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443A -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 Google Patents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443A
KR20160100443A KR1020150022807A KR20150022807A KR20160100443A KR 20160100443 A KR20160100443 A KR 20160100443A KR 1020150022807 A KR1020150022807 A KR 1020150022807A KR 20150022807 A KR20150022807 A KR 20150022807A KR 20160100443 A KR20160100443 A KR 2016010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n
thresher
soybean
thre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규
한정혜
김경재
Original Assignee
박형규
김경재
한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규, 김경재, 한정혜 filed Critical 박형규
Priority to KR102015002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443A/ko
Publication of KR2016010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작업 또는 복토작업용 농사관리기에 부착하여 콩 타작을 할 수 있는 콩 타작기에 관한 것으로, 축(2)에 탈착되는 6각의 콩 타작기축(11)과 상기 콩 타작기축(11)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12)와 축(2)에 콩 타작기축(11)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고정홈(14) 및 상기 고리에 장착되어 도리깨질을 하는 체인(13)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Soybean Threshing Tool Attaching For Farm Machine}
본 발명은 콩 타작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리깨와 같은 타작도구를 농작물 관리기에 부착하여 콩을 탈곡할 수 있도록 한 콩 타작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 농촌도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농촌인구가 급속도로 줄어들면서 농업도 기계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트랙터, 콤바인 등 농기계가 보급되고 있지만 가격이 고가이므로 보급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농사관리기는 소형이고 가격도 저렴하며 또 조작이 용이하므로 각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농사관리기라 함은 경운로터리, 구굴기, 복토기 등 모든 전작(밭농사)에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작업기를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 농기계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므로 비닐하우스 안이나 과수원 등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며 노약자나 부녀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밭농사 전용기대를 말하며 아세아종합기계 (주)에서 개발한 이래 많은 농가에 보급되어 거의 모든 농가에서 적어도 1대씩은 보유하고 있다.
한편, 거의 모든 농가마다 기본적으로 콩 농사를 짓고 있다. 따라서 콩을 수확하면 콩 줄기를 잘라서 한곳으로 모아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타작을 하여 콩깍지 속의 콩알을 이탈시키고, 이탈된 콩알과 콩깍지 및 무거리(콩대)를 분리하게 된다.
과거에는 콩을 잘 건조시킨 뒤 도리깨를 사용하여 타작을 하였고 아직도 많은 농가에서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나 점차 농업분야에서도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콩을 기계로 타작하는 농가가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라 농사관리기와 함께 콩 탈곡기가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탈곡기란 본체의 타공된 받이판 상부에 탈곡부재가 구비된 회전드럼을 설치하고, 일측에는 농작물 투입부를, 또 다른 일측에는 무거리 배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농작물 투입부에 농작물을 투입함으로써, 상기 회전드럼의 탈곡부재에 농작물이 탈곡되어 받이판의 타공부로 빠지도록 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줄기 등의 무거리는 상기 무거리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계를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탈곡기는 편리하기는 하지만 매우 고가이므로 농가에서 탈곡기를 구입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고있다.
따라서 기존의 농사관리기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콩 타작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농가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농사관리기에 콩 타작기를 부착하여 콩 타작을 할 수 있는 콩 타작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로터리 작업 또는 복토 작업에 사용하던 농사관리기의 로터리 작업용 칼날 또는 복토작업용 칼날을 떼어낸 후 그 자리에 콩 타작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가의 콩 탈곡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의 농사관리기에 본 발명의 콩 타작기만 부착하면 손쉽게 콩 타작을 할 수 있다. 또 콩 타작기가 훼손되면 다시 콩 타작기만 구입하여 교체하면 얼마든지 콩 타작을 할 수 있다.
도 1은 로터리를 작업기에서 분리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콩 타작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콩 타작기를 농사관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로터리작업 또는 복토작업 등에 사용하는 농사관리기에 본 발명의 콩 타작기를 부착하여 콩 타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콩 타작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 타작기(10)는 축(2)에 탈착되는 6각의 콩 타작기축(11)과 상기 콩 타작기축(11)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12)와 축(2)에 콩 타작기축(11)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고정홈(14) 및 상기 고리(12)에 장착되어 도리깨질을 하는 체인(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콩 타작기축(11)을 6각으로 한 이유는 6각만이 최소한의 재료로 이룰 수 있는 가장 튼튼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수학적으로는 둘레가 일정할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은 원이다. 또 원은 외부압력에 가장 강하다. 그러나 회전되는 내축과 외축을 모두 원형으로 하였을 때에는 내축과 외축을 견고하게 결합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내축과 외축이 회전할 때 엇갈려 회전할 우려가 있다. 또 3,4,5각형도 있지만 정3각형은 축으로는 적당하지 않고 정4각형은 정6각형에 비해 구조가 튼튼하지 못하다. 따라서 정5각형 또는 정6각형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벌집을 본 따 6각형으로 한 것이다. 또 이와 같이 내축과 외축을 모두 6각으로 하면 내축과 외축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때에도 서로 엇갈리지 않고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한편, 콩 타작기축(11)의 상부에는 2개 이상의 고리(12)가 부착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1개 이상의 고리(1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고리(12)에는 체인(13)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부와 하부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부에 1개 이상의 고리(12)를 부착하고 하부에 2개 이상의 고리(12)를 부착하고 체인(13)을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체인(13)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마치 도리깨와 같은 일을 한다. 따라서 체인(13)은 금속으로 된 사슬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강력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 그 끝 부분만 무거운 자재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터리작업용 농사관리기의 로터리(1)의 축(2)에서 로터리칼날(3)을 분리한다.
이어 상기 축(2)에 본 발명의 콩 타작기(10)를 끼우고 볼트고정홈(14)에 볼트를 끼워 조임으로써 축(2)과 콩 타작기축(11)을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축(2)과 콩 타작기축(11)이 함께 회전하더라도 엇갈리지 않게 되어 콩 타작기축(11)은 충분한 힘을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이어 충분히 말린 콩을 마당에 펼쳐놓고 콩 타작기(10)가 부착된 농사관리기로 왔다 갔다 하면서 축(2)을 회전시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콩 타작기축(1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인(13)이 휘둘러지면서 마치 도리깨질을 하는 것처럼 콩을 타작하게 된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면서도 전통적인 도리깨질을 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콩을 타작할 수 있다.
이어 콩 타작이 끝나면 축(2)으로부터 콩 타작기(10)를 떼어낸 후 다시 로터리칼날(3)을 축(2)에 끼우면 본래의 로터리기로 돌아가게 된다.
1-로터리기 2-축
3 -로터리 칼날
10-콩타작기 11-콩타작기축
12-고리 13-체인
14 -볼트고정홈

