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092A -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092A
KR20160100092A KR1020150022618A KR20150022618A KR20160100092A KR 20160100092 A KR20160100092 A KR 20160100092A KR 1020150022618 A KR1020150022618 A KR 1020150022618A KR 20150022618 A KR20150022618 A KR 20150022618A KR 20160100092 A KR20160100092 A KR 2016010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nth
information
contents
audi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403B1 (ko
Inventor
나일주
김형근
Original Assignee
나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일주 filed Critical 나일주
Priority to KR102015002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4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습 방법은,학습 시스템에 의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어느 한 학습 컨텐츠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는 단계와,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 중 하나 이상의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이 완료된 학습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습 방법{METHOD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러닝(e-learning) 산업은 급속히 팽창하고 있으며, 이외 함께 제작 기술의 발전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동영상 강의 제작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Microsoft 사의 WMV(Window Media Video) 형식에서 최근에는 다른 동영상 파일에 비해 용량은 작지만 화질이 매우 우수한 포맷인 FLV(Flash video)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동영상 강의는 그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제작 측면에서 또는 동영상 강의를 다운받아 재생하는 학습자 측면에서 동영상 강의를 저장할 수 있는 대 용량의 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8751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여 적은 용량의 학습내용으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방법은, 학습 시스템에 의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상기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어느 한 학습 컨텐츠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 중 하나 이상의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이 완료된 상기 학습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세 보기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요약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요약 정보,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을 축소한 제1 내지 제N 썸네일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상기 학습이 완료된 상기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상기 학습 상세 정보를 체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상세 정보에 학습 완료 체크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상기 학습 완료된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완료된 학습 상세 정보에 대하여 학습 완료 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포함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설정 아이콘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메뉴로부터 상기 반복 실행 횟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상기 반복 실행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르면,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여 적은 용량의 학습내용으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정보 관련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시스템(100)은 제공부(110), 제어부(1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부(110)는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이미지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동영상에 포함되는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는, 단순 학습자료 이미지 예를 들어, PPT, PDF, DOC, DOCX, TXT, XLS, PSD 등과 같은 프리젠테이션에 이용하는 시각적 자료 이미지 및/또는 상기 시각적 자료를 포함하여 상기 시각적 자료를 강의하는 강의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동영상에 포함되는 오디오 정보는 학습자료를 음성으로 설명하는 정보로서, MP3, MP4, WMA, WA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시스템(100)는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사전에 촬영하고, 학습 동영상을 예를 들어, 10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10개의 학습자료 프레임 및 10개의 오디오 정보를 추출하고, 10개 학습자료 프레임으로부터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 전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학습 동영상을 소정 구간으로 복수개 분할하고, 각 분할 구간을 대표하는 학습자료 프레임 및 오디오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적은 용량의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어느 한 학습 컨텐츠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동영상이 10개의 구간 즉, 제1 내지 제10 구간으로 분할된 경우, 제어부(120)는 제공부(110)로부터 제1 내지 제10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10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10 구간에 대한 제1 내지 제10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이미지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학습자료 프레임, 제1 오디오 정보 및 제1 텍스트 정보를 제1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슬라이드를 생성하고 , 제2 학습자료 프레임, 제2 오디오 정보 및 제2 텍스트 정보를 제2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2 슬라이드를 생성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10 학습자료 프레임, 제10 오디오 정보 및 제1 텍스트 정보를 제10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0 슬라이드까지 생성을 완료한 후 제1 슬라이드 내지 제10 슬라이드를 오디오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재생하는 슬라이드 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정보를 기준으로 재생하는 슬라이드 쇼라 함은, 제1 슬라이드는 제1 오디오 정보가 시작되어 종료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되고, 제2 슬라이드는 제2 오디오 정보가 시작되어 종료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제10 슬라이드는 제10 오디오 정보가 시작되어 종료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내지 제10 슬라이드 쇼의 1회 재생 완료 시점은, 제1 오디오 정보 내지 제10 오디오 정보가 재생을 시작하여 종료하는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학습 완료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의 학습내용 디스플레이 영역에 학습 완료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1 학습내용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제1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 