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764A -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 Google Patents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764A
KR20160102764A KR1020150025249A KR20150025249A KR20160102764A KR 20160102764 A KR20160102764 A KR 20160102764A KR 1020150025249 A KR1020150025249 A KR 1020150025249A KR 20150025249 A KR20150025249 A KR 20150025249A KR 20160102764 A KR20160102764 A KR 20160102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coupling
band
ma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5332B1 (en
Inventor
이민재
윤자걸
신연호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3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7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bridge having a main cabl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is installed between hanger cable connection bands located to symmetric to each other around a tow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tower tip section of the tower, wherein large tension in a main cable of the suspension bridge is applied to the tower tip section. A part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main cable is applied to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so a safety rate of the main cable is induced to be even. A used amount of the main cables is reduced, and the used amount of the connection bands installed in the main cable to connect the hanger cable to the main cable and the amount of connection bolts are reduced. Therefore, the suspension bridge having the main cabl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improve economic feasibility for construction.

Description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이용한 주케이블 보강구조를 가지는 현수교 및 그 시공방법{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bridge having a main cabl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본 발명은 현수교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현수교의 주(主)케이블(main cable)에서 장력이 크게 작용하는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서 주탑을 중심으로 종방향(교축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의 행어케이블 결합밴드 사이에 커플링(coupling) 보강케이블을 더 설치하여, 주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을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일부 부담하게 함으로써 주케이블의 안전율을 균일하게 유도하고, 주케이블의 사용물량을 절감함과 동시에 행어케이블을 주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하여 주케이블에 설치되는 결합밴드의 사용물량 및 결합밴드의 체결을 위한 결속볼트의 물량 등을 최소화하여 교량시공의 경제성을 향상시킨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이용한 주케이블 보강구조를 가지는 현수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bridg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spension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uspension bridg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diagonal direction) about a main tower in a tower section of a main tow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factor of the main cable uniformly by making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partially burden the tension acting on the main cable by installing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between the hanger cable coupling bands at the position where the main cabl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used water and to connect the hanger cable to the main cable, the use amount of the coupling band installed on the main cable and the quantity of the binding bolts for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band are minimized to improve the economics of the bridge construction. A suspension bridge having a main cabl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a ring reinforcement cab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주케이블을 주탑에 걸쳐 시공하는 형식의 현수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939호 등을 통해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현수교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장력은 주탑의 탑정부에서 가장 크므로, 주케이블의 단면 설계는 주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장력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는 주탑의 탑정부를 기준으로 주케이블의 단면을 설계하여 주케이블에 사용되는 케이블 단면의 크기, 강성 등을 설계하다보면 주탑의 탑정부 이외의 구간에서는 주케이블의 여용력이 매우 크게 된다. A suspension bridge of the type in which the main cable is installed over the main tower is known from Korean Patent No. 10-1127939. Since the tension acting on the main cabl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is suspension bridge is greatest at the top of the main tower, the cross-sectional design of the main cable is based on the tension acting on the main cable. However, if the section of the main cable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tower top of the main tower in which the tension acts most like this, and the size and stiffness of the cable cross section used for the main cable are designed, The capacity of the system becomes very large.

도 1에는 일반적인 종래기술에 의한 현수교에서 주케이블에 대해 설계한 "허용장력"과 실제 주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발생장력"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그래프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owable tension" designed for the main cable in a suspension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generated tension" acting on the actual main cable.

앞서 언급한 것처럼 종래기술에서는 주케이블(1)에 대해 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는 주탑(2)의 탑정부를 기준으로 주케이블(1)의 단면이 가지는 허용장력을 설계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에 의해 결정된 단면을 가지는 주케이블(1)이 발휘하게 될 "허용장력"은 도 1에서 1점 쇄선으로 도시된 직선과 같이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 대해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 그런데 주탑(2)의 탑정부 이외의 구간에서는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1)에 실제로 작용하게 되는 "발생장력"이 주탑(2)의 탑정부 구간의 경우보다 작으므로,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서의 발생장력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허용장력보다 작은 값으로서 주케이블(1)의 배치 형상과 유사한 형태의 곡선 분포 값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the allowable tens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cable 1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top portion of the main tower 2 in which the tension is most applied to the main cable 1. Therefore, the "allowable tension" to be exhibited by the main cable 1 having a section determined by the design has a constant value with respect to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as shown by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However, in the section other tha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2, the "generated tension" actually applied to the main cable 1 by the external force is smaller than that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2, The generated tension is a value smaller than the allowable tension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 and has a curved distribution value similar to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main cable 1.

