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845A -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845A
KR20160102845A KR1020150025452A KR20150025452A KR20160102845A KR 20160102845 A KR20160102845 A KR 20160102845A KR 1020150025452 A KR1020150025452 A KR 1020150025452A KR 20150025452 A KR20150025452 A KR 20150025452A KR 20160102845 A KR20160102845 A KR 2016010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otographing
virtual reality
video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천석
박시열
오은지
이상구
황상연
최연찬
문희준
강호관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2845A/ko
Publication of KR2016010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H04N5/2251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은, 원격 조정에 의해 부양 및 방향전환 가능한 비행 유닛과, 상기 비행 유닛에 다수가 장착되며, 공통 촬영 영역을 갖도록 개별적인 다 방향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후 외부로 송출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들의 공통 촬영 영역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생성시켜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FLIGHT POSSIBLE OMNIDIRECTIONAL IMAGE-TAKING CAMERA SYSTEM}
본 발명은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에서 다수의 영역을 동시에 촬영한 후, 이를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넓은 촬영 범위를 하나의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동영상을 연출할 수 있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 드라마, 광고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법 중, 빠르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장면 등을 공중에 촬영할 수 있도록 플라잉 카메라(헬리캠(helicam), 드론 이라고도 함)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플라잉 카메라의 촬영 기법 중, 공중에서 빠르게 수평으로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패닝(panning) 기법을 이용하면, 지상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포착하기 힘든 장면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플라잉 카메라는 좁은 건물 사이로 낮게 날아가면서 피사체에 근접 촬영하면, 또 다른 느낌의 흥미가 듬뿍 담긴 스릴있고 박진감 넘치는 장면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플라잉 카메라는, 크기가 작은 무인 헬기에 촬영용 카메라를 장착한 형태를 가지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해 원격지에서 조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플라잉 카메라의 무인 헬기는 일정 형상을 갖는 동체와, 이 동체의 각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 계열과, 이 로터 계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계열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잉 카메라는 촬영용 카메라가 특정 방향을 향해 고정적으로 설치되므로, 공중에서 주변의 전 영역을 한 번에 촬영할 수 없어 촬영 범위가 한정적이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2597호(2005년 07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디지털 비행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공중에서 다수의 영역을 동시에 촬영한 후, 이를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넓은 촬영 범위를 하나의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동영상을 연출할 수 있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으로써,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은, 원격 조정에 의해 부양 및 방향전환 가능한 비행 유닛과, 상기 비행 유닛에 다수가 장착되며, 공통 촬영 영역을 갖도록 개별적인 다 방향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후 외부로 송출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들의 공통 촬영 영역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비행 유닛에 설치되는 6개의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6개의 카메라 모듈은 전후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전후좌우 4개의 촬영 영역과 상하 2개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들이 설치되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및, 상기 로터부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들 중, 상방 또는 하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들의 온(ON)/오프(OFF) 상태 및 촬영 모드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양안 시차를 이용한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2개의 가상현실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상기 가상현실 동영상들을 하나의 입체적인 3차원 동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VR) 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양안 시차를 이용한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2개의 가상현실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상기 가상현실 동영상들을 하나의 입체적인 3차원 동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VR) 기기와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유닛과 상기 단말기 유닛에는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유닛에는 촬영 각도와 촬영 모드 조절을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유닛에는 상기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촬영 유닛은 360도 전방위 사진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전방위 사진들의 공통 촬영 영역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사진을 생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공중에서 다수의 영역을 동시에 촬영한 후, 이를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넓은 촬영 범위를 하나의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동영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으로써,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레저, 관광, 영화, TV의 방송촬영, 스포츠, 군사목적의 정찰 및 감시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촬영 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의 각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촬영된 다수의 동영상과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시차가 있는 가상현실 동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촬영 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의 각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촬영된 다수의 동영상(240)과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서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해 시차가 있는 가상현실 동영상(240)이 표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은 비행 유닛(100)과, 촬영 유닛(200) 및 