용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차단하여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라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USB 메모리 장치, SSD(Solid State Drive) 장치 등과 같이 이동 가능하면서도 불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이동식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외부 전압 단자(101),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 배터리(110), 충전 IC(Integrated Circuit)(120), 전원 제어 회로(130), 컨트롤러(140), 메모리 디바이스(150), 및 보안 스위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외부 전압 단자(101)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VCC)은 외부 전압 단자(101)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 경우, 읽기 모드에서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DT)를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고, 쓰기 모드에서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DT)를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압 단자(101)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는 USB 표준에 따른 단자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외부 전압 단자(101)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는 임의의 표준에 따른 단자들 일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 가능한 임의의 종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IC(120)는 외부 전압 단자(101)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는 경우, 충전 IC(120)는 전원 전압(VCC)을 사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충전 IC(120)는 배터리(11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전원 제어 회로(130)는 외부 전압 단자(101) 및 배터리(110)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 제어 회로(130)는 배터리(110)의 방전을 차단하고 외부 전압 단자(101)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 전압(VCC)을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전원 제어 회로(130)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턴온 신호(TON)에 기초하여 배터리(110)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회로(130)는 컨트롤러(140)로부터 턴온 신호(TON)가 제공되는 경우 배터리(110)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40)로부터 턴온 신호(TON)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동작 전압(VOP)을 컨트롤러(140)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제어 회로(13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보안 스위치(160)는 외부 전압 단자(101)와 메모리 디바이스(150) 사이에 연결되고, 컨트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보안 제어 신호(SCS)의 논리 레벨에 기초하여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스위치(160)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턴온되고, 컨트롤러(140)로부터 상기 제1 논리 레벨과는 다른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 레벨은 논리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2 논리 레벨은 논리 로우 레벨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 레벨은 논리 로우 레벨이고 상기 제2 논리 레벨은 논리 하이 레벨일 수 있다.
한편, 보안 스위치(160)는 컨트롤러(140)가 턴오프되어 컨트롤러(140)로부터 보안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턴오프될 수 있다.
보안 스위치(160)가 턴온되어 보안 스위치(160)를 통해 전원 전압(VCC)이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제공되는 경우, 메모리 디바이스(150)는 턴온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보안 스위치(160)가 턴오프되는 경우, 메모리 디바이스(150)는 턴오프되어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접근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메모리 디바이스(150)는 불휘발성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디바이스(150)는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중단되어 턴오프된 경우에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전원 제어 회로(130)로부터 동작 전압(VOP)이 제공되는 경우 턴온되고, 전원 제어 회로(130)로부터 동작 전압(VOP)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턴온 상태에서 턴온 신호(TON)를 전원 제어 회로(130)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전원 제어 회로(130)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전압(VOP)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140) 및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14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미리 정의된 보안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보안 스위치(160)에 제공하여 보안 스위치(160)를 턴온시킴으로써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DT)를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는 읽기 동작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DT)를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컨트롤러(14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보안 스위치(160)에 제공하여 보안 스위치(16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에도,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저장 장치에 포함되는 전원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는 도 2의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포함되는 전원 제어 회로(13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제어 회로(130)는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 제3 다이오드(D3), 제4 다이오드(D4), PMOS(P-type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MP), PNP 트랜지스터(BP),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및 전원 스위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외부 전압 단자(101)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다이오드(D3)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다이오드(D4)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턴온 신호(TON)를 수신하는 애노드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PMOS 트랜지스터(MP)는 PNP 트랜지스터(BP)의 이미터(emitter)에 연결되는 게이트(gate), 배터리(110)에 연결되는 소스(source), 및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드레인(drain)을 포함할 수 있다.
PNP 트랜지스터(BP)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베이스(base), PMOS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gate)에 연결되는 이미터, 및 접지 전압(GND)에 연결되는 콜렉터(coll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2 노드(N2)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3 노드(N3)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31)는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전압 입력 단자(132), 컨트롤러(140)에 연결되는 전압 출력 단자(133), 및 제2 노드(N2)에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드(N2)의 전압은 전원 제어 신호(PCS)로서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입력될 수 있다.
