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634A -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634A
KR20160094634A KR1020150015839A KR20150015839A KR20160094634A KR 20160094634 A KR20160094634 A KR 20160094634A KR 1020150015839 A KR1020150015839 A KR 1020150015839A KR 20150015839 A KR20150015839 A KR 20150015839A KR 20160094634 A KR20160094634 A KR 2016009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chamber
cooling
cooler
liquid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5001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634A/ko
Publication of KR2016009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with several cooling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2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heat exchange fluid 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2005/0032Systems storing energy during the n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대에 장치의 내실에 채워둔 액냉매(liquid refrigerant)를 냉각시켜 관체를 통해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기체가 냉각된 찬공기로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설치된 상태로 유체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중 냉각된 유체의 배출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르는 유체가 냉각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로 구성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하우징의 추가 구성에 따라, 상기 냉각기에 냉각될 수 있는 액냉매가 채워지는 내실, 및 상기 내실의 온도유지를 위한 단열재가 내재되는 외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실 안쪽에는, 상기 냉각기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지지결합을 위한 고정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COOL STORAGE REFRIGERATING PLANT, USING COOLING-ENERGY}
본 발명은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이 남아도는 심야시간대에 장치의 내실에 채워둔 액냉매(liquid refrigerant)를 냉각시켜 관체를 통해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기체가 냉각된 찬공기로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시설(産業施設, industrial facilities)이 고도화됨에 따라 냉동시스템(이하 "냉동장치"라 함)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으로 인한 국민소득(國民所得, National income)의 증대와 삶의 질적인 향상으로 소비자들의 기호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바, 이에 인해 냉동장치의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냉동장치(冷凍裝置, refrigerating plant)라 함은, 냉동을 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모든 장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통상 에어컨이라 칭하는 에어컨디셔너(Air conditioner)에서부터 냉장고 그리고 유증기 회수장치(Vapor recovery apparatus)는 물론 대규모 화학플랜트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냉방부하(冷房負荷, cooling load)는, 특성상 여름철 낮 시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전력의 공급예비율(供給豫備率)과 부하율(負荷率, load factor)을 악화시켜 전력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에너지 공급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냉방부하는 전체 최대전력 부하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한다.
이렇듯, 상기한 각종 냉동장치들은, 에너지소비효율이 크게 낮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어, 세대가정을 포함한 모든 산업 전반에 걸쳐 전력소비량에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즉 고효율 냉동장치가 많은 관심 속에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괄목할만한 기대치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228호를 통해, 압축기에서 응축기에 이르는 고온의 기체 냉매와 증발기에서 압축기에 이르는 저온의 기체 냉매 사이에 열교환부를 두어 압축기의 압축 부하와 응축기의 응축 부하를 경감시킨 에너지절약형 에어컨이 개시된바 있으나, 에너지절약의 기술적 초점을 장치성능의 향상에만 맞췄을 뿐 에너지 소비의 근원이 되는 전력소비 패턴에 대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개선사항이 나타나지 않아 기존의 문제점이 여전하다.
다른 한편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15072호를 통해,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기나 공기가 응축기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시켜 유기용제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측시스템이 개시된바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 역시, 급속 냉각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해 큰 용량의 압축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장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력이 비싼 낮 시간 동안에 운용하여야 하므로 인하여 작동하는 동안의 전력량이 과다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228호 (등록일자 : 2000. 12. 18.)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15072호 (등록일자 : 2006. 08. 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 우레탄폼으로 둘러싼 내실을 마련하고, 액냉매가 내부공간에 채워진 상기 내실을 통과하는 관체를 구비하되 내실 전체를 대부분 차지하도록 나선형 비틀림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관체로 유입 및 통과하는 기체 냉각의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내실 안에 채워둔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구비함에 더해 상기 냉각기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지지고정을 위한 고정틀을 추가로 더 구성하여, 상기 증발기 배치구조의 다양화를 통한 냉각 열효율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설치된 상태로 유체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중 냉각된 유체의 배출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르는 유체가 냉각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로 구성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하우징의 추가 구성에 따라, 상기 냉각기에 냉각될 수 있는 액냉매가 채워지는 내실, 및 상기 내실의 온도유지를 위한 단열재가 내재되는 외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실 안쪽에는, 상기 냉각기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지지결합을 