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854A -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854A
KR20160103854A KR1020150026762A KR20150026762A KR20160103854A KR 20160103854 A KR20160103854 A KR 20160103854A KR 1020150026762 A KR1020150026762 A KR 1020150026762A KR 20150026762 A KR20150026762 A KR 20150026762A KR 20160103854 A KR20160103854 A KR 2016010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veyor
drying
support panel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2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854A/ko
Publication of KR2016010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기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건조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펌프를 통해 압송되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분배하는 분배 공급부; 상기 분배 공급부의 하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분배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되, 하단이 좌우로 일정간격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각 연결관과 연결되면서 분배된 슬러지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일정간격으로 압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 패널;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일정간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되, 상기 일정간격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작업성을 개선시킨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Low-temperature drier for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탈수된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압출하면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건조실 내부의 상부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내려놓도록 하되, 상기 상부 컨베이어 위에 압출되는 좌우의 슬러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는 열풍이 상하부 컨베이어를 직접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건조된 슬러지를 상부 컨베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떨어내고, 하부 컨베이어 위에 떨어진 슬러지는 넓게 펼쳐주도록 하여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작업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건조실 내부의 온도, 풍량 및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상, 하부 컨베이어의 속도를 컨트롤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가일층 높일 수 있도록 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한 슬러지 건조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458호에는 탈수처리된 슬러지가 저장되는 사이로와; 상기 사이로로부터 이송배관을 통해 건조기측으로 슬러지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배관상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국수 가닥과 같은 형태로 사출성형하여 후술할 건조기 내의 콘베이어 벨트에 고르게 분배하는 분배기와;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하부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콘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 열풍에 의해 슬러지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와 공기배관으로서 연결되고 열원에 의해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배관 상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열풍을 건조기로 공급하는 열풍송풍팬과; 상기 건조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건조기 내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폐가스 또는 분진 등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팬;으로 구성된 것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슬러지를 국수 가닥과 같이 사출할 뿐만 아니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내려놓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몸체 내에 스크류가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설치되고, 몸체의 일측면에는 프렉시블한 이송배관이 연결되어 슬러지가 공급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모터의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롤러가 설치되며, 몸체의 전단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슬러지 건조장치는 먼저, 분배기로부터 국수 가닥 형태로 배출되는 슬러지를 컨베이어 위에 서로 겹치는 형태로 내려놓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종래 기술의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면 다공판에 의해 슬러지 가닥이 전후좌우로 촘촘하게 배출되는 반면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왕복 거리는 콘베이어의 폭에 준하기 때문에 좌우로 왕복 간에 촘촘히 배출되는 슬러지 가닥이 서로 겹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다른 슬러지 가닥에 의해 갇히는 내부의 슬러지 가닥은 쉽게 건조되지 못하고, 그로 인해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건조기 내부의 상하에 두 개의 컨베이어를 두고 있는데, 이 경우 상부의 컨베이어에는 비교적 습기가 많은 슬러지가 떨어지기 때문에 컨베이어 자체에 슬러지가 묻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부 컨베이어에서 하부 컨베이어로 떨어지는 슬러지는 최초 분배기로부터 배출된 상태 그대로 엎어져서 떨어지는데,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의 젖은 슬러지 가닥은 여전히 갇혀 있어서 쉽게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건조기 하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컨베이어를 직접 통과하지 못하고 컨베이어의 좌우를 돌아 상부로 열을 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슬러지를 건조시킴에 있어서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의 온도, 풍량 및 슬러지의 함수율이 고려되지 않고 상, 하부 컨베이어의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슬러지가 과도하게 건조되거나 미흡하게 건조되어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압출하면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건조실 내부의 상부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내려놓도록 하되, 상기 상부 컨베이어 위에 압출되는 좌우의 슬러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는 열풍이 상하부 컨베이어를 직접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건조된 슬러지를 상부 컨베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떨어내고, 하부 컨베이어 위에 떨어진 슬러지는 넓게 펼쳐주도록 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 하부 컨베이어의 속도를 온도, 풍량 및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조절하여 최적의 슬러지 건조효율을 구현함과 동시에, 슬러지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펌프를 통해 압송되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분배하는 분배 공급부; 상기 분배 공급부의 하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분배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도록 