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425A -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425A
KR20160103425A KR1020150025923A KR20150025923A KR20160103425A KR 20160103425 A KR20160103425 A KR 20160103425A KR 1020150025923 A KR1020150025923 A KR 1020150025923A KR 20150025923 A KR20150025923 A KR 20150025923A KR 20160103425 A KR20160103425 A KR 20160103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electrode
layer
separation membran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695B1 (ko
Inventor
김태호
최장욱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695B1/ko
Priority to US14/882,846 priority patent/US9887048B2/en
Priority to EP16150126.7A priority patent/EP3062322B1/en
Priority to CN201610098679.1A priority patent/CN105914053B/zh
Publication of KR20160103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68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6Nanostructures, e.g. nanofibres, nanotubes or fulle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8Carbon pastes or blends; Binders or additives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Abstract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는 활물질을 포함하고, 3차원 나노 포어(pore) 구조를 갖는 두 집전체와 이들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탄성 고분자층이다. 상기 제1 집전체에 접촉된 제1 전극과 상기 제2 집전체에 접촉된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분자층은 SBS(Styrene-b-butadiene-b-styrene),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acrylate polymer, acrylate terpolymer 및 silicone-based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Stretchabl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수퍼 커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또는 전기화학적 커패시터로 알려져 있고, 전압이 인가될 때 전해질-전극 계면에서 형성되는 이중층 때문에 훨씬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
수퍼 커패시터는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저 연비의 이동수단에 사용되는 저장기술의 핵심으로 떠 오르고 있다. 수퍼 커패시터는 일반 커패시터의 장점을 포함하면서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수퍼 커패시터는 파워 공구, 모바일 전자기기, 전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저 비용의 대체제의 하나로 관심을 받고 있다. 수퍼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는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출력밀도는 훨씬 높다.
본 개시는 부피 가변부분이나 표면이 변형되는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는 활물질을 포함하고, 3차원 나노 포어(pore) 구조를 갖는 두 집전체와 이들 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탄성 고분자층이다.
이러한 수퍼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집전체에 접촉된 제1 전극과 상기 제2 집전체에 접촉된 제2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고분자층은 SBS(Styrene-b-butadiene-b-styrene),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acrylate polymer, acrylate terpolymer 및 silicone-based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은 전도성 나노소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집전체의 한 면 전체를 덮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집전체의 한 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주름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플레이크층과 이를 덮는 실버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전극, 전도성 고무전극 또는 금속전극일 수 있다.
상기 silicone-based polymer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olyphenylm-ethylsiloxane, hexamethyldisiloxane 및 Ecofl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소재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그래핀 플레이크(graphene flake) 및 금속 나노와이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분리막과 제1 집전체과 제2 집전체를 형성한 다음, 상기 분리막의 한 면에 상기 제1 집전체를 부착하고, 상기 제1 집전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분리막의 다른 면에 상기 제2 집전체를 부착한다.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탄성 고분자층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집전체를 형성하는 과정은 베이스 기판 상에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제1 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탄성 고분자층을 활물질 용액에 소정시간 넣어두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체를 형성하는 과정은 베이스 기판 상에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제2 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탄성 고분자층을 활물질 용액에 소정시간 넣어두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분리막에 부착된 상기 제1 집전체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분리막에 부착된 상기 제2 집전체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수퍼 커패시터의 집전체와 분리막은 높은 신축성과 복원력을 가지면서 각각의 고유 특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개시된 수퍼 커패시터는 신축성이 있는 장치에 적용되어 에너지 저장장치 및/또는 에너지 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부피가 변하는 부분과 표면 변형이 나타나는 부분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바, 착용형 에너지 저장 및/또는 에너지 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수퍼 커패시터의 집전체는 내부에 다공성 3차원 나노 구조를 갖는 바, 집전체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3차원적으로 이온 이동이 가능하여 보다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수퍼 커패시터의 신축 과정에서도 충전과 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퍼 커패시터는 신축성을 갖는 다른 소자들,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발광 다이오드, 태양전지, 센서 등과 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수퍼 커패시터는 다양한 형태의 착용형 전자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와 패치 타입 바이오-메디컬 센서(patch-type bio-medical sensor)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소자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에서 집전체가 SBS(Styrene-b-butadiene-b-styrene)일 때, 집전체 표면의 광학 이미지와 집전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분리막에 대한 인장과 복원율 측정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인장에 따른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인정에 따른 커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에서 집전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퍼 커패시터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집전체(current corrector)(40), 분리막(separator)(42) 및 제2 집전체(44)를 포함한다. 