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602A -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 - Google Patents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602A
KR20160096602A KR1020167014709A KR20167014709A KR20160096602A KR 20160096602 A KR20160096602 A KR 20160096602A KR 1020167014709 A KR1020167014709 A KR 1020167014709A KR 20167014709 A KR20167014709 A KR 20167014709A KR 20160096602 A KR20160096602 A KR 2016009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covering material
support member
resin layer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와타나베
나츠키 시라사와
히사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shear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5Shea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hin films,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은,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며, 제1 설치면을 갖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설치면을 갖고, 당해 제2 설치면이 상기 제1 설치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를 준비하는 스텝과, 상기 피복재를,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COATING MATERIAL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APPARATUS, COAT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COATING MATERIAL}
본 발명은,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 내장의 마무리재로서 화장 시트(예를 들어 벽지) 등의 피복재가 사용되어, 실내 공간에 장식성이 부여되고 있다. 화장 시트 중에서도, 섬유질 기재 위에 발포 수지층을 적층시킨 발포 적층 시트는, 유연성, 입체감이 있는 디자인, 시공면의 요철 흡수력, 보온성 등의 유용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리고, 이러한 벽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강도의 시험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JIS K7128-3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방법에서는, 시험편을 면 방향으로 인장하여, 인열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5011호 공보
그러나, 상기 검사 방법으로는, 피복재의 인장 강도에 관한 검사는 할 수 있지만,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전단 강도가 중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피복재의 시공 대상이 되는 하지에는 통상, 하지 보트끼리의 이음매(경계선)가 존재하고 있어, 지진 발생 시에는, 복수의 하지 보드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보다도, 인접하는 하지 보드가 서로 슬라이드하듯이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지진에 한정되지 않고, 하지 보드가 진동 등의 외력을 받을 때에는, 이러한 슬라이드 방향의 이동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의해 하지 보드에 부착된 피복재에는, 하지 보드의 이음매 부분에 따르는 전단 변위가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검사 방법으로는, 이러한 전단 변위를 실정에 충실하게 재현할 수 없어, 하지 보드에 부착된 피복재에 발생하는 변위를 재현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피복재에 대하여 전단 변위를 부여할 수 있는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은,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며, 제1 설치면을 갖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설치면을 갖고, 당해 제2 설치면이 상기 제1 설치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를 준비하는 스텝과, 상기 피복재를,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은, 인접하는 복수의 지지 부재에 걸쳐서 피복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피복재의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에서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를 인접시키고, 이들 지지 부재에 걸쳐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재를 부착한 후, 제2 지지 부재를,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피복재에 전단 방향의 변위를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복수의 하지 보드에 걸쳐서 피복재가 부착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의 실정에 따른 변위에 대한 내구성의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방법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를 사용하는 것 등에 의해, 대규모 장치의 준비나 측정 준비를 행하는 일 없이, 간이하게 검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고객측에 있어서 피복재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등, 제품의 데몬스트레이션을 행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접」이라는 문언은, 반드시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피복재에 전단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 양자 간에 간극이 있어도 된다. 또한, 「왕복 이동」이란, 주로 왕복 직선 운동을 의미하지만, 이것에 다른 방향의 이동, 예를 들어 양쪽 지지 부재가 근접 이격하는 방향이나, 상하 이동하는 방향이 부가되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반드시 직선적인 왕복 이동은 아니어도 된다.
상기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은 인접하고 있는 한, 그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은, 동일 평면 위에 배치하면, 평탄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하지 보드에 걸쳐서 피복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이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인접하는 하지 보드가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이들 하지 보드에 걸쳐서 피복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동일 평면 위에 있는 경우에 양자가 이루는 각을 180도라 하면, 이 이루는 각은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해도 되고, 180도보다 큰 각도로 해도 된다.
상기 검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일 방향의 이동 거리를 0.1 내지 20㎜로 할 수 있다.
상기 검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왕복 이동의 주기를, 0.1 내지 10초로 할 수 있다.
상기 검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피복재를, 인접하는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의 표면에, 당해 양쪽 지지 기판의 양쪽에 걸친 상태로 고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을, 각각,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복재를 간접적으로 상기 각 설치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복재는, 하지 보드 등의 지지 기판에,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 기판을 통하여 전단 변위가 피복재에 작용한다는, 현실에 보다 가까운 환경에서의 검사를 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을, 각각,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인접」이라는 문언은, 반드시 제1 지지 기판과 제2 지지 기판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만은 아니며, 피복재에 전단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 양자 간에 간극이 있어도 된다.
상기 검사 방법은,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검사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주택 내층의 마무리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도를 검사할 필요성이 높다.
상기 검사 방법은, 피복재로서 사용되는 시트체를 검사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시트체로서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형성한 적층 시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과, 형성된 상기 피복재의 일부를 검사용 샘플로서 취출하는 스텝과, 취출된 상기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 방법에 의해, 강도를 검사하는 스텝과,
소정의 강도를 만족한 상기 샘플이 취출된 상기 피복재를 제품으로서 인정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강도」란, 검사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피복재의 외관을 관찰하여, 피복재에 발생하는 파단에 의해 강도를 평가하는 경우, 피복재가 완전히 파단되어 분단된 상태를 「소정의 강도를 만족하지 않음」이라 인정하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피복재의 단부에 발생하는 경미한 파단은 「소정의 강도를 만족함」이라고 인정할 수도 있다.