따라서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 걸쳐, 도 1에서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된 것처럼 주케이블의 여용력(餘容力)이 존재하게 되는데 주탑 사이의 주경간 중앙으로 갈수록 여용력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는 결국 주탑의 탑정부 이외의 구간에서는 주케이블(1)의 허용장력이 실제로 작용하게 되는 발생장력보다 지나치게 커서 주케이블(1)의 단면이 과대 설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us, over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the main cable's capacity is present as indicated by the shaded area in FIG. 1, which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main tower to the center of the main tower increases, The permissible tension of the main cable 1 is excessively larger than the generated tension actually acting on the main cable 1, which mean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cable 1 is excessively design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39호(2012. 03. 27.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7939 (Bulletin of Mar. 27, 2012).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라 현수교를 설계하고 시공함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실제로 주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발생응력보다 지나치게 크게 허용장력을 설정하여 주케이블의 단면을 설계하게 되므로, 그 결과 주케이블의 단면이 과대 설계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재료비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suspension bridg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cable is designed by setting the allowable tension to be excessively larger than the generated stress actually acting on the main cable by the external forc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over-design is made and unnecessary material cost is gener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서 주케이블에 대해 추가 보강을 함으로써, 주케이블에 대해 요구되는 설계상의 허용장력을, 실제 주케이블에 작용하게 되는 발생장력의 전체 경간 분포에 부합될 수 있도록 경감함으로써, 주케이블의 허용장력과 발생장력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주케이블의 여용력을 줄여서 주케이블 단면의 과대 설계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현수교의 케이블 사용 물량을 줄임으로써 사하중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재료비를 절감하여 전체 교량 시공비를 경감하고 경제적으로 현수교를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reinforcing the main cable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in which a relatively large tension ac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signed allowable tension required for the main cable, By reducing the total span distribu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esign of the main cable section 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main cable which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lowable tension and the generated tension of the main cable, thereby reducing the cable usage of the suspension bridge To reduce the dead load, reduce the material cost, reduce the total bridge construction cost, and economically construct the suspension bridg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행어케이블을 주케이블에 결합하기 위하여 주케이블에 일체 설치되는 결합밴드와 주케이블 사이의 마찰력 크기를 줄여서 결합밴드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결합밴드에 사용되는 재료의 물량 감소와 그에 따른 비용 감소를 달성할 수 있고, 결합밴드를 주케이블에 압착결합하기 위한 결속볼트의 필요 개수를 줄여서 그에 따른 재료비 경감, 결속볼트의 체결 작업량 감소, 그리고 작업성 향상, 및 교량 시공비의 절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oupling band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oupling cable and the main cable that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ain cable to couple the hanger cable to the main cab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and reduce the cost and reduce the required number of coupling bolts for compressively coupling the coupling band to the main cable,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reducing the amount of tighten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bolt, And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exerting the sav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탑과, 상기 주탑에 걸쳐져서 각 주탑과 종방향 교량 종점부 사이의 측경간 및 주탑 사이의 주경간에 배치되는 주케이블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단은 결합밴드에 결합되어 주케이블과 일체화되고 하단은 교량 상부구조물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행어케이블과, 상기 행어케이블에 매달려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의 일부를 부담하여 주케이블을 보강하는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그 양단이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위치하는 주경간의 결합밴드와 측경간의 결합밴드에 각각 결합되어 주탑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in cable, comprising: a plurality of main towers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cable disposed over the main tower and disposed between sideways between the main towers and the longitudinal bridge end points,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ends being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and integrated with the main cable, and the lower ends connected to the bridge upper structure; Comprising a superstructure;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for reinforcing the main cable by bear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main cable by an external force is connected to a coupling band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ides of which both ends thereof are located in the same order in both lateral directions from the main tower, And is provided over the tower top of the main tow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현수교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종방향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주탑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주탑에 걸쳐져서 각 주탑과 종방향 교량 종점부 사이의 측경간 및 주탑 사이의 주경간에 주케이블을 배치하는 단계;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행어케이블을 배치하고, 상단을 결합밴드에 결합하여 결합밴드를 주케이블에 결합 고정하며,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의 일부를 부담하여 주케이블을 보강하게 되는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그 양단이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위치하는 주경간의 결합밴드와 측경간의 결합밴드에 각각 결합시켜서 주탑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설치하는 단계; 및 행어케이블의 하단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spension bridg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comprising the steps of: Disposing a main cable over the main tower to place the main cable between the sideways between the main tower and the longitudinal bridge end and between the main towers between the main towers;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to couple and fasten the coupling band to the main cable and to reinforce the main cable by bearing a part of the tension acting on the main cable by external force And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to the coupling bands of the main shaft and the coupling bands of the sidewall located in the same order from both sides of the main tower to the coupling bands of the sidewall, And a step of suspending a bridge superstructur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anger cable in a longitudinally extending manner.

상기한 본 발명의 현수교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결합밴드는 절단된 파이프 형상의 상,하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결합부재가 주케이블을 상,하로 감싼 상태에서 볼트 등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상,하 결합부재를 결속하여 상,하 결합부재가 주케이블을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결합밴드와 주케이블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결합밴드와 주케이블이 일체화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suspensio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coupling band is composed of cut pipe-shaped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Whe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wrap the main cable up and down,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are tightened by using a binding member such as a bol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strongly press the main cable, A friction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 coupling band and the main cable are integrated.

