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152A -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152A
KR20160097152A KR1020160014813A KR20160014813A KR20160097152A KR 20160097152 A KR20160097152 A KR 20160097152A KR 1020160014813 A KR1020160014813 A KR 1020160014813A KR 20160014813 A KR20160014813 A KR 20160014813A KR 20160097152 A KR20160097152 A KR 2016009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or conversion
conversion film
group
light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안병인
신동목
김나리
서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09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LOR CONVERSION FILM AND BACK 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색변환 필름, 상기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V의 대면적화와 함께 고화질화, 슬림화, 고기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성능, 고화질의 OLED TV는 여전히 가격 경쟁력이 문제점이며, 이에 따라 아직 본격적인 시장은 열리지 않고 있다. 따라서, LCD로 OLED의 장점을 유사하게 확보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고 있다.
상기 노력의 하나로서, 최근 양자점 관련 기술 및 시제품이 많이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카드뮴 계열의 양자점은 사용 제한 등의 안전성 문제가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안전성 이슈가 없는 카드뮴이 없는 양자점을 적용한 백라이트 제조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본 출원은 색변환 필름, 상기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수지 매트릭스 형성용 수지;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포함함으로써 색변환 필름의 광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의 분산안정성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켜,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색변환 필름을 백라이트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분산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색변환 필름은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분산제 농도의 증가에 따른 색변환 필름의 광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1,000 ppm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TiO2와 같은 무기계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산제를 의미하며, 예컨대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acid ester) 계열의 분산제 등이 있다.
상기 광확산 입자로는 수지 매트릭스와 굴절율이 높은 입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탄탈륨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바륨 산화물, TiO2, SiO2, Al2O, 중공(hollow) SiO2, ZiO2, CeO2 등을 적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입자의 입경은 primary particle 의 D50 기준으로 50nm (0.05마이크로미터) 이상~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입자의 형태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코쿤 형태(cocoon shape)이나 응집된 형태(aggregated shape)도 무방하다. 광확산 입자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수지 매트릭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3 내지 30 중량부 범위내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확산 입자로는 친수처리된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로 처리된 TiO2, 구체적으로 DuPont社 TS-62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친수처리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첨가제에 의하여도 광확산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수십분 쉐이킹(shaking)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첨가한 샘플보다 오히려 더 분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가 첨가된 경우, 오히려 분산 안정성이 떨여지고, 색변환 필름 제조용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색변환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상태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보호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을 부착하기 위하여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필름 및 배리어 필름으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유기 형광체는 450 nm에서 발광 피크를 가지고 반치폭이 40 nm 이하이며 발광 강도 분포가 모노모달(monomodal)한 광 조사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출되는 광은 500 nm 내지 560 nm 의 파장에서 선택되는 파장을 갖는 녹색 광 또는 600 nm 내지 780 nm의 파장에서 선택되는 파장을 갖는 적색 광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형광체는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적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청색 광을 흡수하여 녹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청색 광, 녹색 광 및 적색 광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정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청색 광은 400 nm 내지 500 nm 의 파장에서 선택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고, 녹색 광은 500 nm 내지 560 nm 의 파장에서 선택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며, 적색 광은 600 nm 내지 780 nm 의 파장에서 선택되는 파장을 갖는 광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녹색 형광체는 청색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녹색 광을 방출하고, 적색 형광체는 청색 광 또는 녹색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적색 광을 방출한다. 예컨대, 적색 형광체는 청색 광 뿐만 아니라 500~600nm 사이의 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색변환 필름은 광 조사시 발광 파장의 반치폭이 60 nm 이하이다. 상기 반치폭은 상기 필름으로부터 발광한 빛의 최대 발광 피크에서 최대 높이의 절반일 때의 발광 피크의 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발광 피크의 반치폭은 필름 상태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반치폭 형성시 필름에 조사되는 광은 450 nm에서 발광 피크를 가지고 반치폭이 40 nm 이하이며 발광 강도 분포가 모노모달(monomodal)한 광일 수 있다. 상기 발광 피크의 반치폭은 상기 색변환 필름 내에 포함되는 유기 형광체, 수지 매트릭스 또는 그외 첨가제와 같은 성분들의 종류나 조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색변환 필름의 발광 피크의 반치폭은 작을수록 색재현율 향상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형광체로는 피로메텐 금속 착체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형광체로서 하기 화학식 1의 유기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 있어서,
X1 및 X2는 불소기 또는 알콕시기이고,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기, 알킬기, 알콕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알킬기,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COOR 또는 -COOR 치환 알킬기이고, 여기서 R은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알킬기, 카르복실기 치환 알킬기, -SO3Na, 또는 아릴알키닐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며,R1과 R5는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화수소 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4와 R6은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화수소 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7은 수소; 알킬기; 할로알킬기; 또는 할로겐기,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또는 알킬아릴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기, 염소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카르복실산 치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COOR, 또는 -COOR 치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1 내지 R4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염소기, 메틸기, 카르복실기 치환 에틸기, 메톡시기, 페닐기, 메톡시기 치환 페닐기 또는 -COOR 치환 메틸기이고, 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카르복실기 치환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SO3Na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에틸기, 카르복실기 치환 에틸기 또는 -SO3Na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R7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페닐, 메틸페닐, 디메틸페닐, 트리메틸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치환 나프틸, 디메틸플루오렌 치환 나프틸, 터페닐 치환 디메틸페닐, 메톡시페닐, 또는 디메톡시페닐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구조식들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상기 구조식 중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예컨대 Ar은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아릴기일 수 있다.
