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109A -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109A
KR20160102109A KR1020157031191A KR20157031191A KR20160102109A KR 20160102109 A KR20160102109 A KR 20160102109A KR 1020157031191 A KR1020157031191 A KR 1020157031191A KR 20157031191 A KR20157031191 A KR 20157031191A KR 20160102109 A KR20160102109 A KR 2016010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ype
transmission
pairing connection
smart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957B1 (ko
Inventor
차오 수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0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04W76/023
    • H04W76/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며, 통신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기기{METHODS,APPARATUSE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510035903.8이고, 출원일이 2015년1월23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 인터랙션 및 교류 소통 등 목적으로 평상시 서로 다른 단말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2 개의 단말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서는 일반적으로 2 개의 단말 기기가 동시에 온라인 상태에 있어야 하고, 또한 2 개의 기기에 데이터 전송 기능을 구비하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라인 상태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후, 2 개의 단말 기기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 2 기기와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제 1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연결 확립 모듈과,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모듈과,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과,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확립 모듈은 상기 제 2 기기와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듈은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제 1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연결 확립 모듈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기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기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상기의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상세한 서술은 다만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기기의 블럭도이다.
하기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 범위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해석 및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실시 환경을 간단히 소개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기기와 제 2 기기는 스마트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 텔레비젼 등 스마트 단말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팔찌, 스마트 안경 등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스마트 휴대폰이고,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 팔찌인 경우만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중계 기기인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를 도입함으로써,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모두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편리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각각 동일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만 하면 된다. 상세한 과정은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데이터 전송 방법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201단계: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202단계: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203단계: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한다.
204단계: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제 1 기기가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전에, 당해 방법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든 선택적인 기술안은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며, 여기서 일일히 서술하지 않는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기기에 적용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301단계: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302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송신 대기 데이터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을 수신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송신 대기 데이터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당해 방법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든 선택적인 기술안은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며, 여기서 일일히 서술하지 않는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인터랙션 메인 파트는 제 1 기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및 제 2 기기이며, 제 1 기기가 데이터 송신 기기이고, 제 2 기기가 데이터 수신 기기인 경우를 예로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전송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401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와 각각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 및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여기서, 페어링 연결은 블루투스 연결, 근거리 무선 통신(NFC) 연결 또는 적외선 연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어링 연결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제 1 시점과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제 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작아도 되고, 커도 된다.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가까울 경우(예를 들면,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동일한 실내에 있을 경우),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작다. 예를 들면,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 후, 즉시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멀 경우,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크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스마트 휴대폰과 스마트 텔레비젼 사이에서 이미지를 전송할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스마트 텔레비젼과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 후, 사용자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휴대폰 사이에 즉시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것이 아니라, 즉시 스마트 텔레비젼의 이미지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후의 일정한 시간 내에 사용자가 외출하여 근무하거나 나들이할 경우, 스마트 휴대폰과 스마트 텔레비젼 사이의 거리가 멀며, 이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휴대폰 사이에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스마트 휴대폰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페어링 연결 방식을 채용하는가 하는 것은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과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의 확립 시점의 시간 간격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이에 대하여서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와 각각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 및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할 시, 하기의 두가지 방식을 채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과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서로 다른 것이다.
첫번째 방식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를 데이터 중계 기기로 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또한, 서로 다른 단말 기기가 구비하는 데이터 전송 기능은 다소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단말 기기는 블루투스 기능만을 구비하는 반면, 어떤 단말 기기는 블루투스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 적외선 기능 등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구비하는 기능에 따라, 양자와 서로 다른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을 확립하고, 제 2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두번째 방식: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과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동일한 것이다.
두번째 방식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를 데이터 중계 기기로 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또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가 동일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구비할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와 동일한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 및 제 2 기기 양자와 모두 블루투스 연결을 확립한다.