제1 집전체(40)의 바깥 면, 곧 밑면의 일부에 제1 전극층(48)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집전체(44)의 바깥 면, 곧 상부면의 일부에 제2 전극층(46)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집전체(40)와 제1 전극(46)은 제1 보호막(50)으로 덮여 있다. 제2 집전체(44)와 제2 전극(48)은 제2 보호막(52)으로 덮여 있다. 제1 및 제2 보호막(50, 52)은 PDMS(polydimethylsiloxane)나 에코 플렉스(echoflex)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탄성 고분자층으로써, 높은 신축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각각 300% 정도 늘어날 수 있고, 대부분의 인장영역에서 90% 이상의 복원력을 갖는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로 사용되는 상기 탄성 고분자층은, 예를 들면 SBS(Styrene-b-butadiene-b-styrene),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acrylate polymer, acrylate terpolymer 및 silicone-based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2개 이상을 조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ilicone-based polymer는, 예를 들면 PDMS(polydimethylsiloxane), polyphenylm-ethylsiloxane, hexamethyldisiloxane 및 Ecofl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전기방사방법으로 형성된 것으로, 3차원 나노 포어(pore)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의 접촉면적은 나노 포어구조가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훨씬 넓어진다. 도 4는 상기 3차원 나노 포어 구조의 일 예를 보여준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활물질(active material)(40a, 44a)을 포함한다. 활물질(40a, 44b)는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바,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에 활물질(40a, 44a)을 공급하는 과정(코팅하는 과정)에서 활물질(40a, 44a)은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의 구석구석까지 이동하여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에 대한 활물질(40a, 44a) 함량은 3차원 나노 포어 구조가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증가된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가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에서 이온은 3차원적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집전체(40a, 44a)의 특성도 3차원 나노 포어 구조가 존재하지 않을 때보다 우수해진다. 활물질(40, 44)은, 예를 들면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그래핀 플레이크(grapheme flake) 또는 금속 나노와이어일 수 있고, 이외의 다른 전도성 나노소재일 수도 있다. 제1 집전체(40)의 활물질(40a)과 제2 집전체(44)의 활물질(44a)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를 상기한 활물질이 포함된 용액에 소정 시간 담가 두면,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에 활물질이 포함(함침)된다. 분리막(42)은 상기한 탄성 고분자층일 수 있다. 분리막(42)으로 탄성 고분자막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고, 열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도 유지할 수 있다. 분리막(42)은 전해질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42a는 전해질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제1 및 제2 전극(46, 48)의 재료는, 예를 들면 그래핀이나 도전성 고무(conductive rubber)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성 고무는 고무에 전도성 나노소재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소재는 CNT나 그래핀 플레이크 등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무는 상기 전도성 나노소재가 포함된 용액에 고무를 소정 시간 담가 두어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46)은 제1 집전체(40)의 밑면 전체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1 전극(46)은 제1 집전체(40)의 밑면 전체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전극(48)도 제2 집전체(44)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2 전극(48)은 제2 집전체(44)의 상부면 전체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48)은 제1 층(48a)과 제1 층(48a)을 덮는 제2 층(4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48a)은 그래핀 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48b)은 상기 그래핀 플레이크를 덮는 실버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층(48a, 48b)을 포함하는 제2 전극(48)의 구성은 제1 전극(46)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극(46, 48)은 금속전극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46, 48)은 표면에 주름을 갖는 형태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집전체(40), 분리막(42) 및 제2 집전체(44)을 포함하는 적층물을 양쪽으로 당겨 늘린 상태에서 제1 집전체(40)의 밑면과 제2 집전체(44)의 상부면에 전극으로 사용될 금속막을 증착한 다음, 상기 적층물에 가해진 스트레인(strain)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을 제거하면, 상기 적층물은 각 물질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데, 상기 증착된 금속막은 복원력이 없는 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진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증착된 금속막이 주름진 형태가 되면서 상기 증착된 금속막이 부착된 집전체(40, 44)의 계면도 상기 증착된 금속막이 갖는 주름과 동일한 형태로 주름지게 된다.
도 4는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에 사용된 SBS 탄성 고분자층의 표면에 대한 광학 이미지(왼쪽)와 일부 영역에 대한 SEM 사진(오른쪽)을 보여준다.
