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563A -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563A
KR20160102563A KR1020167020655A KR20167020655A KR20160102563A KR 20160102563 A KR20160102563 A KR 20160102563A KR 1020167020655 A KR1020167020655 A KR 1020167020655A KR 20167020655 A KR20167020655 A KR 20167020655A KR 20160102563 A KR20160102563 A KR 2016010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urrent loop
closed frame
antenna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밍 왕
루이 장
샤오리 양
멍 허우
쉐페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feeding part); 접지부; 및 무선 단말기의 본체를 둘러싼 폐쇄형 프레임(closed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상기 폐쇄형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폐쇄형 프레임,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제1 전류 루프 및 제2 전류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전류 루프와 상기 제2 전류 루프 사이에 공진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안테나 장치 및 무선 단말기에 따르면,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무선 주파수 피더의 급전부의 위치가, 폐쇄형 프레임 상에 슬릿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되는 밀폐 환경이 안테나 복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안테나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심리스 밀봉형 프레임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SEAMLESS SEALED-FRAME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기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이 점점 더 널리 이동 전화의 외관 디자인에 적용된다. 무선 통신은 무선 기기의 필수 기능이며, 안테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안테나 성능의 수준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성능에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안테나 성능은 이동 전화의 사용자의 통화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금속과 안테나 고유의 성능에 기초하여, 금속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의 성능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금속 외관에 기초하여 고성능의 안테나를 디자인하는 방법이 업계에서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금속 외관 디자인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슬릿 가공(slitting processing)이 무선 통신 단말기의 폐쇄형 프레임의 일 측에서 수행되고, 무선 주파수 피더(radio frequency feeder)가 슬릿에서 급전 여기(feeding excitation)를 수행하고, 폐쇄형 프레임이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기 데 이용된다. 그러나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손에 쥐기 때문에, 폐쇄형 프레임이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전술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안테나 복사(antenna radiation)의 전기 강도 폐쇄형 프레임의 슬릿에서 강하다. 사용자의 손이 슬릿을 쥐고 있는 경우, 주파수 오프셋 등의 문제가 안테나의 작동 공진 (working resonance)에서 발생하고, 이는 안테나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 전화의 사용자의 손이 슬릿 안테나의 슬릿을 쥐고 있으면, 호출 중단, 정지, 등을 포함하는 현상이 호출 프로세스에서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복사가 최대로 강한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이 되지 않는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의해 야기되는 안테나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는는 안테나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급전부(feeding part);
접지부; 및
무선 단말기의 본체를 둘러싼 폐쇄형 프레임(closed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접지부는 상기 폐쇄형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폐쇄형 프레임,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제1 전류 루프 및 제2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전류 루프와 상기 제2 전류 루프 사이에 공진이 일어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류 루프의 임피던스 효과는 인덕턴스 L이고, 상기 제2 전류 류프의 임피던스 효과는 커패시턴스 C이며, 상기 제1 전류 루프와 상기 제2 전류 루프 사이에 일어나는 공진의 주파수는
Figure pct00001
이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전류 루프의 길이는 파장의 1/4보다 작고, 상기 제2 전류 루프의 길이는 파장의 1/4보다 크지만 파장의 1/2보다 작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metal stub)을 더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상기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피더(feeder) 상에 배치된다.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측면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조정 스위치(adjusting switch) 또는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adjustable capacitor)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는 상기 조정 스위치 또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금속 스텁과 상기 폐쇄형 프레임은 스프링 또는 포고 핀(Pogo-Pin)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실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급전부는 정합 회로(matching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회로는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측면,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실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1 측면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재료, 도전성 기구부(conductive mechanical part), 분포 파라미터(distributed parameter) 또는 집중 파라미터(lumped parameter)를 갖는 인덕턴스/커패시턴스 소자, 및 분포 파라미터를 갖는 트랜지션 디자인(transition design)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이다.
전술한 방안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안테나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밀폐된 환경이, 안테나 복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피더의 급전부의 위치가 사용된다. 또,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을 사용함으로써, 최강의 안테나 복사를 가지는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쥘 때, 거의 접촉되지 않는 영역에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의해 야기되는 안테나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또,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과 폐쇄형 프레임 사이의 연결의 확장은 안테나의 형식 확장을 더 쉽게 하여, 안테나가 더 넓은 대역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등가 효과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공지의 개략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저주파 대역에서의 안테나 장치의 등가 효과도이다.
