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111A -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111A
KR20160095111A KR1020167018122A KR20167018122A KR20160095111A KR 20160095111 A KR20160095111 A KR 20160095111A KR 1020167018122 A KR1020167018122 A KR 1020167018122A KR 20167018122 A KR20167018122 A KR 20167018122A KR 20160095111 A KR20160095111 A KR 20160095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tatic voltage
output signal
power
accor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500B1 (ko
Inventor
미셸 리세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6009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 H03F1/0238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03F1/027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8A variable capacitor being added in the output circuit, e.g. collector, drain, of an amplifier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3A measuring circuit being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65Power sen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si)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증폭된 출력 신호(so)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증폭기 컴포넌트(A), 정적 전압(VS) 및 동적 전압(VD)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ctrl)를 제공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ET),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상기 출력 신호(so)의 평균값으로 상기 정적 전압(VS)이 결정되도록, 상기 증폭된 출력 신호에 대해 전력 센서(PS)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을 제공하는 파워 서플라이(S)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POWER AMPLIFIER DEVICE WITH CONTROLLED ENVELOP TRACKING MODULATOR AND ADAPTED STATIC VOLTA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호 증폭에 관한 것이고, 특히, 증폭 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장치들은 무선 주파수들(RF)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들은 증폭된 RF를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신호들을 기지국들에 송신하고, 이는 신호들이 통신 네트워크들에 중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기존의 무선 통신 장치들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WLAN, 3G/4G 장치, UMTS 및 그의 롱-텀 에볼루션(LTE) 등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무선 장치에서, 전력 증폭기는 전체 무선 시스템의 전력의 대부분을 소비한다. 배터리들로 작동되는 시스템들의 경우, 저효율의 전력 증폭기는 주어진 배터리 수명에 대해 통신 시간의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효율의 감소는 열 제거를 위한 요건의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장비 및 운영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일부 컴포넌트들의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은 녹색 운동에 기여하는 통신 사업자들에게는 엄청난 필요이다.
이런 이유로, RF 전력 증폭기들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데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흔히 사용되는 타입의 증폭기는 도허티-타입 전력 증폭기이다.
이런 타입의 전력 증폭기는 1936년에 W.H. Doherty에 의해 설계되었다.
수십년 동안, 이용된 변조 방식들(AM 및 FM)은 선형 증폭을 요구하였다. 도허티 증폭기는, 그것의 양호한 효율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비선형성 때문에 사용되지 않았다.
최근 수년에, 도허티 증폭기의 인기의 부활은,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들과 같은, 높은 PAR(Peak-to-Average Ratio, 피크 대 평균비)을 가진 입력 신호들을 증폭할 때 그것의 매우 높은 전력 부가 효율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허티 증폭기의 합당한 비선형성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기법들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앞서 언급한 이유들 때문에, 통신 장치의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로 달성된다:
-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증폭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증폭기 컴포넌트;
- 정적 전압 및 동적 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상기 출력 신호의 평균값으로 상기 정적 전압이 결정되도록, 상기 증폭된 출력 신호에 대해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을 제공하는 파워 서플라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부분적 조합으로 또는 완전한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다:
- 상기 전력 증폭기 장치는 상기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피크 효율에 대응하는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기 위한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한다.
- 상기 전력 센서는 RMS 센서이다.
-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동적 전압의 변동들의 기간보다 극적으로, 특히 대략 10억배 더 크다.
- 상기 정합 회로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varicap diode), MEMS 등등으로 구성된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 상기 포락선 추적 변조기는 에머슨 사(the company Emerson)에 의해 제조된 종류이다.
- 상기 출력 신호는 WCDMA 또는 LTE 표준에 부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력 증폭기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되고,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증폭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 정적 전압 및 동적 전압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상기 출력 신호의 평균값으로 상기 정적 전압이 결정되도록, 상기 증폭된 출력 신호에 대해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
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부분적 조합으로 또는 완전한 조합으로 취해질 수 있다:
-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피크 효율에 대응하는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 상기 전력 센서는 RMS 센서이다.
-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동적 전압의 변동들의 기간보다 극적으로, 특히 대략 10억배 더 크다.
-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는 단계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 MEMS 등등으로 구성된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정합 회로를 배치하는 것(deploying)에 있다.
- 상기 제어 신호(ctrl)는 에머슨 사에 의해 제조된 종류인 추적 변조기(ET)에 의해 정적 전압(VS) 및 동적 전압(VD)에 따라 제공된다.