도 4에서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SBS 탄성 고분자층 내부에 많은 나노 포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분리막(42)에 대한 신축성 측정결과, 곧 인장(strain)의 정도에 따른 복원율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얻기 위해 분리막(42)으로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였다. 도 5의 표에서 L0=40은 인장이 없을 때의 분리막(42)의 길이가 40mm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L1은 인장에 따라 늘어난 길이를, L2는 인장이 제거된 후 복원된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실험에서는 분리막(42)의 길이가 25%~300%까지 늘어나도록 인장을 변화시켰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막(42)의 복원률(Final Recovery(%))은 대부분의 인장 범위에서 90% 이상이었고, 분리막(42)의 길이가 250%와 300%가 되는 인장에서 복원률은 조금 낮아졌지만, 그래도 85% 이상의 복원률을 보였다.
다음에는 상술한 수퍼 커패시터의 인장에 따른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실험결과를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가로세로 각 1cm의 수퍼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얻었다. 실험에 사용된 수퍼 커패시터에서 분리막으로 PU막을, 집전체로 SBS를 사용하였다. 전극으로는 구리박(Cu foil)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리막과 집전체의 두께는 50㎛~100㎛이다.
도 6 내지 도 13에서 가로축은 시간(s)을, 세로축은 포텐셜(V)을 나타낸다.
도 6은 인장이 없을 때, 곧 수퍼 커패시터가 늘어나지 않은 상태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7은 인장이 20%일 때, 곧 수퍼 커패시터를 20% 늘였을 때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8은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4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9는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6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10은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8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11은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10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12는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15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13은 수퍼 커패시터에 대한 인장이 200%일 때, 수퍼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인장이 80%가 될 때까지는 인장의 증가에 따라 충방전 간격이 다소 짧아지지만,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며, 인장이 80% 이상일 때, 충방전 사이클이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최대 potential 값은 인장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F/g 단위의 수치는 각 인장에서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상기 실험에서 인장에 따른 커패시턴스도 함께 측정되었다. 측정결과는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퍼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인장이 없을 때, 곧 수퍼 커패시터가 늘어나지 않았을 때, 가장 크다. 인장에 의해 수퍼 커패시터가 점점 늘어나면서(길어지면서) 커패시턴스는 감소한다. 인장이 200%일 때의 커패시턴스는 인장이 없을 때의 커패시턴스에 비해 11% 정도 감소한다. 그러나 수퍼 커패시터의 늘어남의 정도를 고려하면, 이 정도의 감소는 작은 변화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는 개시된 수퍼 커패시터는 다양한 크기의 인장(strain)에 대해 안정적인 동작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도 1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부호)와 동일한 번호(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전해질(42a)을 포함하는 분리막(42)을 형성한다. 분리막(42)은 분리막으로 사용될 탄성 고분자층을 전해질(42a) 용액에 소정 시간 넣어두거나 전해질(42a) 용액을 상기 탄성 고분자층에 적정량 떨어뜨려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막(42)을 형성한 다음,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를 형성한다. 형성된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는 각각 분리막(42)의 밑면과 상부면에 부착한다.
제1 집전체(4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80) 상에 집전체로 사용될 탄성 고분자층(82)를 형성한다. 탄성 고분자층(82)은 전기방사방법으로 형성하고, 이 결과 탄성 고분자층(82)에 3차원 나노 포어 구조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탄성 고분자층(82)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물질 용액(90)에 소정 시간 넣어두면,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통해 활물질이 이동되어 탄성 고분자층(82)의 구석구석에 활물질이 흡착된다. 이렇게 해서 제1 집전체(40)가 형성된다. 형성된 제1 집전체(40)는 베이스 기판(80)에서 분리한 다음, 분리막(42)의 밑면에 부착한다. 제2 집전체(44)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및 제2 집전체(40, 44)를 분리막(42)에 부착한 다음, 제1 집전체(40) 상에 제1 전극(46)을 형성하고, 제2 집전체(44) 상에 제2 전극(48)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전극(46, 48)은 각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집전체(40, 44)의 밑면과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전극(46, 48)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이 주름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40:제1 집전체 40a, 44a:활물질
42:분리막 44:제2 집전체
46, 48:제1 및 제2 전극 48a, 48b:제1 및 제2 층
50, 52:제1 및 제2 보호막 80:베이스 기판
82:탄성 고분자층 90:전해질 용액

Claims (21)

  1. 활물질을 포함하는 제1 집전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활물질층 포함하는 제2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집전체와 상기 제2 집전체 사이에 있고,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탄성 고분자층인 수퍼 커패시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에 접촉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집전체에 접촉되는 제2 전극;을 더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수퍼 커패시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분자층은 SBS(Styrene-b-butadiene-b-styrene),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acrylate polymer, acrylate terpolymer 및 silicone-based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SBS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전도성 나노소재인 수퍼 커패시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집전체의 한 면 전체를 덮는 수퍼 커패시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집전체의 한 면 전체를 덮는 수퍼 커패시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주름진 표면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플레이크층; 및
    상기 그래핀 플레이크층을 덮는 실버 나노와이어층;을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전극, 전도성 고무전극 또는 금속전극인 수퍼 커패시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ilicone-based polymer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olyphenylm-ethylsiloxane, hexamethyldisiloxane 및 Ecofl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소재는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 플레이크(graphene flake) 및 금속 나노와이어 중 하나인 수퍼 커패시터.