위한 고정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틀은, 박판형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내부가 빈 통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내실 안에서 순환되는 액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수많은 통공이 일정 및 균등 간격마다 전체면에 고른 분포로 관통형성된 다공판임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내실의 내부 중앙에는, 강제대류의 형성으로 내부공간에 채워넣은 액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교반스크루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고정틀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 코일형 배치구조로 밀착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고정틀의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지그재그식 굴절패턴의 배치구조로 밀착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는, 냉각기와 액냉매 및 이들을 이용한 관체의 냉각만으로도 상기 관체를 통과하는 기체의 냉각이 가능케 됨으로써, 고성능 응축기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없이도 기체 냉각에 필요한 장비구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를 통한 장치소형화 달성에 따른 장치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전력이 남아돌고 적게 소비되는 심야시간대의 냉각기 가동만으로도 내실에 채워진 액냉매의 냉각이 가능하고, 내장된 우레탄폼(단열재)에 의한 하우징 내부(내실)의 열손실 최소화로 인하여 낮 시간대까지 액냉매의 냉각상태 유지가 가능함으로써, 값싼 전력을 이용한 장비운용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를 유증기 회수장치에 적용할 경우, 각종 사업장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유증기 방출의 극소화를 통한 인체 유해성분의 피부접촉 억제 및 주변환경 개선의 효과발휘는 물론이거니와 그린환경 조성을 위한 관련산업 및 관련분야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정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정틀과 증발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증틀과 증발기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정틀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정틀과 증발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고증틀과 증발기의 다른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는, 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박스형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세로로 내재설치되고 일 외측에 연계설치됨에 따라 유증기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흐름 중의 액화현상으로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2)와, 상기 하우징(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2)의 경로를 따르는 유증기로부터 유기용제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증기 회수장치(A)일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는, 상기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세로로 내재설치된 상태로 기체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중 냉각된 기체의 배기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2-1)와, 상기 하우징(1)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2-1)의 경로를 따르는 기체가 냉각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컨디셔너(B)일 수 있다.
이후로부터는,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A) 또는 에어컨디셔너(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유증기 회수장치(A)를 기초로 그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은, 단일 장치의 구성과 더불어 냉각을 위한 내부공간(내실) 마련을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내부하우징(1-1)의 추가 구성을 통해 상기 냉각기(3)에 의해 급격한 온도저하가 이루어지는 내실(11) 및 상기 내실(12)의 온도유지를 위한 우레탄폼(urethan foam)이나 스티로폼(styro foam) 등과 같은 단열재(heat insulating material, 斷熱材, 121)가 내재되는 외실(12)로 구분되는 복수의 공간을 갖는다.
더하여, 상기 내실(11)과 외실(12)의 동일 상단 일부위로부터 수직으로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한 내실(11)로 액상의 냉매{refrigerants, 冷媒 / 이하 '액냉매(liquid refrigerant)'라 함}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투입관(1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실(12)의 하측으로는, 상기 관체(2)를 통과하는 유증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제(액상)가 낙하 후 임시저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되는 포집실(14)이, 상기 포집실(14)의 하측으로는, 냉각기(3)의 구성요소들을 내재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되는 기계실(15)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집실(14)의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하고, 그 경사측부의 끝자락에는 유기용제의 외부배출 및 회수를 배출관(15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실(11) 안에는, 상기 냉각기(2)의 구성요소들 중 차후 후술될 증발기의 지지결합을 위한 고정틀(16)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틀(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형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내부가 빈 사각 박스형태로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장치의 구조에 따라 원통형으로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틀(16)은, 내실(11) 안에 채워둔 액냉매가 이후 후술할 교반스크루에 의해 순환됨에 있어, 그 순환 흐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수많은 통공(161)이 일정 및 균등 간격마다 전체면에 고른 분포로 관통형성된 다공판(多孔板, perforated grill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실(11) 내측의 중앙부에는, 유체에 기계적인 힘이 작용해서 발생하는 강제대류(forced convection, 强制對流)의 형성으로, 상기한 내실(11) 안에 채워넣은 액냉매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스크루(17)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액냉매를 부동액과 물을 혼합 조성함에 있어, 혼합된 부동액이 영하 40℃에서 결빙되지 않도록 부동액과 물을 6:4의 비율로 혼합하는바, 부동액과 물은 분자구조가 서로 달라 장시간 방치할 경우 분리되고 그로써 결빙될 경우의 기계장치 파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순환 흐름에 따른 열교환 효율이 크게 증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교반스크루(17)는, 별도의 모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상기 모터 및 기어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축에 연결하여 기계적 회전구동이 가능토록 한다.
