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751A - Drum brak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rum brak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751A
KR20160094751A KR1020150016156A KR20150016156A KR20160094751A KR 20160094751 A KR20160094751 A KR 20160094751A KR 1020150016156 A KR1020150016156 A KR 1020150016156A KR 20150016156 A KR20150016156 A KR 20150016156A KR 20160094751 A KR20160094751 A KR 2016009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brake
drum
brake sho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3025B1 (en
Inventor
이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6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025B1/en
Publication of KR2016009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1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 holding th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um brake for a vehicle has a pair of brake shoes coupled to the external surface of a back plate to be moved outwards by a hydraulic force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with a brake drum, and a return spring to return the brake shoes. More specifically, the drum brake for a vehicle comprises: a hanging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internal surface of the brake shoes; and a position alignment unit installed for a front end thereof to appear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back plate, left from the hanging groove when the brake shoes are moved outwards, and inserted into the hanging groove when the brake shoes return, so as to align the brake shoes in a reference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y contact between a brake shoe and a brake drum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FOR VEHICLE}[0001] DRUM BRAKE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슈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시 유동되지 않고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을 위한 페달링이 이루어지니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의 접촉(Drag)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um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drum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a brake drum of a brake drum and a brake drum, in which, when brake shoes are returned to a standby position by a return sp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rum brake capable of preventing drag interferenc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Generally, a brake mounted on a vehicle is a device for decelerating or stopping or stopping a vehicle while driving.

이러한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으로써,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다.These brakes are drum-type hydraulic brakes and disk-type hydraulic brakes, which change the kinetic energy during running to thermal energy by a mechanical friction device and release the frictional heat thereof to the atmosphere.

이 중, 드럼 브레이크는 바퀴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브레이크 드럼을 내부에서 라이닝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다.Among them, the drum brake strongly presses the cylindrical drum,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of the wheel, with the lining pad to obtain the braking force.

이를 위한 종래 드럼 브레이크는, 백플레이트의 외면에 설치된 상태로 외향 작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패달로부터 전달되는 유압력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다.A conventional drum brake for this purpose is composed of a pair of brake shoe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operates outwardly, and a cylinder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brake pedal.

또한, 외향 작동된 브레이크슈를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브레이크슈의 가압면에 부착된 상태로 브레이크 드럼의 내면과 밀착되어 마찰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라이닝 패드가 구성된다.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outwardly actuated brake shoe to its original position is constituted by a return spring and a lining pa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drum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rake shoe and generates braking force by friction.

이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는, 차량의 주행중 운전석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페달에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실린더로 유압이 전달되며,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브레이크 슈가 외향 이동되면서 브레이크 드럼의 내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When the brake pedal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depressed, hydraulic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ylinde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edal, and a pair of brake shoes are moved outwardly by driving of the cylinder, Thereby generating a braking force.

그런데, 드럼 브레이크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유동되어 정 위치를 벗어날 염려가 있었다. 이 경우, 브레이크 슈의 라이닝 패드와 브레이크 드럼의 불필요한 접촉(Drag)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고 차량 운행 중 소음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However, there is a fear that the drum brake is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return spring and is released by the external impact or the like and is out of the correct position. In this case, unnecessary drag interference between the lining pad of the brake shoe and the brake drum may occur, which may result in lower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nd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5531호(2009년 12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가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25531 (December 07, 2009), which discloses a vehicle drum brake.

본 발명은 브레이크 슈가 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시 유동 없이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의 불필요한 접촉(Drag)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ke shoe is aligne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flow when returning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unnecessary contact (drag) of the brake shoe and the brake drum can be prevented in a state in which braking is not performed, And to provide a vehicle drum brake capable of reducing unnecessary noise and improving fuel economy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는, 백플레이트의 외면에 결합되어 유압력에 의해 외향 이동되어 브레이크 드럼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와, 상기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에서 선단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 슈가 외향 이동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브레이크 슈가 복귀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brake shoe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a back plate and driven outward by oil pressure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with the brake drum and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brake shoes, The brak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raking shoe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groove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shoe, and a tip en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the braking shoe being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when the brake shoe is moved outward, And a positioning part inserted in the engaging groove to align the brake shoe with a reference position.