본 발명에서는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서 주케이블만에 의해 발휘되어야 하는 허용장력을 종래기술보다 더 작게 설정하여 주케이블 단면의 과대 설계를 방지하여 최적설계를 하면서도 부족한 허용장력은 커플링 보강케이블에 의해 보강하게 되므로, 주케이블의 여용력을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 걸쳐서 배치되는 주케이블의 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서 재료비의 절감 및 전체 교량 시공비의 감소, 그리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현수교 시공의 효과는 물론이고 주케이블의 물량 절감을 통한 사하중의 감소 효과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wable tension to be exerted only by the main cable in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is set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the excessive design of the main cable section, Therefore,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 main cable can be cut off more than the conventional cable, and the amount of the main cable disposed over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can be greatly reduced. The reduction of the total bridge construction cost and the effect of the economic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as well as the reduction of the dead load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volume of the main cable can be exerci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이용한 보강을 통해서 결합밴드와 주케이블 사이에서 요구되는 마찰력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행어케이블을 주케이블에 결합하기 위하여 주케이블에 일체 설치되는 결합밴드의 주케이블 연장방향의 길이 즉, 결합밴드의 크기를 종래기술보다 더 작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결합밴드를 위한 재료 사용량 절감 및 이를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ictional force required between the coupling band and the main cable can be reduced through the reinforcement using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the main cable extension of the coupling b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cable The length of the direction, that is, the size of the coupling band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for the coupling band and reducing the cost.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결합밴드를 주케이블에 압착결합하기 위한 결속볼트의 필요 개수를 종래기술보다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결속볼트의 재료비 경감과 결속볼트의 체결 작업량 감소, 그리고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교량 시공비의 절감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coupling bolts required for coupling the coupling band to the main cable to a greater extent than in the prior art,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of the coupling bolt, reducing the amount of fastening operation of the coupling bolt,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is exhibited.

도 1은 일반적인 종래기술에 의한 현수교의 주케이블에 대해 허용장력과 발생장력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그래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설치한 형상을 보여주는 현수교의 횡방향 개략도이다.
도 3은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설치되는 구간인 도 2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5는 주탑의 탑정부의 새들장치에 주케이블과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걸쳐져 있는 형상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설치되었을 때의 허용장력과 발생장력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그래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행어케이블을 주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합밴드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llowable tension and a generated tension for a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according to a general prior art; Fig.
2 is a lateral schematic view of a suspension bridge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circle A portion of Fig. 2, which is a section in which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is installed.
Fig. 4 is a schematic lateral sid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ate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line BB of FIG. 4 showing an example of a shape in which a main cable and a coupling reinforcement cable are laid on a saddle device of the tower top of the main tower.
FIG. 6 is a schematic graph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llowable tension and a generated tension when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is installed in a top section of a main t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upling band provided to connect a hanger cable to a main c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커플링(coupling) 보강케이블(4)을 설치한 형상을 보여주는 현수교의 횡방향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커플링 보강케이블이 설치되는 구간인 도 2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주탑(2)의 탑정부의 새들(saddle)장치(6)에 주케이블(1)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걸쳐져 있는 형상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 4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 schematic lateral view of a suspension bridge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le A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s shown.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ate of Fig. 3, and Fig. 5 shows a saddle device 6 of the top part of the main tower 2, in which a main cable 1 and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There is shown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종방향(교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탑(2)과, 상기 주탑(2)에 걸쳐져서 각 주탑(2)과 종방향 교량 종점부 사이의 측경간 및 주탑(2) 사이의 주경간에 배치되는 주케이블(1)과, 연직하게 연장되며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단은 결합밴드(5)에 의해 주케이블(1)에 결합되고 하단은 교량 상부구조물(7)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행어(hanger)케이블(3)과, 상기 행어케이블(3)에 매달려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의상 종방향으로 2개의 주탑(2) 사이의 구간을 "주경간(main span)"이라고 명명하며(도 2에서 영문자 M으로 표시된 구간), 각각의 주탑(2)에서 종방향의 교량 종점부 사이의 구간을 "측경간(side span)"(도 2에서 영문자 S로 표시된 구간)이라고 명명한다. The suspensio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ylons 2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ttl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ylons 2 extending over the pylons 2 and extending between the pylons 2 and the longitudinal bridge end portions (1) arranged vertically and spaced longitudinally, the upp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main cable (1) by a coupling band (5), and a lower end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3 coupl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7 and a bridge superstructure 7 suspended from the hanger cable 3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or convenience, the section between the two main towers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main span" (the section indicated by the letter M in Fig. 2), the sec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bridge ends in each main tower 2 Is referred to as "side span" (an interval indicated by the letter S in Fig. 2).