- 상기 출력 신호(so)는 WCDMA 또는 LTE 표준에 부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여기 아래에 열거된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이 증폭기에 대한 드레인 전압에 대한 우도 밀도(likelihood density) 및 드레인 효율을 도시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정합 회로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스미스 차트에서의 정합의 그리고 정적 전압의 적응의 영향을 도시한다.
도 5의 (a), (b), (c), (d)는 전력 증폭기 장치의 거동을 보여주는 곡선들의 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 장치들은 증폭기 컴포넌트 A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이 증폭기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 트랜지스터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yde Semiconductor) 또는 VDMOS(Vertically Diffused Metal Oxyde Semiconductor), CMOS(Complementary Metal Oxyde Semiconductor), GaAs(Gallium Arsenide) 또는 GaN(Gallium Nitride)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증폭기 컴포넌트 A에 이용되는 기술에 따라, 나중에 설명될, 정합에 대한 그리고 정적 및 동적 전압들에 대한 전압 범위들이 적응된다.
포락선 추적(Envelope Tracking)(ET) 하의 트랜지스터는 클래스 A, B, C, D, E, F, F-1에 있을 수 있다.
시장의 증폭기 컴포넌트들은 포락선 추적에 전용되는 아키텍처에 대한 어떤 전형적인 기술적 특성들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전압에 따른 효율을 제공하는 곡선이 전압의 주어진 구간 내에서 평평하도록 설계된다.
이 특성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곡선 b는 LD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증폭기에 대한 드레인 전압에 대한 드레인 효율을 나타낸다. 그것은 곡선이 대략 [17 V; 28 V]의 구간 내에서 평평한 것을 분명히 도시한다.
그런 증폭된 신호가 이 평평한 구역에 속할 때 교차하는데, 그 이유는 효율이 그 후 최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력 신호는 변동할 수 있고 그것의 편위(excursion)가 이 구역에서 이탈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 효율이 극적으로 저하된다.
이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곡선은 우도 밀도 또는 확률 밀도 함수(PDF)를 나타낸다. 이러한 함수는 전압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낸다: 송신된 데이터 신호 및 변조 방식에 따라, 전압은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반대로, 대략 10 V에서 중요한 피크를 도시한다.
이 값은 전형적으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큰 변조를 가진 신호들에 대응한다.
즉, 10 V에서 신호들을 가질 높은 확률이 있지만, 그런 신호들은 열악한 효율(대략 45)에 대응하는 반면, 효율은 낮은 발생 확률에 대응하는 전압 값들에 대해 그의 최고 값(대략 55)이다.
따라서, 그런 배열의 전체 효율은 전혀 최적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표는 확률 밀도 함수와 효율 곡선을 정합시키기 위해 증폭기 컴포넌트의 동작 조건들을 수정하는 것에 있다. 간단히 그리고 그래프로 말하자면, 그것은 곡선 a의 피크가 평평한 구역에 대응하도록 곡선 b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동작 조건들의 그런 수정은, 도시된 예에서, 곡선 c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증폭기 컴포넌트는 증폭된 출력 신호에 따라 그것의 동작 조건들을 수정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증폭된 출력 신호는 이런 동작 조건들을 수정하기 위해 레귤레이션 신호(regulation signal)들을 피드백하는 전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증폭기 컴포넌트(A)는 입력 신호(si)를 수신하고 포락선 추적 변조기(ET)에 의해 제공된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증폭된 출력 신호(so)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그런 포락선 추적 변조기(ET)는, 예를 들어, 에머슨 사에 의해 설계된 것과 같은 기성 제품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제품들 및 기법들에 대한 설명은 예를 들어 에머슨 사의 홈페이지에서 입수 가능하다:
https://www.powerconversion.com/assets/whitepapers/EnvelopeTracking-WP0.pdf
이 포락선 추적 변조기는 2개의 입력을 갖는다: 동적 전압(VD) 및 정적 전압(VS). 양쪽 전압은 증폭된 출력 신호(so)에 대해 전력 센서(PS)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S)에 의해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측정된 출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향하여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고, 따라서 증폭기 컴포넌트(A)는 출력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효율이 최대인 동작 조건들에 있게 된다.
