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546A -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546A
KR20160098546A KR1020150019219A KR20150019219A KR20160098546A KR 20160098546 A KR20160098546 A KR 20160098546A KR 1020150019219 A KR1020150019219 A KR 1020150019219A KR 20150019219 A KR20150019219 A KR 20150019219A KR 20160098546 A KR20160098546 A KR 20160098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user
remote contro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명
이수목
황종현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546A/ko
Publication of KR2016009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welds, bonds, sealing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방사선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방사선 물질을 움직여서 상기 방사선 물질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물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A radiographic inspection apparatus and a radiographic insp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과 같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금속 간의 연결을 위하여 용접을 수반하게 된다. 이때 용접은 인접한 금속을 용융시킨 뒤 서로 부착하도록 한 후 응고시켜 금속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용접은 산소, CO2, 아르곤 등의 다양한 가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마찰을 이용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방식의 용접은 모두 금속을 녹여서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런데 금속을 액체 상태로 녹인 후 다시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기포가 형성될 우려가 있다. 즉 용융된 금속이 서로 부착될 때 공기가 유입되면, 용접된 부위의 내부에 기포가 잔류한다.
이 경우 기포는 공극을 형성하여 용접 부위의 강도를 대폭 떨어뜨릴 수 있다. 즉 기포로 인하여 용접 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며, 심하게는 큰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용접이 이루어진 뒤 용접 부위에 대해서 기포 등이 유입되었는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 다만 용접 부위의 외부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내부는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으므로, 금속을 투과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용접 부위의 검사를 위해서는 방사선이 활용되며, 이를 방사선투과검사 또는 비파괴검사라 한다. 이때 방사선은 X-ray와 감마선이 주로 이용되는데, X-ray는 전자에너지를 변환할 때 나오는 포톤(photon)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X-ray 검사 장비의 경우, 진공 튜브 내에 텅스텐 등의 타겟과 필라멘트를 두고, 필라멘트에 강한 에너지를 가해주면 필라멘트에서 이탈된 전자가 텅스텐에 부딪힌 후 튕겨나오게 된다. 이때 튕겨나온 전자는 제동복사에 의해 X-ray를 생성한다.
X-ray 검사 장비는, 필라멘트에 가해주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서 텅스텐에 제동복사되어 발생하는 X-ray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X-ray 검사 장비는 에너지를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방사선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X-ray 검사 장비는 가격이 비싸고,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등에 의하여 외부에서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감마선 검사 장비의 경우,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고분자 물질인 이리듐(Ir) 등을 이용한다. 이때 이리듐은 그 자체로 일정한 에너지 범위의 방사선을 방출하므로, X-ray와 달리 에너지의 조절이 되지 않는다.
감마선 검사 장비는, 납으로 이루어지며 쌀알 크기의 이리듐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의 경로는 감마선의 외부 방출을 방지하도록 휘어져 있다.
본체의 경로 내에 위치한 이리듐은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본체에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경로에서 이리듐의 전방에는 호스 형태의 전방 가이드가 연결되고 후방에는 호스 형태의 후방 가이드가 연결된다.
이때 사용자가 후방 가이드에 마련되는 조작기를 조작하면, 후방 가이드가 이리듐이 연결된 케이블을 전진시켜서, 이리듐이 본체의 경로를 벗어나 전방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다만 이리듐이 외부로 노출되면 그 즉시 감마선이 사방으로 방출되어 위험하므로, 이리듐은 전방 가이드의 일단에 마련된 콜리메이터(Collimator)에 수용된 상태로 일방향으로만 감마선을 방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콜리메이터를 검사가 필요한 용접 부위에 위치시키고 조작기를 조작하여 이리듐에 의해 용접 부위에 방출된 감마선을 이용해 용접 부위를 촬영함으로써 용접 부위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LNG탱크나 해양구조물 등과 같이 신뢰성이 중요한 제품의 경우, 용접 부위에 대한 방사선 촬영이 수만 번에서 많게는 수백만 번 이상 이루어져야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본체를 들고 이동하면서 콜리메이터를 용접 부위에 설치하는 작업에 상당한 부하를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일부 사용자는 방사선에 대한 위험성을 알면서도 작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작업 부하를 줄이기 위해,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등 차폐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방사선에 피폭되는 경우가 있고,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사선을 이용한 촬영 시 사용자가 피폭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비가 필요한데, 이전까지는 사용자의 주의를 요구하는 것에 그칠 뿐 직접적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였기에, 피폭으로 인한 사고 발생을 막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피폭 여부를 감지하고, 피폭량이 임계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방사선 물질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방사선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정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물질의 배출을 무선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차폐체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방사선 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피폭량을 혁신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차폐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이어야만 방사선 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를 피폭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물질에 의해 방사선 피폭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정 범위 내에서, 동시에 복수의 방사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는, 내부에 방사선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방사선 물질을 움직여서 상기 방사선 물질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물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마련되는 외측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마련되는 내측 원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놓인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에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는, 내부에 방사선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방사선 물질을 움직여서 상기 방사선 