스위치 단자(134)를 통해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가 수신되는 경우, 전원 스위치(131)는 턴온되어 전압 입력 단자(132)와 전압 출력 단자(13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압 입력 단자(132)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스위치 단자(134)를 통해 논리 로우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가 수신되는 경우, 전원 스위치(131)는 턴오프되어 전압 입력 단자(132)와 전압 출력 단자(133) 사이의 연결을 전기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는 전원 제어 회로(130)로부터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이 제공되는 경우 턴온되어 동작하고, 전원 제어 회로(130)로부터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1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컨트롤러(140)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200)와 컨트롤러(140)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와 컨트롤러(140)는 상호 인증을 통해 미리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0)와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통신 가능 거리 이내로 서로 접근하는 경우 자동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는 경우, 충전 IC(120)는 외부 전압 단자(101)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전압(VCC)을 사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전압(VCC)은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제1 노드(N1)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드(N1)에 인가된 전원 전압(VCC)은 제2 다이오드(D2)를 통해 제2 노드(N2)에 인가되고,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제3 노드(N3)에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노드(N2)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므로 제1 커패시터(C1)는 전원 전압(VCC)으로 충전되고, 제3 노드(N3)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므로 제2 커패시터(C2)는 전원 전압(VCC)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VCC)이 PNP 트랜지스터(BP)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PNP 트랜지스터(BP)는 턴오프되고, PNP 트랜지스터(BP)가 턴오프되어 PMOS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는 접지 전압(GND)으로부터 차단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MP) 역시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와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 사이의 연결은 차단되므로 배터리(110)의 방전은 차단되고,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제3 노드(N3)에 인가된 전원 전압(VCC)이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다이오드(D2)를 통해 제2 노드(N2)에 인가된 전원 전압(VCC)이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로서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31)는 턴온되어 전압 입력 단자(132)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전압(VCC)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40)는 동작 전압(VOP)에 응답하여 턴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는 턴온 상태에서 논리 하이 레벨의 턴온 신호(TON)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로부터 생성되는 논리 하이 레벨의 턴온 신호(TON)는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31)는 컨트롤러(140)가 턴온된 이후 지속적으로 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압 입력 단자(132)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전압(VCC)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턴온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와 모바일 단말기(200)가 서로 페어링 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컨트롤러(14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미리 정의된 상기 보안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와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통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보안 스위치(160)에 제공하여 보안 스위치(160)를 턴온시켜 메모리 디바이스(150)를 턴온시킴으로써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DT)를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는 읽기 동작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DT)를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200)를 소지한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저장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지거나 휴대용 저장 장치(100)를 분실 또는 도난당하는 등의 이유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가능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보안 스위치(160)에 제공하여 보안 스위치(160)를 턴오프시켜 메모리 디바이스(15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된 경우에도,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VCC)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중에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의 외부 전압 단자(101)에 대한 전원 전압(VCC)의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드(N1)에 대한 전원 전압(VCC)의 인가가 중단되어 제1 노드(N1)의 전압은 논리 로우 레벨로 급격히 하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원 전압(VCC)을 공급받는 동안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는 전원 전압(VCC)으로 충전되어 있으므로,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에 상응하는 제3 노드(N3)의 전압 및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상응하는 제2 노드(N2)의 전압은 논리 로우 레벨로 급격히 하강하지 않고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서서히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도, 전원 스위치(131)는 일정 시간 동안 제2 커패시터(C2) 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전압(VCC)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1 노드(N1)의 전압은 논리 로우 레벨로 급격히 하강하여 논리 로우 레벨의 전압이 PNP 트랜지스터(BP)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PNP 트랜지스터(BP)는 턴온되고, PNP 트랜지스터(BP)가 턴온되어 PMOS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는 접지 전압(GND)과 연결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MP) 역시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는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10)는 방전 동작을 시작하고, 배터리(110)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이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가 방전 동작을 시작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되는 시점부터, 전원 스위치(131)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는 전원 전압(VCC)으로 충전되므로,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배터리(110)가 방전 동작을 시작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전원 스위치(131)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원 전압(VCC)을 사용하여 컨트롤러(140)에 동작 전압(VOP)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컨트롤러(140)는 일시적으로 턴오프되지 않고 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다시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에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 전압(VCC)은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제1 노드(N1)에 인가되고, 전원 전압(VCC)이 PNP 트랜지스터(BP)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PNP 트랜지스터(BP)는 턴오프되고, PNP 트랜지스터(BP)가 턴오프되어 PMOS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는 접지 전압(GND)으로부터 차단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MP) 역시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와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 사이의 연결은 차단되므로 배터리(110)의 방전은 차단되고, 충전 IC(120)는 외부 전압 단자(101)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전압(VCC)을 사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 제3 노드(N3)에 인가된 전원 전압(VCC)이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에 제공되고, 제2 다이오드(D2)를 통해 제2 노드(N2)에 인가된 전원 