402단계: 제 1 기기는 제 1 조작을 검출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데이터 송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하며,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작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기기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자신 사이에 소정 형태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가 사전 설정된 횟수만큼 터치)하고, 제 1 기기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소정된 키가 눌리웠다고 검출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조작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 사이에 제 1 조작이 발생할 경우, 제 1 기기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조작을 검출하면,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데이터 수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제 1 조작이 2회 터치 이벤트일 경우, 제 1 기기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사이에 2회의 터치가 발생하면, 제 1 기기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모두 해당 조작을 검출하며, 각각 제 1 데이터 송신 명령과 제 1 데이터 수신 명령을 수신했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제 1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할 시, 단말기 화면에는 통상적으로 대응하는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 인스트럭션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는 사용자가 수행한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대기 데이터는 이미지, 문자 또는 비디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대기 데이터의 유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의 실행 순서는 임의적임에 유의해야 한다. 즉, 제 1 기기는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해도 되고, 우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 1 조작이 검출되면, 결정된 송신 대기 데이터를 직접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기기가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는 경우만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403단계: 제 1 기기는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송신 대기 데이터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 사이에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되었으므로, 사용자가 데이터 송신 화면 상의 데이터 송신 키를 클릭한 것이 검출되면, 제 1 기기는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제 1 기기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 대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이외에,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예를 들면 제 2 기기의 기종 정보 또는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등 제 2 기기 식별자를 송신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어느 기기에 해당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404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한 후,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402단계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이미 제 1 조작을 검출하였으므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데이터 수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하며, 따라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이미 데이터 수신 준비가 되어 있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한 후, 송신 대기 데이터를 자신의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405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면,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하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데이터 조작의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제 2 조작은 제 1 조작과 같을 수도 있고, 제 1 조작과 다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자신 사이에 소정 형태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가 사전 설정된 횟수만큼 터치)하고,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의 소정된 키가 눌리웠다고 검출하면,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2 조작의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 제 2 조작이 발생할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을 검출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제 2 기기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수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조작이 2회 터치 이벤트일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 2회의 터치가 발생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는 모두 해당 이벤트를 검출하며, 각각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과 제 2 데이터 수신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결정한다.
여기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할 시, 그 표시 화면에 통상적으로 대응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 인스트럭션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수행한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 이미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되었으므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하기에 하나의 상세한 예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A)가 스마트 텔레비젼의 하나의 이미지를 좋아한다고 하면, 사용자(A)는 해당 이미지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A)가 타지방에 출장을 갔거나 나들이를 갔을 경우, 사용자(A)가 해당 이미지를 조회하려고 하는데 인터넷 접속 조건이 되지 않는다면, 이 때, 사용자(A)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미지를 스마트 휴대폰에 전송하여 해당 이미지의 조회를 완성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요소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구체적인 단계는 하기와 같다.
제 1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텔레비젼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제 2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텔레비젼 사이에 소정된 횟수의 터치가 발생한다.
제 3 단계: 스마트 텔레비젼은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사용자(A)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자(A)가 전송하려는 이미지를 결정한다.
제 4 단계: 스마트 텔레비젼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해당 이미지를 전송한다.
제 5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데이터 수신 준비를 하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해당 이미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 6 단계: 사용자(A)가 타지방에 출장을 갔거나 나들이를 가서 해당 이미지를 조회하려고 할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휴대폰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한다.
제 7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휴대폰 사이에 소정된 횟수의 터치가 발생한다.
제 8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사용자(A)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사용자(A)가 전송하려는 이미지를 결정한다.
제 9 단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스마트 휴대폰이여야 함)에 해당 이미지를 전송한다.
제 10 단계: 스마트 휴대폰은 터치 이벤트를 검출한 후, 데이터 수신 준비를 하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해당 이미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여, 사용자(A)가 스마트 휴대폰으로 해당 이미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당해 장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되며, 당해 장치는 연결 확립 모듈(501), 데이터 수신 모듈(502), 검출 모듈(503) 및 데이터 송신 모듈(5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확립 모듈(501)은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고, 데이터 수신 모듈(502)은 연결 확립 모듈(501)에 연결되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검출 모듈(503)은 데이터 수신 모듈(502)에 연결되며,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데이터 송신 모듈(504)은 검출 모듈(503)에 연결되고,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모듈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고, 제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제 1 기기가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확립 모듈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된다.