여기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중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중공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includes a tubular bod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having a hollow therein,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llow to exert a compressive force,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a protruding and outward end protruding outwardly is provided in the latching groove so as to be removable.

또한, 상기 관체의 일단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ubular bod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either integrally or by a fastening member.

한편, 상기 출몰부재의 선단은 곡면 또는 반구면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의 선단에는 상기 출몰부재의 외면을 삽입 방향으로 걸림 지지하여, 상기 출몰부재의 출몰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distal end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forms a curved surface or a hemispherical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is hooked on an end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so as to protrude .

또 한편, 상기 출몰부재의 외면에는 출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부에는 돌출된 선단이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몰부재의 출몰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along the projecting / retracting direc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and a projected tip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o restrict the protruding / A guide proj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또 한편, 상기 걸림홈은 상기 출몰부재가 삽탈되는 입구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 또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ing groove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or curved guide surface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본 발명은 브레이크 슈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시 유동 없이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을 위한 페달링이 이루어지니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드럼의 접촉(Drag)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drag interference of the brake shoe and the brake drum in a state in which the pedal for braking is not performed by making the brake shoe return to the standby position by returning to the standby position, Thus, unnecessary noise can be reduced and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위치 정렬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제동시 위치 정렬부를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걸림단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안내면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aligning part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aligner when braking in the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tching end is formed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uide grooves and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surface is formed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위치 정렬부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서 제동시 위치 정렬부를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arrangement of a position alignment unit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position alignment unit in braking in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는 백플레이트(10)와, 브레이크 드럼(20)과, 브레이크 슈(30)와, 리턴 스프링(40)이 구비될 수 있다.1 to 4, a vehicle drum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ck plate 10, a brake drum 20, a brake shoe 30, and a return spring 40.

그리고, 브레이크 패달로 부터 전달되는 유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에 의해 연동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휠 실린더 등이 구비될 수 있다.An operation lever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brake pedal and a wheel cylinde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lever may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는 브레이크 슈(30)에 형성되는 걸림홈(100) 및, 위치 정렬부(200)가 구비된다.Particularly, in the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groove 100 formed in the brake shoe 30 and the positioning portion 200 are provided.

브레이크 드럼(20)은, 백플레이트(10)의 외면에 배치된 상태로 바퀴의 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브레이크 드럼(2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30)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The brake drum 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wheel of the wheel while being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and a pair of brake shoes 30 are movably disposed inside the brake drum 20 .

한 쌍의 브레이크 슈(30)는, 차축에 고정된 백플레이트(10)의 외면에 설치된 상태로 외향 이동 및 복귀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pair of brake shoe (3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fixed to the axle so as to be movable outwardly and returnably.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슈(30)는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pair of brake shoes 30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can be mov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슈(30)들의 외면에는 도 1과 2에서처럼 라이닝 패드(50)가 부착되는데, 상기 라이팅 패드(50)는 운전자가 페달링을 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슈(30)들의 외향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20)의 내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1 and 2, the lining pad 5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ake shoes 30 by the outward movement of the brake shoes 30 when the driver pads the vehicle.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drum 20 to generate a braking force.

이후, 상기 브레이크 슈(30)들은 운전자가 페달링을 해제하는 경우, 리턴 스프링(40)의 인장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라이닝 패드(50)가 브레이크 드럼(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driver releases pedaling, the brake shoe 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tensile force of the return spring 40, and at the same time, the lining pad 5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drum 20.

걸림홈(100)은, 브레이크 슈(30)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 될 출몰부재(230)의 선단이 대응되게 삽탈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engaging groove 100 is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shoe 30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tip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rrespondingly inserted and removed.