하나의 주탑(2)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 양측으로 복수개의 행어케이블(3)이 결합밴드(5)에 의해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주케이블(1)에 결합되어 있다. 편의상 도 3에서 행어케이블 전체를 언급할 때는 도면부호 3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주경간"에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각각 도면부호 3M을 이용하여 표시하되, 주탑(2)으로부터 주경간 방향으로 점점 멀어지는 위치 순서에 따라 3M1, 3M2, 3M3, 3M4...의 방식으로 영문자 M 이후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도면부호로 표시하였다. 즉, 주탑(2)으로부터 주경간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주경간 제1행어케이블(3M1)"로 기재하였고 후속하여 두 번째로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주경간 제2행어케이블(3M2)"로 기재하는 방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도 3에서 "측경간"에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각각 도면부호 3S를 이용하여 표시하되, 주탑(2)으로부터 측경간 방향으로 점점 멀어지는 위치 순서에 따라 3S1, 3S2, 3S3, 3S4...의 방식으로 영문자 S 이후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도면부호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주탑(2)으로부터 측경간 방향으로 첫 번째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측경간 제1행어케이블(3S1)"로, 두 번째로 위치하는 행어케이블은 "측경간 제2행어케이블(3S2)"로 기재하는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3 are coupled to the main cable 1 at intervals in sequence by a coupling band 5 on both longitudinal sides of one main tower 2 as a center. 3, the hanger cables located at the "main span" are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3M, and the positions of the hanger cables located at the position gradually away from the main tower 2 in the main- In order, 3M1, 3M2, 3M3, 3M4 ... are sequentially displayed in alphabetical order by increasing the numbers after the letter M in alphabetical order. In other words, the hanger cable which is located first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from the main tower 2 is described as " interspersed first hangar cable 3M1 ", and the second hanger cable positioned next is called "interspersed second hangar cable 3M2 & As shown in Fig. The hanger cables located in the "sideways intervals" in FIG. 3 are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3S, and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positions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main tower 2 in the sideways direction, in the order of 3S1, 3S2, 3S3, 3S4, And the reference numerals are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numbers after S are sequentially incremented. Therefore, the hanger cable firstly located in the sideways direction from the main tower 2 is referred to as the " sideways interstage first hanger cable 3S1 ", and the second hanger cable is described as the "sideways interstage second hanger cable 3S2" Respectively.

결합밴드 역시 이와 유사하게, 결합밴드 전체를 언급할 때에는 도면부호 5를 사용하였으나, 주경간에 위치하는 것은 도면부호 5M을 사용하고 측경간에 위치하는 것은 도면부호 5S를 사용하였으며, 순번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주경간 제1행어케이블(3M1)을 주케이블(1)에 결합하는 결합밴드를 "주경간 제1결합밴드(5M1)"라고 기재하고, 주경간 제2행어케이블(3M2)을 주케이블(1)에 결합하는 결합밴드는 "주경간 제2결합밴드(5M2)"라고 기재하는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측경간에서도 측경간 제1행어케이블(3S1)을 주케이블(1)에 결합하는 결합밴드는 "측경간 제1결합밴드(5S1)"라고 기재하였으며, 측경간 제2행어케이블(3S2)을 주케이블(1)에 결합하는 결합밴드는 "측경간 제2결합밴드(5S2)"라고 기재하는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Similar to the coupling band, the reference numeral 5 is used to refer to the entire bonding band, but the reference numeral 5M is used to locate the main band and the reference numeral 5S is used to locate the side band. Inter-primary-side first hanger cable 3M1 to the main cable 1 is referred to as "inter-primary-side first coupling band 5M1", inter-secondary inter-second-side cable 3M2 is connected to the primary cable 1 The bonding band to be bonded is expressed in a manner described as "interspacing second bonding band (5M2) ". Similarly, in the sideways interval, the coupling band for coupling the inter-sideways first hanger cable 3S1 to the main cable 1 is referred to as "inter-sidewall first coupling band 5S1" and the inter-sideways second crossover cable 3S2 is connected to the main cable 1. [ And the bonding band to be bonded to the substrate 1 is referred to as a "sidewall second bonding band 5S2 ".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되, 각각의 커플링 보강케이블(4)은 그 양단이 각각 주탑(2)을 중심으로 하여 종방향 양측에서 동일한 순번에 위치하는 결합밴드(5)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볼록한 곡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복수개의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구분하여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직선 형태 내지 자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쳐져 있는 원호 형태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cables (4)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covering the top of the main tower (2), and each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A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coupling bands 5 located at the same order on both longitudinal sides. In FIGS. 2 and 3,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shown in the form of a convex curve, which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order to make 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cables 4 distinguishable. In fact, And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by its own weight.