상기 피복재가,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일 경우,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은, 발포제를 함유하는 수지체, 또는 발포제 함유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발포시키는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상기 피복재가,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갖는 적층 시트일 경우,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은,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이며, 제1 설치면을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설치면을 갖고, 당해 제2 설치면이 상기 제1 설치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와,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은, 상기 피복재가 당해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서, 당해 피복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설치면 및 상기 제2 설치면을, 동일 평면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주기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왕복 이동 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를, 인접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표면에, 당해 양쪽 기판의 양쪽에 걸친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을, 각각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복재는,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복재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갖고, 40㎜×40㎜의 정사각 형상의 상기 피복재를,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을 동일평면 위에 배치하고, 상기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일 방향의 이동 거리가 4㎜, 상기 왕복 이동의 주기가 0.5초, 상기 왕복 이동시키는 시간이 10초인 조건에서, 상기 검사 방법에 의해 검사를 행한 경우에, 분단되지 않는 피복재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건에서 검사를 행한 경우에, 상기 수지층에 발생하는 파단이, 당해 피복재의 의장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인 피복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피복재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으로서는, 적어도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재에 대하여 전단 방향의 변위를 부여한 강도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도가 우수한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용 샘플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제2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제2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검사용 샘플 및 검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6b는 검사용 샘플 및 검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6c는 검사용 샘플 및 검사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일부 정면도이다.
도 7은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검사 장치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검사 장치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검사 장치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복재의 검사 장치, 검사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검사 장치, 검사 방법에서는, 진동 등에 의해 피복재에 작용하는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한다.
<1. 피복재>
먼저, 검사 대상이 되는 피복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재는, 건조물 등의 내외의 벽면에 피복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벽지, 타일, 도막 등이 예시되지만, 여기에서는 그 일례로서, 건조물의 벽지로서 사용되는 적층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적층 구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시트는, 기재 위에, 적어도 수지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이 적층 시트에 있어서, 수지층은, 적어도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발포 수지층 이외에 하나 또는 복수의 층을 갖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재와 수지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기재와 발포 수지층의 사이에, 비발포 수지층 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적층 시트는, 수지층으로서, 발포 수지층 외에, 필요에 따라, 비발포 수지층 B, 비발포 수지층 A, 무늬 모양층, 및 표면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이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적층 구조의 일례로서, 기재/비발포 수지층 B/발포 수지층/비발포 수지층 A/무늬 모양층/표면 보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적층 시트에 있어서의 기재와는 반대측 표면에는,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한 요철 모양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 시트를 구성하는 각 층의 조성 및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2. 기재>
기재로서는, 섬유질 기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통상 벽지 용지로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질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 난연제, 무기질제, 건조지력 증강제, 습윤지력 증강제, 착색제, 사이즈제, 정착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섬유질 기재로서, 구체적으로는, 벽지용 일반지(펄프 주체의 시트를 사이즈제로 사이즈 처리한 것), 난연지(펄프 주체의 시트를 설파민산 구아니딘, 인산 구아디닌 등의 난연제로 처리한 것);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무기질지; 상질지; 박용지, 섬유 혼초지(합성 섬유와 펄프를 혼합하여 초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질 기재에는, 분류상, 부직포에 해당되는 것도 포함된다.
기재의 평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0 내지 300g/㎡ 정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g/㎡ 정도를 들 수 있다.
<1-3. 수지층>
수지층은, 기재의 상면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층이다. 수지층이 적어도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층인 경우에는, 발포 수지층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또한 발포 수지층 이외에, 비발포 수지층 B, 비발포 수지층 A, 무늬 모양층 및 표면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여도 된다.
수지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 수지층을 구성하는 각 층의 밀도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수지 성분의 종류, 발포 수지층 이외의 층의 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적층 시트로서의 강도를 충족시킨다는 관점에서, 수지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70 내지 110g/㎡, 바람직하게는 72 내지 100g/㎡이며, 또한 수지층에 포함되는 발포 수지층의 밀도가 0.1 내지 0.3g/㎤,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28g/㎤를 만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수지 성분의 종류, 발포 수지층 이외의 층의 수 등에 따라, 예를 들어 70 내지 700㎛,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를 들 수 있다.
<1-3-1. 발포 수지층>
발포 수지층은, 수지 성분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제 함유 수지층을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발포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적층 시트로서의 강도를 충족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수지 성분으로서, 1) 폴리에틸렌 및 2) 에틸렌과 α올레핀 이외의 성분을 단량체로 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이하, 「에틸렌 공중합체」라고 약기함)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수지층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에틸렌의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또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당해 공중합체의 공단량체로서 사용되는 α올레핀으로서는, 폴리올레핀에 구비하는 밀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발포 수지층의 수지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에틸렌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과,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는, 2개의 상이한 불포화 카르복실산이 탈수 축합한 혼성 산 무수물, 동일한 불포화 카르복실산 2분자가 탈수 축합한 대칭형 산 무수물, 및 2개의 카르복실기가 탈수 축합한 분자 내 환상 무수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하고, 다른 (메트)라고 기재된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발포 수지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발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발포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 포름아미드 등의 아조계; 옥시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OBSH), 파라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의 히드라지드계 등의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 마이크로 캡슐형 발포제; 중조 등의 무기계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 수지층에는, 난연성의 부여, 틈 발생 억제, 표면 특성 향상 등을 위해서, 필요에 따라 무기 충전제, 안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포 수지층에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가교제, 가교 보조제, 표면 처리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적층 시트에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도를 구비시키기 위해, 발포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서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발포 수지층을 가교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발포 전의 발포제 함유 수지층에 대하여 미리 가교 처리를 행한 후에, 당해 발포제 함유 수지층을 발포시키면 된다. 가교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선 가교, 화학 가교를 들 수 있다. 전자선 가교를 행하는 조건으로는, 구체적으로는, 가속 전압 100 내지 300k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kV로, 조사량을 10 내지 100kGy,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kGy로 설정하고, 전자선 조사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한, 화학 가교를 행하는 조건으로는, 구체적으로는, 디쿠밀퍼옥시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을 발포제 함유 수지층에 함유시켜, 온도 160 내지 180℃ 정도, 가열 시간 5 내지 10분간으로 가열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발포 수지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층 시트로서의 강도를 충족한다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300 내지 800㎛를 들 수 있다. 발포 수지층의 발포 전의 두께(즉, 발포제 함유 수지층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어 40 내지 200㎛를 들 수 있다.
