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655A -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655A
KR20160102655A KR1020150024985A KR20150024985A KR20160102655A KR 20160102655 A KR20160102655 A KR 20160102655A KR 1020150024985 A KR1020150024985 A KR 1020150024985A KR 20150024985 A KR20150024985 A KR 20150024985A KR 20160102655 A KR20160102655 A KR 20160102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supply
commercial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8917B1 (ko
Inventor
김동한
김만도
Original Assignee
이플러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플러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플러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1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용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와 병렬로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인버터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 및 상기 인버터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출력하는 병합 출력부 및 상기 상용 전원부와 인버터 전원부 및 병합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Parallel Power Operat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에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품질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 또는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용 전원을 대체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무정전 전원 장치는 오프라인 방식과 온라인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오프라인 방식은 상용 전원의 정상시에 상용 전원이 전력을 공급하고 무정전 전원 장치가 백업용으로 충전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용 전원의 이상시에는 상용 전원이 절체되고 무정전 전원 장치가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온라인 방식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을 안정화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 장치에서 부하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무정전 전원 장치의 입력으로 상용 전원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저장 전력을 사용한다. 온라인 방식은 상용 전원이 부하에 직접 연결이 되어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오프라인 방식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추가로 상용 전원과 인버터 전원을 병합하여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과 인버터 전원을 병렬 연결하여 병렬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용 전원과 인버터 전원을 병렬로 연결하여 부하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용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와 병렬로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인버터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 및 상기 인버터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출력하는 병합 출력부 및 상기 상용 전원부와 인버터 전원부 및 병합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용 전원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병합 출력부로 공급하는 상용 전력선과 상기 상용 전력선의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병합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상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전원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및 상기 D-A 컨버터와 상기 병합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합 출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부와 인버터 전원부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2 입력단과, 상기 부하에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제 2 출력단 및 상기 제 2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일차 코일과 상기 제 2 출력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이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2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입력단과, 상기 상용 전원부와 상기 인버터 전원부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1 입력단에 연결되는 일차 코일과 상기 제 1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이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상기 상용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전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버터 전원부가 상기 병합 출력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과 인버터 전원을 병열로 연결하여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의 위상을 추종하여 인버터 전원의 전압과 위상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10)와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와 병합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를 병렬로 연결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적정한 비율로 조절하여 공급한다. 상기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00)는 상용 전원(10)의 위상을 추종하여 인버터 전원부(130)의 출력의 전압과 위상을 조절하여 부하(20)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는 부하(20)에서 요구되는 전력에 따라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용 전원(10)은 외부 전원으로서,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다.
상기 부하(20)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로서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설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00)가 회사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사무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프린터와 같은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제 1 입력단(111)과 제 1 트랜스포머(112) 및 제 1 출력단(1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용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 공급한다.
상기 제 1 입력단(111)은 상용 전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용 전원(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트랜스포머(112)로 공급한다.
상기 제 1 트랜스포머(112)는 제 1 입력단(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1 출력단(113)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트랜스포머(112)는 적어도 2개의 이차 코일을 구비하며, 각각 제 1 출력단(113)과 연결된다. 상기 이차 코일은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의 전체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코일은 제 1 출력단(113)이 연결되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권취수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스포머(112)는 1 개의 일차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스포머(112)는 예를 들면, 도 2에서 L1 Inducto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단(113)은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지며,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각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단(113)은 제 1 트랜스포머(112)의 이차 코일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단(113)은 제 1 트랜스포머(11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용 전원부(120) 및 인버터 전원부(130)로 공급한다.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일단이 입력부(110)에 연결되며, 타단이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되는 상용 전력선(121)과 상용 스위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인버터 전원부(130)와 병렬로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입력부(1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실질적으로 그대로 병합 출력부(140)로 공급한다. 상기 상용 전력선(121)은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용 스위치(125)는 상용 전력선(121)의 중간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부(120)에서 병합 출력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필요로 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용 전원부(120)는 부하(2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큰 경우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각 인버터 전원부(130)와 병렬로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A-D 컨버터(131)와 배터리 모듈(132)과 D-A 컨버터(1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인버터 스위치(135)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상용 전원부(120)와 병렬로 입력부(110)와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32)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32)이 교대로 병합 출력부(140)에 전력을 공급하고, 입력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 모듈(132)에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에 병합 출력부(140)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병합 출력부(140)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상용 전원부(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을 추종하여 전압과 위상을 조절하여 공급한다.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상용 전원부(120)에 대한 보조 전력 공급원으로 작동하여 상용 전원(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부하(20)에서 사용하는 전력보다 작은 경우에 보충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부하(20)에 항상 일정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부하(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정 비율을 담당하여 상용 전원부(120)와 공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전원부(130)는 일반적인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D 컨버터(131)는 입력단이 입력부(110)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배터리 모듈(132)에 연결된다. 상기 A-D 컨버터(131)는 입력부(110)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모듈(132)로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32)은 A-D 컨버터(131)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충전하며, 필요한 경우에 방전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32)은 충방전이 가능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셀은 리튬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132)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충방전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132)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모듈(132)은 교대로 병합 출력부(140)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고, 교대로 상용 전원(10)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32)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 제어 유닛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132) 및 배터리 모듈(132)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A 컨버터(133)는 입력단이 배터리 모듈(132)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D-A 컨버터(133)는 배터리 모듈(132)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병합 출력부(140)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D-A 컨버터(133)는 상용 전원부(120)에서 출력되는 전력과 동일한 전압과 위상을 가지도록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스위치(135)는 D-A 컨버터(133)와 병합 출력부(140) 사이에 위치하며, 배터리 모듈(132)에서 병합 출력부(14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병합 출력부(140)는 제 2 입력단(141)과 제 2 트랜스포머(142) 및 제 2 출력단(14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병합 출력부(140)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병합하여 부하(20)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입력단(141)은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지며,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각각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입력단(141)은 상용 전원부(120) 및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 2 트랜스포머(142)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는 제 2 입력단(1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 2 출력단(143)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는 적어도 2개의 일차 코일을 구비하며, 각각 제 2 입력단(141)과 연결된다. 상기 일차 코일은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의 전체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는 적어도 1 개의 이차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코일은 연결되는 부하(2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의 일차 코일의 하나는 상용 전원부(120)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일차 코일은 인버터 전원부(130)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는 2 개의 일차 코일이 도 2에서 L2 Inductor와 L3 Inductor로 구성된다. 상기 이차 코일은 부하에 연결되는 1 개의 이차 코일이 L4 Inductor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스포머(142)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공급해야 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권취수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단(143)은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출력단(143)은 연결되는 부하(20)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단(143)은 제 2 트랜스포머(14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20)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 및 병합 출력부(140)에 연결되며,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 및 병합 출력부(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용 전원부(120)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용 전원부(120)로 하여금 상용 스위치(125)를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인버터 전원부(130)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불필요한 경우에 인버터 전원부(130)로 하여금 인버터 스위치(135)를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병합 출력부(140)의 제 2 출력단(143)으로부터 부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부하(20)로 적절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부하(2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상용 전원부(120)에서 공급하는 전력보다 큰 경우에 인버터 전원부(130)가 병합 출력부(1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동시에 부하(20)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부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인버터 전원부(130)의 출력을 제어하여 부하(20)로 적정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용 전원부(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을 추종하여 인버터 전원부(130)를 제어하여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과 위상을 제어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용 전원부(120)의 상용 스위치(125)가 온되며 상용 전원(10)의 전력이 입력부(110)와 상용 전원부(120)를 통하여 병합 출력부(14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의 작동에 의하여 인버터 스위치(135)가 온(on)되며, 인버터 전원부(130)의 전력이 병합 출력부(140)로 공급된다. 상기 병합 출력부(140)는 상용 전원부(120)의 전력과 인버터 전원부(130)의 전력을 병합하여 부하(20)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부하(20)로 출력되는 전력의 위상 및 전압을 모니터링하면서 부하(20)로 적정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인버터 전원부(130)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용 전원부(120)와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과 위상을 모니터링하여 인버터 전원부(130)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과 위상이 상용 전원부(120)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 및 위상과 동일하게 되도록 D-A 컨버터(1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110; 입력부 120; 상용 전원부
130; 인버터 전원부 140; 병합 출력부
150; 제어부