도 6은 LC 병렬 회로의 공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등가 효과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LC 직렬 회로의 공진의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이점을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급전부(102) 및 접지부(104)를 포함하는 폐쇄형 프레임(101)을 가지고, 급전부(102)와 접지부(104)는 각각 폐쇄형 프레임(101)의 대향하는 양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급전부(102)와 접지부(104)는 폐쇄형 프레임을 제1 부분(1011)과 제2 부분(1012)으로 나누고, 도면에서 L2와 L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1011), 급전부(102), 및 접지부(104)가 제1 전류 루프를 형성하고, 제2 부분(1012), 급전부(102), 및 접지부(104)가 제2 전류 루프를 형성한다. 전술한 제1 전류 루프와 전술한 제2 전류 루프는 제1 루프 안테나와 제2 루프 안테나로 이해될 수 있으며, L2와 L3는 각각 제1 루프 안테나의 둘레와 제2 루프 안테나의 둘레이다. IFA(Inverted F Antenna, 역 F 안테나)에 관한 송신 선로 등가 이론에 따르면, 송신 선로의 말단(tail end)은 단락 회로(short-circuited)이고, 길이는 1/4 파장보다 짧으며, 임피던스 효과는 인덕턴스 L이고; 송신선의 길이가 1/4 파장보다 길지만 1/2 파장보다 짧은 경우, 임피던스 효과는 커패시턴스 C이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제1 안테나 루프 및 제2 안테나 루프를 선택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방안은, 도 2에 도시된, LC 병렬 회로의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의 등가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에서의 두 개의 작동 공진 f2 및 f3이 둘레가 L2 및 L3인 루프 안테나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제1 안테나 루프와 제2 안테나 루프만을 사용하여 고주파 대역에서 공진을 구현할 수 있지만, 저주파 대역에서 이용 가능한 공진을 일으키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저주파 공진을 구현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저주파 브랜치(low-frequency branch)(107)를 안테나의 피더에 추가한다.
LC 병렬 회로의 종합적인 효과에 따르면, LC 병렬 회로의 LC 공진 주파수 f1(
Figure pct00002
)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회로 상태가 나타난다. 따라서, 저주파 대역에서의 제1 안테나 루프와 제2 안테나 루프의 임피던스 효과 C 및 L이 f1에서 개방 회로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저주파 브랜치(107)에 대한 폐쇄형 프레임의 임피던스 영향이 제거되어, 저주파 브랜치(107)의 케이블링(cabling)의 디자인을 통해 양호한 저주파 공진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적인 경우는 폐쇄형 프레임의 부존재에 상응한다. 저주파 브랜치(107)의 케이블링의 말단에서의 전기 강도는 일반적으로 최고이며, 인체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전기 강도가 최고인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되지 않은 영역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무선 주파수 피더 상에 패치된 저주파 브랜치는 단지 일례일 뿐이고, 저주파 브랜치의 길이, 구조, 및 수량은 제한이 없으며, 안테나의 전기적 성능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금속 스텁이 무선 주파수 피더 상에 배치된다. 또, 금속 스텁은 또한 조정 가능한 금속 스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스텁은 조정 스위치 또는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는 금속 스텁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제공된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밀폐된 환경이 안테나 복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무선 주파수 피더의 급전부의 위치가 사용된다. 한편, 피더 상에 배치된 금속 스텁을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복사가 최대로 강한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이 되지 않는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의해 야기되는 안테나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또, 안테나 장치가 폐쇄형 프레임과 금속 스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형식을 확장하기 쉽고, 이는 안테나 광대역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성능 요건에 적응될 수 있다.