발포 수지층은, 그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융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압출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기재 위, 또는 비발포 수지층 B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발포 수지층 B 위에 발포제 함유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가열에 의해 발포제를 발포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1-3-2. 비발포 수지층 B(접착 수지층)>
비발포 수지층 B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기재와 발포 수지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발포 수지층의 하면(기재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는 접착 수지층이다.
비발포 수지층 B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피복재로서의 강도를 충족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를 들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는 공지 또는 시판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발포 수지층 B에 사용되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에 있어서, 아세트산 비닐 성분(VA 성분)의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46질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1질량%를 들 수 있다.
비발포 수지층 B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50㎛ 정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정도를 들 수 있다.
비발포 수지층 B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용융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T다이 압출기에 의해 압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용융 수지를 동시에 압출함으로써 2층 이상의 동시 제막이 가능한 멀티 매니폴드 타입의 T다이를 사용하여, 발포제 함유 수지층과 비발포 수지층 B를 동시 압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 위에 도포 시공 등의 수단에 의해 비발포 수지층 B를 형성하고, 또한 발포 수지층 또는 발포제 함유 수지층을 접합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1-3-3. 비발포 수지층 A>
비발포 수지층 A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무늬 모양층을 형성할 때의 무늬 모양을 선명하게 하거나 발포 수지층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거나 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발포 수지층의 상면(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층이다.
비발포 수지층 A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수지 성분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술하는 전단 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도를 충족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발포 수지층 A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50㎛ 정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정도를 들 수 있다.
비발포 수지층 A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융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T다이 압출기에 의해 압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멀티매니폴드 타입의 T다이를 사용하여, 발포제 함유 수지층과 비발포 수지층 B를 동시 압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발포 수지층 A, 발포 수지층 및 비발포 수지층 B의 3개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3층의 동시 제막이 가능한 멀티매니폴드 타입의 T다이를 사용하여, 이들 3층을 동시 압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4. 무늬 모양층>
무늬 모양층은, 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적층 시트에 의장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발포 수지층(또는 비발포 수지층 A)의 상면에 형성되는 층이다.
무늬 모양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 모양, 돌 무늬 모양, 모래 무늬 모양, 바둑판 모양, 벽돌 적층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결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무늬 모양은, 적층 시트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무늬 모양층의 두께는, 무늬 모양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10㎛ 정도를 들 수 있다.
<1-3-5. 표면 보호층>
표면 보호층은, 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무늬 모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내오염성의 부여, 무늬 모양층의 표면에 광택 조정, 무늬 모양층의 보호 등을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무늬 모양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층이다.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에 대해서는, 열가소성 수지나 경화성 수지 등의 공지된 수지 성분 중으로부터, 적층 시트로서의 강도를 충족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성분을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화성 수지의 경화 반응의 타입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온 경화성 수지, 가열 경화성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1액 반응 경화성 수지, 2액 반응 경화성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액 반응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액 반응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경화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서, 가교제, 중합 개시제, 중합 촉진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표면 보호층은,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2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최표면에 경화 수지로 형성한 층이 형성되고, 그 하층에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한 층이 적층되어 있는 2층 구조여도 된다.
표면 보호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를 들 수 있다.
표면 보호층의 형성은, 사용하는 수지 성분의 종류에 따른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미리 제작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무늬 모양층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또한 무늬 모양층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제막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열경화성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콤마 코팅 등의 방법으로 발포 수지층(또는 비발포 수지층 A 또는 무늬 모양층)에 도포 시공한 후에, 필요에 따라 가열 등에 의해 당해 수지 조성물을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행해진다.
<1-3-6. 요철 모양>
이 적층 시트에,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표면(섬유질 기재와는 반대측 표면)에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한 요철 모양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엠보스 가공은, 엠보스 판의 가압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요철 모양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나무결판 도관 홈, 석판 표면 요철, 천 표면 텍스처, 배껍질 무늬, 모래 무늬, 헤어라인, 스트라이프 홈 등을 들 수 있다.
<1-4. 부착 대상>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 적층 시트를 비롯한 피복재는, 다양한 건조물의 내벽면에 부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내장용 하지 보드(지지 기판)에 부착된다. 이러한 내장용 하지 보드의 소재의 종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석고보드, 합판,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적층 시트를 비롯한 피복재를 내장용 하지 보드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전분계 호제 등의 접착제나 점착제를 사용한 종래의 벽지 부착 방법과 동일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하지 보드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설치하고, 이들 하지 보드 전체를 덮도록 피복재가 부착된다. 그로 인해, 피복재는, 인접하는 하지 보드 사이의 이음매를 덮도록 부착된다.