  14.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제2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의 한 면에 상기 제1 집전체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집전체와 마주하도록 상기 분리막의 다른 면에 상기 제2 집전체를 부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제1 및 제2 집전체는 탄성 고분자층으로 형성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베이스 기판 상에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제1 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탄성 고분자층을 활물질 용액에 소정시간 넣어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베이스 기판 상에 3차원 나노 포어 구조를 갖는 제2 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탄성 고분자층을 활물질 용액에 소정시간 넣어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에 부착된 상기 제1 집전체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막에 부착된 상기 제2 집전체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분자층은 SBS(Styrene-b-butadiene-b-styrene), polyurethane, polyurethane acrylate, acrylate polymer, acrylate terpolymer 및 silicone-based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주름진 표면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플레이크층; 및
    상기 그래핀 플레이크층을 덮는 실버 나노와이어층;을 포함하는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래핀 전극, 전도성 고무전극 또는 금속전극인 수퍼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20150025923A 2015-02-24 2015-02-24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3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23A KR102434695B1 (ko) 2015-02-24 2015-02-24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14/882,846 US9887048B2 (en) 2015-02-24 2015-10-14 Stretchable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6150126.7A EP3062322B1 (en) 2015-02-24 2016-01-05 Stretchable supercapacit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098679.1A CN105914053B (zh) 2015-02-24 2016-02-23 可拉伸的超级电容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23A KR102434695B1 (ko) 2015-02-24 2015-02-24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25A true KR20160103425A (ko) 2016-09-01
KR102434695B1 KR102434695B1 (ko) 2022-08-22

Family

ID=5507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23A KR102434695B1 (ko) 2015-02-24 2015-02-24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7048B2 (ko)
EP (1) EP3062322B1 (ko)
KR (1) KR102434695B1 (ko)
CN (1) CN10591405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572A (ko) * 2016-11-18 2019-07-0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용 전원
KR20190086765A (ko) * 2015-10-21 2019-07-2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를 위한 선형 조절을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
KR20190086759A (ko) * 2016-12-01 2019-07-2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용 재충전가능 리튬이온 커패시터
US11806471B2 (en) 2015-10-21 2023-11-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uppl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7710B (zh) * 2017-01-10 2018-03-11 Li wen ya Energy storage fiber and energy storage component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3077988B (zh) * 2021-03-29 2022-03-15 深圳市吉利通电子有限公司 一种电容器及电容器检测方法
CN113066676B (zh) * 2021-03-29 2022-03-18 深圳市吉利通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大电容的超级电容器的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197A (ja) * 2009-04-17 2010-11-04 Sharp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10125811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KR20110138862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폴리머 웹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12818A2 (en) * 2011-02-16 2012-08-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crystalline carbon and nano-scale electroactive materials
US20130224551A1 (en) * 2012-02-29 2013-08-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316B2 (ja) * 1985-08-13 1995-11-13 旭硝子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用分極性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EP0948005A4 (en) 1997-06-16 2006-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OUBLE-LAYER CAPACIT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FR2766295B1 (fr) 1997-07-17 1999-09-24 Alsthom Cge Alcatel Separateur polymerique, procede de fabrication et generateur electrochimique le comprenant
US6426863B1 (en) * 1999-11-25 2002-07-30 Lithium Power Technologies, Inc. Electrochemical capacitor
JP2001217162A (ja) 2000-02-04 2001-08-10 Power System:Kk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2003142340A (ja) 2001-11-01 2003-05-16 Nec Tokin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24796C (zh) * 2003-05-08 2008-10-08 北京集星联合电子科技有限公司 活性炭纤维布/喷涂铝复合极板双电层电容器及其制备方法
US20050241137A1 (en) * 2004-04-28 2005-11-03 Tdk Corporation Electrode,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electrode
TWI332669B (en) * 2006-12-22 2010-11-01 Taiwan Textile Res Inst Flexible supercapacitor and method for electrode fabrcation thereof
WO2008124167A1 (en) * 2007-04-10 2008-10-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harge storage devices containing carbon nanotube films as electrodes and charge collectors