하되, 하단이 좌우로 일정간격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각 연결관과 연결되면서 분배된 슬러지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일정간격으로 압출하기 위한 노즐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 패널;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일정간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배 공급부는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를 통과한 지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패널은 상하로 관통하는 너트 결합구가 좌우로 일정간격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은 상기 지지 패널의 하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에 대응하는 제1 볼트 돌기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패널의 상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에 대응하는 제2 볼트 돌기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부에 상기 연결관을 끼운 상태로 밴딩하도록 형성된 연결관 조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은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는 벨트 상에 미세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세공은 상하로 열기가 통과하도록 하면서 슬러지는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슬러지는 하부 컨베이어로 받아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면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상부면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스캐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배출구 일측으론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는 건조실 내부의 온도, 풍량 및 배출 건조된 슬러지의 함수율 선정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의 속도가 동일하거나 다른 속도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 의하면 탈수된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압출하면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건조실 내부의 상부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내려놓도록 하되, 상기 상부 컨베이어 위에 압출되는 좌우의 슬러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는 열풍이 상하부 컨베이어를 직접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건조된 슬러지를 상부 컨베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떨어내고, 하부 컨베이어 위에 떨어진 슬러지는 넓게 펼쳐주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상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스캐더를 복수개 설치하여 상부 컨베이에의 하면을 떨어주면서 하부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반건조 슬러지를 흐트려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압출기와 상부 컨베이어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지지 패널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노즐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분배 공급부를 도시한 요부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압출기와 상부 컨베이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컨베이어를 도시한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의 스캐터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펌프(20)를 통해 압송되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분배하는 분배 공급부(100), 상기 분배 공급부의 하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관(200), 상기 각 연결관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즐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지 패널(300),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일정간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00) 및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는 저온으로도 탈수된 슬러지를 건조실에서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10),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20),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30),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40),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실(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의 효율적인 건조를 위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각 공간에 각각 열을 공급하여 단계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공간과 배출되는 공간을 따로 구획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열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관을 비롯한 구동수단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20)의 각 공간에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최적의 상태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열 배출수단(50)은 뜨거운 공기를 식혀 배출하기 위한 응축기를 포함하는 한편, 배출되는 폐열 중에 일부를 상기 건조실(30)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도록 한다.
상기 분배 공급부(100)는 상기 건조실(3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펌프(20)를 통해 압송되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분배하도록 설치된다. 즉, 건조실 외부에서 슬러지가 이미 분배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배 공급부(100)는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110) 및 상기 개폐 밸브(110)를 통과한 지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개폐 밸브(110)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슬러지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개폐 밸브(100)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세척수 공급구(120)를 통해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분배 공급부(100), 연결관(200), 지지 패널(300)의 노즐(310)로 이어지는 경로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분배 공급부(100)의 하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분배된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인데, 하단이 좌우로 일정간격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관(200)의 하단은 후술하는 지지 패널(300)의 각 노즐과 연결되는 것이므로 지지 패널(300)이 좌우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200) 또한 좌우로 구부러지거나 수축/팽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관(200)은 고무 튜브 또는 자바라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 패널(300)은 상기 각 연결관(200)과 연결되면서 분배된 슬러지를 상기 상부 컨베이어(31a) 상에 일정간격으로 압출하기 위한 노즐(310)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는 상기 노즐(310)을 통과하면서 비로서 가느다란 실이나 국수 가닥 형태로 압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 패널(300)은 