<2. 검사용 샘플의 준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방법에서는, 상술한 피복재의 전단 강도를 검사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피복재를 형성한 후, 그 일부를 검사용 샘플로서 취출한다. 그 때, 후술하는 검사 장치에 피복재를 직접 부착하여 검사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하지 보드에 피복재를 부착하고, 이것을 검사용 샘플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용 샘플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정면도이다.
그 때, 먼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하지 보드를 준비하고, 이것들을 인접시킨다. 그리고,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하지 보드(101, 102)의 상면에 걸치도록, 상술한 피복재(100)를 부착한다. 이때, 인접시킨 양쪽 하지 보드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피복재를 잘라내고, 이것을 양쪽 하지 보드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한다. 단, 피복재의 크기와, 하지 보드의 크기를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해서 제작한 샘플을 사용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검사 장치로 피복재의 전단 강도를 검사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a 및 도 1b의 좌측에 배치한 하지 보드를 제1 하지 보드(101), 우측에 배치한 하지 보드를 제2 하지 보드(102)라고 칭하기로 한다.
<3. 검사 장치>
이어서, 상술한 피복재에 전단 변위를 부여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검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상하 방향을 「전후」, 도 2의 좌우 방향을 「좌우」, 도 2의 지면 방향을 「상하」라고 칭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장치는, 판상의 베이스(1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베이스(10) 위에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 제1 지지 부재(1) 및 제2 지지 부재(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10) 위에는,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10) 위의 좌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1)의 상면은 제1 설치면(11)을 구성하고, 상술한 제1 하지 보드(101)가 고정된다. 제1 하지 보드(101)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설치면(11)에는 제1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 기구는, 제1 설치면(11)의 전단부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고정 부재(41), 제1 설치면(11)의 좌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가압 부재(51), 제1 설치면(11)의 후단부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가압 부재(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정 부재(4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2군데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볼트(411)에 의해 제1 설치면(1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411)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제1 고정 부재(41)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의 2군데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5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 구멍(511)에는 볼트(512)가 삽입 관통되어, 제1 설치면(11)에 나사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압 부재(51)는 관통 구멍(511)의 좌우 방향 길이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지지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지지구(6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611)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조작 부재(71)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71)는 홈부(611)에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본체부(711)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부(711)에 있어서 제1 지지구(61)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원통 형상의 파지부(7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711)의 축방향의 중간부에는 원통 형상의 스토퍼(713)가 설치되어 있고, 파지부(712)와 스토퍼(713)로 제1 지지구(61)를 물도록 배치되어 있다. 파지부(712) 및 스토퍼(713)의 직경은 모두 홈부(611)의 내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1조작 부재(7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1 지지구(6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711)의 우측 선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압 부재(51)의 좌측 단부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파지부(712)를 파지하고, 제1 조작 부재(71)의 수나사가 제1 가압 부재(51)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가압 부재(51)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것과 반대측으로 제1조작 부재(71)를 회전시키면, 제1 가압 부재(51)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제2 가압 부재(5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가압 부재(5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전후의 2군데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521)을 갖고 있으며, 각 관통 구멍(521)에 삽입 관통된 볼트(522)가 제1 설치면(11)에 비틀어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제2 가압 부재(52)는 관통 구멍(521)의 전후 방향의 길이만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압 부재(52)도, 제1 가압 부재(51)와 마찬가지의 기구이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 지지 부재(1)의 후단부에는 제2지지구(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지지구(6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621)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조작 부재(72)가 지지되어 있다. 제2 조작 부재(72)는 제1조작 부재(7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홈부(621)에 지지되는 막대 형상의 본체부(721), 원통 형상의 파지부(722) 및 원통 형상의 스토퍼(7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721)의 전단부의 수나사가 제2 가압 부재(52)의 후방측 단부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조작 부재(72)를 회전시키면, 제2 가압 부재(5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제1 고정 부재(41), 제1 가압 부재(51), 및 제2 가압 부재(52)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 형상의 제1 설치 영역(110)에, 제1 하지 보드(101)가 설치된다. 제1 하지 보드(101)는, 그 단부면이 제1 가압 부재(51) 및 제2 가압 부재(52)에 가압되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2 지지 부재(2)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10)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8)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지지 부재(2)는, 이 레일(8) 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2 지지 부재(2)는, 베이스(10)의 우측에서, 제1 지지 부재(1)와 약간의 간극을 두고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레일(8)을 따라 직선 상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의 상면은 제2 설치면(21)을 구성하고, 제1 설치면(11)과 동일 평면 위에 있도록 상하 방향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설치면(21)에는, 제2 하지 보드(102)가 고정된다.