여기서, 상기 걸림홈(100)은 브레이크 슈(30)의 양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100)은 후술 될 출몰부재(230)의 선단과 대응되는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100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both directions of the brake shoe 30. The engaging groove 100 may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protruding member 230, .

물론, 상기 걸림홈(100)의 형상 및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홈(100)의 위치도 후술 될 출몰부재(230)와 대응되는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shape and size of the latching groove 1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and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groove 100 can be chang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erally-detaching membe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상기 걸림홈(100)은, 한 쌍의 브레이크 슈(30)에 각각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하 설명될 위치 정렬부(200) 역시 상기 걸림홈(100)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할 수 있다.The latching grooves 100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brake shoes 30 and the position aligning part 200 to be described below may also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number to the latching grooves 100.

위치 정렬부(200)는, 백플레이트(10)의 외면에 결합된 상태로 그 선단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브레이크 슈(30)가 외향 이동시 상기 걸림홈(100)으로부터 이탈된다.The position aligning unit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so that the tip of the aligning unit 200 is detachable from the engaging groove 100 when the brake shoe 30 moves outward.

반면, 상기 위치 정렬부(200)의 성단은 브레이크 슈(30)가 복귀시 걸림홈(100)에 대응 삽입되어 브레이크 슈(30)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end of the positioning unit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00 when the brake shoe 30 is returned to align the brake shoe 30 to the reference position.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슈(30)의 기준 위치는 브레이크 드럼(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말하며,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brake shoe 30 refers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rake drum 20, an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이를 위한 상기 위치 정렬부(200)는, 관체(210)와, 탄성부재(220) 및, 출몰부재(230)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 alignment unit 200 may include a tubular body 210, an elastic member 220, and a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상기 관체(210)는, 도 2에서처럼 백플레이트(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관체(210)의 내부에는 중공(211)이 형성된다.The tubular body 21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as shown in FIG. 2, and a hollow 211 is formed inside the tubular body 210.

여기서, 상기 관체(210)는 원통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중공(211)의 일단은 상기 관체(210)의 연장된 선단으로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tubular body 2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one end of the hollow 211 may be opened to an extended end of the tubular body 210.

그리고, 상기 관체(210)의 일단은 상기 관체(210)의 일단은 백플레이트(10)의 외면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볼트 등, 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ubular body 2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by a single body or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예를 들어, 상기 관체(210)의 일단을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 성형시 일체로 설계하거나, 별도의 용접 과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tubular body 2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10, the tubular body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formed by a separate welding process.

이와 다르게, 상기 관체(210)를 체결부재(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걸림홈(100)의 위치에 따라 관체(21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tubular body 2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210 by the fastening member B, the position of the tubular body 210 can be easily var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groove 100 described above.

탄성부재(220)는, 관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20 is installed in the hollow 211 formed inside the tubular body 210 and can generate a compressive elastic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211.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20)는 도 3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판스프링 형태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Here, the elastic member 220 may be a coil spring type as shown in FIG. 3, but a plate spring type or the like can also be used.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220)는, 도 4에서와 같이 후술 될 출몰부재(230)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상태에서 출몰부재(23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어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4,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230 in a state of elastically supporting one end of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230 as described later, the elastic member 220 may be compressed and reduced in length.

출몰부재(230)는, 탄성부재(220)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며, 중공(21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 전술한 걸림홈(100)에 삽탈될 수 있다.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is supported at one end by the elastic member 220 and the distal e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hollow 211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atching groove 100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출몰부재(230)는 중공(21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 곡면 또는 반구면(231)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may have a curved surface or hemispherical surface 23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llow 211.