검출 모듈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데이터 송신 모듈은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당해 장치는 제 1 기기에 적용되며, 당해 장치는 연결 확립 모듈(601) 및 데이터 송신 모듈(6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 확립 모듈(601)은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고, 데이터 송신 모듈(602)은 연결 확립 모듈(601)에 연결되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송신 대기 데이터를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당해 장치는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데이터 송신 명령이 검출되면,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관하여, 그 각 모듈이 동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되는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히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용 기기(800)의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기기(800)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기(800)는 프로세스 유닛(802), 메모리(804), 전원 유닛(806), 멀티미디어 유닛(808), 오디오 유닛(8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812),센서 유닛(814) 및 통신 유닛(8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802)는 통상적으로 기기(8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8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유닛(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유닛(802)와 기타 유닛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유닛(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유닛(808)과 프로세스 유닛(8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8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기기(8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런 데이터의 예로서 기기(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처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유닛(806)는 기기(8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유닛(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기기(8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808)은 상기 기기(8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유닛(808)은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기기(8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8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유닛(8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기기(8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유닛(8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유닛(8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스 유닛(8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814)는 기기(8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유닛(814)는 기기(8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키패드와 같은 기기(800)의 유닛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814)은 기기(800) 혹은 기기(800)의 일 유닛의 위치변경,사용자와 기기(800) 사이의 접촉여부, 기기(8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기기(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814)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814)은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814)은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816)은 기기(8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기기(8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유닛(816)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816)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8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8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기기(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인스트럭션이 실행될 때,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가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 후,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되면,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서로 다른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인터넷 접속 등 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보편성이 높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2)

  1.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a smart wearable device)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제 2 기기와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연결 확립 모듈과,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모듈과,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과,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1 기기 사이의 제 1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1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1 조작을 검출한 후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는 상기 제 1 기기가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확립 모듈은 상기 제 2 기기와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하여 또한 사용되고,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의 제 2 소정 형태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 2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듈은 제 2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 1 기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연결 확립 모듈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제 1 데이터 송신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제 1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대기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 2 기기와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이 확립된 후,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기기.
  12.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 1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조작이 검출된 후,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을 통하여, 상기 송신 대기 데이터를 상기 제 2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페어링 연결은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에 확립된 연결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기기.
KR1020157031191A 2015-01-23 2015-09-01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04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35903.8 2015-01-23
CN201510035903.8A CN104640059A (zh) 2015-01-23 2015-01-23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PCT/CN2015/088700 WO2016115905A1 (zh) 2015-01-23 2015-09-01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109A true KR20160102109A (ko) 2016-08-29
KR101704957B1 KR101704957B1 (ko) 2017-02-08

Family

ID=5321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91A KR101704957B1 (ko) 2015-01-23 2015-09-01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219424A1 (ko)
EP (1) EP3048508A1 (ko)
JP (1) JP2017513416A (ko)
KR (1) KR101704957B1 (ko)
CN (1) CN104640059A (ko)
BR (1) BR112015028038A2 (ko)
MX (1) MX353437B (ko)
RU (1) RU2643462C2 (ko)
WO (1) WO20161159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28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0059A (zh) * 2015-01-23 2015-05-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CN105069875B (zh) * 2015-07-28 2017-07-21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钥匙、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网/配对方法
US11099896B2 (en) 2016-09-22 2021-08-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Functio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1671250B2 (en) * 2017-06-04 2023-06-06 Apple Inc. Migration for wearable to new companion device
CN107741817A (zh) * 2017-09-2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处理方法及处理装置