제2 설치면(21)에도, 제1 고정 기구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제2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고정 기구는, 제2 설치면(21)의 전단부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고정 부재(42), 제2 설치면(21)의 우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고정 부재(43), 제2 설치면(21)의 후단부측에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가압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고정 부재(42) 및 제3 고정 부재(43)는, 제1 고정 부재(4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각각, 좌우 방향,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고정 부재(42)는 전후 방향의 위치를, 제3 고정 부재(43)는 좌우 방향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3 가압 부재(53)는 제2 가압 부재(5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제2 지지 부재(2)의 후단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3 가압 부재(5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지지구(63) 및 제3 조작 부재(73)도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제2 지지구(62) 및 제2 조작 부재(7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제3 지지구(63)는 제2 지지 부재(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3 지지구(63)에 제3 조작 부재(73)가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제2 고정 부재(42), 제3 고정 부재(43) 및 제3 가압 부재(53)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 형상의 제2 설치 영역(210)에, 제2 하지 보드(102)가 설치되고, 제3 가압 부재(53)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제2 설치 영역(210)은, 제1 설치면(11)의 제1 설치 영역(110)과 함께 직사각 형상의 보드 설치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의 전단부에는, 베이스(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25)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막대 형상의 조작체(33)가 삽입 관통되는 걸림 결합부(2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26)는 돌출부(25)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2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61)은 걸림 결합부(26)가 연장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구동부(3)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10)의 전단부에는, 제1 지지 부재(1)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105)에는, 모터(31)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31)의 회전축(311)은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전달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31)의 회전축(311)은 전달 부재(32)의 좌측 단부면의 축심 S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달 부재(32)의 우측 단부면에는, 축심 S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상술한 막대 형상의 조작체(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체(33)가 걸림 결합부(26)의 관통 구멍(26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31)가 회전하면, 조작체(33)는 모터(31)의 회전축(31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원을 그리듯이 회전한다. 그 결과, 걸림 결합부(26)는, 조작체(33)의 회전에 수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걸림 결합부(26)의 관통 구멍(26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기 때문에, 조작체(3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은 이 긴 구멍에 의해 흡수되며, 전후 방향의 움직임만이 걸림 결합부(26), 돌출부(25)를 통하여 제2 지지 부재(2)에 전달된다.
또한, 전달 부재(32)에 있어서의 조작체(33)의 직경 방향의 위치는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조작체(33)가 그리는 원의 반경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지지 부재(2)의 왕복 이동의 진폭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모터(31)는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모터(31)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제2 지지 부재(2)의 왕복 이동 주기를 조정할 수 있다.
<4. 피복재의 검사 방법>
계속해서, 상기 검사 장치를 사용한 피복재(100)의 검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검사는, 검사 장치의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피복재(100)에 대하여 전단 변위를 작용시켜, 피복재(100)가 파단되지 않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복재(100)는, 인접하는 하지 보드 사이의 이음매를 덮도록 부착되지만,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하지 보드가 진동을 받으면, 하지 보드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하지 보드는, 이음매를 따라 상하 이동한다. 그로 인해, 피복재(100)에는, 이음매에 따른 전단 변위가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방법은, 이러한 피복재(100)가 받는 전단 변위를 재현하여, 피복재(100)가 받는 영향을 검사하는 것이다.
검사에 앞서, 먼저, 검사 조건을 결정해 둔다. 구체적으로는, 전단 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지지 부재(2)의 이동 거리, 왕복 이동의 주기, 및 왕복 이동의 범위이다. 이동 거리는, 제2 지지 부재(2)의 전후 방향의 일 방향의 이동 거리이며, 지진을 상정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0.1 내지 20㎜의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왕복 이동의 주기란, 제2 지지 부재(2)가 1왕복하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며, 지진을 상정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0.1 내지 10초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왕복 이동의 범위란,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제2 지지 부재(2)가 왕복 이동을 행하는 범위이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와 제2 지지 부재(2)의 후단부끼리를 일치시키고, 여기에서부터 전방으로 제2 지지 부재(2)를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왕복 이동을 하게 하면, 피복재(100)는 전방으로만 전단 변위를 받도록 설정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1)와 제2 지지 부재(2)의 후단부끼리를 일치시키고, 이 위치를 왕복 이동의 중간 지점으로 하면, 제2 지지 부재(2)는 왕복 이동에 의해,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피복재(100)는, 전방 및 후방으로의 전단 변위를 받도록 설정된다. 왕복 이동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제2 고정 기구로 제2 하지 보드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과 함께, 전달 부재(32)를 회전시켜, 모터 구동 시의 초기 위치를 변경한다.
이렇게 해서, 검사 조건을 결정한 후, 상술한 샘플을 보드 설치 영역에 배치한다. 즉, 제1 하지 보드(101)를 제1 설치 영역(110)에 배치하고, 제2 하지 보드(102)를 제2 설치 영역(210)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 기구에 의해, 이들 하지 보드(101, 102)를 설치 영역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모터(31)를 구동하여,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하지 보드(102)가 제1 하지 보드(101)와 인접한 상태에서 왕복 이동을 행한다. 그로 인해, 양쪽 하지 보드(101, 102)에 접착되어 있는 피복재(100) 중, 제2 하지 보드(102)에 접착되어 있는 부분이 왕복 이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양쪽 하지 보드(101, 102)의 이음매를 따라, 피복재(100)에 대하여 면 방향의 전단 변위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이렇게 피복재(100)에 대하여 소정 시간, 전단 변위를 발생시킨 후, 모터(31)를 정지한다. 이때의 모터(31)의 구동 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3600초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재(100)의 상태를 육안으로 검사한다. 판정 기준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6단계의 기준을 설정하고,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인 것을, 전단 변위에 대한 강도가 우수한 제품으로서 출하 가능한 제품으로 인정할 수 있다.
0 검사용 샘플이 완전히 파단되어, 결과로서 피복재가 2개로 분단되어 있음.
1 파단이 눈에 띄어, 의장감이 손상되어 있음.
2 단부에 경미한 파단이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없음.
3 주름이 눈에 띄지만,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음.
4 주름이 국소적으로 관찰되지만, 의장감은 크게 손상되지 않았음.
5 검사 전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변화가 거의 없음.