이때, 상기 출몰부재(230)는 도 2 내지 도 5에서처럼 전체적으로 구 형태를 가지거나, 도 6에서처럼 상기 중공(211)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만이 곡면 또는 반구 형상을 갖고 중공(211) 내에 위치된 후단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2 to 5, only the distal end projecting outwardly of the hollow 211 as shown in FIG. 6 has a curved or hemispherical shape and is located in the hollow 2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한편, 전술한 관체(210)의 선단에는 도 5에서처럼 출몰부재(230)의 외면을 삽입 방향으로 걸림 지지하기 위한 걸림단(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5, a hooking end 212 for hooking and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230 in the insertion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tip of the tube 210 described above.

상기 걸림단(212)은, 출몰부재(230)의 선단을 중공(211) 방향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출몰부재(230)의 출몰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Since the engaging end 212 supports the tip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in the hollow 211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distance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여기서, 상기 걸림단(212)은 출몰부재(230)의 선단을 더 작은 직경으로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end 212 may protrude in a ring shape so that the tip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may be wound with a smaller diameter.

물론, 상기 걸림단(212)은 출몰부재(230)의 선단을 감싸지 않고 국부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latching end 212 may be formed as one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so as to support the latching member 230 locally without wrapping the protrusion 230.

이와 다르게, 상기 출몰부재(230)의 외면에는 도 6에서처럼 출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232)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230 may have a guide groove 232 having a length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이와 함께, 관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11) 내에는 가이드돌기(213)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213 may be further protruded in the hollow 211 formed inside the tube 210.

상기 가이드돌기(213)는, 돌출된 선단이 가이드홈(23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출몰부재(230)의 출몰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13 can restrict the protruding and protruding distance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in a state where the protruding e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32.

또 한편, 도 7에서처럼 걸림홈(100)은 출몰부재(230)가 삽탈되는 입구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 또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7, the engaging groove 10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guide surface 110 having an inclined or curved shape along the entrance edge where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230 is inserted / removed.

상기 안내면(110)은, 출몰부재(230)의 반구면(231)이 삽탈되는 경우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guide surface 110 may smoothly guide the hemispherical surface 231 of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member 230 so that no shock or noise occurs when the hemispherical surface 231 is inserted or remov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슈(30)가 대기 위치로 복귀시 위치 이동 없이 정 위치에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을 위한 페달링이 이루어지니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슈(30)와 브레이크 드럼(20)의 접촉(Drag)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ke shoe 30 is returned to the standby position, the brake shoe 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rake drum 20 in a state in which pedaling for braking is not performed, (Drag)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noise while improv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drum brak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백플레이트 20: 브레이크 드럼
30: 브레이크 슈 40: 리턴 스프링
50: 라이닝 패드 100: 걸림홈
110: 안내면 200: 위치 정렬부
210: 관체 211: 중공
212: 걸림단 213: 가이드돌기
220: 탄성부재 230: 출몰부재
231: 반구면 232: 가이드홈
B: 체결부재
10: back plate 20: brake drum
30: Brake shoe 40: Return spring
50: lining pad 100:
110: guide surface 200:
210: tube 211: hollow
212: Retaining end 213: Guide projection
220: elastic member 230: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231: hemispherical surface 232: guide groove
B: fastening member

Claims (6)