물질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하는 조작부; 사용자의 피폭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작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폐체에 의해 보호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물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마련되는 외측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내측 원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면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접근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에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마련되는 감지부가 사용자의 피폭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사용자의 피폭량이 사용자에게 위험을 가할 수 있다고 감지되면, 방사선 물질의 배출을 차단하고 방사선 물질이 본체로 회수되도록 한 뒤 사용자 교체를 요구함으로써, 사용자가 피폭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방사선 물질의 배출을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사선 물질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게 하여 피폭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사용자가 차폐체 내부에 위치해 있을 때에만 방사선 물질의 노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피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특정 지점에서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질 때, 특정 지점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도달할 수 있는 다른 지점에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차폐 확인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는, 본체(11), 전방 가이드(12), 후방 가이드(13), 조작부(14), 감지부(15), 분석부(16), 제어부(17)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내부에 방사선 물질(R)이 이동하는 경로(111)를 갖는다. 본체(11)는 방사선 물질(R)을 내장하고 있으며, 방사선 물질(R)에 의한 방사선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본체(11)의 재질은 납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선 물질(R)은, 이리듐(Ir), 셀레늄(Se), 이터븀(Yb) 등의 고분자 물질일 수 있으며, 이 중 이리듐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방사선 물질(R)의 종류를 상기로 한정하지 않으며, 용접 부위의 검사를 위하여 방사선(일례로 감마선 등)을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체(11)에 형성되는 경로(111)는, S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경로(111) 상의 중간 부분에 방사선 물질(R)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방사선 물질(R)에 의하여 방출되는 방사선이 경로(111)의 전단이나 후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S자 형태의 경로(111)에서 중간 부분에 방사선 물질(R)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평시에 방사선은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체(11)에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도 11의 P)는 손잡이를 파지하여 본체(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의 무게는 사용자(P)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일 수 있으나, 다만 본체(11)는 방사선 차폐를 위하여 충분한 양의 납을 포함하여야 함에 따라 휴대성이 다소 떨어질 수도 있다.
본체(11)의 전면에는 경로(111)의 전단이 마련되며, 본체(11)의 후면에는 경로(111)의 후단이 마련된다. 이 경우 본체(11)의 전면에서 경로(111)의 전단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본체(11)의 후면에서 경로(111)의 후단 역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본체(11)의 전면에 전방 가이드(12)를 연결하여 전방 가이드(12)와 경로(111)의 전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며, 본체(11)의 후면에 후방 가이드(13)를 연결하여 후방 가이드(13)와 경로(111)의 후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전방 가이드(12)와 후방 가이드(13)는 본체(11)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개방되는 경로(111)와 각각 연결되며, 전방 가이드(12)와 본체(11)의 경로(111) 및 후방 가이드(13)는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됨으로써 방사선 물질(R)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의 경로(111)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필요 시 경로(111)의 전방으로 움직여서 본체(11)에서 이탈된 후, 전방 가이드(12)의 내부를 따라 전진할 수 있다. 이후 방사선 물질(R)은 전방 가이드(12)의 전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방사선을 방출하게 된다.
본체(11)는 전방 가이드(12)와 후방 가이드(13)가 본체(11)에 연결되기 전에, 경로(111)의 전단과 후단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P)는 커버를 연 뒤 전방 가이드(12) 등을 본체(1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방 가이드(12)는, 경로(111)의 전방에 연결된다. 전방 가이드(12)는 방사선 물질(R)이 내부에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중공 형태를 갖는다. 즉 방사선 물질(R)은 전방 가이드(12)에 의하여 차폐되는데, 이때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움직이는 방사선 물질(R)로 인하여 외부로 방사선이 일부 누출될 수 있다.
이는 본체(11)의 경우 충분한 두께의 납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방 가이드(12)의 경우 호스 형태로 플렉시블(flexible)하게 마련되어야 하는바 충분한 차폐능력을 갖지 못하는 재질이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방 가이드(12)의 내부를 따라 방사선 물질(R)이 이동할 경우에는 사용자(P)가 피폭될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자(P)의 피폭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대처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방 가이드(12)는 검사 대상(도 18의 O)의 인근에 놓인 본체(11)로부터 검사 대상(O)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방 가이드(12)는 콜리메이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의 외부로 노출된다면, 방사선은 방향성 없이 전체적으로 퍼져나간다. 이 경우 방사선 물질(R)을 기준으로 검사 대상(O)의 반대편에 위치한 사용자(P) 역시, 검사 대상(O)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양만큼을 전달받아 피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콜리메이터(121)를 전방 가이드(12)에 마련하여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를 벗어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콜리메이터(1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P)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콜리메이터(121)는, 방사선 물질(R)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에 방향성을 부여한다. 콜리메이터(121)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재질과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방사선의 방출을 허용하는 재질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사선의 방출을 허용하는 일부분이 검사 대상(O)을 향하도록 마련되면, 콜리메이터(121)에 위치한 방사선 물질(R)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은 검사 대상(O)을 향해서만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에서 전방 가이드(12)를 통과하여 콜리메이터(121)까지 움직이는 과정에서,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 내에 위치할 경우 방사선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P)의 피폭을 주의해야 한다.