한편,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커플링 보강케이블(4) 전체를 언급할 때에는 도면부호 4를 이용하여 표시하였으나, 각각의 커플링 보강케이블을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언급할 때에는 도면부호 4-1, 4-2, 4-3, 4-4...의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뒷번호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커플링 보강케이블(4-1)은 주경간 제1결합밴드(5M1)와 측경간 제1결합밴드(5S1) 사이를 연결하면서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즉, 제1커플링 보강케이블(4-1)의 양단은 각각 주경간 제1결합밴드(5M1)와 측경간 제1결합밴드(5S1)에 연결되고 그 중간은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지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커플링 보강케이블(4-2)은 주경간 제2결합밴드(5M2)와 측경간 제2결합밴드(5S2) 사이를 연결하면서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배치되며, 제3커플링 보강케이블(4-3)은 주경간 제3결합밴드(5M3)와 측경간 제3결합밴드(5S3) 사이를 연결하면서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제4커플링 보강케이블, 제5커플링 보강케이블 등 후속하는 추가적인 커플링 보강케이블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해당하는 주경간 결합밴드와 측경간 결합밴드 사이를 연결하면서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배치되며, 이러한 커플링 보강케이블은 주케이블(1)에 큰 장력이 가해지게 되는 필요 구간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hole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referred to for convenience in reference to the reference numeral 4. However, when referring to each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s in sequence, reference numerals 4-1 and 4-2 , 4-3, 4-4, ..., and so on.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cable 4-1 is disposed over the top of the main tower 2 while connecting the first interlocking band 5M1 with the first interlocking band 5S1. That is,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reinforcing cable 4-1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ing band 5M1 and the first interlocking band 5S1, will be. In this manner, the second coupling reinforcing cable 4-2 is disposed over the top portion of the main tower 2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interspacing second coupling band 5M2 and the sideward second coupling band 5S2, 3 coupling reinforcing cable 4-3 is disposed over the top of the main tower 2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main inter-bridge third coupling band 5M3 and the inter-sideline third coupling band 5S3. The following additional coupling reinforcing cables, such as the fourth coupling-reinforcing cable and the fifth coupling-reinforcing cable, are connected in such a manner as to connect the primary and secondary interlocking bands corresponding to the same order in both directions from the main tower, 2, and these coupling reinforcing cable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in a required section in which a large tension is applied to the main cable 1. [

주케이블(1)과 함께 복수개의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배치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주탑(2)의 탑정부에 설치된 새들장치(6)에 주케이블(1)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동일한 수평면에서 나란하게 걸쳐질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케이블(1)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각각 별도의 개별적인 새들장치에 걸쳐질 수도 있으며, 주케이블(1)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연직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의 새들장치에 걸쳐질 수도 있고, 복수개의 커플링 보강케이블(4)들도 각기 서로 다른 높이의 개별적인 새들장치에 걸쳐질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cables 4 together with the main cable 1 are arranged over the top of the main tower 2 so that the saddle device (not show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ain tower 2 The main cable 1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may be laid out in parallel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main cable 1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main cable 1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may extend over saddle devices of different heigh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reinforcing cables 4 Each of which may span separate saddle devices of different heights.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그 양단이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해당하는 주경간 결합밴드와 측경간 결합밴드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 보강케이블(4)은, 주케이블(1)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외력이 행어케이블(3)을 통해 주케이블(1)에 장력으로 가해질 때, 주케이블(1)에 작용하는 장력의 일부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부담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라 주탑(2)의 탑정부 구간 즉, 주케이블(1)에 큰 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구간에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설치되었을 경우, 허용장력과 발생장력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그래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1점쇄선은 "허용장력"을 나타내고, 점선은 "발생장력"을 나타낸다.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which spans the tower top of the main tower 2 and has both ends thereof coupled to the interspacing coupling band and the inter-siding coupling band corresponding to the same order from both sides of the main tower, 1).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cable 1 with tension by way of the hanger cable 3,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burdened by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main cable 1. [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lowable tension and the generated tension in the case where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provided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2, that is, in the section where a large tension acts on the main cable 1, Lt; RTI ID = 0.0 > 1 < / RTI > In Fig. 6, similarly to Fig. 1, the one-dot chain line indicates "allowable tension"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generated tension".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1)에 작용하게 되는 발생장력이 종래기술의 경우와 동일할 때, 본 발명에서는 주케이블(1)의 단면을 종래기술보다 더 작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주케이블(1)에서 발휘할 수 있는 장력이 종래기술보다 더 작아지도록 주케이블(1)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주케이블(1)만이 발휘하는 허용장력은 전체 현수교의 경간에 걸쳐 작아지게 되어, 큰 발생장력이 작용하는 주탑의 탑정부 구간 이외의 구간에서는 허용장력과 발생장력간의 차이가 줄어들게 되어 도 6에서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된 "주케이블의 여용력"이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작아지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cable 1 can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when the generated tension acting on the main cable 1 by an external force is the same as that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main cable 1 can be designed so that the tension that can be exerted on the main cable 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In this case, the allowable tension exerted only by the main cable 1 becomes small over the span of the entire suspension bridge, and eve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lowable tension and the generated tension is reduced in a section other tha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6, the "capacity of the main cable" indicated by the hatched area becomes smaller tha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그런데 주케이블(1)에서 발휘할 수 있는 장력이 종래기술보다 더 작아지도록 주케이블(1)을 설계하게 되면, 큰 발생장력이 작용하는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서는 주케이블(1)만의 허용장력보다 발생장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발생장력이 주케이블(1)만의 허용장력보다 더 커지게 되는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 커플링 보강케이블(4)을 설치하여, 주케이블(1)에 작용하게 되는 장력의 일부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분담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주탑의 탑정부 구간에서는 주케이블(1)만의 허용장력에 더하여 커플링 보강케이블(4)에 의한 허용장력이 더 발휘되고, 그에 따라 전체적인 허용장력이 발생장력보다 더 크게 되어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된다. However, when the main cable 1 is designed so that the tension exerted on the main cable 1 is smaller than that in the prior art,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in which a large generation tension acts, The tension can be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provided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in which the generated tension becomes larger than the allowable tension of only the main cable 1, 6, the allowable tension by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n addition to the allowable tension of the main cable 1 alone is lower than the permissible tension by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n the top section of the main tower, So that the overall allowable tension is greater than the generated tension, thereby ensuring sufficient stability.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서 주케이블(1)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에 의해 발휘되는 허용장력의 크기 프로파일을, 발생장력의 크기 프로파일에 부합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주케이블의 여용력"을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주케이블(1)만에 의해 발휘되는 허용장력을 종래기술보다 더 작게 설정하여 주케이블(1) 단면의 과대 설계를 방지하여 최적설계를 하면서도, 부족한 허용장력은 커플링 보강케이블(4)에 의해 보강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수교의 전체 경간에 걸쳐서 배치되는 주케이블(1)의 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재료비의 절감 및 전체 교량 시공비의 감소, 그리고 그에 따른 경제적인 현수교 시공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주케이블(1)의 물량 감소를 통해서 사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더욱 경제적으로 교량 설계 및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tude profile of the allowable tension exerted by the main cable 1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n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can be made to conform to the magnitude profile of the generated tension, The capacity of the cable can be reduced more than in the prior ar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owable tension exerted only by the main cable 1 is set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to prevent excessive desig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cable 1, The amount of water of the main cable 1 disposed over the entire span of the suspension bridge can be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s a result,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the total bridg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effect of economic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ad load by reducing the quantity of the main cable 1,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sign and construct the bridge more economically.