금속 스텁은 전술한 실시예 2에서 제공되는 안테나의 무선 주파수 피더 상에 배치된다.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3에 제공된 안테나 장치에서는, 금속 스텁(108)이 폐쇄형 프레임(101) 상에 배치된다. LC 직렬 회로의 종합적인 효과에 따르면, LC 직렬 회로의 LC 공진 주파수 f1(
Figure pct00003
)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회로 상태가 나타난다. 따라서, 저주파 대역에서의 제1 안테나 루프와 제2 안테나 루프의 임피던스 효과 C 및 L이 f1에서 개방 회로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저주파 브랜치(108)에 대한 폐쇄형 프레임의 임피던스 영향이 제거되어, 저주파 브랜치(108)의 케이블링의 디자인을 통해 양호한 저주파 공진이 구현될 수 있다. 저주파 브랜치(108)의 케이블링의 말단에서의 전기 강도는 일반적으로 최고이며, 전기 강도가 최고인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되지 않은 영역으로 조정하여, 인체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전술한 저주파 브랜치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저주파 브랜치의 길이, 구조, 및 수량은 제한이 없고, 안테나의 전기적 성능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 금속 스텁은 또한 조정 가능한 금속 스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는 금속 스텁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제공된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밀폐된 환경이 안테나 복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피더의 급전부의 위치가 사용된다. 한편, 피더 상에 배치된 금속 스텁을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복사가 최대로 강한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이 되지 않는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의해 야기되는 안테나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또, 안테나 장치가 폐쇄형 프레임과 금속 스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형식이 확장에 용이하고, 이는 안테나 광대역에 대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성능 요건에 적응될 수 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참조하면,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공되는 안테나 장치에서는, 금속 스텁(107)은 무선 주파수 피더 상에 배치되고 금속 스텁(108)은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LC 병렬 회로와 LC 직렬 회로의 종합적인 효과에 따르면, LC 병렬 회로와 LC 직렬 회로의 LC 공진 주파수 f1(
Figure pct00004
)에서, 개방 회로 상태가 나타난다. 따라서, 저주파 대역에서의 제1 안테나 루프와 제2 안테나 루프의 임피던스 효과 C 및 L이 f1에서 개방 회로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저주파 브랜치(107, 108)에 대한 폐쇄형 프레임의 임피던스 영향이 제거되어, 저주파 브랜치(107, 108)의 케이블링의 디자인을 통해 양호한 저주파 공진이 구현될 수 있다. 저주파 브랜치(107, 108)의 케이블링의 말단에서의 전기 강도는 일반적으로 최고이며, 전기 강도가 최고인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되지 않은 영역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피더 또는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 전술한 저주파 브랜치는 단지 일례일 뿐이며, 저주파 브랜치의 길이, 구조, 및 수량은 제한이 없고, 이는 안테나의 전기적 성능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 금속 스텁은 조정 가능한 금속 스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스텁은 조정 스위치 또는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는 금속 스텁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제공된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밀폐된 환경이 안테나 복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피더의 급전부의 위치가 사용된다. 한편,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 금속 스텁을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복사가 최대로 강한 위치를, 무선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쥘 때 거의 접촉이 되지 않는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옮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의해 야기되는 안테나 성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다. 또, 안테나 장치가 폐쇄형 프레임과 금속 스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형식이 확장에 용이하고, 이는 안테나 광대역에 대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성능 요건에 적응될 수 있다.
각각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폐쇄형 프레임에 급전부 및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급전부 및 접지부는 도전성 섬유 및 도전성 폼(foam) 등의 각종 도전성 재료, 스프링 및 용접 조인트(welding joint) 등의 도전성 구조부(conductive structural part), 분포 파라미터 또는 집중 파라미터)를 갖는 각종 인덕턴스/커패시턴스 소자, 또는 분포 파라미터를 갖는 트랜지션 디자인일 수 있다.
각각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급전부는 정합 회로를 포함하고, 정합 회로는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는 각각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공된 무선 통신 단말기는 각각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금속 외관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폐쇄형 프레임에 슬릿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이는 효과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구조 디자인을 단순화한다. 또,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가 폐쇄형 프레임과 금속 스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테나의 형식이 확장에 용이하고, 이는 안테나 광대역에 대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성능 요건에 적응될 수 있다. 명백히,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항들 및 그 등가의 기술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 안에 들면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끝으로, 유의할 것은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여전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방안에 수정을 가하거나 그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등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101: 폐쇄형 프레임
102: 급전부
103: 무선 주파수 피더
104: 접지부
107: 무선 주파수 피더 상에 배치된 급속 스텁
108: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된 금속 스텁

Claims (12)

  1. 급전부(feeding part);
    접지부; 및
    무선 단말기의 본체를 둘러싼 폐쇄형 프레임(closed frame)
    을 포함하고,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접지부는 상기 폐쇄형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폐쇄형 프레임, 상기 급전부, 및 상기 접지부는 제1 전류 루프 및 제2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전류 루프와 상기 제2 전류 루프 사이에 공진이 일어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루프의 임피던스 효과는 인덕턴스 L이고, 상기 제2 전류 류프의 임피던스 효과는 커패시턴스 C이며, 상기 제1 전류 루프와 상기 제2 전류 루프 사이에 일어나는 공진의 주파수는
    Figure pct00005
    인, 안테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루프의 길이는 파장의 1/4보다 작고, 상기 제2 전류 루프의 길이는 파장의 1/4보다 크지만 파장의 1/2보다 작은, 안테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metal stub)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상기 폐쇄형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피더(feeder) 상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 스텁은 조정 스위치 또는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임피던스는 상기 조정 스위치 또는 상기 조정 가능한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텁과 상기 폐쇄형 프레임은 스프링 또는 포고 핀(Pogo-Pin)을 사용하여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정합 회로(matching circuit)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회로는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접지부는, 도전성 재료, 도전성 기구부(conductive mechanical part), 분포 파라미터(distributed parameter), 집중 파라미터(lumped parameter)를 갖는 인덕턴스/커패시턴스 소자, 및 분포 파라미터를 갖는 트랜지션 디자인(transition design) 중 하나인, 안테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태블릿인, 무선 통신 단말기.