또한, 피복재(100)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적층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재 위에 수지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를 갖고 있지만, 벽지로서 사용한 경우, 예를 들어 지진에 의한 진동을 받았을 때에는, 기재가 파단되어도, 수지층이 파단되지 않았으면, 외관상은 손상을 받지 않은 것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라면, 제품으로서는 문제없다고 생각되므로, 기재가 파단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표면(수지층측의 면)을 관찰한 결과가 상기 기준의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인 것을, 출하 가능한 제품으로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기준인 0 또는 1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시간을 평가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0㎜×40㎜의 정사각 형상의 피복재를, 제2 지지 부재(2)의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일 방향의 이동 거리가 4㎜, 왕복 이동의 주기가 0.5초인 조건 하에서, 검사 시간 10초를 경과해도 분단이 일어나지 않는 피복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의장감을 손상시키는 파단을 일으키지 않는 피복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단이 일어나지 않는 피복재를, 전단 변위에 대한 강도가 우수한 피복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러한 샘플이 취출된 피복재(제조 로트 등)를 제품으로서 출하 가능하다고 인정할 수 있다. 특히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갖는 피복재이며,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주택 내장의 마무리재로서 유용하다.
<5.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 등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5-1>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는,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 2) 중 적어도 한쪽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제2 지지 부재(2)가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모터(31)는, 제1 또는 제2 지지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면 된다. 또한, 모터(31)를 2개 준비하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의 양쪽을 구동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5-2>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는,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으로서, 모터(31), 전달 부재(32), 조작체(33)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볼 나사, 실린더,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의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적인 동력에 의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다양한 변형 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5-3>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는, 제1 지지 부재(1)와 제2 지지 부재(2)는, 제1 설치면(11)과 제2 설치면(21)이 동일 평면 위에 있도록 위치가 정해져 있지만, 이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설치면(11, 21)이 인접하고 있는 한, 이들이 이루는 각도 α가 90도가 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a에서는, 제2 지지 부재(2)를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제2 하지 보드(102)의 우측 면을 제2 지지 부재(2)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하지 보드(101, 102)를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이들에 피복재(100)가 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서는, 제2 지지 부재(2)를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하였지만, 이들 지지 부재(1, 2)에 피복재(100)를 직접 부착하고 있다. 이것들과 같이 양쪽 설치면(11, 12)을 배치함으로써, 인접하는 하지 보드가 직교하는 각을 갖는 내벽(코너 안쪽)에 부착된 피복재에 대하여, 전단 변위의 검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설치면(11, 21)이 동일 평면 위에 있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지 보드(101, 102)를 직교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같은 취지의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지지 부재 또는 하지 보드끼리 이루는 각도 α를 90도로 하고 있지만,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α를 90도보다 작게 하거나, 또는 90도보다 크고, 나아가 180도보다 커지도록, 상정되는 피복재의 설치 상황에 따라, 지지 부재 또는 하지 보드끼리 이루는 각을 설정할 수 있다.
<5-4>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장치에서는, 제2 지지 부재(2)가, 제1 지지 부재(1)의 단부면과 평행하게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지만, 반드시 평행하게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현하는 시험 조건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2)의 이동 방향 X2를, 제1 지지 부재(1)의 단부면에 평행한 방향 X1로부터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는 반드시 직선형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의 이동 방향 X3을 곡선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지지 부재(2)가 동 도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2 지지 부재(2)를 제1 지지 부재(1)에 근접시킨 후(2-1로부터 2-2로의 이동), 이격시킨다(2-2로부터 2-3으로의 이동). 이 경우, 제2 지지 부재의 구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베이스(10) 위에 곡선 형상의 레일을 배치하고, 이 레일 위에 제2 지지 부재(2)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면 된다.
<5-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지지 부재(2)가 베이스(10) 위를 왕복 이동하게 구성하고, 피복재(100)에 대하여 1종류의 변위를 부여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보다복잡한 변위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위에 제1 지지 부재(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형의 제1 레일(81)을 설치함과 함께, 이 제1 레일(81) 위에 판상의 가동 부재(83)를 배치하고, 제1 레일(81) 위를 가동 부재(83)가 왕복 이동하도록 한다. 가동 부재(83)의 구동 방식으로서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 위에 배치한 모터, 전달 부재, 조작체 및 걸림 결합부와 같은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83)의 상면에, 또한 제1 지지 부재(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2 레일(82)을 설치함과 함께, 이 제2 레일(82) 위에 제2 지지 부재(2)를 배치하고, 제2 레일(82) 위를 제2 지지 부재(2)가 왕복 이동하도록 한다. 제2 지지 부재(2)의 구동은, 가동 부재(83)와 마찬가지지만, 모터 등은 주로 가동 부재(83) 위에 배치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피복재(100)에는, 제2 지지 부재(2)의 왕복 이동에 의한 변위와, 가동 부재(83)의 왕복 이동에 의한 변위를 조합시킨 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폭이나 진동수 등의 진동 조건을, 제2 지지 부재(2)와 가동 부재(83)에 있어,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변위를 중첩시킨 듯한 복잡한 변위가 발생한 상황을 재현할 수 있고, 보다 현실에 입각한 시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예에서는, 2종류의 변위가 발생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3종류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가동 부재를 설치하고, 각 가동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2)가 각각 독립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83)의 이동 방향과, 제2 지지 부재(2)의 이동 방향은,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되고,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레일(82)을 제1 레일(81)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제2 지지 