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903A -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903A
KR20160095903A KR1020150017467A KR20150017467A KR20160095903A KR 20160095903 A KR20160095903 A KR 20160095903A KR 1020150017467 A KR1020150017467 A KR 1020150017467A KR 20150017467 A KR20150017467 A KR 20150017467A KR 20160095903 A KR20160095903 A KR 20160095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ent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903A/ko
Priority to US15/013,370 priority patent/US9955288B2/en
Publication of KR2016009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이 결정된 그룹으로 상기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편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광고 콘텐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매장 안에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판매 제품을 광고하기 위해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고객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다양한 광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트 정보를 배포하거나, 콘텐트 정보를 배포한 후 업데이트된 콘텐트 정보를 재배포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콘텐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이 결정된 그룹으로 상기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그룹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 사이의 관계인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그룹별 콘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이 결정된 그룹으로 상기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그룹핑(grouping)하는 예시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그룹핑된 경우,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각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전자 기기가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한 후,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업데이트되는 콘텐트 정보의 예시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와 같이 전자 기기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배포하고, 도 6과 같이 전자 기기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와 같이 전자 기기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배포하고, 도 10과 같이 전자 기기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 전자 기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출력하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UI의 예시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화면 상에 출력하는 그룹핑을 위한 UI의 예시들이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고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15)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각각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FED(Field Emission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VFD(Vacuum Fluorescence Display) 디스플레이,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디스플레이, FPD(Flat Panel Display)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복수 개로 존재하고, 하나의 큰 스크린을 형성하는 하나의 통합된 디스플레이 장치처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근거리 네트워크(15)는 소정 거리에 있는 전자 기기(10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 등의 전자 장치들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근거리 네트워크(15)의 예로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 웨이브(Z wav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를 생성, 변경, 저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를 직접 생성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콘텐트는 디지털 정보이며, 동영상 콘텐트(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트(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 콘텐트(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음악 콘텐트(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콘텐트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 저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와 마찬가지로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 역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란, 콘텐트의 출력 시간, 출력 순서, 출력 규칙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콘텐트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 저장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복수의 콘텐트들의 개수, 출력 순서, 출력 규칙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트 정보"는 콘텐트 및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15)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 기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D1~D5)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D5)를 검색할 수 있다. 초기에 제1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D5)는 아무런 콘텐트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5개의 디스플레이 장치(D1~D5)를 도시하였으나, 도 2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의 개수나 배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그룹핑(grouping)하는 예시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10)를 출력할 수 있다. UI(1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나타내는 검색 리스트(11) 및 그룹핑 메뉴(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초기에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에 어떤 그룹핑도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에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가 없을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D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5)를 묶어 제1 그룹(G1)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들(D2~D4)을 묶어 제2 그룹(G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를 통해 동일한 콘텐트 정보를 배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묶어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그룹핑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의 그룹핑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도 3(b)에서는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이 "G1", "G2"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룹명은 문자, 숫자, 도형 및 색상 등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룹명은 디폴트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에 각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그룹명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그룹(G1)의 그룹명은 "벽면", 제2 그룹(G2)의 그룹명은 "전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그룹명이 매장 내 설치 위치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에 출력되는 UI(10)는 하나의 예시이며,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그룹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그룹핑된 경우,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각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도 3에 도시된 그룹핑과 같이, 제1 그룹(G1)의 멤버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이고, 제2 그룹(G2)의 멤버는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이다.