US20100221606A1 (en) * 2009-03-02 2010-09-02 Omkaram Nalamasu Energy storage device with porous electrode
IN2012DN02063A (ko) * 2009-08-28 2015-08-21 Sion Power Corp
WO2011053811A1 (en) 2009-10-30 2011-05-0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nductive fibrous materials
CN101857191A (zh) * 2010-04-16 2010-10-13 华侨大学 一种柔性换能/储能纳米器件及制备方法
US20110304955A1 (en) * 2010-04-30 2011-12-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Fabrication of electrochemical capacitors based on inkjet printing
US8274781B2 (en) * 2010-11-03 2012-09-25 Optixtal, Inc. Form factored and flexible ultracapacitors
US20140030590A1 (en) 2012-07-25 2014-01-30 Mingchao Wang Solvent-free process based graphene electrode for energy storage devices
CN103065813B (zh) * 2012-12-20 2016-03-30 中国科学技术大学 超级电容器电极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20140212760A1 (en) 2013-01-25 2014-07-31 Bluestone Global Tech Ltd. Multi-layer thin carbon films, electrodes incorporating the same, energy storage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147542B2 (ja) * 2013-04-01 2017-06-14 株式会社東芝 透明導電フィルムおよび電気素子
CN103745832B (zh) * 2013-12-11 2016-08-17 中国林业科学研究院木材工业研究所 一种木质柔性超级电容器及其木质柔性多孔电极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197A (ja) * 2009-04-17 2010-11-04 Sharp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10125811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cnf 집전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의 제조방법
KR20110138862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다공성 폴리머 웹 집전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12818A2 (en) * 2011-02-16 2012-08-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crystalline carbon and nano-scale electroactive materials
US20130224551A1 (en) * 2012-02-29 2013-08-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765A (ko) * 2015-10-21 2019-07-2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를 위한 선형 조절을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
US11806471B2 (en) 2015-10-21 2023-11-07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uppl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KR20190077572A (ko) * 2016-11-18 2019-07-0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용 전원
KR20190086759A (ko) * 2016-12-01 2019-07-23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전달 장치용 재충전가능 리튬이온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14053B (zh) 2020-12-18
EP3062322B1 (en) 2021-03-24
US20160247636A1 (en) 2016-08-25
US9887048B2 (en) 2018-02-06
KR102434695B1 (ko) 2022-08-22
EP3062322A1 (en) 2016-08-31
CN105914053A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695B1 (ko) 신축성을 갖는 수퍼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CN107533925B (zh) 用于储能装置的纳米结构化电极
US9881746B2 (en) Flexible and transparent supercapacitors and fabrication using thin film carbon electrodes with controlled morphologies
Li et al. Transparent and self-supporting graphene films with wrinkled-graphene-wall-assembled opening polyhedron building blocks for high performance flexible/transparent supercapacitors
US20080212261A1 (en) Energy storage devices and composite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ame
US11127540B2 (en) Energy storage device
KR101274991B1 (ko) 커패시터용 질소도핑 그래핀 전극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전극 및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US20130309565A1 (en) Current collector, electrochemical cell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cell
US9245695B2 (en) Integration of energy storage devices onto substrates for microelectronics and mobile devices
Chen et al. Performance-enhanced flexi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gold chloride-doped graphene
CN111477466A (zh) 自充电超级电容器的充电方法
US9786445B2 (en) Supercapacitor configurations with graphene-based electrodes and/or peptide
Mirzaee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ultracapacitor based on paper substrate and BaTiO3/PEDOT: PSS separator film
US9530573B2 (en) Electrod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CN111477459A (zh) 自充电超级电容器
Li et al. Ordered multiphase polymer nanocomposites for high-performance solid-state supercapacitors
Wang et al. Tailoring highly flexible hybrid supercapacitors developed by graphite nanoplatelets-based film: toward integrated wearable energy platform building blocks
KR102042262B1 (ko) 마이크로-수퍼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194793A1 (en)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having carbon additives
Choi et al. Comparative study on various sponges as substrates for reduced graphene oxide-based supercapacitor
Kozinda et al. Flexible energy storage devices based on lift-off of CNT films
KR102422011B1 (ko) 그래핀 셀 및 제조방법
Tyutyundzhiev et al. Graphene/Polyaniline flexible supercapacitors using non-metalic electrodes
Shuvo et al. Multifunctional composites for energy storage
Raghav et al. Graphene‐Based Electrodes for Flexible Supercapac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