Claims (6)

  1.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용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와 병렬로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인버터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 및 상기 인버터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로 출력하는 병합 출력부 및
    상기 상용 전원부와 인버터 전원부 및 병합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병합 출력부로 공급하는 상용 전력선과 상기 상용 전력선의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병합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상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전원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배터리 모듈과,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및
    상기 D-A 컨버터와 상기 병합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는 인버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출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부와 인버터 전원부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2 입력단과,
    상기 부하에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제 2 출력단 및
    상기 제 2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일차 코일과 상기 제 2 출력단에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이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2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상용 전원에 연결되는 제 1 입력단과,
    상기 상용 전원부와 상기 인버터 전원부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출력단 및
    상기 제 1 입력단에 연결되는 일차 코일과 상기 제 1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이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이 상기 상용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전력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버터 전원부가 상기 병합 출력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1020150024985A 2015-02-23 2015-02-23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10176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85A KR101768917B1 (ko) 2015-02-23 2015-02-23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85A KR101768917B1 (ko) 2015-02-23 2015-02-23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55A true KR20160102655A (ko) 2016-08-31
KR101768917B1 KR101768917B1 (ko) 2017-08-18

Family

ID=5687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85A KR101768917B1 (ko) 2015-02-23 2015-02-23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534Y1 (ko) * 2005-04-16 2005-07-25 마스타씨스템(주) 전기이중층콘덴서가 적용된 순시전압강하동적전압보상장치의 고효율 충방전 시스템
KR101219799B1 (ko) * 2012-04-24 2013-01-10 이기현 입력피크전력저감 기능을 갖는 지능형 무정전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492B1 (ko) * 2012-12-18 2014-07-08 세방전지(주)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917B1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6288B2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CN110417081B (zh) 供电电路及不间断供电电源ups系统
US7898110B2 (en)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9647492B2 (en) Direct curr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device
JP2012130158A (ja) 電源装置
CN109874366B (zh) 电机和设备
WO2016006329A1 (ja) 無停電電源装置
WO2014083788A1 (ja) 双方向コンバータ
JP201920530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7312558A (ja) 放電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源システム
TWI692174B (zh) 電池自動調節單元及電池自動平衡系統
KR20170026695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 시스템
JP2016144379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15186291A (ja) バッテリ充放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4148806A1 (zh) 一种固定输出电压的直流供电系统
KR20140119531A (ko) 양방향 pwm 인버터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CN106557144B (zh) 直流备援设备
KR20170103638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4050656A1 (zh) 供电装置、方法和系统
KR101768917B1 (ko) 전력 병합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N105529746B (zh) 一种柔性配电系统
US10491037B2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CN114156988A (zh) 一种供电电路和回路电阻测试仪
JP2014042418A (ja) 非常時電力供給方法
CN106655461B (zh) 不断电供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