학습내용이 학습 완료되었음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디스플레이하는 제1 내지 제10 학습내용으로부터 사용자는 학습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학습내용에 대해서만 학습 완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10 학습내용 중 학습 완료가 선택된 학습내용 및 학습 완료가 선택되지 않은 학습내용이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학습내용이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다음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이라 함은, 해당하는 학습내용에 포함된 학습자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오디오 정보가 출력되고 및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 제스처라 함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실행되는 패닝 또는 스크롤 또는 플리킹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5 페이지로 구성된 학습내용 중 현재 9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제1 방향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현재 9 페이지의 학습내용 재생을 중지하고 10 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학습내용이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2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이전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 제스처라 함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실행되는 패닝 또는 스크롤 또는 플리킹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5 페이지로 구성된 학습내용 중 현재 9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제2 방향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현재 9 페이지의 학습내용 재생을 중지하고 8 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학습내용이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3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최초 페이지의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방향 제스처라 함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실행되는 패닝 또는 스크롤 또는 플리킹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5 페이지로 구성된 학습내용 중 현재 9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제3 방향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현재 9 페이지의 학습내용 재생을 중지하고 1 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학습내용이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4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마지막 페이지의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방향 제스처라 함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실행되는 패닝 또는 스크롤 또는 플리킹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5 페이지로 구성된 학습내용 중 현재 9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제4 방향 제스처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현재 9 페이지의 학습내용 재생을 중지하고 15 페이지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할 수 있으나, 제1 내지 제4 제스처 중 어느 한 제스처가 수신되면, 자동 재생을 중지하고 수신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학습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의 학습내용 디스플레이 영역에 텍스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조정 메뉴 및 제2 조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텍스트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정 메뉴는 학습자료 프레임에 대한 주제어의 크기를 조정하는 메뉴로서, 주제어의 크기를 현재 크기보다 더 확대할 수 있는 제1-1 조정 메뉴 및 주제어의 크기를 현재 크기보다 더 축소할 수 있는 제1-2 조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1 조정 메뉴 또는 제1-2 조정 메뉴가 선택 수신될 때마다 주제어의 크기를 더 확대하거나 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정 메뉴는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의 크기를 조정하는 메뉴로서, 요약 설명의 크기를 현재 크기보다 더 확대할 수 있는 제2-1 조정 메뉴 및 요약 설명의 크기를 현재 크기보다 더 축소할 수 있는 제2-2 조정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1 조정 메뉴 또는 제2-2 조정 메뉴가 선택 수신될 때마다 요약 설명의 크기를 더 확대하거나 더 축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의 학습내용 디스플레이 영역에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라 함은,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의 반복 재생 횟수와 동일할 수 있다.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가 설정되면, 설정된 횟수만큼 학습내용이 반복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 아이콘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설정 메뉴로부터 학습내용의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메인화면상에서 상세 보기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재생이 완료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요약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요약 정보,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을 축소한 제1 내지 제N 썸네일 이미지 정보 및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학습 상세 정보는 텍스트 요약 정보, 썸네일 이미지 정보, 오디오 아이콘을 한 단위로 하여 학습내용의 개수만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10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0 학습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10 학습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 시에, 저장부(130)에 저장된 학습이 완료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학습 상세 정보를 체크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 제1 학습내용 및 제2 학습내용에 대하여 학습이 완료되었다고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10 학습 상세 정보 디스플레이 시에, 제1 학습내용 및 제2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제1 학습 상세 정보 및 제2 학습 상세 정보를 체크 표시하여 학습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상에서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상세 정보에 학습 완료 체크를 표시하거나,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학습 완료된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완료된 학습 상세 정보에 대하여 학습 완료 체크를 해제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상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요약 정보 중 어느 한 텍스트 요약 정보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텍스트 전체 내용 즉,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팝업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썸네일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한 썸네일 이미지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대한 학습자료 프레임을 팝업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오디오 아이콘 