KR1020167020655A 2014-06-30 2014-06-30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KR201601025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1224 WO2016000155A1 (zh) 2014-06-30 2014-06-30 无缝封闭框体天线及无线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563A true KR20160102563A (ko) 2016-08-30

Family

ID=5501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655A KR20160102563A (ko) 2014-06-30 2014-06-30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79427B2 (ko)
EP (1) EP3079201A4 (ko)
KR (1) KR20160102563A (ko)
CN (1) CN106463829A (ko)
WO (1) WO2016000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1445A (en) * 2017-02-20 2018-10-17 Smart Antenna Tech Limited Triple wideband hybrid LTE slot antenna
CN106848578A (zh) * 2017-02-24 2017-06-13 上海与德信息技术有限公司 无断点金属边框天线
WO2018171057A1 (zh) * 2017-03-20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及移动终端
CN107453055B (zh) * 2017-05-02 2021-02-26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天线以及移动终端
WO2019068331A1 (en) 2017-10-05 2019-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3078449B (zh) * 2020-01-06 2023-03-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7706B2 (en) * 1998-06-17 2002-06-18 Peter J. Vernon Planar antenna device
NZ519721A (en) * 2001-06-25 2003-11-28 Peter Joseph Vernon Rectangular shaped planar antenna comprising square and partial square elements defined with a bifurcated central connection
US6606071B2 (en) * 2001-12-18 2003-08-12 Wistron Neweb Corporation Multifrequency antenna with a slot-type conductor and a strip-shaped conductor
JP3805772B2 (ja) * 2004-01-13 2006-08-09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通信装置
TW200746546A (en) 2006-06-09 2007-12-16 Advanced Connectek Inc Multi-frequency antenna with dual loops
US7551142B1 (en) * 2007-12-13 2009-06-23 Apple Inc. Hybrid antennas with directly fed antenna slot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TWI505548B (zh) * 2011-09-06 2015-10-21 Quanta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034291B (zh) * 2011-10-09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
KR101905769B1 (ko) * 2012-06-29 2018-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337687A (zh) * 2013-06-05 2013-10-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天线装置
CN103606736B (zh) * 2013-09-18 2016-06-08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全金属边框的新型lte天线
CN203589193U (zh) * 2013-11-14 2014-05-07 深圳市威尔创通讯科技有限公司 基于手机金属边框的宽频多带耦合天线结构
CN103811864B (zh) * 2014-01-25 2016-08-17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边框双频耦合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201A1 (en) 2016-10-12
WO2016000155A1 (zh) 2016-01-07
CN106463829A (zh) 2017-02-22
US10079427B2 (en) 2018-09-18
US20170005394A1 (en) 2017-01-05
EP3079201A4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563A (ko) 슬릿 없는 폐쇄형 프레임을 갖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 기기
US10483624B2 (en) 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CN105720382B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US10290922B2 (en) Electronic device
US10347969B2 (en) Mobile terminal with an antenna having multiple radiators
CN105811076B (zh) 一种基于金属背盖的高隔离度手机天线结构
CN205452542U (zh) 可调谐的天线结构
TW201526391A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的無線通訊裝置
TW200742171A (en) Small-sized wide 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TW201517389A (zh)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的無線通訊裝置
US9537217B2 (en) Broadband capacitively-loaded tunable antenna
US10177450B2 (en) Electronic device
JP2016082559A (ja) アンテナ構造体及び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装置
US20160156097A1 (en) Antenna device
CN105633552A (zh) 组合天线系统及移动终端
CN204668473U (zh) 一种多频段终端天线和电子设备
US9947997B2 (en) Electronic device
EP3709441A1 (en) Multi-frequency antenna and mobile terminal
JP6310097B2 (ja) 無線機
CN103928753A (zh) 一种手机及其天线
CN109863642A (zh) 多谐振天线结构
CN107078387A (zh) 一种多频天线及终端设备
CN106663878B (zh) 天线装置和终端
CN203774453U (zh) 一种手机及其天线
JP2014146851A (ja) アンテナ装置及び該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