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하는 너트 결합구(300a)가 좌우로 일정간격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310)은 상기 지지 패널(300)의 하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300a)에 대응하는 제1 볼트 돌기(310a)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패널의 상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300a)에 대응하는 제2 볼트 돌기(320a)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부에 상기 연결관(200)을 끼운 상태로 밴딩하도록 형성된 연결관 조인트(320)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310)은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별 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슬러지가 배출되는 노즐(310)의 단면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배출되는 슬러지의 표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슬러지의 단면이 원형인 것보다는 별 형의 표면적이 더 넓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노즐은 각 단면의 형태에 대해서도 크고 작은 단면적으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공급량과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400)은 상기 지지 패널(300)을 좌우로 일정간격 이동하도록 안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지지 패널(300)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되, 상기 일정간격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구동수단(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 작동하도록 하거나 전동기와 링크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상기 지지 패널(300)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도록 하면 족하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거리는 상기 지지 패널(300)의 각 노즐(310) 사이의 폭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31a) 위로 배출되는 슬러지는 좌우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놓이게 된다.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는 벨트 상에 미세공(60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세공은 상하로 열기가 통과하도록 하면서 슬러지는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하부 컨베이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한 열기가 컨베이어의 하부를 통해 직접 상부로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건조할 수 있도록 미세공(600)을 형성하되, 상기 미세공(600)을 통해 슬러지가 컨베이어 밑으로 빠지지 않을 정도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미세공을 통해 컨베이어의 하부로 순환하는 뜨거운 공기가 상기 컨베이어와 접하는 슬러지의 내부까지 원활하게 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는 실시 예로서 고열 조건 하에서도 변형이 없고 부식을 막기 위해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하는 한편, 헤드 풀리와 테일 풀리를 갖는 2단 구조로 설치하면서 리턴 및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여 벨트의 처짐과 쏠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는 다른 실시 예로서 단계별로 고형화되는 슬러지의 습도에 따라 이송속도가 가변 조절된다. 즉,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가 설치된 건조실(30) 내부에 습도 센서를 설치하여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습도가 높으면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의 이송속도는 늦춰 건조 효율을 높이고, 습도가 낮으면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의 이송속도를 높여 효율성을 높인다.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31a)에서 떨어지는 슬러지를 하부 컨베이어(31b)로 받아 상기 상부 컨베이어(31a)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건조실(30)에 대한 슬러지의 공급과 배출이 동일한 방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면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상부면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스캐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캐터(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전후에 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캐터(700)는 예를 들어 쇠 브러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서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에 묻어 응고된 슬러지를 떨어내고, 하부에서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이송되는 슬러지를 펼쳐주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스캐터(700)는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에 슬러지가 고형화되면서 부착되는 점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슬러지와 컨베이어의 접촉면을 이격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컨베이어(31b)의 배출구 일측에는 하부 컨베이어(31b)의 벨트 하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701)를 축설하여 고형화되는 과정에서 부착된 응고 슬러지를 최종적으로 떨어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가 설치된 건조실(30)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밸브(110)의 하부 즉, 분배 공급부(100)의 상측으론 슬러지 공급 후 세척을 하기 위하여 세척수 공급부(120)를 연결 설치하여 슬러지 공급 분배 후 분배 공급부(100), 및 건조실(30) 내부의 연결관(200), 노즐(310) 및 상하부 컨베이어(31a, 31b)의 세척을 완료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에서는 슬러지의 단계별 고형화가 이루어지는 구간에 혼합된 열풍공기를 공급하여 온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에서는 슬러지의 단계별 고형화가 이루어지는 구간별 온도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하게 배열된 팬으로 혼합된 열풍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에서는 슬러지의 단계별 고형화에 따른 습도감지에 의해 배출된 드라이드 슬러지의 함수율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에는 슬러지의 단계별 고형화가 이루어지는 구간 별로 고형화 및 점검 그리고 정비를 위한 단열도어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30)에서는 포화 순환공기의 대부분을 열원 회수장치에서 응축시켜 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열을 열풍공급에 재활용하여 사용하고 열원이 회수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서, 특히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31a, 31b)는 건조실(30) 내부의 온도, 풍량 및 배출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 선정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31a, 31b)에 대하여, 상기 상부 컨베이어(31a)와 하부 컨베이어(31b)의 속도를 동일하게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31a, 31b)에 대하여, 상기 상부 컨베이어(31a)와 하부 컨베이어(31b)의 속도를 다른 속도로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를 저온 열풍에 의해 단계별로 고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악취가 저감되어 탈취에너지를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된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압출하면서 좌우로 왕복 운동하여 건조실 내부의 상부 컨베이어 위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해서 내려놓도록 하되, 상기 상부 컨베이어 위에 압출되는 좌우의 슬러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건조실 내부에서는 열풍이 상하부 컨베이어를 직접 통과하면서 슬러지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건조된 슬러지를 상부 컨베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떨어내고, 하부 컨베이어 위에 떨어진 슬러지는 넓게 펼쳐주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작업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10: 호퍼 20: 이송 펌프