전압(VCC)이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로서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인가되므로, 전원 스위치(131)는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CC)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40)는 동작 전압(VOP)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10)는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방전은 차단된 채 충전만 되고,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된 동안에는 충전은 차단되고 방전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는 동안 배터리(110)가 충전 동작 및 방전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배터리(11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저장 장치(100a)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더 포함한다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저장 장치(100a)는 배터리(110)와 컨트롤러(140) 사이에 연결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버튼 스위치(170)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저장 장치(100a)에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누르는 횟수 또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명령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턴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 스위치(170)가 1회 선택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외부 컴퓨터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고 컨트롤러(140)도 턴오프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170)가 1회 선택되는 경우, 배터리(110)는 방전 동작을 시작하고, 배터리(110)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컨트롤러(140)에 직접 인가되어 컨트롤러(140)가 턴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40)는 턴온 상태에서 논리 하이 레벨의 턴온 신호(TON)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로부터 생성되는 논리 하이 레벨의 턴온 신호(TON)는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외부 전압 단자(101)를 통해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 노드(N1)의 전압은 논리 로우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논리 로우 레벨의 전압이 PNP 트랜지스터(BP)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PNP 트랜지스터(BP)는 턴온되고, PNP 트랜지스터(BP)가 턴온되어 PMOS 트랜지스터(MP)의 게이트는 접지 전압(GND)과 연결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MP) 역시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는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10)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전원 스위치(131)의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31)는 전압 입력 단자(132)에 인가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전압 출력 단자(133)를 통해 동작 전압(VOP)으로서 컨트롤러(140)에 출력하고, 컨트롤러(140)는 동작 전압(VOP)을 사용하여 턴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통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턴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 스위치(170)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길게 선택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턴오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가 턴온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상기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턴온 신호(TON)의 생성을 중단할 수 있다.
제4 다이오드(D4)를 통해 제2 노드(N2)에 제공되던 논리 하이 레벨의 턴온 신호(TON)의 생성이 중단되므로,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하가 모두 방전되는 경우 전원 스위치(131)의 스위치 단자(134)에 논리 로우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PCS)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31)는 턴오프되어 동작 전압(VOP)을 출력하지 않게 되고, 컨트롤러(140)는 동작 전압(VOP)을 수신하지 않으므로 턴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200)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단말기 탐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 스위치(170)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선택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단말기 탐색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가 턴온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상기 단말기 탐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컨트롤러(14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미리 정의된 단말기 탐색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컨트롤러(140)로부터 송신된 상기 단말기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리, 진동, 조명, 및 팝업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는 이동성이 크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해당 기기의 위치를 잊어버려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푸시 버튼 스위치(170)를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상기 단말기 탐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소리, 진동, 조명, 및 팝업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휴대용 저장 장치(100) 탐색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컨트롤러(14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에 미리 정의된 저장 장치 탐색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저장 장치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리, 진동, 및 조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저장 장치는 이동성이 크기 때문에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자는 해당 장치의 위치를 잊어버려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상기 저장 장치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휴대용 저장 장치(100)는 상기 저장 장치 탐색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 진동, 및 조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분실되는 경우, 분실된 위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200)는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상기 무선 통신이 유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내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저장 장치(100)를 분실 또는 도난당하는 등의 이유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가능 거리를 벗어나게 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와 휴대용 저장 장치(100) 사이의 상기 무선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소리, 진동, 조명, 및 팝업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의 상기 무선 통신이 단절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상기 현재 위치를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분실 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저장 장치(100)를 분실 또는 도난당하는 경우,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분실 또는 도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의 상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대한 보안 기능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대한 상기 보안 기능이 해제된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보안 해제 명령을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컨트롤러(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4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보안 제어 신호(SCS)를 보안 스위치(160)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보안 스위치(160)를 턴온시킴으로써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가능 거리보다 멀리 떨어져 있거나 모바일 단말기(200)가 턴오프 된 경우에도, 컨트롤러(140)는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된 데이터(DT)를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는 읽기 동작 및 데이터 입출력 단자(103)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DT)를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저장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휴대용 저장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 가능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외부 컴퓨터의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휴대용 저장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가 통신 가능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거나 모바일 단말기(200)가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컴퓨터의 메모리 디바이스(150)에 대한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휴대용 저장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200) 탐색 기능 및 휴대용 저장 장치(100) 탐색 기능을 제공하므로, 상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200) 및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위치를 잊어버린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기(200) 및 휴대용 저장 장치(10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10)은 사용자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 장치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100, 100a: 휴대용 저장 장치