후방 가이드(13)는, 경로(111)의 후방에 연결된다. 후방 가이드(13)는 본체(11)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13)는 전방 가이드(12)와 유사하게 플렉시블한 호스 형태일 수 있으며, 후방 가이드(13) 역시 내부에 방사선 물질(R)이 위치할 경우 방사선 물질(R)에 의한 방사선 누출을 충분히 차폐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 전방 가이드(12), 콜리메이터(121) 내를 따라 이동할 뿐, 후방 가이드(13)의 내부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후방 가이드(13)는, 본체(1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사용자(P)가 자리하더라도 본체(11) 내부의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사선 물질(R)에는 후방으로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케이블(C)을 전진시키면 방사선 물질(R)이 전진하고, 케이블(C)을 후진시키면 방사선 물질(R)이 후진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가이드(13)는 케이블(C)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중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후방 가이드(13) 내에서 케이블(C)이 전진 또는 후진을 함에 따라, 본체(11)에 위치해 있던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의 내부를 통해 콜리메이터(121)로 전달되거나 또는 반대로 콜리메이터(121)에서 전방 가이드(12)의 내부를 통해 본체(11)로 회수될 수 있다.
후방 가이드(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블(C)은 전단이 방사선 물질(R)에 연결되며, 후단이 후술할 조작부(14)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작부(14)가 조작되면 케이블(C)은 후방 가이드(13)의 내부에서 전진하거나 후진하며, 이로 인해 방사선 물질(R)의 인입 또는 인출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P)는 본체(11)를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본체(11)에 후방 가이드(13)를 연결하고 후방 가이드(13)의 길이만큼 본체(11)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조작부(14)를 이용해 후방 가이드(13) 내부에서 케이블(C)이 전진하도록 하여, 본체(11)에 위치해 있던 방사선 물질(R)이 콜리메이터(121)로 이동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P)는 본체(11)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조작부(14)를 사용하여 후방 가이드(13)의 내부에서 케이블(C)이 후진하도록 하여, 콜리메이터(121)에 위치해 있던 방사선 물질(R)이 본체(11)로 회수되어 방사선의 누출이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콜리메이터(121)에 위치한 방사선 물질(R)과 사용자(P)는, 전방 가이드(12)의 길이, 본체(11)의 길이, 후방 가이드(13)의 길이만큼 서로 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P)는 피폭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될 수 있다.
다만 전방 가이드(12) 또는 후방 가이드(13)는 방사선 물질(R)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선을 완벽히 차폐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 가이드(12) 등의 길이가 길어지면,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 내에서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전방 가이드(12)의 외부로 누출되는 방사선의 총량 역시 증가하게 된다.
즉 전방 가이드(12) 등의 길이는, 사용자(P)를 방사선 물질(R)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방사선 물질(R)의 이동이 오랜 시간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방사선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정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조작부(14)는, 본체(11)의 경로(111)를 따라 방사선 물질(R)을 움직인다. 조작부(14)는 후방 가이드(13)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4)는 후방 가이드(13) 내부에 위치하여 전단에 방사선 물질(R)이 연결된 케이블(C)을 움직여서, 방사선 물질(R)이 전진하여 콜리메이터(121)로 이동하거나, 또는 방사선 물질(R)이 후진하여 본체(11) 내부의 경로(111) 상으로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조작부(14)는 케이블(C)의 전후진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어 방식, 마찰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조작부(14)에 의한 케이블(C) 전후진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조작부(14)는 사용자(P)가 직접 파지한 상태로 사용자(P)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조작부(14)를 파지한 사용자(P)는 조작부(14)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전진시켜서 방사선 물질(R)의 인출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P)는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본체(11)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자리하여 조작부(14)를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4)는 사용자(P)에 의해 직접 조작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격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 역시 조작부(14)를 사용자(P)에 의한 직접적인 조작만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감지부(15)는, 사용자(P)의 피폭량을 감지한다. 감지부(15)는 사용자(P)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거나 또는 사용자(P)에 직접 부착되도록 마련되며, 방사선의 피폭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피폭량은 선량률 등의 단위로 측정 가능하다.