예컨대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은 용액 상태에서 490 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고 520 nm에서 최대 발광 피크를 갖는다.
Figure pat00006
다만, 상기 구조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형광체로서, 용액 상태에서 560-620 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갖고 600-650 nm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7
R11, R12 및 L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알킬아릴기, 알케닐기, 시클로알케닐기, 알키닐기, 수산기, 머캅토기, 알콕시기, 알콕시아릴기, 알킬티오기, 아릴에테르기, 아릴티오에테르기, 아릴기, 할로아릴기, 헤테로고리기, 할로겐, 할로알킬기, 할로알케닐기, 할로알키닐기, 시아노기, 알데히드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실릴기 또는 실록사닐기이거나, 인접한 치환기와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지방족의 탄화수소 또는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고,
M은 m가의 금속으로서, 붕소, 베릴륨, 마그네슘, 크롬, 철, 니켈, 구리, 아연 또는 백금이고,
Ar1 내지 Ar5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할로알킬기; 알킬아릴기; 아민기;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알케닐기; 또는 히드록시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구조식들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에서 예시한 형광체는 용액 상태에서 발광 피크의 반치폭이 40 nm 이하이고, 필름 상태에서의 발광 피크의 반치폭은 50nm 내외이다.
상기 유기 형광체의 함량은 수지 매트릭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재료는 열가소성 고분자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매트릭스의 재료로는 폴리비닐부티릴(PVB),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폴리(메트)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계(PC), 폴리스티렌계(PS), 폴리아릴렌계(PAR), 폴리우레탄계(TPU),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SAN),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PVDF), 개질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modified-PVD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UV 경화형 수지에 비하여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는 UV 경화과정에서 나오게 되는 UV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 형광체를 공격할 수 있는 라디칼 또는 양이온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UV 에너지 또는 라디칼이나 양이온에 의한 광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색변환 필름은 두께가 2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색변환 필름은 두께가 2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단위 부피 상에 포함되는 형광체 분자의 함량이 양자점에 비하여 높기 때문이다. 예컨대, 유기 형광체의 함량이 0.5wt% 가 적용된 5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색변환 필름은 청색 백라이트 유닛(blue BLU) 600 nit 의 휘도를 기준으로 4000 nit 이상의 높은 휘도를 보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색변환 필름은 일면에 기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기재는 상기 색변환 필름의 제조시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기재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투명하고, 상기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이나 두께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투명이란,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기재로는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색변환 필름은 유기 형광체가 용해된 수지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상에 코팅된 수지 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또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수지와 함께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용액에는 유기 형광체를 용해하기 전이나 후, 또는 용해와 동시에 광확산 입자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용액 중에는 전술한 유기 형광체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유기 형광체가 용액 중에 균질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분산공정을 필요로 하는 양자점 필름의 제조공정과는 상이하다.