중 어느 한 오디오 아이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오디오 아이콘에 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시스템(1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구별되고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본 실시 예의 학습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학습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학습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T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T1)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습 시스템(1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학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시스템(100)의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학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학습 시스템(100)의 일부(100A)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4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학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제공부(110)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학습 시스템(100)의 제공부(110)가 일부(100B)로서 사용자 단말기(T1)와 네트워크(NW)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학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메인 페이지 화면 예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페이지는 자료 센터 메뉴(511), 파일 찾기 메뉴(512), 학습 상세 정보 보기 메뉴(513), 학습 상태 초기화 메뉴(514), 내 정보 관리 메뉴(515), 사용 안내 메뉴(516), 학습하기 메뉴(517), 복습하기 메뉴(518), 환경 설정 메뉴(519) 및 공지사항 메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센터 메뉴(511)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임의의 학습 컨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파일 찾기 메뉴(512)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T1)에 설치된 학습 컨텐츠를 찾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상세 정보 보기 메뉴(513)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며, 학습자료 프레임,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 완료된 학습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학습 완료된 학습내용을 학습 완료 전 학습내용으로 되돌릴 수 있다. 학습 상태 초기화 메뉴(514)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완료된 학습내용 전부를 학습완료 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내 정보 관리 메뉴(515)는 선택에 의해 학습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 안내 메뉴(516)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사용자가 숙지할 수 있도록 설명해 놓은 자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학습하기 메뉴(517)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다운받은 학습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복습하기 메뉴(518)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된 학습내용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환경 설정 메뉴(519)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공지사항 메뉴(52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정리 알림 등과 같은 공지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료 센터 메뉴(511)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화면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학습 컨텐츠는 학습내용의 수, 학습 완료 수 및 학습 컨텐츠의 타이틀, 학습 컨텐츠를 등록한 날짜, 학습 컨텐츠를 강의한 강의자 이름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원하는 어느 한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고 자료 받기 메뉴(610)가 선택되면, 학습 시스템(100)은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T1)에 저장할 수 있다. 분류 변경 메뉴(620)가 선택되면, 학습 시스템(100)은 학습할 그룹 예를 들어, XX 대학교, 일반, 고등학생, 중학생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이 중 어느 한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그룹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T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 XX 대학교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에 포함되는 어느 한 학습내용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택된 학습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T1)로 저장되고, 학습하기 메뉴(517)가 선택되면, 학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로 제1 내지 제N 학습 내용을 제공하고 슬라이드쇼 형태로 재생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학습 컨텐츠를 제1 내지 제15 학습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15 학습내용을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기(T1)는 제1 영역(710) 내지 제5 영역(7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710)에는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학습자료 이미지는 예를 들어, PPT, PDF, DOC, DOCX, TXT, XLS, PSD 등과 같은 프리젠테이션에 이용하는 시각적 자료로서의 단순 학습자료 이미지(711) 또는 단순 학습자료 이미지를 포함하여 이를 강의하는 강의자 이미지(71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720)에는, 제1 영역(710)에 디스플레이 중인 학습 자료에 대한 주제어(721)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722)을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주제어(721) 및 요약 설명(722)은 제1 영역(710)의 학습 자료의 디스플레이가 전환될 때마다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제3 영역(730)에는 주제어(721)의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제1-1 조정 메뉴(731) 및 제1-2 조정 메뉴(732)를 포함하는 제1 조정 메뉴와, 요약 설명(722)의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제2-1 조정 메뉴(733) 및 제2-2 조정 메뉴(734)를 포함하는 제2 조정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제1-1 조정 메뉴(731), 제1-2 조정 메뉴(732), 제2-1 조정 메뉴(733) 및 제2-2 조정 메뉴(734)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 시스템(100)은 주제어(721) 및 요약 설명(722)의 텍스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4 영역(740)에는 자동진행 메뉴(741), 소리켜짐 메뉴(742) 및 설정 아이콘(74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자동진행 메뉴(741)가 선택된 경우 제1 영역(7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이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되고, 자동 진행 메뉴(741)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1 내지 제4 제스처 수신에 의해 학습내용의 이동이 가능하다. 소리켜짐 메뉴(742)가 선택된 경우에는 오디오 정보가 재생되고, 소리켜짐 메뉴(742)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디오 정보가 재생되지 않는다. 설정 아이콘(743)가 선택되면 음성 파일의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디폴트로 1회가 설정되어 있다.