도 7에는 본 발명에서 행어케이블(3)을 주케이블(1)에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합밴드(5)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케이블(1)에는 결합밴드(5)가 고정된 형태로 결합 구비되고, 결합밴드(5)에는 행어케이블(3)의 상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단부 역시 결합밴드(5)에 결합된다. 결합밴드(5)는 절단된 파이프 형상(half pipe type)의 상,하 결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하 결합부재가 주케이블(1)을 상,하로 감싼 상태에서 볼트 등의 결속부재(51)를 이용하여 상,하 결합부재를 결속하여 상,하 결합부재가 주케이블(1)을 강하게 가압하여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결합밴드(5)와 주케이블(1)이 일체화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7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upling band 5 provided for connecting the hanger cable 3 to the main cable 1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able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5. And the end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also engaged with the coupling band 5. The coupling band 5 is composed of a half pipe type of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and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mber 51 such as a bolt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are strongly pressed by the upper and lower coupling members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coupling band 5 and the main cable 1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

이와 같이 결합밴드(5)가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주케이블(1)에 조립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 행어케이블(3)에 의해 주케이블(1)의 연장 방향으로 결합밴드(5)에 작용하게 되는 "미끄러지려는 힘"에 저항하여, 결합밴드(5)가 주케이블(1)에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합밴드(5)와 주케이블(1)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종래기술에서는 주케이블(1)의 연장 방향으로 결합밴드(5)가 상당한 길이를 가지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결합밴드(5)가 강하게 주케이블(1)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당히 많은 수의 결속볼트가 필요하였다. When the coupling band 5 is composed of two members and is assembled to the main cable 1 as described above, the hanger cable 3 acts on the coupling band 5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cable 1 A strong frictional force must be applied between the coupling band 5 and the main cable 1 in order to firmly integrate the coupling band 5 with the main cable 1 against the " Not only the coupling band 5 has to have a considerable length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cable 1 but also the coupling band 5 has a considerably large number of bonds Bolts were needed.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결합밴드(5)에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행어케이블(3)에 의해 결합밴드(5)에 작용하는 힘의 일부가 직접 커플링 보강케이블(4)에 전달되어 커플링 보강케이블(4)에 작용하는 장력으로 상쇄되므로, 행어케이블(3)에 의해 주케이블(1)의 연장 방향으로 결합밴드(5)에 작용하게 되는 "미끄러지려는 힘"이 종래기술보다 크게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결합밴드(5)와 주케이블(1) 사이에서 요구되는 마찰력의 크기도 종래기술보다 작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주케이블(1)의 연장 방향으로의 결합밴드(5) 길이가 줄어들어들 뿐만 아니라, 결합밴드(5)가 주케이블(1)을 압착하는데 필요한 결속볼트(51)의 수도 줄어들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보다 결합밴드(5)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결합밴드(5)를 위한 재료 사용량을 절감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결합밴드(5)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하 부재로 이루어져 결속볼트(51)에 의해 주케이블(1)을 압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보다 결합밴드(5)를 주케이블(1)에 압착결합하기 위한 결속볼트(51)의 필요 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재료비의 경감은 물론이고 결속볼트(51)의 체결 작업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작업량 감소 및 작업성 향상, 그리고 이를 통한 교량 시공비의 절감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5, a part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upling band 5 by the hanger cable 3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 The force that acts on the coupling band 5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cable 1 by the hanger cable 3 is canceled by the tension acting on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The size of the frictional force required between the coupling band 5 and the main cable 1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As a result, the coupl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cable 1 Not only the length of the band 5 is reduced but also the number of the coupling bolts 51 necessary for the coupling band 5 to squeeze the main cable 1 is reduc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oupling band 5 can be reduc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e amount of material used for the coupling band 5 can be reduc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st. In the case where the coupling band 5 is constituted by upper and lower members and the main cable 1 is pressed by the coupling bolt 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the coupling bolts 51 for press-fitting the cable 1,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and the amount of tightening of the coupling bolts 51,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bridges can be demonstrate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현수교를 시공함에 있어서, 결합밴드(5)의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주케이블(1)을 상,하로 감싸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결합밴드(5)를 이루는 2개의 부재가 주케이블(1)을 횡방향 좌,우측에서 감싸서 결속볼트로 체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Howev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suspensio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band 5 is not limited to the way of wrapping the main cable 1 up and down as shown above, The main cable 1 may be wrapped around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astened with a coupling bolt.