감지부(15)는 사용자(P)가 방사선에 얼마나 노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감지부(15)는 실시간으로 피폭량의 누적을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5)는, 사용자(P)에 전달된 방사선의 총량이 일정 임계값 이상이라면 위험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15)가 위험한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방사선이 사용자(P)에게 더이상 전달되지 않도록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제어부(17)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분석부(16)는, 감지부(15)에 의해 감지된 피폭량을 임계값과 대비한다. 분석부(16)는 감지부(15)가 감지하는 피폭량이 임계값을 넘었는지 확인하는 구성이며, 이때 피폭량은 누적값을 의미할 수 있다.
피폭량이 임계값을 넘었다는 것은,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등의 규정을 위반할 위험이 있거나 또는 위반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P)의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부(16)는 피폭량이 임계값을 넘었을 경우, 후술할 제어부(17)로 하여금 피폭량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P)를 보호할 수 있다.
임계값은 분석부(16)에 의해 별도로 설정되거나, 또는 원자력안전법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값이며, 고정된 값일 수 있고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지는 값일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임계값과 대비되는 피폭량은, 사용자(P)가 어느 하나의 검사 대상(O)에 대하여 방사선 검사를 종료하더라도 다른 검사 대상(O)에 대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하는 한,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값일 수 있다.
즉 감지부(15)는 하나의 방사선 검사마다 피폭량을 별도로 체크하고 방사선 검사가 새롭게 이루어지면 피폭량을 다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방사선 검사 작업을 시작한 사용자(P)가 방사선 검사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누적되는 피폭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사용자(P)가 수행해야 하는 수 회의 방사선 검사 중 1회의 방사선 검사가 종료되었다고 하더라도, 감지부(15)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P)의 피폭량은 리셋(reset)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피폭량의 규제는 시간당 일정량(일례로 1시간당 작업자 기준 10uSv, 일반인 기준 1uSv)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감지부(15)는 시간별로 피폭량의 누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조작부(14)를 제어한다. 제어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5)와 결합하여 사용자(P)에 구비될 경우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제어부(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4)에 결합하여 사용자(P)에 구비된 감지부(15)로부터 신호를 받아 조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조작부(14)를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입 또는 인출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는 방사선 물질(R)의 인입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점선은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가 없을 경우의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고, 실선은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가 있을 경우의 피폭 선량률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이용한 검사 시, 방사선 물질(R)이 본체(11)의 경로(111)를 벗어나 전방 가이드(12)에 위치한 순간을 기점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선량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P)는 후방 가이드(13)에 마련된 조작부(14)를 잡고 있는 위치에 놓여 있음을 가정할 수 있고, 사용자(P)와 본체(11) 간의 거리는 후방 가이드(1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P)가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방사선 물질(R)을 전방 가이드(12) 내에서 움직여서 콜리메이터(121) 내측에 위치시키기까지의 시간 동안에는(A), 방사선 물질(R)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전방 가이드(12)의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P)에게 전달된다.
다만 방사선 물질(R)이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하면 본체(11)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는 결국 본체(11)의 후방에 위치한 사용자(P)로부터 방사선 물질(R)이 멀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선량률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후 콜리메이터(121) 내부에 방사선 물질(R)이 위치하면(B), 방사선 물질(R)에 의한 방사선은 콜리메이터(121)에 의해 차폐된다. 이때 방사선 촬영에 필요한 시간만큼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고, 비록 콜리메이터(121)가 방사선의 방향성을 제한한다고 하더라도, 방사선 물질(R)에 근접해있는 사용자(P)는 일정 선량률 만큼 지속적으로 피폭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P)가 방사선 물질(R)을 본체(11)로 회수하기 위하여 조작부(14)를 조작하면, 방사선 물질(R)은 콜리메이터(121)로부터 본체(11)의 내부로 인입되는 동안(C), 전방 가이드(12)의 외부로 방사선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에 가까워질수록 사용자(P)에게 가까워지는 것이므로, 사용자(P)에게 전달되는 방사선 선량률은 방사선 물질(R)의 회수가 진행될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P)는 방사선 물질(R)을 이용한 검사 도중, 가변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선량률 만큼 방사선에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때 누적량은 원자력안전법 등의 법률규정에 따라 제한되어야 한다.