상기 유기 형광체가 용해된 수지 용액은 용액 중에 전술한 유기 형광체와 수지가 녹아있는 상태라면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형광체가 용해된 수지 용액은 유기 형광체를 용매에 녹여 제1 용액을 준비하고, 수지를 용매에 녹여 제2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혼합할 때, 균질하게 섞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매에 유기 형광체와 수지를 동시에 첨가하여 녹이는 방법, 용매에 유기 형광체를 녹이고 이어서 수지를 첨가하여 녹이는 방법, 용매에 수지를 녹이고 이어서 유기 형광체를 첨가하여 녹이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액 중에 포함되는 유기 형광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용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로는 전술한 수지 매트릭스 재료, 이 수지 매트릭스 수지로 경화가능한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지 매트릭스 수지로 경화가능한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있으며, 이는 UV 경화에 의하여 수지 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가능한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경화에 필요한 개시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팅 공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추후 건조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톨루엔, 자일렌, 아세톤, 클로로포름, 각종 알코올계 용매, MEK(메틸에틸케톤),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EA(에틸에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 PGMEA(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아세테이트), 다이옥산(dioxane), DMF(디메틸포름아미드), DMAc(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SO(디메틸술폭사이드), NMP(N-메틸-피롤리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각각의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에 서로 상이한 종류의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들 용매는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상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확산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성이 높은 용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톨루엔(toluene)이나 크실렌(xylene) 보다 DMF(디메틸포름아미드),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MEK(메틸에틸케톤)dl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산제로서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 예컨대 DISPERBYK-111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분산제의 농도는 0 또는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산제는 1,000 ppm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유기 형광체가 용해된 수지 용액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공정은 롤투롤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가 권취된 롤로부터 기재를 푼 후, 상기 기재의 일면에 상기 유기 형광체가 용해된 수지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한 후, 이를 다시 롤에 권취하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수지 용액의 점도를 상기 공정이 가능한 범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200 내지 2,000 cps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방법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이(die) 코터가 사용될 수도 있고, 콤마(comma) 코터, 역콤마(reverse comma) 코터 등 다양한 바 코팅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코팅 이후에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건조 공정은 용매를 제거하기에 필요한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가 코팅 공정시 진행하는 방향으로, 코터에 인접하여 위치한 오븐에서 용매가 충분히 날아갈 조건으로 건조하여, 기재 위에 원하는 두께 및 농도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액 중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상기 수지 매트릭스 수지로 경화가능한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조 전에 또는 건조와 동시에 경화, 예컨대 UV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유기 형광체를 수지와 함께 압출하여 필름화하는 경우에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압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기 형광체를 폴리카보네이트계(PC), 폴리(메트)아크릴계,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SAN)와 같은 수지를 함께 압출함으로써 색변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전술한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백라이트 유닛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일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구조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측쇄형 광원(청색), 광원을 둘러싸는 반사판(녹색), 상기 광원으로부터 직접 발광하거나, 상기 반사판에서 반사된 빛을 유도하는 도광판(살구색),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구비된 반사층(하늘색),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반사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색변환 필름(흰색)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광판의 광분산 패턴이다. 도광판 내부로 유입된 광은 반사, 전반사, 굴절, 투과 등의 광학적 과정의 반복으로 불균일한 광분포를 가지는데, 이를 균일한 밝기로 유도하기 위하여 2차원 적인 광분산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광분산 패턴은 도광판 내부로 유입된 빛을 산란시켜 균일한 밝기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도 1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은 측쇄형 뿐만 아니라 직하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반사판이나 반사층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의 필름, 예컨대 광확산 필름, 집광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이 더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수지 매트릭스 형성용 수지;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의 구성 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할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매(DMF)에 광확산 입자(TiO2)를 넣고 분산제를 전혀 넣지 않은 상태에서 쉐이킹(shaking)을 한 후 분산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어서, 이 샘플을 이용하여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분산 상태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분산제를, 광확산 입자 100 중량% 대비, 0.75 중량%, 1.55 중량% 및 3.2 중량%를 각각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경시변화를 확인한 결과, 분산제를 넣은 경우 분산 안정성이 더 하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한 샘플의 분산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좌측 사진은 쉐이킹 후 분산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우측 사진은 하루가 경과된 후의 분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고,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농도가 1,000 ppm 이하인 것인 색변환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친수처리된 것인 색변환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입자는 실리카로 처리된 TiO2인 것인 색변환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필름은 상기 색변환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변환 필름은, 450 nm에서 발광 피크를 가지고 반치폭이 40 nm 이하이며 발광 강도 분포가 모노모달(monomodal)한 광 조사시, 발광 피크의 반치폭이 60 nm 이하인 것인 색변환 필름.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색변환 필름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수지 매트릭스 형성용 수지; 청색 또는 녹색 광을 흡수하여 흡수한 광과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형광체; 및 광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확산 입자 분산용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첨가제를 상기 광확산 입자 중량 대비 0.7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것인 색변환 필름 형성용 조성물.
KR1020160014813A 2015-02-06 2016-02-05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60097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951 2015-02-06
KR20150018951 2015-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152A true KR20160097152A (ko) 2016-08-17

Family

ID=5687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13A KR20160097152A (ko) 2015-02-06 2016-02-05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7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91A1 (ko) * 2021-05-11 2022-11-1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91A1 (ko) * 2021-05-11 2022-11-17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파장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053B1 (ko) 색변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535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8901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5350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7415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4892A (ko) 색변환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02052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892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7144A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7147A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22398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60094885A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45107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7152A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38742B1 (ko) 색변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7145A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60097143A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60094888A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20507921A (ja) 色変換フィルムを含む照明モジュール
KR102164759B1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94884A (ko) 색변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