더 나아가, 결합밴드(5)에 행어케이블(3)의 상단과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단부가 결합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결합핀을 이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행어케이블(3)의 상단이 새들방식으로 결합밴드(5) 위에 걸쳐지거나 기타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밴드(5)에 행어케이블(3)의 상단 및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단부가 각각 결합밴드(5)에 결합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able 3 and the end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are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5, the coupling pin is us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able 3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5 by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able 3 over the coupling band 5 in a saddle-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5, respectively.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현수교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주탑(2)을 설치하고, 주케이블(1)을 설치하며, 주케이블(1)에 결합밴드(5)를 결합하고 결합밴드(5)에 행어케이블(3)을 연결하게 되는데,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지고 양단이 주탑(2) 양측의 동일 순번의 결합밴드(5)에 결합되는 형태로 커플링 보강케이블(4)을 설치한다. 필요한 개수의 결합밴드(5), 행어케이블(3) 및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를 이송 및 인양하여 행어케이블(3)의 하단에 결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주케이블(1)에 결합밴드(5)를 설치하고 행어케이블(3)을 결합밴드(5)에 연결하고 커플링 보강케이블(4)을 결합밴드(5)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결합밴드(5)의 설치 완료 후, 행어케이블(3) 및 커플링 보강케이블(4)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교량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부재는 행어케이블(3)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행어케이블(3)의 하단에 결합하여 설치한다.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spensio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tower 1 is installed, the main cable 1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5, and the coupling band 5 The coupling cable 4 is connected to the top portion of the main tower 2 and th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coupling bands 5 of the same order on both sides of the main tower 2, . After the necessary number of coupling bands 5, the hanger cables 3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s 4 are installed,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bridge upper structure are transferred and lift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hanger cables 3 . When the coupling band 5 is provided on the main cable 1 and the hanger cable 3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5 and the coupling reinforcement cable 4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5, The connecting operation of the hanger cable 3 and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can be performed. The member constituting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cable 3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hanger cable 3 is completed.

1: 주케이블
2: 주탑
3: 행어케이블
4: 커플링 보강케이블
5: 결합밴드
1: Main cable
2: pylon
3: Hanger cable
4: Coupling reinforcement cable
5: Coupling band