다만 도 5에서는 1회의 방사선 검사 동안 사용자(P)에게 전달되는 방사선 선량률의 누적은 원자력안전법에 의해 문제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따라서 방사선 물질(R)의 인출과 인입이 문제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물질(R)의 인출과 인입 과정에서 사용자(P)에게 전달되는 피폭량이 많으면, 누적량이 법률 규정을 뛰어넘을 위험이 있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P)의 피폭이 어느 정도 누적되었는지 알 길이 없어 사용자(P)를 보호하지 못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피폭량의 누적에 따라서 사용자(P)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방사선 검사 시 방사선 물질(R)은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전진, 콜리메이터(121) 내부에 위치,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회수 순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도 6을 참조하면 전방 가이드(12)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하는 방사선 물질(R)로 인한 방사선 누출이 도 5의 경우보다 증가할 경우에는, 1회 방사선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의 피폭 선량률이 대폭 증가할 수 있고, 방사선 검사가 완료되기 이전에 피폭 누적량이 사용자(P)에게 위험한 수치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P)가 피폭되는 동안 사용자(P)의 피폭량의 누적값을 감지부(15)로 감지하고, 이때 제어부(17)는 감지된 피폭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 조작부(14)를 제어하여 케이블(C)의 후진에 의해 방사선 물질(R)이 본체(11)의 내부로 인입되어 경로(111)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에 의해 회수된 방사선 물질(R)은 본체(11)의 경로(111) 내에서 차폐되는 위치에 놓여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방사선 물질(R)에 의한 피폭량이 일정 시간(E) 동안 누적되어 임계값을 넘어갈 경우, 제어부(17)가 조작부(14)를 이용하여 방사선 물질(R)의 회수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방사선 물질(R)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방사선 물질(R)은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본체(11)로 이동하게 되면서 사용자(P)에게 가까워지므로, 사용자(P)는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에 의한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가 이루어지더라도, 그 순간부터 방사선 물질(R)이 본체(11) 내부로 완전히 회수될 때까지는 피폭량이 추가로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임계값을 법률규정에 따른 위험값이나 사용자(P)에게 위해가 발생하는 위험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산정하여,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 시 발생하는 피폭량이 추가로 누적되더라도 사용자(P)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는, 사용자(P)가 조작부(14)를 조작하여 방사선 물질(R)이 회수되는 것보다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에 의한 긴급 회수는 방사선 물질(R)의 후진이 가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폭량의 누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물질(R)이 콜리메이터(121) 내부에 위치해 있더라도 방사선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동안의 피폭 누적량이 임계값을 넘을 수 있는바, 방사선 검사에 필요한 방사선만큼 방사선이 충분히 방출되지 않았더라도 방사선 물질(R)의 긴급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6과 도 7의 경우, 정상적인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사용한다면 1회 방사선 검사 시의 피폭 누적량은 문제되지 않으나 전방 가이드(12)에 의한 차폐력이 저하되었을 때 피폭 누적량이 문제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8의 경우에는, 전방 가이드(12)의 차폐에 문제가 없을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P)의 피폭 누적량은 1회 방사선 검사가 완료되기 전에 임계값을 넘을 수 있다. 이는 그래프에 나타나는 방사선 검사 이전에 다른 방사선 검사 등에 의하여 사용자(P)에게 이미 피폭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P)는 다른 방사선 검사를 수행하였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P)에 의한 방사선 검사로 인해 일정량 피폭된 이후,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나는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지부(15)는 방사선 검사의 완료와 상관없이 피폭량을 감지하게 되므로, 피폭 누적량은 방사선 검사 도중에 임계값 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과 같이 피폭 누적량이 방사선 물질(R)의 회수 과정에서 임계값을 넘어서게 되면, 일정 시점에서 제어부(17)에 의해 긴급 회수가 이루어지더라도, 긴급 회수되는 과정에서도 방사선의 누출이 일어날 수 있는바, 긴급 회수로 인한 피폭 누적량 감소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는, 긴급 회수를 할 수 있으며, 또한 긴급 회수를 하지 않고 사용자(P)에게 소리나 진동 등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앞서 도 6과 도 7에서도 제어부(17)는 긴급 회수 대신 사용자(P)에게 알림하여 사용자(P)가 직접 방사선 검사 도중 방사선 물질(R)의 회수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P)는 안전불감증 등으로 인하여 제어부(17)에 의한 알림을 무시하고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는바, 제어부(17)는 긴급 회수를 수행하여 사용자(P)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는, 방사선 물질(R)의 인입을 위한 조작부(14)의 조작은 허용하되 방사선 물질(R)의 인출을 위한 조작부(14)의 조작은 제한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사용자(P)의 피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방사선 검사 시 사용자(P)의 피폭량을 감지하고, 피폭 누적량이 위험한 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방사선 물질(R)이 긴급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P)를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원격 조작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원격 조작부(18)는,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앞서 제1 실시예에서의 제어부(17) 역시 사용자(P)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감지부(15)에 결합될 경우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제어부(17)는 사용자(P)의 조작과 무관하게 피폭 누적량에 따라 조작부(14)를 제어하는 것인 반면, 원격 조작부(18)는 사용자(P)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14)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원격 조작부(18)는,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또는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본체(11)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P)가 후방 가이드(13)에 연결된 조작부(14)를 사용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인입을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P)와 본체(11) 간의 최대 거리가 후방 가이드(13)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었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는 사용자(P)가 원격 조작부(18)를 휴대한 상태에서 본체(11)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조작부(14)를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P)의 이격 거리는 원격 조작부(18)에 의한 원격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최대 거리로 제한될 수 있지만, 후방 가이드(13)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충분히 멀 수 있다.