101: 외부 전압 단자 103: 데이터 입출력 단자
110: 배터리 120: 충전 IC
130: 전원 제어 회로 131: 전원 스위치
132: 전압 입력 단자 133: 전압 출력 단자
134: 스위치 단자 140: 컨트롤러
150: 메모리 디바이스 160: 보안 스위치
170: 푸시 버튼 스위치

Claims (10)

  1. 배터리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및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은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외부 컴퓨터의 읽기 동작 및 쓰기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외부 전압 단자;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IC(Integrated Circuit);
    상기 외부 전압 단자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턴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전원 제어 회로;
    상기 외부 전압 단자와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고, 보안 제어 신호의 논리 레벨에 기초하여 턴온되는 보안 스위치; 및
    턴온 상태에서 상기 턴온 신호를 상기 전원 제어 회로에 제공하고, 상기 전원 제어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작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상기 보안 제어 신호를 상기 보안 스위치에 제공하여 상기 보안 스위치를 턴온시키고,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상기 보안 제어 신호를 상기 보안 스위치에 제공하여 상기 보안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로부터 차단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컴퓨터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상기 전원 전압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전압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1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3 다이오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애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4 다이오드;
    게이트,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는 소스,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을 포함하는 PMOS(P-type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이미터, 및 접지 전압에 연결되는 콜렉터를 포함하는 PNP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전압 입력 단자, 및 전압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를 통해 논리 하이 레벨의 전원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압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상기 전압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동작 전압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 단자를 통해 논리 로우 레벨의 상기 전원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압 입력 단자와 상기 전압 출력 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동작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에 제공하는 읽기 동작 및 상기 데이터 입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컨트롤러 사이에 연결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방전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직접 인가되어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턴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턴온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고 턴오프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턴온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를 통해 단말기 탐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단말기 탐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리, 진동, 조명, 및 팝업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저장 장치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소리, 진동, 및 조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이 유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알람을 표시하고 마지막으로 저장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분실 위치로서 표시하는 휴대용 보안 저장 시스템.
KR1020200144192A 2020-11-02 2020-11-02 휴대용 보안 메모리 KR10238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92A KR102380779B1 (ko) 2020-11-02 2020-11-02 휴대용 보안 메모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92A KR102380779B1 (ko) 2020-11-02 2020-11-02 휴대용 보안 메모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779B1 true KR102380779B1 (ko) 2022-03-29

Family

ID=8099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92A KR102380779B1 (ko) 2020-11-02 2020-11-02 휴대용 보안 메모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7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265A (ko) * 2006-06-21 2007-12-27 주식회사 엘티전자 유에스비 메모리의 도난 및 분실 방지 시스템
KR20190032778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트레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265A (ko) * 2006-06-21 2007-12-27 주식회사 엘티전자 유에스비 메모리의 도난 및 분실 방지 시스템
KR20190032778A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트레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3831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US10784722B2 (en) BLUETOOTH headset, charging cabin and charging system thereof
EP1851865B1 (en) Method for ensuring a secure nfc functionality of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ecure nfc functionality
US7657290B2 (en)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device
US20090077393A1 (en) Card-type electronic device and host device
US20120171959A1 (en) Storage device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236912B2 (en) Dual input single output power multiplex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KR100480261B1 (ko)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60121975A (ko) 단일 라인상에 비휘발성 메모리 및 서미스터를 갖는 배터리회로
KR20210076365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1050282B2 (e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2380779B1 (ko) 휴대용 보안 메모리
KR100643750B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방법
US20150106920A1 (en) System with physical data authorization
US200501013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unction expan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70174195A1 (en) Key system, key device and information apparatus
KR102266645B1 (ko) 스마트폰 거치형 산업용 장비 제어 장치
CN104252874A (zh) 移动存储器
CN210157392U (zh) 无线接口装置
KR101088074B1 (ko) 정품배터리식별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US8850559B2 (en) Security method of a portable device
KR101453929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KR20160104113A (ko)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EP1429442A2 (en) Circui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power off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