CN113419865A (zh) * 2021-07-21 2021-09-2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云资源处理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281A (ja) * 2010-03-09 2011-09-22 Sharp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KR101095412B1 (ko) * 2010-08-31 2011-12-16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이종 프로파일 지원 블루투스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9597A (ko) * 2011-05-20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의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서비스 실행 디바이스
WO2013180860A1 (en) * 2012-05-26 2013-12-05 Qualcomm Incorporated Smart pairing using bluetooth®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3431B2 (ja) * 2000-09-29 2006-08-23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
EP1597895A2 (en) * 2003-02-19 2005-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ad hoc sharing of content items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interaction methods therefor
RU2409896C2 (ru) * 2005-11-24 2011-01-2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модуль,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ивающие согласованную работу подсистемы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под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5589810B2 (ja) * 2010-12-06 2014-09-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
SG185833A1 (en) * 2011-05-10 2012-12-28 Smart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broadcast program content
KR101797627B1 (ko) * 2011-08-10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8671B1 (ko) * 2012-02-06 201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JP5821726B2 (ja) * 2012-03-19 2015-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イベント報知装置、及び、イベント報知システム
RU2598646C2 (ru) * 2012-05-11 2016-09-27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Определение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й близости оборудо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US20140045547A1 (en) * 2012-08-10 2014-02-13 Silverplus, Inc.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Interface
CN202931319U (zh) * 2012-11-22 2013-05-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数据中转设备及近场通信系统
KR20140111486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사용자를 위한 기기들의 협력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마스터 기기, 슬레이브 기기 및 그 방법들
WO2014143814A1 (en) *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Facilitating a secure session between paired devices
US9720443B2 (en) * 2013-03-15 2017-08-0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20140266624A1 (en) * 2013-03-15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JP6054238B2 (ja) * 2013-04-26 2016-12-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2124178B1 (ko) * 2013-06-17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JP5896964B2 (ja) * 2013-09-02 2016-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KR102157313B1 (ko) * 2013-09-03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813475B (zh) * 2014-02-20 2019-09-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数据获取方法及电子设备
KR102016644B1 (ko) * 2014-02-23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리소스 운용 방법
RU145513U1 (ru) * 2014-04-25 2014-09-20 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Елин Коммуникатор с изменяем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WO2015186981A1 (en) * 2014-06-05 2015-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main unit of wearable device, fixing unit of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wearable device
CN104052528B (zh) * 2014-06-10 2016-08-31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智能穿戴设备中与多个终端进行通信的装置和方法
CN104038263B (zh) * 2014-06-18 2017-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建立蓝牙连接的方法和装置
KR102287160B1 (ko) * 2014-07-31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2998822B1 (en) * 2014-07-31 2018-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in parallel
KR102262826B1 (ko) * 2014-08-07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9578156B2 (en) * 2014-09-30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257474B1 (ko) * 2014-11-04 2021-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4640059A (zh) * 2015-01-23 2015-05-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281A (ja) * 2010-03-09 2011-09-22 Sharp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KR101095412B1 (ko) * 2010-08-31 2011-12-16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이종 프로파일 지원 블루투스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중계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9597A (ko) * 2011-05-20 201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내에서의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서비스 실행 디바이스
WO2013180860A1 (en) * 2012-05-26 2013-12-05 Qualcomm Incorporated Smart pairing using bluetooth® technolog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28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52501A (ru) 2017-06-14
JP2017513416A (ja) 2017-05-25
MX2015014961A (es) 2016-10-28
KR101704957B1 (ko) 2017-02-08
CN104640059A (zh) 2015-05-20
RU2643462C2 (ru) 2018-02-01
EP3048508A1 (en) 2016-07-27
BR112015028038A2 (pt) 2017-09-12
MX353437B (es) 2018-01-12
WO2016115905A1 (zh) 2016-07-28
US20160219424A1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957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228676B2 (ja) 接続状態プロンプ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WO2017113842A1 (zh) 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JP6317047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59158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検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800666B2 (en) Method and clien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WO2016192323A1 (zh) 视频通信方法及装置
EP307674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KR101748386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7539101A (ja) 画像取得方法および装置
US10572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tate
EP31478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4038536A (zh) 插件通信方法和装置
JP2017514428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100074A (zh) 数据操作处理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5704655A (zh) 终端之间的媒体数据共享方法及装置
US2018013979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nnection
EP3565374A1 (en) Reg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160024836A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896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display interface, and storage medium
WO2017024739A1 (zh)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JP2018503149A (ja) 情報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486390A (zh) 数据共享的方法及装置
US20240056921A1 (en)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smart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423737B2 (ja) 情報同期方法及び装置、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