이것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출력 신호(so)의 평균값에 따라 직접 정적 전압(VS)를 수정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정적 전압(VS)은, 비록 동적으로 수정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시간에 따른 그것의 변동은 동적 전압(VD)보다 극적으로 느리기 때문이다: 동적 전압은 실시간으로 출력 신호(so)를 추종한다. 반대로 정적 전압은 1초 정도까지 70마이크로초(즉, LTE 구현에서 대략 심벌 시간)의 시간 기간에 걸친 평균값으로 결정된다.
정적 전압(VS)의 수정은 증폭기 장치를, 출력 전력 및 출력 전압(Vo)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조건들에 적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증폭기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내에 제자리에 놓이면, 출력 전력은 주어진 시간에 연결된 이동 장치의 수에 따라 변동할 것이다.
그러나, 이 수와 따라서 이 출력 전력은 (제어 신호(ctrl)에 의해 캡처되는) 송신된 신호들 자체의 변동들과는 완전히 상이한 리듬으로 변동한다.
따라서 평균값이 결정되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제어 신호(ctrl)의 변동들의 기간보다 극적으로, 특히 대략 14,000 내지 100억배 더 길다.
정적 전압(VS)에 대한 평균값의 결정은 ("제곱 평균 제곱근(root mean square)"을 위해) RMS 센서에 의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이런 정류의 전력 센서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흔히 사용되고, 사용되는 신호 변조의 타입에 관계없이 측정된 출력 전력을 결정하도록 적응된다.
정적 및 동적 전압들(VS, VD) 양쪽 모두는, 측정들에 기초하여 전력 센서(PS)에 의해 출력되는 그리고 이러한 측정들을 대표하는 레귤레이션 신호(reg)를 입력들로서 취하는 파워 서플라이(S)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은 출력 신호(so)의 변동들에 적응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S)는 또한 정합 회로(M)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 신호(cmd)를 제공한다. 이 정합 회로의 목표는 증폭기(A)를 그것의 피크 효율에 대응하는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는 것이다.
정합 회로(M)에 대해 상이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가능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3a에는, 아이솔레이터(10)가 증폭기 컴포넌트(A)의 출력에 놓여 있다. 제3 포트는 컴포넌트(11) 때문에 비정합으로 된다. 이 컴포넌트(11)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 MEMS 등등일 수 있다. 이 컴포넌트(11)는 높은 전력 레벨에 부합해야 한다.
도 3b에는, 하이브리드 커플러(20)가 증폭기 컴포넌트(A)의 출력에 놓여 있다. 입력 포트는 컴포넌트(21) 때문에 이전 예에서와 같이 비정합으로 된다. 다시, 이 컴포넌트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 MEMS 등등일 수 있다.
도 3c에는, 증폭기 컴포넌트(A)의 2개의 정합 회로망이 추가된 컴포넌트들(35 및 36) 때문에 수정된다. 이 컴포넌트들은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 MEMS 등등일 수 있다.
도 4는 스미스 차트에서의 정합의 그리고 정적 전압(VS)의 적응의 영향을 나타낸다. 이 차트에서, 하나의 일정한 정적 전압(VS)에 대해, 각각의 폐곡선은 상이한 임피던스 값들에 대해 동일한 트랜지스터 효율을 나타낸다. 이 모든 곡선들은 동일한 패밀리를 형성한다. 가장 작은 곡선은 최대 효율에 대한 것이고 패밀리의 중심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연속선들(continued lines)(40)은 정적 전압(VS)에 대한 높은 값에 대응하는 제1 패밀리를 나타내고 파선들(dashed lines)(41)은 정적 전압(VS)에 대한 낮은 값에 대응하는 제2 패밀리를 나타낸다.
이중 선들(43)은 정적 전압(VS)의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패밀리 중심들의 경로를 나타낸다. 증폭기 컴포넌트(A)는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이 경로를 따라 임피던스들이 유지되도록 정합 회로(M)에 의해 정합된다.
다시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그것은 컴포넌트들(11, 21, 35, 36)이 증폭기 컴포넌트(A)의 효율이 그의 최댓값에 유지되도록 스미스 차트에 묘사된 경로에 따라 임피던스를 수정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의 (a), (b), (c), (d)는 전력 증폭기 장치의 거동을 보여주는 곡선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의 (a)는 출력 전력(Pout)에 따른 포락선 추적(ET) 하의 전력 증폭기 장치의 효율을 보여주는 이론적 곡선을 묘사한다.