이때 사용자(P)는 원격 조작부(18)를 파지한 상태에서 방사선 물질(R)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P)의 피폭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에서 사용자(P)가 원격 조작부(18)를 사용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또는 인입을 조절할 경우, 사용자(P)와 방사선 물질(R)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바, 방사선 물질(R)에 의한 방사선이 전방 가이드(12)의 외부로 방출되는 동안에도 선량률은 충분히 낮춰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P)가 방사선 물질(R)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P)에 전달되는 피폭량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는, 본체(11), 전방 가이드(12), 후방 가이드(13), 조작부(14), 원격 조작부(18), 차폐체(20)를 포함한다. 다만 본체(11), 전방 가이드(12), 후방 가이드(13) 및 조작부(14)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원격 조작부(18)는,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원격 조작부(18)는 사용자(P)가 본체(11)에서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서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등을 구현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의 원격 조작부(18)와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의 원격 조작부(18)는 후술할 차폐체(20)와 연계되어서만 작동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원격 조작부(18)는, 사용자(P)가 차폐체(20) 내에 위치해 있을 때에만 작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원격 조작부(18)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차폐체(20)에서 본체(11)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조작부(14)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차폐체(2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차폐체(20)가 조작부(14)로 전달되는 신호를 모두 차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를 차폐체(20)에서 본체(11) 방향에 마련하고,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의하여 조작 신호가 조작부(14)로 전달됨에 따라 방사선 물질(R)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차폐체(20)에서 사용자(P) 방향으로 마련된다. 사용자(P)는 차폐체(20)에 의해 본체(11)가 가려지는 위치에 자리할 수 있고, 차폐체(20)를 기준으로 본체(11)와 사용자(P)는 서로 다른 방향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차폐체(20)에서 사용자(P) 방향에 마련되어 사용자(P)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P)는 차폐체(20)에 마련된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조작할 수 있고, 이때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즉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필요에 따라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결합되면 작동하여 조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다만 이때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차폐체(20)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놓인 사용자(P)에 의해 조작되어 조작 신호를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전달할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로부터 조작 신호를 전달받은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조작 신호를 조작부(14)에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원격 조작부(18)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체(20)에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차폐체(20)에 의해 방사선이 차폐되는 위치에 자리한 사용자(P)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P)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결합하고,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제어함으로써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의해 조작 신호가 조작부(14)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체(20)와 별개로 마련되었다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체(20)에 마련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폐체(20)에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와 외측 원격 조작부(181)의 상호 연결을 허용하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구조가 관통되는 형태일 때 방사선은 관통되는 부분을 통해 투과되지 않고 원격 조작부(18)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차폐체(20)는, 사용자(P)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한다. 차폐체(20)는 벽 형태이거나 또는 사용자(P)를 둘러쌀 수 있는 공간 형태일 수 있으며, 감마선 등의 투과가 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납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차폐체(20)의 형태 등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차폐체(20)는 사용자(P)에 의하여 위치가 옮겨질 수 있는 형태일 수 있고, 이는 검사 대상(O)이 복수 개임에 따라 본체(11)의 설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에 의한 검사 시 피폭 선량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사용하면, 사용자(P)는 차폐체(20)에 의해 차폐되는 위치에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바, 전방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하는 방사선 물질(R)에 의해 방사선이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사용자(P)에게 피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P)의 피폭 선량률은 차폐체(20)의 차폐력에 의해 결정되며, 방사선 물질(R)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에도 일정한 수준 이하로 유지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P)는 차폐체(20)에 의해 방사선이 차폐되는 위치에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검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원격 조작부(18)가 차폐체(20)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조작부(14)를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의 움직임을 구현함으로써, 차폐체(20)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된 위치에서 사용자(P)가 조작부(14)를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법률 규정을 만족시키는 것 이상으로 사용자(P)의 보호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의 원격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비(10)의 원격 조작부(18)는, 사용자(P)가 차폐체(20)에 의해 보호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조작부(14)를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조작부(18)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 내측 원격 조작부(182), 센서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대비할 때, 본 실시예는 사용자(P)가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동일/유사하지만,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연결되지 않더라도 조작 신호가 조작부(14)로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차폐체(20)에서 본체(11) 방향으로 마련되며, 내측 원격 조작부(182)로부터 조작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전달받은 조작 신호를 조작부(14)에 전달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외측 원격 조작부(181)는 제3 실시예에서의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대비할 때 조작 신호를 내측 원격 조작부(182)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내측 원격 조작부(182)의 결합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조작부(14)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편의성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제3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P)에 의해 휴대될 수 있다. 내측 원격 조작부(182)는 센서부(183)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면 작동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센서부(183)에 의해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작동하여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조작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P)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구비한 상태로 차폐체(20)에 의해 차폐되는 위치로 이동하며, 사용자(P)의 위치가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센서부(183)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위치가 되면, 사용자(P)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P)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직접 결합시키지 않고, 단지 차폐체(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 위치로 움직이기만 하여 외측 원격 조작부(181)에 의한 조작 신호 발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83)는, 차폐체(20)에 마련되며 내측 원격 조작부(182)의 접근을 감지한다. 센서부(183)는 외측 원격 조작부(181)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고, 내측 원격 조작부(182)의 접근을 무선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RFID 등의 널리 공지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센서부(183)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접근하였을 때 내측 원격 조작부(182)에 접근 감지 신호를 발송해줄 수 있는데, 센서부(183)가 접근 감지 신호를 내측 원격 조작부(182)에 전달한다는 것은,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차폐체(20)에 의해 차폐되는 위치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휴대하는 사용자(P)는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자리할 수 있다.
