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773A - 고객센터 단말기 - Google Patents

고객센터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773A
KR20160097773A KR1020150020021A KR20150020021A KR20160097773A KR 20160097773 A KR20160097773 A KR 20160097773A KR 1020150020021 A KR1020150020021 A KR 1020150020021A KR 20150020021 A KR20150020021 A KR 20150020021A KR 20160097773 A KR20160097773 A KR 2016009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장준호
최광용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7773A/ko
Publication of KR2016009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33Operator termi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4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call cen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센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통화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수신부;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상담 화면에 포함된 다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정보 입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상담 화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라우터 설치 정보를 추가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객센터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객센터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OF CUSTOMER CENTER}
본 발명은 고객센터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초기의 아날로그 방식으로부터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WCDMA(Wideband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음성 통화 품질과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급격하게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 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하거나, 스마트 폰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각종 서비스(예를 들어, 게임, 온라인 쇼핑몰, 영화 감상, 길 안내, 소셜 네트워크 등)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한편, 종래에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고객 센터의 상담원과 통화하는 경우, 단순히 상담원과의 음성 통화만으로 소정의 상담 또는 주문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상담원에게 구두로 설명하고, 상담원 또한 고객이 필요로하는 정보를 고객에게 구두로 설명해야 했고, 이로 인해 고객과 상담원 간의 통화가 길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고객과 상담원 간의 통화 시간 증가는 고객의 불편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상담원의 인건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 센터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연결 중에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여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고객센터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음성 통화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수신부;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상담 화면에 포함된 다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정보 입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상담 화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라우터 설치 정보를 추가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객센터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센터 상담원의 요청에 따라 상담 통화와 관련된 콘텐츠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과 고객센터 상담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고객과 상담원 간의 통화 시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 전화번호별 콘텐츠 연결 정보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음성 통신망(120), 데이터 통신망(130),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 및 고객센터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음악, 이미지, 동영상 및 모바일 앱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123-4567"과 같은 일반 전화번호에 "#"과 같은 기호 및 "090"과 같은 번호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된 특수 전화번호(123-4567#, 090-123-4567 등)가 입력되면, 특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 경로를 음성 통화망(120)이 아닌 데이터 통신망(130)으로 전환하여 후술할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에 특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객센터 전화번호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입력하면,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고, 이에 대한 통화 연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전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전화 키패드의 숫자 버튼을 통해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전화 키패드의 통화 버튼을 통해 통화 연결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고객센터 단말기(150)로부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특수 문자는 특정 기호 및 특정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예를 들어, "#", "090", "#1" 및 "#2" 등)할 수 있고, 특수 문자 정보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키 버튼음 또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수 문자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된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외부 서버인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을 표시한다. 즉, 통화 연결 화면을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통화 관련 콘텐츠는 고객센터 전화번호와 관련된 통화 관련 웹페이지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통화 관련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 설치된 다수의 모바일 앱 중에서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센터 전화번호인 "1599-0110"에 해당하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고, 이에 대한 통화 연결 화면을 도 5와 같이 표시하던 중에 고객센터 단말기(150)로부터 특수 문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객센터 전화번호(1599-0110)에 특수 문자가 포함된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생성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외부 서버인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 URL을 수신하거나,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 URL을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인 쇼핑몰 웹페이지에 접속함과 아울러 도 5와 같은 통화 연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도 6과 같은 쇼핑몰 웹페이지 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 설치된 다수의 모바일 앱 중에서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인 쇼핑몰 모바일 앱을 실행함과 아울러 도 5와 같은 통화 연결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도 7과 같은 쇼핑몰 모바일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음성 통화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고객센터 단말기(150) 간의 음성 통화 라인을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망(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고객센터 단말기(150) 간의 데이터 송수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고객센터 단말기(150)와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한다.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도 8과 같이 특수 문자를 각각 포함한 하나 이상의 특수 전화번호 및 하나 이상의 특수 전화번호별로 매칭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 연결 정보를 포함한 특수 전화번호별 콘텐츠 연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콜 라우터 프로그램은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포함된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제공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다시 말해서,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는 도 9와 같이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기들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전화번호 및 일련번호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특수 전화번호별 콘텐츠 연결 정보 테이블에서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는 고객 센터 단말기(150)에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할 수 있고, 단말기 내부에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거나, 단말기와 별개로 구성된 저장매체에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음성 통화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상담 화면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콜 라우터 설치 정보를 추가한다.
여기서,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특수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 문자 전송 메뉴를 상담 화면에 추가하고, 고객센터 상담원에 의해 특수 문자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음성 통화망(120)을 통해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키 버튼음을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거나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고객센터 단말기(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도 1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2와 같이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정보 입력부(310), 무선 통신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부(3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고객센터 전화번호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정보 입력부(3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및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320)는 안테나(322)를 통해 음성 통화망(120) 또는 데이터 통신망(130)에 접속하고, 음성 통화망(120)을 통한 음성 통화 연결 및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전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과 같은 전화 통화 화면을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모바일 앱 또는 웹페이지가 실행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부(330)는 실행 중인 모바일 앱 또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UI 또는 GUI 등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30)는 후술할 제어부(340)에서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면 고객 센터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화면을 도 5와 같이 표시하고, 제어부(340)에서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면,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을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33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제어부(340)가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면, 통화 연결 화면을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제어부(3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및 각종 모바일 앱의 실행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340)는 정보 입력부(310)에서 고객센터 전화번호및 통화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고객센터 전화번호의 발신 경로를 음성 통화망(120)으로 설정하여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한다.