전자 기기(100)는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1,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전자 기기(100)는 결정된 그룹으로 결정된 그룹의 콘텐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그룹(G1, G2)에 대한 콘텐트 정보(CD1,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100)는 각 그룹(G1, G2)별 콘텐트 정보(CD1,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UI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그룹(G1, G2)별 콘텐트 정보(CD1, CD2)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100)는 그룹(G1, G2)별 콘텐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도 4와 같은 테이블 형태의 UI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그룹(G1, G2)별 콘텐트 정보(CD1, CD2)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각 그룹(G1, G2)에 대한 콘텐트 정보(CD1,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전자 기기가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1, CD2)를 전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각 그룹(G1, G2)별 멤버, 콘텐트 정보,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는 예시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한 후,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1, CD2)를 전달하기로 결정한 후, 전자 기기(100)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2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D4)로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인 제1 콘텐트 정보(CD1)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로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인 제2 콘텐트 정보(CD2)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D4)는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콘텐트 정보(CD1)에 기초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2 콘텐트 정보(CD2)에 기초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같은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동일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그룹별로 콘텐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로 배포한 후,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 정보를 새로 생성하거나, 기존의 콘텐트 정보를 변경, 삭제할 수 있다. 콘텐트 정보 배포와 콘텐트 정보 업데이트 사이에는 임의의 시간 차이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는 임의의 장소에서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업데이트되는 콘텐트 정보의 예시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도 6(a)와 같은 콘텐트 정보를 도 6(b)와 같이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의 동작 결과 전자 기기가 저장하고 있는 콘텐트 정보의 예시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제2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D4)를 포함하는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는 제1 콘텐트 정보(CD1)이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를 포함하는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는 제2 콘텐트 정보(CD2)일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인 제1 콘텐트 정보(CD1)를 제3 콘텐트 정보(CD3)로 변경할 수 있다. 제3 콘텐트 정보(CD3)는 제1 콘텐트 정보(CD1)에서 콘텐트 및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제3 콘텐트 정보(CD3)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1 콘텐트 정보(CD1)로부터 수정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로 배포하고, 도 6과 같이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D5)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는 도 5에서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1 콘텐트 정보(CD1)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도 5에서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2 콘텐트 정보(CD2)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로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제1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D5)를 그룹핑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D5)를 그룹핑할 수 있다. 그룹 정보란, 미리 설정된 그룹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 사이의 관계, 즉 미리 설정된 그룹별 멤버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에는 도 6(b)와 같이 그룹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므로, 전자 기기(100)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는 제1 그룹(G1)으로 그룹핑하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제2 그룹(G2)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3,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자 기기가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CD3)를 전달하기로 결정하고,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CD2)는 전달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전자 기기(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3,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100)는 그룹(G1, G2)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CD3, CD2)의 변경 여부에 따라 그룹(G1, G2)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 정보가 최근 배포된 후에 업데이트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콘텐트 정보(CD1, CD2)가 최근 배포된 후, 도 6에서와 같이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는 제1 콘텐트 정보(CD1)에서 제3 콘텐트 정보(CD3)로 업데이트되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는 최근 배포 후 업데이트된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CD3)만을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기기(100)는 그룹(G1, G2)별 디스플레이 장치(D1~D5)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전자 기기(100)에 그룹(G1, G2)별로 설정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CD3, CD2)를 비교하여, 콘텐트 정보가 서로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경우,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의 콘텐트 정보는 제1 콘텐트 정보(CD1)이고, 전자 기기(100)에 설정되어 있는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는 제3 콘텐트 정보(CD3)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CD3)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2 그룹에 속하는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의 콘텐트 정보(CD2)와 전자 기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CD2)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는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CD2)를 전달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D1~D5)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D1~D5)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는 콘텐트 정보 자체 또는 콘텐트 정보의 버전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각 그룹(G1, G2)마다 콘텐트 정보(CD3, CD2)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여,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CD3)만을 전달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같이 전자 기기(100)가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한 후,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도 8에서 결정한 것과 같이 결정된 그룹인 제1 그룹(G1)으로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CD3)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는 기존의 콘텐트 정보(CD1, 도 7 참고) 대신 새로 수신한 콘텐트 정보(CD3)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D2~D4)는 도 7에서 도 9와 같이 변경된 콘텐트를 출력함으로써 화면이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미리 그룹핑하여 그룹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각 그룹별 콘텐트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전자 기기(100)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검색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을 그룹핑하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 중 결정된 그룹으로 그룹별 콘텐트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 정보를 새로 획득하거나, 기존 콘텐트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전자 기기(100)는 그룹별 콘텐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새로 생성되거나 변경된 콘텐트 정보를 그룹에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를 휴대하여 매장에 방문할 경우, 전자 기기(100)는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그룹에 대해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여, 결정된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업데이트된 콘텐트 정보를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100)는 콘텐트 정보를 그룹별로 관리하고 전달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어떤 콘텐트 정보를 전달할 것인지를 설정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업데이트된 콘텐트 정보를 획득하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그룹핑되었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으로 재검색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전자 기기(100)는 그룹핑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자동으로 콘텐트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므로,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근거리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화면 전환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원하는 콘텐트 정보가 제대로 배포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9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로 배포한 후, 전자 기기(100)가 다시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한 경우에 대해 도 10 내지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도 10(a)와 같이 미리 설정된 그룹별로 각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멤버), 콘텐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0(a)는 도 6(b)와 동일하다.