즉 센서부(183)는, 내측 원격 조작부(182)의 접근을 통해서 사용자(P)가 방사선으로부터 차폐되는 위치에 있음을 확인하고, 내측 원격 조작부(182)에 접근 감지 신호를 전송해 내측 원격 조작부(182)가 작동하여 내측 원격 조작부(182)로부터 외측 원격 조작부(181)로 조작 신호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P)가 차폐체(20)에 의해 보호되는 위치에 있을 때 조작부(14)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게 하면서, 사용자(P)로 하여금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휴대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원격으로 조작부(14)를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P)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1)은, 사용자(P)가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검사 대상(O)에 설치하고, 조작부(14)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방출이 일어나도록 하여 검사 대상(O)에 대한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검사 대상(O)은 일정한 공간 내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검사 대상(O)을 기준으로 일정한 공간은 구획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검사 대상(O)에 대하여 둘 이상의 사용자(P)가 방사선 검사를 수행하면, 일정한 공간 내에서의 모든 검사 대상(O)에 대한 방사선 검사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면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위치한 검사 대상(O)을 검사할 때, 좌측 하단에 위치한 검사 대상(O)에 대해서는 사용자(P)가 검사를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 검사 대상(O)을 향해 방출되는 방사선이, 좌측 하단에 위치한 사용자(P)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의 검사 대상(O)에 대해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경우, 본 실시예는 충분히 이격되어 서로 간 차폐가 가능한 위치에 각각 놓인 복수 개의 검사 대상(O)에 대해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동시에 둘 이상의 검사 대상(O)을 검사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방사선 검사의 총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1)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복수 개 포함하며, 차폐체(20), 차폐 확인부(30), 서버(40)를 포함한다. 이때 방사선 검사 장비(10)는 방사선 검사가 요구되는 일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사용자(P)의 조작에 의해 방사선을 방출하며,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차폐체(20)는, 방사선 검사를 위해 설치된 방사선 검사 장비(10)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사용자(P)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한다. 차폐체(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방사선 검사가 요구되는 일정 공간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차폐체(20)는 앞서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차폐체(20)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P)는 차폐체(20)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이용하여 방사선 검사 장비(10)에 의한 방사선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둘 이상의 사용자(P)가 모두 차폐체(20)에 의해 보호되는 위치에 놓여있을 경우에만 서버(40)에 의하여 방사선 검사 장비(10)가 제어될 수 있는바, 사용자(P)에 의하여 내측 원격 조작부(182)를 통해 이루어지는 조작은 무시될 수 있다.
차폐 확인부(30)는, 사용자(P)가 차폐체(20)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놓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차폐 확인부(30)에 대해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차폐 확인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1)의 차폐 확인부(30)는, 사용자 인식부(31) 및/또는 버튼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31)는, 사용자(P)가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서버(40)에 전달한다. 즉 사용자 인식부(31)는 앞서 제4 실시예에서 센서부(183)가 내측 원격 제어부(17)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과 동일/유사하게 사용자(P)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P)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서버(40)에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서버(40)는 사용자(P)가 안전한 위치에 있다는 확인을 받은 뒤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작동시켜서 사용자(P)를 방사선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버튼부(32)는, 차폐체(20)에 마련되며 사용자(P)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P)가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있음을 서버(40)에 알린다. 버튼부(32)는 사용자 인식부(31)와 동일/유사하게 사용자(P)가 안전한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서버(40)에 전달하지만, 사용자 인식부(31)는 사용자(P)의 조작이 필요없이 사용자(P)의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반면, 버튼부(32)는 사용자(P)가 직접 누르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P)의 위치를 수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사용자 인식부(31)와 버튼부(32)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함께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폐 감지부(15)는 사용자(P)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는, 차폐체(20)에 의한 사용자(P)의 보호가 차폐 확인부(30)에 의해 감지되면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P)는 각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조작하는 복수의 사용자(P)일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P) 모두가 차폐체(20)에 의해 보호될 때 서버(40)가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서버(40)는, 방사선 검사 장비(10)의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40)는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원격 조작부(18)와 동일/유사하게 조작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서버(40)는, 차폐체(20)에 의한 사용자(P)의 보호가 차폐 확인부(30)에 의해 감지되면 조작부(14)를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사용자(P)가 인접해 있는 검사 대상(O)에 대해 방사선 검사를 수행하고자 할 때, 제1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검사 대상(O)에 대한 동시적인 검사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는 검사를 위해 방출되는 방사선에 의하여 상호 피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인접해 있는 검사 대상(O)에 대하여 동시적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명의 사용자(P)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체(20)에 의해 차폐되는 위치에 자리할 수 있으며, 이때 차폐 확인부(30)는 사용자(P)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하여 서버(40)에 알려줄 수 있다.