부재(2)가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복재(100)에 대하여 전단 방향과, 그것과는 상이한 인장 방향이 조합된 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를 곡선 형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2 지지 부재(2)가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근접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2 지지 부재(2)는 가동 부재(83)와 함께, 제1 지지 부재(1)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제2 지지 부재(2)는 제1 지지 부재(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피복재(100)에 대하여 전단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져,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를, 제1 지지 부재(1)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과 함께, 가동 부재(83)를 그것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레일(81)과 제2 레일(82)의 교차 각도는, 상기와 같은 직교 이외에 다양한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5-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 평면 상에서 제2 지지 부재(2)가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2 지지 부재(2)가 상하 방향도 포함한 입체적인 이동을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위에 곡면 형상의 오목부(115)를 상면에 갖는 지지대(111)를 배치한다. 이 오목부(115)의 표면은, 단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115)의 표면을 따라 복수의 롤러(112)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과 함께, 각 롤러(112)와 접촉하도록 제2 지지 부재(2)를 배치한다. 이 제2 지지 부재(2)의 저면에는, 각 롤러(112)와 접하도록, 아래로 볼록한 곡면(114)을 갖는 돌출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114)은 상술한 오목부(115)와 대응하도록,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에 형성된 돌출부(113)가, 롤러(112)를 개재하여 오목부(115)를 따라 왕복 이동함과 함께, 오목부(115)의 곡률 반경의 중심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한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1)를 따르는 전단 방향의 왕복 이동에 더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움직임을 부가한 변위를, 피복재(100)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위를 부여하기 위한 기구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5-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10) 위에 양쪽 지지 부재(1, 2)를 배치하고 있지만, 베이스를 사용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1)에 레일을 설치하고, 이것에 제2 지지 부재(2)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5-8>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검사 방법에서는, 피복재(100)를 하지 보드(101, 102)에 부착하고, 이것을 샘플로 하였다. 즉, 피복재(100)를 간접적으로 양쪽 설치면(11, 21)에 고정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피복재(100)를 검사 장치의 양쪽 설치면(11, 21)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5-9>
각 지지 부재(1, 2)의 설치면(11, 21)에 하지 보드를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고정 기구 외에, 공지된 클램프 기구 등,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5-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지지 부재(1, 2)의 사이에 간극을 둔 상태에서, 이들을 인접시키고 있지만,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양쪽 지지 부재(1, 2)가 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피복재에 실용적인 전단 변위를 작용시킬 수 있는 간극일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간극을 형성하면, 이 간극에 2개의 하지 보드(101, 102)의 이음매를 위치 결정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 보드(101, 102)의 이음매는 반드시 지지 부재(1, 2) 사이의 간극의 위치에 배치할 필요는 없지만, 간극에 배치하지 않으면, 이음매가 어느 한쪽의 지지 부재(1, 2) 위에 배치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2 지지 부재(2)가 어느 한쪽의 하지 보드(101, 102)로부터 마찰 저항을 받으면서 전단 변위하게 되어, 제2 지지 부재(2)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섬유질 기재 위에 발포 수지층을 적층한 벽지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에 대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2개의 조건에 의해 강도 검사를 행하였다. 조건 1에 의한 검사에서는,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관한 적층 시트를 사용하고, 조건 2에 의한 검사에서는, 실시예 3과 비교예 2에 관한 적층 시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2 모두, 섬유질 기재로서 벽지용 일반지를 사용하였다. 한편, 발포 수지층의 수지로서, 실시예 1, 3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실시예 2에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1, 2에서는, 염화 비닐계 수지를 사용하였다.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01
또한, 검사에 사용한 적층 시트의 시험편은, 세로 방향 10㎝, 가로 방향 5㎝, 두께 9.5㎜의 2개의 석고보드에 부착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검사를 행하였다. 이때, 2개의 석고보드의 10㎝의 변끼리를 맞댄 상태에서, 그 상면에 대하여 대략 균등해지도록 시험편을 접착하였다. 이렇게 하여 준비한 샘플을 사용하여, 상기 조건, 및 이하의 관찰 방법 및 평가 기준에 의해 검사를 행하였다.
<관찰 방법>
샘플의 중심 부분에 대하여 45도의 방향으로, 50㎝의 거리로부터, 육안에 의해 외관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0 검사용 샘플이 완전히 파단되어, 결과로서 2개의 시트로 분단되었음.
1 파단이 눈에 띄고, 의장감이 손상되었음.
2 단부에 경미한 파단이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없음.
3 주름이 눈에 띄지만, 파단은 발생하지 않았음.
4 주름이 국소적으로 관찰되지만, 의장감은 크게 손상되지 않았음.
5 검사 전과 비교하여, 외관상의 변화가 거의 없음.
결과는 이하와 같다.
Figure pct00002
그 결과, 염화 비닐계 수지를 발포 수지로서 사용한 적층 시트는, 면 방향의 전단 변위를 받으면, 파단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상하 방향의 진동이 하지 보드에 작용하면, 거기에 피복되어 있는 비교예와 같은 적층 시트는 파단될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3은, 상기 검사에 있어서도 파단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에 관한 적층 시트는, 지진 등에 의해 전단 변위를 받아도, 파단되기 어려워, 외관 성상이 유지되기 쉬움을 알 수 있었다.
1: 제1 지지 부재
11: 제1 설치면
2: 제2 지지 부재
21: 제2 설치면
3: 구동부

Claims (20)

  1.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방법이며,
    제1 설치면을 갖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설치면을 갖고, 당해 제2 설치면이 상기 제1 설치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를 준비하는 스텝과,
    상기 피복재를,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상기 제2 설치면은, 동일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검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일 방향의 이동 거리가 0.1 내지 20㎜인, 검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의 주기가 0.1 내지 10초인, 검사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를, 인접하는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의 표면에, 당해 양쪽 지지 기판의 양쪽에 걸친 상태로 고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기판 및 제2 지지 기판을, 각각,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복재를 간접적으로 상기 각 설치면에 고정하는, 검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검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시트체인, 검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체가,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갖는 적층 시트인, 검사 방법.