파선은 출력 전력(Pout) 도메인을 2개의 서브-도메인으로, 즉 출력 전력 및 전압에 대한 낮은 값들에 그리고 도 5의 (b)에 대응하는 왼쪽의 제1 서브-도메인(S1); 및 출력 전력 및 전압에 대한 높은 값들에 그리고 도 5의 (c)에 대응하는 오른쪽의 제2 서브-도메인(S2)으로 나눈다.
도 5의 (c)에서, 곡선(C1)은 신호 포락선을 나타내고 곡선(C3)은 정적 전압(VS)을 나타낸다. 포락선 추적 변조기(ET)는 제어 신호(ctrl)에 대응하는 드레인 전압을 전달한다. 이 제어 신호는 이 신호가 정적 전압(C3) 위에 있을 때는 포락선(C1)을 추종하고(즉, "추적하고"), 이 신호가 그 값 아래에 있을 때는 이 정적 전압(C3)에 의해 제한되는 곡선(C2)에 의해 예시된다.
이런 거동의 결과로서, 효율은 최대이고 도 5의 (a)의 오른쪽 서브-도메인의 곡선은 평평한 곡선이다.
도 5의 (d)는 정적 전압의 낮은 값에 대해 정적 전압(VS)의 어떤 적응도 수행되지 않은 잠재적인 상황을 도시한다. 그런 상황은 본 발명에 부합하지 않고 단지 설명을 더 명확하고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여기에 설명된다. 이 도면은 출력 전압을 감소시킬 때, 그것은 VDDMAX/2의 일정한 정적 전압의 완전히 아래의 한 지점에 있게 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런 상황에서, 증폭기의 효율은 극적으로 감소하고 이 효율의 손실은 도 5의 (a)에 왼쪽 서브-도메인에 파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본 발명 때문에, 정적 전압은 더 이상 일정하지 않고 출력 전력에 의존한다. 도 5의 (b)는 출력 전압의 낮은 값에 대해 정적 전압이 감소된 상황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 상황은 출력 신호(C2)가 정적 전압(VS) 위에 있는 경우에는 신호 포락선(C1)을 추정하고 포락선이 아래에 떨어질 때에는 그것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도 5의 (b)에 묘사된 것과 유사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효율은 도 5의 (a)의 왼쪽 서브-도메인의 평평한 연속선에 의해 묘사된 바와 같이 최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전력 증폭기 장치로서,
    - 입력 신호(si)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증폭된 출력 신호(so)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증폭기 컴포넌트(A);
    - 정적 전압(VS) 및 동적 전압(VD)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ctrl)를 제공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ET);
    -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상기 출력 신호(so)의 평균값으로 상기 정적 전압(VS)이 결정되도록, 상기 증폭된 출력 신호에 대해 전력 센서(PS)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을 제공하는 파워 서플라이(S)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피크 효율에 대응하는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기 위한 정합 회로(M)를 더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센서(PS)는 RMS 센서인, 전력 증폭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동적 전압(VD)의 변동들의 기간보다 극적으로, 특히 대략 10억배 더 큰, 전력 증폭기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회로(M)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varicap diode), MEMS 등등으로 구성된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 추적 변조기(ET)는 에머슨 사(the company Emerson)에 의해 제조된 종류인, 전력 증폭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so)는 WCDMA 또는 LTE 표준에 부합하는, 전력 증폭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 증폭기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9. 입력 신호(si)를 증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si)로부터 증폭된 출력 신호(so)를 제공하는 단계;
    - 정적 전압(VS) 및 동적 전압(VD)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ctrl)를 제공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에 걸친 상기 출력 신호(so)의 평균값으로 상기 정적 전압(VS)이 결정되도록, 상기 증폭된 출력 신호에 대해 전력 센서(PS)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정적 및 동적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따라,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피크 효율에 대응하는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센서(PS)는 RMS 센서인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동적 전압(VD)의 변동들의 기간보다 극적으로, 특히 대략 10억배 더 큰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컴포넌트를 동작 조건들에 유지하는 단계는 PIN 다이오드, 배리캡 다이오드, MEMS 등등으로 구성된 그룹에 속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정합 회로(M)를 배치하는 것(deploying)에 있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ctrl)는 에머슨 사에 의해 제조된 종류인 추적 변조기(ET)에 의해 정적 전압(VS) 및 동적 전압(VD)에 따라 제공되는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so)는 WCDMA 또는 LTE 표준에 부합하는 방법.