도 10(b)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인 제2 콘텐트 정보(CD2)를 제4 콘텐트 정보(CD4)로 변경할 수 있다. 제4 콘텐트 정보(CD4)는 제2 콘텐트 정보(CD2)에서 콘텐트 및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제4 콘텐트 정보(CD4)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2 콘텐트 정보(CD2)로부터 직접 수정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제5 콘텐트 정보(CD5)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제5 콘텐트 정보(CD5)를 생성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제5 콘텐트 정보(CD5)와 그룹 사이에 관계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b)에서와 같이, 전자 기기는 새로 획득된 콘텐트 정보(CD4, CD5)를 그룹과 연관시키거나, 그룹과 연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D4)를 포함하는 제1 그룹(G1)의 콘텐트 정보는 제3 콘텐트 정보(CD3)이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를 포함하는 제2 그룹(G2)의 콘텐트 정보는 제4 콘텐트 정보(CD4)이며, 제5 콘텐트 정보(CD5)는 그룹과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들(D1~D5)로 배포하고, 도 10과 같이 전자 기기(100)가 콘텐트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 전자 기기(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제5 내지 제7 디스플레이 장치(D1~D3, D5~D7)를 검색할 수 있다. 도 9와 대비하면, 전자 기기(100)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D4)를 검색하지 못하고,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를 새로 검색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 D3)는 도 9에서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제3 콘텐트 정보(CD3)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제2 콘텐트 정보(CD2)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새로 검색된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는 초기에 아무런 콘텐트 정보가 없을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핑하는 예시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에는 도 10(b)와 같이 그룹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므로, 전자 기기(10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 D3)는 제1 그룹(G1)으로 그룹핑하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제2 그룹(G2)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새로 검색된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에 대해서는 도 12(a), (b) 및 (c)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2(a)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에 대한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가 없기 때문에,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에 대해서는 그룹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100)는 특정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는 특정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예비 그룹으로 그룹핑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미리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를 묶어 새로운 그룹인 제3 그룹(G3)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c)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미리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제6 디스플레이 장치(D6)는 새로운 그룹인 제3 그룹(G3)으로 제7 디스플레이 장치(D7)는 새로운 그룹인 제4 그룹(G4)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100)가 미리 그룹이 설정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들(D6, D7)을 어떻게 자동으로 그룹핑할 것인지는 도 12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자동으로 그룹핑하더라도,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의 그룹핑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그룹핑하기 위한 UI(10)를 출력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13(a)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그룹핑하기 위한 UI(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UI(10)는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이 자동으로 그룹핑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a)에서는 도 12(a)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그룹핑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 D3)는 제1 그룹(G1)으로 그룹핑되고,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제2 그룹(G2)으로 그룹핑되고,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에 대해서는 그룹이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를 묶어 제3 그룹(G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그룹핑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새로 검색된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는 미리 설정된 그룹(G1, G2)에 포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경우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UI(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그룹핑(예를 들어, 도 10(b))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미리 설정된 그룹핑(예를 들어, 도 10(b)) 및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3, D5~D7)을 다양한 조합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각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도 13에 도시된 그룹핑과 같이, 제1 그룹(G1)의 멤버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D2, D3)이고, 제2 그룹(G2)의 멤버는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이고, 제3 그룹(G3)의 멤버는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이다.