제5 영역(750)에는 메인 메뉴(751), 페이지 표시(752),상태 바(bar)(753) 및 학습 완료 메뉴(754)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메인 메뉴(751)가 선택되면 도 5와 같은 메인 페이지 화면으로 이동한다. 페이지 표시(752)는 학습내용의 총 페이지 수 대비 현재 학습 중인 학습내용 페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상태 바(753)는 학습내용의 총 페이지 수 대비 현재 학습 중인 학습내용 페이지를 바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학습 완료 메뉴(754)가 선택되면 현재 학습 중인 학습내용이 학습완료 되었음을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학습내용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는 사용자의 제1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에 다음 학습내용에 포함되는 학습자료 프레임,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사용자의 제2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에 이전 학습내용에 포함되는 학습자료 프레임,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c는 사용자의 제3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에 최초 페이지의 학습내용에 포함되는 학습자료 프레임,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d는 사용자의 제4 방향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영역(710) 및 제2 영역(720)에 마지막 페이지의 학습내용에 포함되는 학습자료 프레임,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주제어 및 요약 설명 텍스트의 크기 조정을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a는 제1-1 조정 메뉴(731) 선택에 의해 제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된 주제어(721) 텍스트의 크기가 확대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는 제1-2 조정 메뉴(732) 선택에 의해 제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된 주제어(721) 텍스트의 크기가 축소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는 제2-1 조정 메뉴(733) 선택에 의해 제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된 요약 설명(722) 텍스트의 크기가 확대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d는 제2-2 조정 메뉴(734) 선택에 의해 제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된 요약 설명(722) 텍스트의 크기가 축소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아이콘 선택에 따라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오디오 정보 반복 횟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는 설정 아이콘(743)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설정 아이콘(743)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오디오 정보의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1010)를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상세 정보 보기 메뉴(513) 선택에 의해 학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로 제공하는 학습 상세 정보 보기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학습 상세 정보 보기 화면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하나의 학습 상세 정보는 하나의 텍스트 요약 정보(1111),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정보(1112) 및 하나의 오디오 아이콘(1113) 및 학습 완료 여부를 체크한 체크 박스(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박스(1114)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학습 완료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상세 정보에 체크 표시하여 학습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체크 박스(1114)는 사용자가 임으로 학습완료를 체크하거나, 학습완료 체크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도 11a에서 어느 한 텍스트 요약 정보(1111)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텍스트 전체 내용 즉, 주제어 및 요약 설명을 팝 업 디스플레이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도 11a에서 어느 한 썸네일 이미지 정보(1112)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를 확대한 학습자료 프레임을 팝 업 디스플레이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도 11a에서 어느 한 오디오 아이콘(1113)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학습 시스템(100)은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한다(S10).
학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어느 한 학습 컨텐츠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한다(S20).
학습 시스템(100)은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 중 하나 이상의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이 완료된 학습내용 정보를 저장한다(S30).