단말기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비행 유닛(100)은 원격 조정에 의해 부양 및 방향 전환 가능한 것으로, 상기 비행 유닛(100)은 웨어러블 드론, 플라잉 카메라, 헬리캠이라 명명되는 비행체 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행 유닛(100)은 비행 가능한 형태의 동체(110)와, 회전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 로터(120)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엔진, 모터 등, 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행 유닛(100)에는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 팩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비행 유닛(100)은, 후술 될 원격 제어 모듈(330)이 장착된 단말기 유닛(300)에 의해 원격으로 조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유닛(100)의 동체(110)에는 도 1에서처럼 후술 될 카메라 모듈(210) 중, 상부 또는 하부 카메라 모듈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중공(1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행 유닛(100)은 후술 될 카메라 모듈(210)의 설치 위치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촬영 유닛(200)은, 비행 유닛(100)에 다수가 하나의 모듈로 장착되며, 서로 중첩되는 공통 촬영 영역(20% 정도)을 갖도록 다 방향의 개별적인 동영상(video, 240)을 촬영한 후 외부로 송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유닛(200)은 도 2에서처럼 6개의 카메라 모듈(210)이 하나로 스택(stack)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유닛(200)의 카메라 모듈(210)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 등에 장착된 초소형 카메라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6개의 카메라 모듈(210)은, 촬영 렌즈 부위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상기 6개의 카메라 모듈(210)은 전후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210)들은 전후좌우 방향을 향하는 4개의 촬영 영역과, 상하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유닛(200)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210)들에 의해 촬영된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후술 될 단말기 유닛(300)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한편, 상기 촬영 유닛(200)은 360도 전방위 사진(picture)들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전방위 사진들의 공통 촬영 영역(20% 정도)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사진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촬영 유닛(200)에는 도 3에서처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유닛(100)에는 후술 될 원격 제어 모듈(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동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210)들의 촬영 각도(상하/좌우)와, 촬영 모드(야간/주간, 라이트, 일반 촬영, 특수 촬영 등)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기 유닛(300)은, 촬영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240)들의 공통 촬영 영역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생성시켜 외부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동영상(240)을 표시하기 위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기 유닛(300)에는 촬영 유닛(2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유닛(300)에는 표시부(310)를 통해 보여지는 동영상(240)을 조절하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작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유닛(300)에는 도 2에서처럼 전술한 촬영 유닛(200)으로부터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3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유닛(300)의 무선 통신 모듈(320)과 전술한 촬영 유닛(200)의 무선 통신 모듈(220)은, 일반적인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 유닛(300)에는 전술한 촬영 유닛(200)의 구동부(230)를 원거리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모듈(3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전술한 카메라 모듈(210)들의 온(ON)/오프(OFF) 상태 및 촬영 모드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들이 촬영한 영상들이 서로 다른 모드로 촬영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촬영 모드 설정을 통해 다양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도 1과 도 5에서처럼 스테레오스코피(stereoscopy, stereoscopic 3D)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도 5에서처럼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240)으로 구성되는 2개의 2차원 가상현실 동영상(240)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테레오스코피 방식은 양안의 시차(視差)를 이용하여 2개의 2차원 동영상(240)을 좌안과 우안에 따라 분리 제시함으로써, 평면의 전후에 입체감 있는 공간 제한을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초점 거리 조절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가상현실 동영상(240)들의 하나의 입체적인 360 전방위 동영상(250)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VR)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VR) 기기는, 도 1에서처럼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전면에 표시부(310)가 구비되고, 헤드 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착용 수단(밴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상현실(VR) 기기는, 사용자가 입체적인 360도 전방위 3D 동영상(250)을 좌안과 우안으로 보면서 가상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양안과 우안에 각각 배치된 렌즈(미도시)의 초점 조절을 통해, 가상현실 동영상들을 하나의 입체적인 동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양안의 시차를 이용해 입체적인 가상현실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눈으로 보여지는 가상현실 동영상을 보면서 마치 하늘 위에서 날아다니면서 세상을 보고 있는 듯한 스릴과 박진감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 공간 속에 있는 듯한 현실감과, 화면의 물체가 실제로 존재하는 느낌과, 대화면의 회질 효과(선명성)와, 형실 세계인 3차원 세계의 사실적 전달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보다 자연스럽고 현실감 있는 동영상과, 정교하고 탁월한 재현 능력과, 정확하고 사실적이며 인간적인 정보 확보와 전달 기능, 강력한 시선 집중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유닛(300)과 별개로 가상현실(VR)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단말기 유닛(300)은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양안 시차를 이용한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2개의 가상현실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가상현실(VR)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또 한편, 가상현실(VR) 기기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경우, 단말기 유닛(200)이 장착 가능하도록 전방에 별도의 장착 공간(미도시)을 형성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단말기 유닛(300)의 원격 제어 모듈(330)을 이용해 비행 유닛(100)의 구동부(230)를 구동시켜 공중으로 부양시킨다.