KR1020167018122A 2013-12-06 2014-11-25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 KR102023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306675.3 2013-12-06
EP13306675.3A EP2882096A1 (en) 2013-12-06 2013-12-06 Power amplifier device with controlled envelope tracking modulator and adapted static voltage
PCT/EP2014/075457 WO2015082248A1 (en) 2013-12-06 2014-11-25 Power amplifier device with controlled envelop tracking modulator and adapted static vol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111A true KR20160095111A (ko) 2016-08-10
KR102023500B1 KR102023500B1 (ko) 2019-09-20

Family

ID=4987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122A KR102023500B1 (ko) 2013-12-06 2014-11-25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4324B2 (ko)
EP (1) EP2882096A1 (ko)
JP (1) JP2017505008A (ko)
KR (1) KR102023500B1 (ko)
CN (1) CN105874705B (ko)
WO (1) WO2015082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542B (zh) * 2017-12-15 2023-08-22 苹果公司 具有动态变化电压电平的数字包络跟踪的方法和设备
CN114553251B (zh) * 2020-11-26 2023-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供电电路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6598A (en) 1999-07-22 2000-12-26 Motorola, Inc. Power amplifying circuit with supply adjust to control adjacent and alternate channel power
GB2356095A (en) * 1999-07-22 2001-05-09 Motorola Inc Transmitter amplifier arrangement with amplitude modulation by impedance network after constant envelope amplification
US6678507B1 (en) * 2000-08-31 2004-01-13 Hitachi, Ltd. Power amplifier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P2288021A1 (en) * 2009-08-20 2011-02-23 Alcatel Lucent Amplifier and method for amplification of an RF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00753T2 (de) * 2000-03-10 2004-07-01 Paragon Communications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höhung des wirkungsgrades von leistungsverstärkern bei signalen mit hohem spitzenwert- zu mittelwertverhältnis
CN1672322A (zh) 2001-12-24 2005-09-2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功率放大器
JP5028966B2 (ja) * 2006-11-15 2012-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増幅器
US8405456B2 (en) * 2009-03-31 2013-03-26 Quantance, Inc. High speed power supply system
JP5621649B2 (ja) * 2011-02-18 2014-11-12 富士通株式会社 送信装置
US8497737B2 (en) * 2011-03-28 2013-07-30 Infineon Technologies Ag Amplifier circui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bias of a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6598A (en) 1999-07-22 2000-12-26 Motorola, Inc. Power amplifying circuit with supply adjust to control adjacent and alternate channel power
GB2356095A (en) * 1999-07-22 2001-05-09 Motorola Inc Transmitter amplifier arrangement with amplitude modulation by impedance network after constant envelope amplification
US6678507B1 (en) * 2000-08-31 2004-01-13 Hitachi, Ltd. Power amplifier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P2288021A1 (en) * 2009-08-20 2011-02-23 Alcatel Lucent Amplifier and method for amplification of an RF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2096A1 (en) 2015-06-10
US20160308494A1 (en) 2016-10-20
CN105874705A (zh) 2016-08-17
WO2015082248A1 (en) 2015-06-11
KR102023500B1 (ko) 2019-09-20
CN105874705B (zh) 2020-01-07
US10044324B2 (en) 2018-08-07
JP2017505008A (ja)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00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saturation condition of a power amplifier
KR102428154B1 (ko) 병렬 이미터 폴로어를 갖는 개선된 전력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
US9698740B2 (en) Mode linearization switch circuit
US81079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current consumption of amplifiers with power control
KR102023500B1 (ko) 제어되는 포락선 추적 변조기 및 적응된 정적 전압을 가진 전력 증폭기 장치
EP2302788A1 (en) Load management for improved envelope tracking performance
US7541865B2 (en) EER high frequency amplifier
Eswaran et al. Class-E power amplifier with novel pre-distortion linearization technique for 4G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Lasser et al. Gate control of a two-stage GaN MMIC amplifier for amplitude and phase linearization
Mimis et al. A reactively load-modulated RF low-power amplifier with multilevel supply voltage for multi-standard RF front-ends
KR101890579B1 (ko) 위상변조 왜곡의 감소가 가능한 전력 증폭기
KR101383484B1 (ko) LDMOS FET 및 GaN FET를 이용한 도허티 증폭기
CN112383951B (zh) 基站发射设备及其供电管理方法
CN104124930A (zh) 一种双功率模式包络跟踪方法
Albasha et al. Novel control architecture for JPHEMT power amplifiers achieving high efficiency EDG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