선택적 실시 예로 학습 시스템(100)은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세 보기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요약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요약 정보,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을 축소한 제1 내지 제N 썸네일 이미지 정보 및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학습이 완료된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학습 상세 정보를 체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시스템(100)은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상세 정보에 학습 완료 체크를 표시하거나,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학습 완료된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학습 완료된 학습 상세 정보에 대하여 학습 완료 체크를 해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학습 시스템은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포함되고,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설정 아이콘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학습 시스템(100)은 설정 메뉴로부터 반복 실행 횟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반복 실행 횟수만큼 반복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무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및 유통이 가능한 형태의 매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학습 시스템에 의한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료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학습자료를 강의하는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동영상을 제1 내지 제N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구간을 대표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에 동기화된 상기 제1 내지 제N 구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의 주제어 및 주제어에 대한 요약 설명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 중 어느 한 학습 컨텐츠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하나의 학습자료 프레임, 하나의 오디오 정보 및 하나의 텍스트 정보를 하나의 학습내용으로 구성한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 중 하나 이상의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 완료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학습이 완료된 상기 학습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세 보기 선택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텍스트 정보를 요약한 제1 내지 제N 텍스트 요약 정보,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자료 프레임을 축소한 제1 내지 제N 썸네일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제1 내지 제N 오디오 정보의 존재를 표시하는 제1 내지 제N 오디오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상기 학습이 완료된 상기 학습내용에 해당하는 상기 학습 상세 정보를 체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상세 정보에 학습 완료 체크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 상세 정보 중 상기 학습 완료된 하나 이상의 학습 상세 정보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학습 완료된 학습 상세 정보에 대하여 학습 완료 체크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쇼 형태로 재생 중인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포함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설정 아이콘의 선택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에 대한 반복 실행 횟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메뉴로부터 상기 반복 실행 횟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학습내용을 상기 반복 실행 횟수만큼 반복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22618A 2015-02-13 2015-02-13 학습 방법 KR10172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18A KR101726403B1 (ko) 2015-02-13 2015-02-13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18A KR101726403B1 (ko) 2015-02-13 2015-02-13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92A true KR20160100092A (ko) 2016-08-23
KR101726403B1 KR101726403B1 (ko) 2017-04-13

Family

ID=5687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18A KR101726403B1 (ko) 2015-02-13 2015-02-13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67Y1 (ko) 2017-03-14 2017-08-18 허현 통합형 보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8751A (ko) 2007-01-09 2008-08-28 김기한 Pdf 포맷 문서와 전자칠판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KR20100051246A (ko) * 2008-11-07 2010-05-17 (주) 소리포스 변속재생 속청학습 단말기 및 방법
KR20110020128A (ko) * 2009-08-21 2011-03-02 이두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콘텐츠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8751A (ko) 2007-01-09 2008-08-28 김기한 Pdf 포맷 문서와 전자칠판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KR20100051246A (ko) * 2008-11-07 2010-05-17 (주) 소리포스 변속재생 속청학습 단말기 및 방법
KR20110020128A (ko) * 2009-08-21 2011-03-02 이두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콘텐츠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KR20120126953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과학기술원 강의 동영상과 강의노트 동기화를 통해 동영상 프레임을 슬라이드 주요 제목으로 색인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67Y1 (ko) 2017-03-14 2017-08-18 허현 통합형 보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403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10746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authoring, and presentation techniques
CN104408983A (zh) 基于录播设备的智能教学信息处理装置和方法
KR20130128381A (ko) 링크 기반 멀티미디어를 생성하고 네비게이션하는 방법
CN102646346A (zh) 用于远程授课的移动视频播放系统和移动视频播放方法
KR20090073017A (ko) 동화상 재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17109A1 (en) Navigable web page audio content
Alksne How to produce video lectures to engage students and deliver the maximum amount of information
KR20140057906A (ko) 컨텐츠 학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와,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CN102663907B (zh) 视频授课方法
KR101703321B1 (ko)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50046B1 (ko) 전자 강의 장치
KR101726403B1 (ko) 학습 방법
Notess Screencasting for libraries
JP2013109168A (ja) 電子教科書装置、教室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ald et al. Synote: Collaborative mobile learning for all
KR101726844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lark et al. Captivate and Camtasia
Kassis et al. LIGHTS, CAMERA, ACTION! RECORDING CLASSROOM LECTURES–A SIMPLE AND AFFORDABLE APPROACH
JP2005284490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KR10249559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Ternova Television Journalism: Information Technologies during Distance Education
KR20170015447A (ko)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Spina Video accessibility
US10297165B2 (en)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terminal device
Dockery et al. Learn Adobe Premiere Pro CC for Video Communication: Adobe Certified Associate Exam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