이후, 상기 비행 유닛(100)을 공중에 부양 시킨 상태로 원하는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며, 촬영 유닛(200)의 카메라 모듈(210)들을 이용해 여러 방향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이때, 상기 촬영 유닛(200)에 설치된 6개의 카메라 모듈(210)이 전후좌우와 상하 방향의 동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면서 단말기 유닛(300)의 무선 통신 모듈(320)로 실시간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 유닛(300)은 촬영 유닛(200)으로부터 수신된 6개의 동영상(240)을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으로 생성시킨 후, 표시부(310)를 통해 외부로 재생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공중에서 다수의 영역을 동시에 촬영한 후, 이를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으로 생성시킴으로써, 넓은 촬영 범위를 하나의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어 다양한 동영상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10)과 연동되는 가상현실(VR) 기기를 이용해 3차원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으로써, 360도 전방위 동영상(250)을 보다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레저, 관광, 영화, TV의 방송촬영, 스포츠, 군사목적의 정찰 및 감시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비행 유닛 110: 동체
111: 중공 120: 메인 로터
200: 촬영 유닛 210: 카메라 모듈
220: 무선 통신 모듈 230: 구동부
240: 동영상 250: 전방위 동영상
300: 단말기 유닛 310: 표시부
320: 무선 통신 모듈 330: 원격 제어 모듈

Claims (8)

  1. 원격 조정에 의해 부양 및 방향전환 가능한 비행 유닛;
    상기 비행 유닛에 다수가 장착되며, 공통 촬영 영역을 갖도록 개별적인 다 방향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후 외부로 송출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촬영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들의 공통 촬영 영역을 중첩시켜, 하나의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비행 유닛에 설치되는 6개의 카메라 모듈로 구비되며,
    상기 6개의 카메라 모듈은,
    전후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전후좌우 4개의 촬영 영역과 상하 2개의 촬영 영역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행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들이 설치되는 동체와, 상기 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로터부 및, 상기 로터부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들 중, 상방 또는 하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중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들의 온(ON)/오프(OFF) 상태 및 촬영 모드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양안 시차를 이용한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2개의 가상현실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상기 가상현실 동영상들을 하나의 입체적인 3차원 동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VR)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양안 시차를 이용한 패럴랙스(parallax) 처리하여, 원본과 패럴랙스 동영상으로 구성되는 2개의 가상현실 동영상을 생성시킨 후, 상기 가상현실 동영상들을 하나의 입체적인 3차원 동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가상현실(VR) 기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과 상기 단말기 유닛에는,
    상기 360도 전방위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KR1020150025452A 2015-02-23 2015-02-23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KR20160102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52A KR20160102845A (ko) 2015-02-23 2015-02-23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52A KR20160102845A (ko) 2015-02-23 2015-02-23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45A true KR20160102845A (ko) 2016-08-31

Family

ID=5687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452A KR20160102845A (ko) 2015-02-23 2015-02-23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28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84B1 (ko) * 2016-11-09 2018-07-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233A (ko) * 2017-08-14 2019-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센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다중 센서 시뮬레이션 방법
KR101980086B1 (ko) * 2018-12-19 2019-05-20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360도 영상 촬영 장치 및 360도 영상 편집 방법
JP2019201409A (ja) * 2017-11-06 2019-11-21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CN113467499A (zh) * 2018-05-30 2021-10-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飞行控制方法及飞行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84B1 (ko) * 2016-11-09 2018-07-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관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233A (ko) * 2017-08-14 2019-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중 센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다중 센서 시뮬레이션 방법
JP2019201409A (ja) * 2017-11-06 2019-11-21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CN113467499A (zh) * 2018-05-30 2021-10-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飞行控制方法及飞行器
KR101980086B1 (ko) * 2018-12-19 2019-05-20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360도 영상 촬영 장치 및 360도 영상 편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876B2 (en) Stereo viewing
CN112367513B (zh) 导航系统和用于感测环境的方法
US20170227841A1 (en) Camera devices with a large field of view for stereo imaging
WO2014162324A1 (en) Spherical omnidirectional video-shooting system
KR20160102845A (ko) 비행 가능한 전방위 촬영시스템
CN104902263A (zh) 一种图像信息展现系统和方法
CN109769111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处理器
KR101329057B1 (ko) 다시점 입체 동영상 송신 장치 및 방법
CN204681518U (zh) 一种全景图像信息采集设备
CN108646776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成像系统和方法
US20130021448A1 (en)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camera rigs
US9258546B2 (en)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thereof
WO202005932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56741B1 (ko) 실감형 자유시점 영상 제공을 위한 반구형 스마트 카메라 형성 장치 및 방법
Pattanayak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NG, EFP and Drone camera and its Impact in Television Production
US9979930B2 (en) Head-wearable apparatus, 3D video cal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3D video call
JP691689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H11220758A (ja) ステレオ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KR20170059879A (ko) 입체 영상 촬영 장치
JP2005064681A (ja) 撮像・表示装置、撮像・表示システム、映像生成方法、この方法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14302127A (zh) 一种数字全景3d影片制作的方法及系统
Water Tommy Tripodes: Building a 3D System in Film School
Prechtl et al. Stereoscopic wide field of view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