이때, 미리 설정되어 있던 그룹인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에는 각각 제3 콘텐트 정보(CD3) 및 제4 콘텐트 정보(CD4)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도 10(b) 참조). 전자 기기는 새로 설정된 제3 그룹(G3)의 콘텐트 정보로 제5 콘텐트 정보(CD5)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기기는 새로 설정된 제3 그룹(G3)의 콘텐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기기는 도 10(b)에서와 같이 그룹과의 관계가 설정되지 않은 제5 콘텐트 정보(CD5)를 새로 설정된 제3 그룹(G3)의 콘텐트 정보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는 각 그룹(G1, G2, G3)마다 콘텐트 정보(CD3, CD4, CD5)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그룹(G1, G2, G3)별 콘텐트 정보(CD3, CD4, CD5)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도 8에서 전술하였듯이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제3 그룹(G3)과 같이 새로 생성된 그룹이 있는 경우, 새로 생성된 그룹인 제3 그룹(G3)으로는 제3 그룹(G3)의 콘텐트 정보(CD5)를 전달하는 것으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전자 기기가 제1 그룹(G1)을 제외한 제2 그룹(G2) 및 제3 그룹(G3)으로 결정된 그룹의 콘텐트 정보(CD4, CD5)를 전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4에 도시된 각 그룹(G1, G2, G3)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는 예시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도 14와 같이 전자 기기(100)가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한 후,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도 14에서 결정한 것과 같이 결정된 그룹인 제2 그룹(G2) 및 제3 그룹(G3)으로 결정된 그룹의 콘텐트 정보(CD4, CD5)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기존의 콘텐트 정보(CD2, 도 11 참고) 대신 새로 수신한 콘텐트 정보(CD4)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5 디스플레이 장치(D1, D5)는 도 11에서 도 15와 같이 변경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그룹(G3)에 속하는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는 수신한 콘텐트 정보(CD5)에 기초하여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6 및 제7 디스플레이 장치(D6, D7)는 도 11에서 도 15와 같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던 화면에서 새로 수신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고, 그룹별로 콘텐트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콘텐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출력하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그룹핑하기 위한 UI의 예시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을 그룹핑하기 위한 UI(20)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UI(2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UI(2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각 형상은, 사용자가 각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 키 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UI(20)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 각각의 배치 형태를 검출하여, UI(2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UI(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개수, 배치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UI(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100)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을 그룹핑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제1, 제2, 제4, 제5, 제7 및 제8 디스플레이 장치들(D1, D2, D4, D5, D7, D8)을 묶어 제1 그룹(G1)으로 설정할 수 있고, 나머지 제3, 제6 및 제9 디스플레이 장치들(D3, D6, D9)을 묶어 제2 그룹(G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가 화면 상에 출력하는 UI(2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과 설정된 그룹(G1, G2)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그룹을 구별하는 점선, 그룹 식별자(G1, G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20)를 통해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의 배치 형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을 서로서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UI(20)를 통해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을 용이하게 그룹핑할 수 있고,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D1~D9)과 설정된 그룹 사이의 관계를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화면 상에 출력하는 그룹핑을 위한 UI의 예시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도 16에서 설명하였듯이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그룹핑을 위한 UI(20)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0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는 근거리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전자 기기(100)와 소정 거리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Z 웨이브(Z wave)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는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전자 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전자 기기(1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모두 제어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결정된 그룹으로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미리 설정된 그룹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 사이의 관계인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그룹별 콘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소정 거리에 있는 전자 기기(도 20의 100)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Z 웨이브(Z wave)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전자 기기(도 20의 100)로부터 콘텐트 및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의 제어나, 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는 모두 제어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자 기기(도 20의 100)로부터 수신한 콘텐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20)의 화면 상에 콘텐트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콘텐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연결된 전자 기기(도 20의 100)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는 콘텐트 정보 자체 또는 콘텐트 정보의 버전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0)의 구성은 전술한 전자 기기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의 전자 기기(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는 도 22의 전자 기기(1000)의 근거리 통신부(1510) 및 제어부(1300)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도 22의 전자 기기(1000)의 구성은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도 21의 200)에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제어부(230)는 도 22의 전자 기기(1000)의 근거리 통신부(1510), 디스플레이부(1210) 및 제어부(1300)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전자 기기(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제어부(1300), 및 통신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전자 기기(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기기(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기기(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제어부(1300), 및 통신부(1500) 이외에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전자 기기(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전자 기기(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전자 기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통상적으로 전자 기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전술한 도면들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도 1의 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0)는 근거리 통신부(151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결정된 그룹으로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5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5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0)는 사용자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1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10)가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1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각 그룹에 대한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그룹별 콘텐트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콘텐트 정보를 생성, 변경, 저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전자 기기(1000)의 상태 또는 전자 기기(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제공 서버(2000) 및/또는 콘텐트 제공 서버(30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Z 웨이브(Z wave)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부(1510)는 전자 기기(1000)와 소정 거리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전자 기기(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500)는, 추천 콘텐트의 목록으로부터 추천 콘텐트를 선택하고 수신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HMD 장치(2000), 서버(4000) 및 주변 기기(30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UI를 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전자 기기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기기(1000)로 입력되거나 전자 기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700)는 미리 설정된 그룹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 사이의 관계인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그룹별 콘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전자 기기(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전자 기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S110).