이후 서버(40)는, 사용자(P)에 의해 검사 대상(O)에 설치된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작동시켜서, 인접한 검사 대상(O)에 대한 방사선 촬영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P)를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서버(40)는, 차폐체(20)에 의한 사용자(P)의 보호가 중단되었음이 차폐 확인부(30)에 의해 감지되면 조작부(14)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방사선 물질(R)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의 감지부(15) 및 관련 구성들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차폐 확인부(30)는 사용자(P)가 보호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서버(40)는 이와 같은 경우 방사선이 사용자(P)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 장비(10)를 구동하여 방사선 물질(R)이 본체(11)의 내부로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인접한 검사 대상(O)에 대해서 사용자(P)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동시간대의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방사선 검사 작업 시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방사선 검사 시스템 R: 방사선 물질
C: 케이블 P: 사용자
O: 검사 대상 10: 방사선 검사 장비
11: 본체 111: 경로
12: 전방 가이드 121: 콜리메이터
13: 후방 가이드 14: 조작부
15: 감지부 16: 분석부
17: 제어부 18: 원격 조작부
181: 외측 원격 조작부 182: 내측 원격 조작부
183: 센서부 20: 차폐체
30: 차폐 확인부 31: 사용자 인식부
32: 버튼부 40: 서버

Claims (11)

  1. 내부에 방사선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방사선 물질을 움직여서 상기 방사선 물질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물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마련되는 외측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사용자 방향으로 마련되는 내측 원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 의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놓인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에 조작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6. 내부에 방사선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 본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방사선 물질을 움직여서 상기 방사선 물질의 인출 또는 인입을 제어하는 조작부;
    사용자의 피폭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조작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차폐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폐체에 의해 보호되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선 물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서 상기 본체 방향으로 마련되는 외측 원격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내측 원격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작부는,
    상기 차폐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접근이 감지되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한 접근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에 조작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격 조작부는,
    상기 내측 원격 조작부로부터 전달받은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비.
KR1020150019219A 2015-02-09 2015-02-09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160098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19A KR20160098546A (ko) 2015-02-09 2015-02-09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19A KR20160098546A (ko) 2015-02-09 2015-02-09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546A true KR20160098546A (ko) 2016-08-19

Family

ID=5687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19A KR20160098546A (ko) 2015-02-09 2015-02-09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5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67A1 (ko) * 2018-01-05 2019-07-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 증감지, 이를 이용한 방사선원 위치 검증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4839B1 (ko) 2018-12-03 2020-03-3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방사선 차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67A1 (ko) * 2018-01-05 2019-07-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 증감지, 이를 이용한 방사선원 위치 검증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4839B1 (ko) 2018-12-03 2020-03-3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방사선 차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609B2 (en) Portable radiation imaging system
EP2488856B1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for pipeline girth weld inspection
EP1271181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logical imaging
KR102511383B1 (ko)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파이프 및 기타 구조체에 대한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160098546A (ko)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2176101B1 (ko) 누설 선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0650777B (zh) 中子捕捉疗法系统
KR20160094470A (ko)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160094468A (ko) 방사선 검사 장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US20090128351A1 (en) X-ray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x-ray leakage
KR102511349B1 (ko)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 및 방법
JP2011007614A (ja) 核医学診断装置、及び、核医学診断装置における検出器の故障特定方法
CN207263941U (zh) 辐射装置及辐射检查系统
CN202034067U (zh) 一种射线检测辅助装置
US20100133439A1 (en) Detector Device for Monitoring Scrap Metal for Radioactive Components
JP2015081792A (ja) 放射線検知内視鏡
KR101610357B1 (ko) 방사선 비파괴 검사 선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202300346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eature sizes in digital x-ray imaging
KR100680260B1 (ko) 무전원 접이식 방사선원 위치 감시장치
KR101318840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원격제어가 가능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101359342B1 (ko) 방사선조사기 전송관에 분리 또는 협착된 방사선원의 회수장치
CN108254398A (zh) 插入式煤质快速测量装置
US20160097868A1 (en) Radiation surveying
US20210204900A1 (en) Tomography apparatus
KR102481895B1 (ko) 탱크 설비의 방사선투과검사에 사용하는 차폐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