Claims (3)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주탑(2)과, 상기 주탑(2)에 걸쳐져서 각 주탑(2)과 종방향 교량 종점부 사이의 측경간 및 주탑(2) 사이의 주경간에 배치되는 주케이블(1)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단은 결합밴드(5)에 결합되어 주케이블(1)과 일체화되고 하단은 교량 상부구조물(7)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행어케이블(3)과, 상기 행어케이블(3)에 매달려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1)에 작용하는 장력의 일부를 부담하여 주케이블(1)을 보강하는 커플링 보강케이블(4)이, 그 양단이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위치하는 주경간의 결합밴드와 측경간의 결합밴드에 각각 결합되어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
A plurality of main towers 2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ain cables 2 disposed over the main towers 2 and arranged between the sidewalls between the main towers 2 and the longitudinal bridge end points and between the main towers 2,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3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upling band 5 at the upper end to be integrated with the main cable 1 and the lower ends connected to the bridge upper structure 7; , And a bridge superstructure (7) installed in a longitudinally extending form suspended from the hanger cable (3);
A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for reinforcing the main cable 1 by bear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main cable 1 by an external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shaft 1 and the main shaft 1,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of the band and the sidewall, and is provided over the top of the main tower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밴드(5)는 절단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재가 조립되는 구성을 가지며;
결합밴드(5)의 결합부재가 주케이블(1)의 외부를 감싼 상태에서 결속부재(51)를 이용하여 결합밴드(5)의 결합부재를 결속하여 결합부재가 주케이블(1)을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결합밴드(5)와 주케이블(1)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결합밴드(5)가 주케이블(1)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 현수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ing band (5) has a structure in which a joining member having a cut pipe shape is assembled;
The joining member of the joining band 5 binds the joining member of the joining band 5 by using the joining member 51 in a state where the joining member of the joining band 5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main cable 1 so that the joining member presses the main cable 1 strongly So that a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coupling band (5) and the main cable (1) so that the coupling band (5) is integrated with the main cable (1).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주탑(2)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주탑(2)에 걸쳐져서 각 주탑(2)과 종방향 교량 종점부 사이의 측경간 및 주탑(2) 사이의 주경간에 주케이블(1)을 배치하는 단계;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행어케이블(3)을 배치하고, 상단을 결합밴드(5)에 결합하여 결합밴드(5)를 주케이블(1)에 결합 고정하며, 외력에 의해 주케이블(1)에 작용하는 장력의 일부를 부담하여 주케이블(1)을 보강하게 되는 커플링 보강케이블(4)을, 그 양단이 주탑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동일한 순번에 위치하는 주경간의 결합밴드와 측경간의 결합밴드에 각각 결합시켜서 주탑(2)의 탑정부에 걸쳐져서 설치하는 단계; 및
행어케이블(3)의 하단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교량 상부구조물(7)을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시공방법.
Constructing a plurality of pagodas (2)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osing the main cable (1) on the main tower (2) to place the main cable (1) between the sideways between the main tower (2) and the longitudinal bridge end and between the main tower (2)
A plurality of hanger cables 3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ables 3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nd 5 to couple the coupling band 5 to the main cable 1,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reinforces the main cable 1 by bearing a part of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main cable 1. The coupling bands of both ends of the coupling reinforcing cable 4, To the top of the main tower (2); And
And suspending a bridge upper structure (7)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anger cable (3) in a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150025249A 2015-02-23 2015-02-23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KR101655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249A KR101655332B1 (en) 2015-02-23 2015-02-23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249A KR101655332B1 (en) 2015-02-23 2015-02-23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64A true KR20160102764A (en) 2016-08-31
KR101655332B1 KR101655332B1 (en) 2016-09-07

Family

ID=5687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249A KR101655332B1 (en) 2015-02-23 2015-02-23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824A (en) * 2016-09-30 2017-03-08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andling method of cable wire t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1368A (en) * 2019-09-29 2019-12-06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method for mounting steel box girder of cable-stayed bridge
CN111535146B (en) * 2020-04-30 2021-11-02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Method for installing steel truss girder of suspension brid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566A (en) * 1990-10-29 1991-12-10 T. Y. Lin International Hybrid bridge structure
JPH0730729Y2 (en) * 1990-12-25 1995-07-1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Cable joint structure
KR20070049777A (en) * 2005-11-09 2007-05-14 심준기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cables
KR101127939B1 (en) 2009-12-24 2012-03-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uspension bridge having main cable of plural unit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0566A (en) * 1990-10-29 1991-12-10 T. Y. Lin International Hybrid bridge structure
JPH0730729Y2 (en) * 1990-12-25 1995-07-1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Cable joint structure
KR20070049777A (en) * 2005-11-09 2007-05-14 심준기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cables
KR101127939B1 (en) 2009-12-24 2012-03-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uspension bridge having main cable of plural unit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824A (en) * 2016-09-30 2017-03-08 武船重型工程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andling method of cable wire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32B1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604B1 (en) Reinforcing member for prestressed concrete beam ends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655332B1 (en) Suspension Bridge having Coupling Reinforcing Cables for Mail Cab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Suspension Bridge
CN104110086B (en) Suspen-shell structure and plane prestressed combined structure, tensioning tool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468302B1 (en) Girder Anchorage Method by Placing Cable througth Concrete Curved Box Section
US9546497B2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KR20150010889A (en) Wale and strut with internal steel tube
KR101304262B1 (en) Composite bridge using the tapered i-type girders
KR20080025656A (en) Slab form with truss bar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5178167B (en) A kind of double-deck steel cable bridge and its erection method
KR100953824B1 (en) Pillar structure reinforce t style steel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work form of pillar structure reinforced structure of building
CN103898834B (en) A kind of steel tube concrete combination beam and truss-like Sarasota cable-stay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48161B1 (en) Truss type hybrid beam structure
KR101692488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17129937A1 (en) Long span suspension bridges - cable geometry
KR101468101B1 (en)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KR101161644B1 (en) Partially earth-anchored cable-stayed bridge using hinge connection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562767B1 (en) The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 steel materials and prestress tendon and founda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KR100981982B1 (en) Precast coping lifting system
KR101643312B1 (en) Longitudinal displacement control type multi-span suspension bridge
CN109468954A (en) A kind of form of construction work of anchorage anchor system
JP7231434B2 (en)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unnel secondary lining
KR101849983B1 (en) Psc girder with advanced pre-stressing efficienc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564885B1 (e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999324A (en) Superimposed sheet splic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92660B1 (en) Suspensio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mposite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