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S120).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전자 기기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결정된 그룹으로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40).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3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그룹별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30)는, 사용자 입력 및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의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전술된 도면들의 전자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는 전술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는 앞선 도면들에서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이 결정된 그룹으로 상기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출력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인,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전자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그룹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자 사이의 관계인 그룹 정보 및 미리 설정된 그룹별 콘텐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이 결정된 그룹으로 상기 결정된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 미리 설정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 정보와 다르다고 판단되는 그룹으로 콘텐트 정보를 전달하기로 결정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콘텐트 정보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별로 설정된 콘텐트 정보의 변경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마다 콘텐트 정보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명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배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출력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17467A 2015-02-04 2015-02-04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5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467A KR20160095903A (ko) 2015-02-04 2015-02-04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5/013,370 US9955288B2 (en) 2015-02-04 2016-02-02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467A KR20160095903A (ko) 2015-02-04 2015-02-04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903A true KR20160095903A (ko) 2016-08-12

Family

ID=5655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467A KR20160095903A (ko) 2015-02-04 2015-02-04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5288B2 (ko)
KR (1) KR201600959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58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2022B1 (ko) * 2020-09-27 2021-01-12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유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4328A (zh) * 2015-07-22 2015-11-25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移动设备、动作进行系统和方法
EP3340090B1 (de) * 2016-12-22 2020-04-15 Siemens Healthcare GmbH Zuordnung unterschiedlicher anwendungsprogramme eines medizinischen bildgebenden gerätes zu detektierten anzeigeeinrichtungen
CN110392349A (zh) * 2018-04-23 2019-10-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分组方法和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4600A (ja) 1996-03-07 1997-09-19 Fujitsu General Ltd 広告表示システム
JP2003005947A (ja) * 2001-06-25 2003-01-10 Toshiba Corp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15407A (ja) 2005-02-04 2006-08-17 Daikoku Denki Co Ltd マルチモニタシステム
CN101796798B (zh) * 2007-09-03 2013-05-22 Nxp股份有限公司 用于传输内容的方法和设备
US20090160731A1 (en) * 2007-12-20 2009-06-25 Motorola, Inc. Method for clustering displays of display devices
KR20100030435A (ko) 2008-09-10 2010-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254890B2 (en) * 2009-04-08 2012-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tems in a list shared by a group of mobile devices
US9571625B2 (en) * 2009-08-11 2017-02-1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54282B2 (en) * 2010-10-01 2013-10-08 American Megatrends, Inc.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esenting screen content
JP2012227891A (ja) * 2011-04-22 2012-11-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装置制御方法
KR101873742B1 (ko) 2011-11-02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25078A1 (en) * 2012-02-24 2013-08-29 Karl-Anders Reinhold JOHAN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KR20130107617A (ko) * 2012-03-22 2013-10-02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무선 직접 접속 통신 그룹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997129B1 (ko) 2012-05-17 201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니지 콘텐츠 생성 방법
JP5979981B2 (ja) 2012-05-23 2016-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40059966A (ko) 2012-11-09 2014-05-19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스마트폰용 led전자게시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원샷형 led 전자게시대 제어장치
KR20140076274A (ko) 2012-12-12 2014-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315489A1 (en) * 2013-04-22 2014-10-23 Htc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shar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358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2022B1 (ko) * 2020-09-27 2021-01-12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유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5288B2 (en) 2018-04-24
US20160227356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101884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113226B (zh) 用于识别周边设备的电子装置及其方法
US9999019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US889657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44920B1 (ko)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700848B (zh) 用于控制声音输出的装置和方法
EP3809349A1 (en)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99552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70121719A (ko) Vr 공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EP2479657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453371A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applying method thereof
EP28465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ata
KR20140011250A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13992935B (zh) 直播预告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13613028B (zh)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60071783A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EP3627866B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AU201331884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US10678836B2 (en) Slide show-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11689885B2 (en) Proximity-based messaging
US20160157087A1 (en) Method and host device for communicating among multiple devices
CN112396443A (zh) 信息投放方法及装置、客户端、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60028636A (ko) 이동 단말기
US20140227977A1 (en) Method, nod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