관체(2)는, 상기 하우징(1) 내실(11)의 급격한 온도저하를 이용한 유증기의 액화 및 액화로 분리된 유기용제의 분리와 회수 그리고 잉여 유증기의 배기 흐름의 안내를 위한 것으로, 유증기 주입을 위한 유입관부(21), 상기 유입관부(21)로부터 내실(11)과 외실(12)의 바닥면을 지나 상기 포집실(14)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내실(11)의 내벽면 전체에 근접 배치되는 나선형 비틀림 구조를 이룸으로써, 유증기의 이동 흐름을 지체시켜 액화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한 보냉관부(22)가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포집실(14)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치됨에 따라 대개의 유기용제가 분리된 잉여 유증기의 외부 배출 및 회수를 위한 통기관(23)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유입관부(21)에는, 유증기의 주입 및 역류방지를 위한 제1개폐밸브(2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기관(23)에는, 상기 포집실(14)의 내부공간으로 임시저장된 유증기의 선택적 외부 배출을 위한 압력밸브(231) 및 유조차로의 유증기 회수를 위한 선택적 배기가 가능토록 하는 제2개폐밸브(2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냉각기(3)는, 상기 하우징(1)의 내실(11) 내부공간에 채워둔 액냉매를 냉각시켜 상기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유증기의 액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실(11)의 냉각을 위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compressor, 31)와, 상기 내실(11)의 열을 전도받아 상기 압축기(31)에서 전달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evaporator, 32)와, 상기 증발기(32)에서 전달되는 냉매를 응축시켜 압축기(31)로 보내는 응축기(condenser, 33)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틀(16)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 코일형 배치구조로 밀착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용접(welding)에 의해 상기 고정틀(16) 외면에 일체로 부착함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결착시킬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 굴절에 따라, 상기 고정틀(16)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그 배치구조의 패턴을 달리 이룰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지하 유류저장탱크의 숨구멍을 통한 증발과 유조차에서 지하 유류저장탱크에 휘발유 등의 석유제품을 하역할 때와, 지하 유류저장탱크에서 자동차에 주유할 때의 두 가지 경우에서 유증기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유증기의 회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관체(2) 중 상기 유입관부(21)에 유류저장탱크의 통기관을 연결하면 유증기가 냉동장치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한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액화현상을 일으켜 유기용제가 분리 및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동장치는, 새벽과 같은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기(3)를 구동시켜 압축기(31) 및 응축기(33)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1-1) 전체를 둘러싼 증발기(32)의 연계작동에 의해 상기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가 냉각되도록 하고, 냉각된 그 액냉매에 의해 상기 내실(11)에 배치된 보냉관부(22)가 유증기를 액화시킬 수 있을 정도로 온도저하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내실(11) 내부에 더 배치구성된 상기 순환기(1-13)를 작동시켜 내실(11)에 채워진 액냉매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상기 보냉관부(22)의 냉각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하우징(1)과 내부하우징(1-1) 사이 공간에 내재된 단열재(121)에 의해 냉기의 손실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심야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내실(11) 및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냉각시킨 상태가 낮 시간까지 충분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낮 시간대에도 유증기의 액화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만약, 냉각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약간의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기(3)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유증기의 액화를 위한 내실(11)의 내부온도를 맞출 수 있음으로써, 전력사용에 대한 효율성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바에 의한 본 발명의 냉각기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의 실시 예는, 최초 주유소(및 저유시설)의 유류저장탱크를 통해 유증기가 상기 관체(2)의 유입관부(21) 안으로 주입되면, 액냉매에 의해 냉각된 상기 관체(2)의 보냉관부(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증기가 액화현상을 일으켜 유기용제가 분리되는 것이며, 이렇게 분리된 유기용제는 상기 보냉관부(22)를 거쳐 포집실(14)로 낙하 후 임시저장되고, 유기용제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기체(잉여 유증기)는 상기 통기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이어간다.