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고객센터 단말기(150)로부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정보를 무선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하면, 제어부(340)는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된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인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무선 통신부(320)를 통해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를 수신함은 물론이다.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340)는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30)에서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수 문자는 특정 기호 및 특정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예를 들어, "#", "090", "#1" 및 "#2" 등)할 수 있고, 특수 문자 정보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키 버튼음 또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통화 관련 콘텐츠는 상기 고객센터 전화번호와 관련된 통화 관련 웹페이지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인 경우, 제어부(340)는 무선 통신부(320)를 통해 통화 관련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인 경우, 제어부(3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기 설치된 다수의 모바일 앱 중에서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340)의 동작은 제어부(34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기 설치된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단말기(15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센터 단말기(150)는 데이터 저장부(410), 데이터 통신부(420), 단말기 정보 입력부(430), 전화 수신부(44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50) 및 단말기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410)는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410)는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제공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데이터 저장부(41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 내부에 기억 장치 형태로 구성되거나, 고객센터 단말기(150)와 별개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4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통신부(420)는 후술할 단말기 제어부(460)의 제어에 의해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4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정보 입력부(430)는 후술할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5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상담 화면에 포함된 다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선택 정보를 고객센터 상담원으로부터 입력받는다.
이러한, 단말기 정보 입력부(430)는 마우스, 키보드 및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전화 수신부(440)는 음성 통화망(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화 수신부(44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들과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50)는 전화 수신부(4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상담 화면은 고객센터 단말기(150)에 기 설치된 상담 프로그램의 화면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인 단말기 사용자와의 상담 내용 기록 및 대응 등을 위한 다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제어부(460)는 전화 수신부(4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데이터 저장부(410)에 저장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45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담 화면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콜 라우터 설치 정보를 추가한다.
여기서, 단말기 제어부(4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특수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 문자 전송 메뉴를 상담 화면에 추가하고, 단말기 정보 입력부(430)에서 특수 문자 전송 메뉴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으면, 데이터 통신부(420)를 통해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46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특수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 문자 전송 메뉴를 상담 화면에 추가하고, 단말기 정보 입력부(430)에서 특수 문자 전송 메뉴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으면, 데이터 통신부(420)를 통해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객센터 상담원의 요청에 따라 상담 통화와 관련된 콘텐츠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과 고객센터 상담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고객과 상담원 간의 통화 시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고객센터 전화번호 및 통화 연결 요청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를 입력받아서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고, 이에 대한 통화 연결 화면을 표시한다(S1010, S1020).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고객센터 단말기(150)로부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 설치된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센터 전화번호에 특수 문자가 포함된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생성한다(S1030, S1040). 여기서, 특수 문자는 특정 기호 및 특정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예를 들어, "#", "090", "#1" 및 "#2" 등)할 수 있고, 특수 문자 정보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키 버튼음 또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를 외부 서버인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고객센터 특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S1050, S1060).
콘텐츠 연결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을 표시한다(S1070). 즉, 통화 연결 화면을 통화 관련 콘텐츠를 연결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통화 관련 콘텐츠는 고객센터 전화번호와 관련된 통화 관련 웹페이지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는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웹페이지의 URL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데이터 통신망(130)을 통해 통화 관련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통화 관련 콘텐츠 연결 정보가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의 실행 정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 설치된 다수의 모바일 앱 중에서 통화 관련 모바일 앱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103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고객센터 단말기(150)로부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정보를 미수신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고객센터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 연결 중에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결합되어 상기 과정을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저장 및 설치됨으로써, 상기 과정을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음성 통화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수신부;
    콜 라우터 프로그램을 설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단말기 정보를 포함한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상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상담 화면에 포함된 다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정보 입력부;
    상기 전화 수신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면,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콜 라우터 설치 단말기 정보 테이블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상담 화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라우터 설치 정보를 추가하는 단말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고객센터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수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 문자 전송 메뉴를 상기 상담 화면에 추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상기 특수 문자 전송 메뉴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특수 문자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센터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수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특수 문자 전송 메뉴를 상기 상담 화면에 추가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상기 특수 문자 전송 메뉴의 선택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전화 수신부를 통해 상기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키 버튼음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센터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문자는 특수 기호 및 특수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센터 단말기.
KR1020150020021A 2015-02-10 2015-02-10 고객센터 단말기 KR20160097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1A KR20160097773A (ko) 2015-02-10 2015-02-10 고객센터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1A KR20160097773A (ko) 2015-02-10 2015-02-10 고객센터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73A true KR20160097773A (ko) 2016-08-18

Family

ID=5687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21A KR20160097773A (ko) 2015-02-10 2015-02-10 고객센터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7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9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voice communications through a social network
US1017167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all-based data communication
US1095869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atbot capable frameworks
US20080307501A1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US878753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CN113366812A (zh) 使用i/o装置的集合提供通信服务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20150117387A1 (en) Mobile devices having a common communication mode
US8180386B1 (en) Promoting push-to-talk communication
KR101879785B1 (ko) 보이는ars에서 웹/앱의 세션 연결과 전화채널을 동기화시켜주는 착신 연결 방법
US20130157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ssigning an active mobile telephone call from device to another device
US9154633B2 (en) Data communication
US8385962B1 (en) Push-to-talk voice messages
KR20160097773A (ko) 고객센터 단말기
KR20160097770A (ko) 전화 통화 중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60104261A (ko) 고객센터 단말기
KR20160104259A (ko) 전화 통화 중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N103139407B (zh) 互联网电话系统及其装置
JP6389024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70029975A (ko) 단말기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10002A (ko) 국제 식별 번호 선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996567B2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12765B1 (ko) 데이터 공유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 장치
JP6545467B2 (ja) 接続制御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50138B1 (ko)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