백플레이트의 외면에 결합되어 유압력에 의해 외향 이동되어 브레이크 드럼과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와, 상기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슈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에서 선단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 슈가 외향 이동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브레이크 슈가 복귀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를 기준 위치에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A pair of brake shoe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driven outward by oil pressure to generate frictional force with the brake drum, and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brake shoes,
An engaging groove formed conca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ke shoe; And
Wherein the brake shoe is detachable from the latch groove when the brake shoe moves outwardly and is inserted into the latch groove when the brake shoe is returned to align the brake shoe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a drum brak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중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중공의 외부로 돌출된 선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A tubular body project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having a hollow therein,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hollow to apply a compressive force,
And a projecting / retracting member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having a distal e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the retracting member being removably installed in the engaging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체의 일단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면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tubular body,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ack plate by an integral member or a fastening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의 선단은,
곡면 또는 반구면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의 선단에는,
상기 출몰부재의 외면을 삽입 방향으로 걸림 지지하여, 상기 출몰부재의 출몰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tip of the protruding /
Forming a curved or hemispherical surface,
At the tip of the tube,
Wherein a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 retreat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to limit the protruding / retreating distance of the protruding / retreating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의 외면에는,
출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부에는,
돌출된 선단이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출몰부재의 출몰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
A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along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
Inside the hollow,
And a protruding e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o limit a protruding / retracting distance of the protruding / retracting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출몰부재가 삽탈되는 입구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 또는 곡면 형태의 안내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groove
Wherein a guiding surface in the form of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is further formed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protruding / retreating member.
KR1020150016156A 2015-02-02 2015-02-02 Drum brake for vehicle KR102333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56A KR102333025B1 (en) 2015-02-02 2015-02-02 Drum brak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56A KR102333025B1 (en) 2015-02-02 2015-02-02 Drum brak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51A true KR20160094751A (en) 2016-08-10
KR102333025B1 KR102333025B1 (en) 2021-12-01

Family

ID=5671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56A KR102333025B1 (en) 2015-02-02 2015-02-02 Drum brak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02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463U (en) * 1992-01-10 1993-07-30 日信工業株式会社 Brake shoe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drum brakes
KR0129500Y1 (en) * 1993-12-28 1998-12-01 정몽원 Drum brake for automobile braking device
KR20020009924A (en) * 2000-07-28 2002-02-02 밍 루 Drum brake
KR200281984Y1 (en) * 1998-12-28 2002-09-19 주식회사 만도 Car drum brake
WO2003019031A1 (en) * 2001-08-31 2003-03-06 Pbr Australia Pty Ltd Drum brake assembly
KR20040041969A (en)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disk brake
JP2010175040A (en) * 2009-01-30 2010-08-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isc brak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463U (en) * 1992-01-10 1993-07-30 日信工業株式会社 Brake shoe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drum brakes
KR0129500Y1 (en) * 1993-12-28 1998-12-01 정몽원 Drum brake for automobile braking device
KR200281984Y1 (en) * 1998-12-28 2002-09-19 주식회사 만도 Car drum brake
KR20020009924A (en) * 2000-07-28 2002-02-02 밍 루 Drum brake
WO2003019031A1 (en) * 2001-08-31 2003-03-06 Pbr Australia Pty Ltd Drum brake assembly
KR20040041969A (en) * 2002-11-12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disk brake
JP2010175040A (en) * 2009-01-30 2010-08-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is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025B1 (en)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738B2 (en) Disc brake
US8281905B2 (en) Caliper disc brake
KR101761593B1 (en) Disc brake
KR101922476B1 (en) Electric caliper brake with parking function
KR20160094751A (en) Drum brake for vehicle
KR20160141434A (en) Disc brake
KR20170010545A (en) Disc Brake
KR20110140004A (en) Caliper for parking brake in vehicles
KR20170113914A (en) Parking brake device
KR100969071B1 (en) Calliper sealing
KR101316170B1 (en) a brake pad cover shim for vehicle' disc brakes
KR20130084031A (en) Pad spring and disc brake having the same
JP2006183820A (en) Disk brake
KR20140066307A (en) Disk brake
KR200162520Y1 (en) Check valve structure of master cylinder for a vehicle
JP2008157284A (en) Parking lever retention mechanism for drum brake
US20220145950A1 (en) Drum brake for vehicle
KR20140059660A (en) Brake for vehicle
KR101637776B1 (en) Brake device for vehicle
JP2006170241A (en) Duo-servo type drum brake device
GB2074263A (en) Internal Shoe Drum Brake Apparatus
KR100931490B1 (en) Drum brake
KR200281980Y1 (en) Actuating lever of mechanical drum brake
KR20020009924A (en) Drum brake
JPH11241740A (en) Vehicular disk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