  9.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과,
    형성된 상기 피복재의 일부를 검사용 샘플로서 취출하는 스텝과,
    취출된 상기 샘플에 대하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사 방법에 의해, 강도를 검사하는 스텝과,
    소정의 강도를 만족한 상기 샘플이 취출된 상기 피복재를 제품으로서 인정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는, 피복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이, 발포 수지체 또는 발포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피복재의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를 형성하는 스텝이,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피복재의 제조 방법.
  12. 피복재의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이며,
    제1 설치면을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설치면을 갖고, 당해 제2 설치면이 상기 제1 설치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와,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설치면과 제2 설치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은, 상기 피복재가 당해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서, 당해 피복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면 및 상기 제2 설치면은 동일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검사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사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검사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주기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검사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왕복 이동 범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검사 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인접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표면에, 당해 양쪽 기판의 양쪽에 걸친 상태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설치면 및 제2 설치면은, 각각,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사 장치.
  19.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재.
  20. 기재의 한쪽 면에 적어도 수지층을 갖는 피복재이며,
    40㎜×40㎜의 정사각 형상의 상기 피복재를, 상기 왕복 이동에 있어서의 일방향의 이동 거리가 4㎜, 상기 왕복 이동의 주기가 0.5초, 상기 왕복 이동시키는 시간이 10초인 조건에서, 제2항에 기재된 검사 방법에 의해 검사를 행한 경우에, 분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재.
KR1020167014709A 2013-12-09 2014-12-04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 KR20160096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4587 2013-12-09
JP2013254587 2013-12-09
PCT/JP2014/082133 WO2015087777A1 (ja) 2013-12-09 2014-12-04 被覆材の検査方法、検査装置、被覆材の製造方法、及び被覆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602A true KR20160096602A (ko) 2016-08-16

Family

ID=533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09A KR20160096602A (ko) 2013-12-09 2014-12-04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81918A4 (ko)
JP (1) JP6350545B2 (ko)
KR (1) KR20160096602A (ko)
CN (1) CN105814432A (ko)
RU (1) RU2665353C1 (ko)
WO (1) WO2015087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1918A4 (en) * 2013-12-09 2017-08-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ating material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apparatus, coat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coating material
CN110887785B (zh) * 2019-11-26 2021-12-24 湖北北新建材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板材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011A (ja) 1999-03-09 2000-09-19 Toppan Printing Co Ltd 発泡化粧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6586A1 (ru) * 1948-10-31 1949-11-30 В.А. Чекмарев Прибор дл определени стойкости ткани на износ
JPS5124183U (ko) * 1974-08-05 1976-02-21
US4823611A (en) * 1987-11-18 1989-04-25 Young Robert T Ceramic tile shear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SU1718032A1 (ru) * 1990-01-30 1992-03-0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механизации и автоматизации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шин для хлопководства "Технолог"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покрытий на трение и износ
JP2005148057A (ja) * 2003-10-20 2005-06-09 Daicel Chem Ind Ltd 高速引張試験機
US8061214B2 (en) * 2008-05-08 2011-11-2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iaxial stress, sheer, permeability, and peel test method and machine to conduct the same
JP2010085139A (ja) * 2008-09-30 2010-04-15 Hitachi Ltd 薄膜試験装置
CN202041427U (zh) * 2011-03-04 2011-11-16 立邦涂料(中国)有限公司 一种弹性涂料的测试装置
JP5773788B2 (ja) * 2011-07-27 2015-09-02 パナホーム株式会社 表面仕上材のせん断変形を再現する装置
JP5360280B1 (ja) * 2012-09-27 2013-1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泡積層シート
JP5673731B2 (ja) * 2013-05-16 2015-02-18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被覆材料の寿命検査方法
EP3081918A4 (en) * 2013-12-09 2017-08-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Coating material inspection method, inspection apparatus, coat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coat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011A (ja) 1999-03-09 2000-09-19 Toppan Printing Co Ltd 発泡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1918A4 (en) 2017-08-23
EP3081918A1 (en) 2016-10-19
JPWO2015087777A1 (ja) 2017-03-16
CN105814432A (zh) 2016-07-27
JP6350545B2 (ja) 2018-07-04
RU2665353C1 (ru) 2018-08-29
WO2015087777A1 (ja)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8083C2 (ru) Вспененный многослойный лист
RU2670847C1 (ru)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EP2003235B1 (en) Molded object having nonwoven fibrous structure
KR20170140110A (ko)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10196828B2 (en) Floor underlayment having self-sealing vapor barrier
AU2013242212B2 (en) Multilayer surface covering
KR20160096602A (ko) 피복재의 검사 방법, 검사 장치, 피복재의 제조 방법, 및 피복재
US7984788B2 (en) Laminated acoustic absorption sheet with flame retardant
JP6423136B2 (ja) 床用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床材
JP2008303593A (ja) 畳構成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薄畳
JP2014069577A (ja) 発泡積層シート
KR20190104801A (ko) 샌드위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204604A (ja) 複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01073A (ja) ハニカムコア材を芯材とする積層構造体
JP5934133B2 (ja) 複合発泡体
JP2005320704A (ja) 薄畳
PT1972436E (pt) Método de produção películas de material sintético com várias camadas
KR20150002201U (ko) 목모보드 복합흡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