Claims (3)

  1. 트랙터 축에 탈착되는 콩 타작기축; 과 상기 콩 타작기축의 상부에 2개 이상, 하부에 1개 이상 설치된 복수개의 고리; 및 상기 고리에 장착되어 도리깨질을 하는 체인;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타작기축은 6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타작기축에는 축에 콩 타작기축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고정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KR1020150022807A 2015-02-14 2015-02-14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KR20160100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807A KR20160100443A (ko) 2015-02-14 2015-02-14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807A KR20160100443A (ko) 2015-02-14 2015-02-14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443A true KR20160100443A (ko) 2016-08-24

Family

ID=5688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807A KR20160100443A (ko) 2015-02-14 2015-02-14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7191A (zh) * 2022-03-15 2022-05-31 殷登科 一种用于农业种植的大豆收割装置
KR20240011899A (ko) 2022-07-19 2024-01-29 손해수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7191A (zh) * 2022-03-15 2022-05-31 殷登科 一种用于农业种植的大豆收割装置
CN114557191B (zh) * 2022-03-15 2023-08-04 殷登科 一种用于农业种植的大豆收割装置
KR20240011899A (ko) 2022-07-19 2024-01-29 손해수 낟알 털기용 자동 타작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4569A1 (en) A radial finger tillage disc applied to chain
KR102090900B1 (ko) 식물 제초 장치
KR20160100443A (ko) 농기기 탈착용 콩 타작기
KR101007657B1 (ko) 농사관리기 부착용 콩 타작기
KR101258332B1 (ko)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KR101129423B1 (ko) 작물 줄기 제거장치
CN106211828A (zh) 多功能播种机
KR101933432B1 (ko) 수동식 이중 비닐피복장치
Nayak et al. Status of farm mechanization in Durg district of Chhattisgarh.
Buttar et al. Efficacy of different herbicides in chickpea (Cicer arietinum L.) under irrigated conditions of Punjab
WO2003081980A1 (en) A soil tillage device
CA2885452A1 (en) Residue cutter for agricultural machine
JP2010239895A (ja) 水田の除草方法
Simard et al. Can weeds overtopping soybean or adzuki bean be mechanically pulled to reduce their seed input?
CN203884327U (zh) 一种农作物覆膜机
Singh et al. Weed management in pulses under mechanized farming
RU2483506C1 (ru) Ротационный рыхлитель-полольщик
RU2745442C1 (ru) Вилы универсальные
RU2741959C1 (ru)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теплолюбивых культур в севообороте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земледелия
RU188153U1 (ru) Ручно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RU2006119756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инарного посева подсолнечника с многолетними травами
JP3155717U (ja) 刈り取り機草取り作溝づくり円筒片具。
RU2251846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карантинными сорняками на примере с паразитом повиликой
RU2165686C2 (ru) Агрегат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картофеля, цветов и рассады овощных культур,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механизации трудоемких процессов на малых и защищенных участках
KR20150002891U (ko) 파종홈 성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