30: 건조실 40: 버너
50: 폐열 배출수단
100: 분배 공급부 110: 개폐 밸브
120: 세척수 공급구
200: 연결관
300: 지지 패널 300a: 너트 결합구
310: 노즐 310a: 제 1 볼트 돌기
320: 연결관 조인트 320a: 제 2 볼트 돌기
400: 가이드 레일
500: 구동수단
600: 미세공
700: 스캐터 701: 브러쉬

Claims (12)

  1. 탈수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슬러지를 압송하는 이송펌프, 상기 압송되는 슬러지를 내부의 상하부 컨베이어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하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건조실의 상부로 열풍과 함께 수증기를 배출하는 폐열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송펌프를 통해 압송되는 슬러지를 좌우 일정간격으로 분배하는 분배 공급부;
    상기 분배 공급부의 하부에 좌우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분배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도록 하되, 하단이 좌우로 일정간격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관;
    상기 각 연결관과 연결되면서 분배된 슬러지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일정간격으로 압출하기 위한 노즐이 좌우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 패널;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일정간격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지지 패널을 좌우로 왕복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공급부는,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를 통과한 지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상하로 관통하는 너트 결합구가 좌우로 일정간격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은 상기 지지 패널의 하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에 대응하는 제1 볼트 돌기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패널의 상측에서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결합구에 대응하는 제2 볼트 돌기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부에 상기 연결관을 끼운 상태로 밴딩하도록 형성된 연결관 조인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삼각 이상의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단면이 별모양, 하트모양 꽃모양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컨베이어는 벨트 상에 미세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세공은 상하로 열기가 통과하도록 하면서 슬러지는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슬러지는 하부 컨베이어로 받아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면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상부면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스캐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슬러지는 하부 컨베이어로 받아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면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상부면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스캐터;를 복수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배출구 일측으로는 하부 컨베이어의 벨트 하부면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는 건조실 내부의 온도, 풍량 및 배출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 선정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상, 하부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의 속도를 동일하거나 다른 속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공급부의 상측에는 슬러지 공급 분배 건조 후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KR1020150026762A 2015-02-25 2015-02-25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KR20160103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62A KR20160103854A (ko) 2015-02-25 2015-02-25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762A KR20160103854A (ko) 2015-02-25 2015-02-25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54A true KR20160103854A (ko) 2016-09-02

Family

ID=5694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762A KR20160103854A (ko) 2015-02-25 2015-02-25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8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02A (ko) 2019-01-22 2020-07-30 황명회 하수처리장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CN112062441A (zh) * 2020-09-16 2020-12-11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节能型污泥烘干系统及污泥干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02A (ko) 2019-01-22 2020-07-30 황명회 하수처리장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CN112062441A (zh) * 2020-09-16 2020-12-11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节能型污泥烘干系统及污泥干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1604B2 (ja) 凝集を防止する方法と装置
US4304053A (en) Steam and hot air operated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textile articles of clothing
CN204329525U (zh) 一种网带式热泵烘干线
CN104596219A (zh) 一种热泵烘干系统
KR20160103854A (ko)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RU2712539C2 (ru) Способ высушивания влаж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US20210088281A1 (en) Natural Rubber Initial Processing Machinery and Method
CN107449243A (zh) 一种谷物干燥塔
KR101836464B1 (ko)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CN202928306U (zh) 高温热泵多层干燥机
CN110357395B (zh) 一种城镇污泥多级脱水装置
CN114804573A (zh) 一种污泥成型带式干化系统及其干化工艺
CN206196880U (zh) 食品干燥机
CN205474306U (zh) 熔喷滤布风冷成型设备
CN209955254U (zh) 一种橡胶管生产用螺杆挤出机
CN209284169U (zh) 一种解冻槽
CN2798000Y (zh) 一种分子筛式除湿干燥装置
KR100816268B1 (ko) 슬러지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7964745A (zh) 一种印染预湿装置
KR101839722B1 (ko) 비철금속소재의 냉각 시스템
CN103741534B (zh) 高效生产再造烟叶的专用抄造机
CN110627340A (zh) 一种污泥的烘干装置
CN214371542U (zh) 水刺无纺布生产线抽湿机
CN212335558U (zh) 超柔透气型沙发装饰面料的预缩装置
CN210832950U (zh) 一种多功能层烘干固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