이로써, 액상의 유기용제는 상기 포집실(14)로 낙하하는바 저장량이 일정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배출관(151)을 통해 지정된 곳에서 유기용제를 회수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통기관(23)을 따라 외부 배출 흐름을 갖는 기체(잉여 유증기)는, 상황에 따라 상기 통기관(23)에 연결된 압력밸브(231) 개방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줌으로써 포집실(14)의 압력을 낮추거나 혹은 상기 제2개폐밸브(232-1) 개방을 통해 상기 연결관부(232)에 연결된 호스를 통하여 유조차로의 회수가 가능한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유증기의 액화를 통한 유기용제의 분리 및 회수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유증기의 외부 배출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의 발생을 애초에 미리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통한 주유소 및 저유시설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심야전기를 활용한 장치운용에 따라, 전력소비량과 장치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더 나아가서는 연간 에너지손실을 크게 낮추는 에너지자원의 절약효과를 거둘 수 있음과 더불어, 냉매만으로도 기체 냉각이 가능한 단순구조를 이룸에 따른 장치구조의 간소화와 더불어 이를 통한 장치의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 절감을 통한 소비자 구매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유증기 회수장치, B : 에어컨디셔너, 1 : 하우징
1-1 : 내부하우징, 2, 2-1 : 관체, 3, 3-1 : 냉각기
11 : 내실, 12 : 외실, 13 : 투입관
14 : 포집실, 15 : 기계실, 16 : 고정틀
17 : 교반스크루, 21 : 유입관부, 22 : 보냉관부
23 : 통기관, 31 : 압축기, 32 : 증발기
33 : 응축기, 121 : 단열재, 151 : 배출관
161 : 통공, 211 : 제1개폐밸브, 231 : 압력밸브
232 : 제2개폐밸브

Claims (5)

  1. 박스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설치된 상태로 유체의 주입 및 이동 그리고 이동 중 냉각된 유체의 배출 흐름을 관장하는 관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상기 관체의 경로를 따르는 유체가 냉각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을 냉각시키게 된 냉각기로 구성된 축냉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하우징의 추가 구성에 따라, 상기 냉각기에 냉각될 수 있는 액냉매가 채워지는 내실, 및 상기 내실의 온도유지를 위한 단열재가 내재되는 외실로 구분되는 복수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실 안쪽에는, 상기 냉각기에 포함되는 증발기의 지지결합을 위한 고정틀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박판형 금속판재를 절곡시켜 내부가 빈 통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내실 안에서 순환되는 액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수많은 통공이 일정 및 균등 간격마다 전체면에 고른 분포로 관통형성된 다공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의 내부 중앙에는, 강제대류의 형성으로 내부공간에 채워넣은 액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교반스크루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고정틀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 코일형 배치구조로 밀착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고정틀의 전체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지그재그식 굴절패턴의 배치구조로 밀착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KR1020150015839A 2015-02-02 2015-02-02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KR20160094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839A KR20160094634A (ko) 2015-02-02 2015-02-02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839A KR20160094634A (ko) 2015-02-02 2015-02-02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34A true KR20160094634A (ko) 2016-08-10

Family

ID=5671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839A KR20160094634A (ko) 2015-02-02 2015-02-02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6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28Y1 (ko) 2000-09-20 2001-03-02 이명섭 에너지절약형 에어컨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28Y1 (ko) 2000-09-20 2001-03-02 이명섭 에너지절약형 에어컨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570B2 (en) Coolant heat exchanger having a scraper for each heat exchange interface surface
EP1872077B1 (en)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KR10179855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643712B1 (ko) 유증기 회수장치
EP2625477A2 (de) Kältegerät mit einem kältespeicher
CN103799860B (zh) 饮水机及饮水机的制冷控制方法
CN106440452A (zh) 蓄冷装置及蓄热装置
CN208872160U (zh) 一种多回路双控温相变蓄冷装置
KR102413937B1 (ko) 냉장고
CN105066310A (zh) 一种氟泵双循环自然冷源蓄冷系统的冷冻水型机房空调
JPH05296503A (ja) 氷蓄熱装置
KR20160094634A (ko) 냉각에너지를 이용한 축냉식 냉동장치
WO2009144067A1 (de)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umfassend einen verflüssiger mit wärmespeicherelementen
AT516383B1 (de) Fluidspeicher
JPH10205834A (ja) 冷熱装置及び冷凍設備
CN105115086A (zh) 一种冷水机组自然冷源热管式蓄冷系统
KR20200001489U (ko) 액상 음료 과냉각 장치
CN108895869B (zh) 一种多回路双控温相变蓄冷装置
KR20040017474A (ko) 냉동차량의 축냉시스템
DE202017005085U1 (de) Energieeffizienter Kältespeicher mit leistungsunabhängig skalierbarer Speicherkapazität
CN218884338U (zh) 储液罐及冷链设备
KR200282298Y1 (ko) 중간 열교환방식 냉동장치
CN206670124U (zh) 一种冷库用压缩机的排气管上的喷液降焓机构
KR20040063634A (ko) 즉석 아이스크림 제조기
KR200313034Y1 (ko) 히트펌프식 폐열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